KR20110019772A -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772A
KR20110019772A KR1020110012913A KR20110012913A KR20110019772A KR 20110019772 A KR20110019772 A KR 20110019772A KR 1020110012913 A KR1020110012913 A KR 1020110012913A KR 20110012913 A KR20110012913 A KR 20110012913A KR 20110019772 A KR20110019772 A KR 20110019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vehicle
power
transmit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2918B1 (ko
Inventor
양인범
황윤형
연규봉
이혁기
정기윤
기상렬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12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9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6Methods for pairing a vehicle and a charging station, e.g. establishing a one-to-one relation betwee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1Charging column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6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by positioning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36Temperature of vehicle components o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상기 전력공급부와 연결되며, 차량 진입 시, 차량의 하부 지면에 위치하며, 전력공급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전자기 유도에 의해 차량에 송신하며,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 형태의 코일송신부, 상기 차량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코일송신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코일송신부와 전자기 유도 작용에 의해 전력을 수신하는 코일 형태의 코일수신부 및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코일수신부를 연결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따라 상하길이가 증감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Transmitter receiver for a electric car and the electric power source system}
본 발명은 전기 구동형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커넥터에 의한 직접 연결 방식이 아닌 전자기 유도에 의한 비접촉 방식으로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구동형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인 방식(편의상 종래기술1)으로, 전력공급부(1)에 연결된 전력공급선(111)을 차량의 커넥터(511)와 연결하는 방법으로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1과 같이, 전력공급선(111)과 커넥터(511)를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하게 되면, 매번 사용자에 의해 전력공급(111)과 커넥터(511)의 연결이 이루어져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전력공급부(1)의 외부환경(비, 눈, 습기, 과열)에 의한 공급선의 누전이나 단선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비접촉 방식으로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이 개발되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8841호(비접촉 3상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시스템)와 같이(편의상 종래기술2),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상에 전력송전선을 설치하여 전자기 유도작용에 의해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이 그 한 예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2는 전기 구동형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에 일정구간에 걸쳐 전력송전선을 설치해야 하므로 전력송전선의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차량의 운행에 있어, 효율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서는 전력송전선과 적정 위치를 유지하기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하기 힘들며, 차량의 전력 충전완료 후에도 전력 송전선이 동작하여, 전력의 낭비를 조장할 수 있다.
더불어 외부에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전력 공급에 관한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의 목적은, 전력을 송신하는 코일 형태의 코일송신부와 상기 코일송신부와 연결된 차량센서부로 구성하여, 진입하는 차량의 바퀴를 감지 후, 적정 위치의 코일송신부를 동작시켜 비접촉 방식으로 차량에 전력을 송신하고, 전력 송신 장치의 코일송신부와 전자기 유도 작용에 의해 전력을 수신하는 코일 형태의 코일수신부를 샤프트 및 액추에이터와 체결하여, 액추에이터 및 샤프트의 동작에 따라 코일수신부를 상하 이동시켜, 전자기 유도에 의한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상기 코일송신부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차량의 코일수신부의 위치에 따라 적정한 위치의 코일송신부를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코일송신부와 연결된 차량스위치부를 더 구비하여, 차량센서부에서 인식한 적정 위치의 송신코일부를 활성화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코일센서부를 코일송신부의 행방향 및 열방향에 배치하여, 차량 하부의 코일수신부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자기장 결합이 용이한 위치의 코일송신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코일송신부는 코일송신부의 수와 일치하는 스위치부를 더 구비하여, 차량의 코일수신부의 위치에 따라 적정한 위치의 코일송신부를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코일센서부를 차량 전측의 양단지점 및 차량의 후측 양단지점 중 3지점에 배치하여, 각 코일센서부 간의 자기력차이에 의해 산출된 좌표 지점과 근접한 위치의 코일송신부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액추에이터를 차량 하부의 중심에 고정하여, 코일수신부의 위치를 감지하기 용이하게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를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의 목적은 코일 형태의 송신부를 포함한 코일송신부와 코일 형태의 수신부를 포함한 차량의 코일수신부의 자기장 결합으로 전력공급부의 전력을 비접촉 방식으로 차량에 전송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코일송신부에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복수 개로 구성된 코일송신부 중에 센서부의 감지에 따른 적정 위치의 코일송신부를 선택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코일수신부에 전력변환부를 더 포함하여, 코일송신부로부터 전달 받은 전력을 변환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신 장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상기 전력공급부와 연결되며, 차량 진입 시, 차량의 하부 지면에 위치하며, 전력공급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전자기 유도에 의해 차량에 송신하며,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 형태의 코일송신부, 상기 차량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코일송신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코일송신부와 전자기 유도 작용에 의해 전력을 수신하는 코일 형태의 코일수신부 및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코일수신부를 연결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따라 상하길이가 증감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를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상기 전력공급부와 연결되며, 차량 진입 시, 차량의 하부 지면에 위치하며, 전력공급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전자기 유도에 의해 차량에 송신하며,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 형태의 코일송신부, 상기 차량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코일송신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코일송신부와 전자기 유도 작용에 의해 전력을 수신하는 코일 형태의 코일수신부 및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코일수신부를 연결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따라 상하길이가 증감되는 연결부, 상기 코일수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코일송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코일송신부 및 코일수신부와 연결되어, 자기장 결합을 위해 차량의 위치 또는 자기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전력공급부와 연결되어, 차량에 송신되는 전력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전력공급부의 동작에 관한 외부 명령을 입력받는 외부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는, 전력을 송신하는 코일 형태의 코일송신부와 상기 코일송신부와 연결된 차량센서부로 구성하여, 진입하는 차량의 바퀴를 감지 후, 적정 위치의 코일송신부를 동작시켜 비접촉 방식으로 차량에 전력을 송신하고, 코일송신부와 전자기 유도 작용에 의해 전력을 수신하는 코일 형태의 코일수신부를 샤프트 및 액추에이터와 체결하여, 액추에이터 및 샤프트의 동작에 따라 코일수신부를 상하 이동시켜, 전자기 유도에 의한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코일송신부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차량의 코일수신부의 위치에 따라 적정한 위치의 코일송신부를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일송신부와 연결된 스위치부를 더 구비하여, 차량 진입 시, 차량센서부가 감지한 적정한 위치의 코일송신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일센서부를 코일송신부의 행방향 및 열방향에 배치하여, 차량 하부의 코일수신부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자기장 결합이 용이한 위치의 코일송신부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코일송신부는 코일송신부의 수와 일치하는 스위치부를 더 구비하여, 차량의 코일수신부의 위치에 따른 적정 위치의 코일송신부이 동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코일센서부를 차량 전측의 양단지점 및 차량의 후측 양단지점 중 3지점에 배치하여, 각 코일센서부에서 감지한 자기장 신호가 교차하는 지점과 근접한 위치의 코일송신부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를 차량 하부의 중심에 고정하여, 코일수신부의 위치를 감지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를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은 코일 형태의 송신부를 포함한 전력송신부와 코일 형태의 수신부를 포함한 차량의 전력수신부의 자기장 결합으로 전력공급부의 전력을 비접촉 방식으로 차량에 전송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일송신부에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복수 개로 구성된 코일송신부 중에 센서부의 감지에 따른 적정 위치의 코일송신부를 선택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일수신부에 전력변환부를 더 포함하여, 코일송신부로부터 전달 받은 전력을 변환하여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에 있어 전력 수신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에 있어 전력 송신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신 장치의 첫 번째 실시예의 적합한 코일송신부 선택에 따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신 장치의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신 장치의 두 번째 실시예의 적합한 코일송신부 선택에 따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신 장치의 세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신 장치의 세 번째 실시예의 적합한 코일송신부 선택에 따른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신 장치의 세 번째 실시예의 코일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좌표로 나타낸 도면.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개념도.
도 11은 종래 전기 구동형 자동차의 전력 공급 방법을 나타낸 도면.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공급 송수신 장치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공급 송수신 장치에 있어, 전력 수신 장치의 실시예이며, [도 2]는 전력 송신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수신 장치는 차량의 하부에 체결되어, 코일송신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엑추에이터(81), 전력 송신 장치의 코일송신부와 전자기 유도 작용에 의해 전력을 수신하는 코일 형태의 코일수신부(51) 및 상기 액추에이터(81)와 코일수신부(51)를 연결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따라 상하길이가 증감되는 연결부인 샤프트(82)로 구성된다.
상기 액추에이터(81)는 차량 하부의 전측의 양 바퀴와 후측의 양 바퀴가 서로 대응되는 대각선(L1, L2)의 교차지점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상기 전력 수신 장치가 구비된 차량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송신장치가 구비된 주차공간(P)에 주차한 투시도로, 상기 코일수신부(5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a]와 같이, 차량 진입 시, 상기 차량센서부(41)에서 차량의 바퀴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차량센서부(41)에서 감지된 각 위치의 대각선의 중심에 위치한 송신코일부 즉, 자기장 결합이 용이한 위치와 가장 근접한 송신코일부가 선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차량센서부(41)의 각 감지 지점의 중심축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제2열스위치(23) 및 제2행스위치(33)가 선택되고, 상기 제2열스위치(23) 및 제2행스위치(33)의 동작에 따라 그 중심 지점과 가장 근사한 제5코일송신부(105)가 선택되어,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도 4b] 및 [도 4c]는 상기 차량센서부(41)의 감지 위치에 따른 코일송신부(101 ~109)의 다양한 선택 사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상기 차량센서부(41)의 감지 위치에 따라 코일송신부(101~109)는 2개 이상이 선택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신 장치의 두 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송신 장치의 두 번째 실시예는 다른 전력 송신 장치의 두 번째 실시예의 차량센서부(41)가 제외되었으며, 행과 열에 형성된 각 스위치부(20, 30)에 코일센서부(43, 45)가 더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차량 진입 시, 차량(V)의 하부에 구비된 코일수신기(51)에서 자기장을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코일센서부(43, 45)는 이러한 자기장 신호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열방향의 제1코일센서부(431) 내지 제3코일센서부(435)를 포함하고, 행방향의 제1코일센서부(451) 내지 제3코일센서부(45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코일센서부(43, 45)는 홀센서(hall sensor) 또는 마그네틱센서(magnetic sensor)로 형성이 가능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코일부(101~109)의 행과 열의 연장지점에 위치한 코일센서부(43, 45)에서 차량의 코일수신부(51)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감지하고, 가장 강한 자기장을 감지한 행방향의 제2코일센서부(453) 및 열방향의 제3코일센서부(435)와 행과 열이 일치하는 제5송신코일부(106)가 각 코일스위치(25, 33)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신 장치의 세 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본 발명에 다른 전력 송신 장치의 세 번째 실시예는 상기 두 번째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지만 코일센서부(471)가 스위치부(20, 30)와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코일센서부(471)는 차량 진입 시, 차량의 전측 양단지점 및 후측의 양단지점 중 적어도 3지점 이상에 위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센서부(471~473)는 차량(V)의 코일수신부(51)에서 자기장을 발생하면, 제1코일센서부(471)에서 측정된 제1자기력(H1)과 제2코일센서부(472)에서 측정된 제2자기력(H2)의 차이(H1-H2)에 의해 X축의 수신 코일 좌표를 산출하며, 제1코일센서부(471)에서 측정된 제1자기력(H1)과 제3코일센서부(473)에서 측정된 제3자기력(H3)의 차이(H1-H3)에 의해 Y 축의 수신 코일의 좌표를 산출하게 된다.
상기 산출된 X축과 Y축의 좌표지점과 가장 근접한 코일송신부를 활성화하게 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코일송신부인 제1코일송신부(101)와 제4코일송신부(104)가 선택되어 활성화된다.
[도 9]는 상기 코일센서부(471~473)의 자기력 차이에 따른 좌표를 표시한 도면으로, 전력 송신 장치가 설치된 주차장 공간(3m * 5m)을 좌표로 표시하고, 제1코일센서부(471)와 제2코일센서부(472)의 자기력 차이를 제1등고선(CX)로 제2코일센서부(472)와 제3코일센서부(473)의 자기력 차이를 제2등고선(CY)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등고선(CX)과 제2등고선(CY)이 교차하는 지점이 수신코일부(51)의 위치에 따른 자기장 결합이 용이한 송신코일부의 위치인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를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를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전력송신장치(100)와 전력수신장치(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력송신장치(100)는 차량에 공급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1) 및 상기 전력공급부(1)와 연결된 코일송신부(10)로 구성된다.
상기 코일송신부(10)는 상기 전력공급부(1)에서 발생된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며 코일 형태로 구성되어, 송신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력수신장치(500)는 상기 코일송신부(10)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에 의한 유도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코일 형태로 구성된 코일수신부(50) 및 상기 코일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저장하는 저장부(7)로 구성된다.
[도 10b]는 상기 코일수신부와 코일송신부의 전자기 유도에 관한 원리를 설명한 도면으로 코일송신부(11)에 전력공급기(1)를 이용하여, 교류전류(I1)를 흐르게 하면 자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송신부(11)와 코일수신부(51)를 가로지르는 자속(B)의 변화에 따라 코일수신부(51)에 유도전류(I2)가 공급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는 상기 코일송신부(10) 및 코일수신부(50)와 연결된 센서부(4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서부(40)는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센서부 및 상기 코일수신부(50)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을 감지하는 코일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40)는 차량의 위치 또는 수신부의 자기력 감지함으로써, 상기 코일수신부(50)의 위치에 따른 적정 위치의 코일송신부(10)를 선택하여, 상기 코일수신부(50)와 코일송신부(10)의 자기장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부(40)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40)에 의해 선택된 코일송신부(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부(2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전력공급부(1)와 연결되어, 차량에 송신되는 전력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전력공급부(1)의 동작에 관한 외부 명령을 입력받는 외부입력부(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일수신부(50)와 연결되어, 상기 코일송신부(10)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저장부의 형태에 따라 전력을 변환시키는 전력변환부(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방식 전력 송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1 : 전력공급부 2 : 외부입력부
6 : 전력변환부 7 : 저장부
10, 101~109 : 코일송신부 20, 30 : 스위치부
40 : 센서부 43, 45 : 코일센서부
50, 51 : 코일수신부 81 : 엑추에이터
82 : 사프트 100 : 전력 송신 장치
101~109 : 코일송신부 500 : 전력 수신 장치
500 : 전력 수신 장치

Claims (11)

  1.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상기 전력공급부와 연결되며, 차량 진입 시, 차량의 하부 지면에 위치하며, 전력공급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전자기 유도에 의해 차량에 송신하며,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 형태의 코일송신부;
    상기 차량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코일송신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코일송신부와 전자기 유도 작용에 의해 전력을 수신하는 코일 형태의 코일수신부 및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코일수신부를 연결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따라 상하길이가 증감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송신부와 연결되며, 차량의 진입 시, 차량의 바퀴의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송신부와 연결되며, 차량 진입 시, 차량의 전후측의 일측 및 차량의 좌우측의 일측에 위치되며, 차량 하부에 형성된 코일수신부의 자기장 신호를 감지는 코일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센서부에서 감지한 차량의 전측의 양바퀴와 후측 양바퀴의 대각선 교차점과 가장 근접한 코일송신부를 활성화시키는 스위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차량 진입 시, 상기 코일센서부가 감지한 자기장 신호에 따른 적정 위치의 코일송신부를 활성화시키는 스위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센서부는,
    차량의 진입 시, 차량의 전측 양단지점 및 후측의 양단지점 중 적어도 3지점 이상에 배치되어, 차량 하부에 형성된 코일송신부의 자기장 신호를 감지하여, 자기장 결합이 용이한 적정 위치의 코일송신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송신부는,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구성되며, 두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 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행과 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차량 하부의 전측의 양 바퀴와 후측의 양 바퀴가 서로 대응되는 대각선의 교차지점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
  9.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상기 전력공급부와 연결되며, 차량 진입 시, 차량의 하부 지면에 위치하며, 전력공급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전자기 유도에 의해 차량에 송신하며,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 형태의 코일송신부;
    상기 차량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코일송신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코일송신부와 전자기 유도 작용에 의해 전력을 수신하는 코일 형태의 코일수신부;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코일수신부를 연결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따라 상하길이가 증감되는 연결부;
    상기 코일수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코일송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코일송신부 및 코일수신부와 연결되어, 자기장 결합을 위해 차량의 위치 또는 자기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전력공급부와 연결되어, 차량에 송신되는 전력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전력공급부의 동작에 관한 외부 명령을 입력받는 외부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를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송신부는,
    상기 센서부의 차량 적정 위치 감지 시, 코일송신부의 동작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를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수신부는,
    상기 코일송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저장부의 형태에 따라 전력을 변환시키는 전력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를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
KR1020110012913A 2011-02-14 2011-02-14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 KR101102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913A KR101102918B1 (ko) 2011-02-14 2011-02-14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913A KR101102918B1 (ko) 2011-02-14 2011-02-14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006A Division KR101116877B1 (ko) 2009-07-16 2009-07-16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772A true KR20110019772A (ko) 2011-02-28
KR101102918B1 KR101102918B1 (ko) 2012-01-10

Family

ID=4377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913A KR101102918B1 (ko) 2011-02-14 2011-02-14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91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823B1 (ko) * 2011-11-25 2013-09-06 한국전기연구원 무선전력 중계장치, 무선전력 전송 방법 및 공진주파수 조절 방법
KR101364180B1 (ko) * 2012-09-20 2014-02-20 한국과학기술원 상용주파수를 사용하는 전기자동차 무선충전장치
KR20160028365A (ko) * 2014-08-28 2016-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방법
EP2757657A4 (en) * 2011-09-16 2016-03-23 Ihi Corp ELECTRICAL POWER SUPPLY SYSTEM FOR A MOBILE VEHICLE
CN105564265A (zh) * 2016-02-29 2016-05-11 厦门新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的无线充电方法及系统
KR20220137245A (ko) * 2021-04-02 2022-10-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된 충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7890A (ja) * 1995-02-28 1996-09-13 Fuji Electric Co Ltd 自動車への非接触式電力供給装置
JP3586955B2 (ja) * 1996-02-02 2004-11-10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充電システム
JPH11127503A (ja) * 1997-10-20 1999-05-11 Fumio Hamaya 電気自動車用充電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57657A4 (en) * 2011-09-16 2016-03-23 Ihi Corp ELECTRICAL POWER SUPPLY SYSTEM FOR A MOBILE VEHICLE
KR101305823B1 (ko) * 2011-11-25 2013-09-06 한국전기연구원 무선전력 중계장치, 무선전력 전송 방법 및 공진주파수 조절 방법
US9287736B2 (en) 2011-11-25 2016-03-15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power thereof
KR101364180B1 (ko) * 2012-09-20 2014-02-20 한국과학기술원 상용주파수를 사용하는 전기자동차 무선충전장치
KR20160028365A (ko) * 2014-08-28 2016-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방법
CN105564265A (zh) * 2016-02-29 2016-05-11 厦门新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的无线充电方法及系统
KR20220137245A (ko) * 2021-04-02 2022-10-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된 충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2918B1 (ko) 201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918B1 (ko)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
US9836972B2 (en) Aid for inductive battery charging of a motor vehicle
CN105083046B (zh) 用于电动车辆充电系统的超声定位
US20120280649A1 (en)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CN103580102B (zh) 用于机动车的定位的方法、具有这种机动车的系统以及机动车
JP5997846B2 (ja) 無線電力伝達のための位置合わせシステム
EP2757657B1 (en) Moving-vehicle electric power feeding system
US20140132208A1 (en) System and method to align a source resonator and a capture resonator for wireless electrical power transfer
CN102474119B (zh) 用于感应式传输电能的设备
CN104843006B (zh) 用于对齐感应充电连接的车辆控制系统
KR101778480B1 (ko) 비접촉 급전 장치 및 주차 지원 장치
JP5719466B2 (ja) 非接触充電システム
JP6168164B2 (ja) 駐車支援装置及び駐車支援方法
CN102971179B (zh) 无接触传输能量时的温度测量
WO2014137397A1 (en) System to align a vehicle within a parking location using thermal targets
KR101524414B1 (ko) Rfid를 이용한 무인운송시스템 및 무인운송차량
CN105873791A (zh) 用于将电能传输至车辆的感应电力传输
KR101167504B1 (ko)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도로 세그먼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56421A (ko) 차량 충전용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송신기 장치
KR20110007462A (ko) 전기 구동형 자동차를 위한 비접촉 방식의 전력 송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
WO2014054608A1 (ja) 非接触給電装置
KR102653838B1 (ko) 유도식 전송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KR101488571B1 (ko) 가시광 무선 통신을 이용한 주차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안내 방법
CN108602436A (zh) 用于电动车辆用的感应式充电线圈的线缆的辗压保护
KR101743300B1 (ko) 차량 멈춤턱을 활용한 이동형 비접촉 충전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