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629A - Assembly type housing - Google Patents

Assembly type hou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629A
KR20110019629A KR1020090077248A KR20090077248A KR20110019629A KR 20110019629 A KR20110019629 A KR 20110019629A KR 1020090077248 A KR1020090077248 A KR 1020090077248A KR 20090077248 A KR20090077248 A KR 20090077248A KR 20110019629 A KR20110019629 A KR 20110019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control unit
housing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2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순
Original Assignee
김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순 filed Critical 김종순
Priority to KR1020090077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9629A/en
Publication of KR20110019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6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09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 B23Q1/0045Control panels or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4Metal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PURPOSE: A prefabricated housing, capable of accepting a control unit controlling tools arranged in outside, is provided to reduce a manufacturing time by omitting a side part curving process. CONSTITUTION: A prefabricated housing comprises a frame(110), a plate(120) and a door member(130). The frame is composed of an upper plate(115), a lower plate(114), and a vertical pillar(116) in order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The plate is combined in the side and back side of the frame. The door member is combin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in order to be opened and closed.

Description

조립형 하우징{Assembly type housing}Assembly type housing

본 발명은 조립형 하우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 배치된 기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수용하는 조립형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hous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housing for receiv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echanism device disposed outside.

공장에서 부품의 제조나 가공을 위해 사용되는 기구장치의 주변에는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Control panel)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어장치는 제어유닛과,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어유닛에는 소정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다. 하우징은 제어유닛을 감싸게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은, 제어유닛이 외부의 이물질, 예를 들어 먼지나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력으로부터 제어유닛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하우징은 하면부와, 상면부와,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된 측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the factory, a control panel is disposed around the apparatus used for manufacturing or processing parts. Such a control device includes a control unit and a housing. A predetermined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in the control unit. The housing is formed to surround the control unit. Such a housing serves to prevent the control unit from being contaminated or corroded by foreign substances, for example, dust or moisture, and to prevent the control unit from being damaged from external force. The conventional housing generally includes a lower surface portion, an upper surface portion, and a side portion bent at least once.

상기 측면부 제조시에는 하우징의 크기에 따라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를 여러 번 절곡시키는 과정을 거쳐서 제조하는데, 외력에 의해 제어유닛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우징은 일정 강성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직접 금속을 절곡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절곡 과정은 별도의 프 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길이마다 금속판을 절곡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side part is manufactured by bending a plate made of a metal material several tim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ousing. The housing is made of a metal having a certain rigidity to prevent the control unit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bend the metal directly. Therefore, in the bending process, it is common to bend a metal plate at a specific length using a separate press device.

한편, 상기와 같은 제어장치는 제어장치 내에 설치된 제어유닛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 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유닛들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유닛의 크기 및 수량에 따라, 제어유닛을 감싸는 하우징의 크기도 다르게 제조하여야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하우징의 측면부는 프레스 장치로 여러 번 절곡시켜서 제조해야 한다. 그러므로, 크기가 다른 하우징을 여러 개 제조하는 경우, 각각의 하우징의 크기에 대응되는 측면부를 프레스 장치로 절곡시켜서 제조해야 함으로써, 절곡 과정을 여러 번 수행함에 따라 제조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device as described above may vary in size of the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control device. In addition, one or more control units may be installed in the control device. Therefore, according to the size and quantity of the control unit, the size of the housing surrounding the control unit should also be manufactured differently.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side part of the conventional housing must be manufactured by bending several times with a press device. Therefore, when manufacturing a plurality of housings of different sizes, the sid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each housing to be manufactured by bending the press apparat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time takes a long time by performing the bending process several times.

또한, 하우징이 육면체로 이루어진 경우, 전술한 측면부는 후면과 측면, 즉 3개의 면이 절곡되어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전면까지 포함하여 4개의 면이 절곡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측면부는 제어유닛이 외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특정 강성을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측면부의 무게가 사용자가 들 수 있을 정도로 가볍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사용자가 적은 힘을 사용하면서 여러 개의 면이 절곡된 측면부를 이용하여 하우징을 제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housing is made of a hexahedron, the above-described side portion is generally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the back and the side, that is, three surfaces are bent integrally or four surfaces including the front. Since the side portion is made of a metal plate having a specific rigidity so that the control unit is not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it is likely that the weight of the side portion is not light enough to be lifted by the user.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manufacture the housing using the side portion of which several surfaces are bent while using a small force.

따라서, 본 발명은 절곡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큰 힘을 소요하지 않고도 제조할 수 있는 조립형 하우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housing which can minimize the bending process and can be manufactured without requiring a large force by the us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하우징은, 평평하게 형성된 하판과, 상기 하판과 서로의 일면이 마주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 상판과,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양단이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수직기둥들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측면 및 후면에 결합된 복수의 플레이트들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ssembled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plate formed flat, an upper plat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to face one side of the lower plate, and both ends of the lower plate so that a receiving space is formed. And a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vertical pillars coupled to the top plate, a plurality of plates coupled to side and rear surfaces of the frame, and at least one door member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rame to open and clo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하우징은, 직사각형 형상의 하판과, 상기 하판과 동일한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판으로부터 특정 높이 이격 배치된 상판과, 양단이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의 4개의 꼭지점에 조립되는 4개의 수직기둥들과, 상기 제어유닛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하판과, 상판과, 수직기둥들이 체결수단에 의해 조립되어 이루어진 프레임의 양측에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조립된 측면 플레이트들과,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조립되는 후면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ssembled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late of the rectangular shape, the upper plate formed of a rectangle having the same size as the lower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late by a certain height, both ends of the lower plate and the Four vertical pillars are assembled at four vertices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he upper plate, and the vertical pillars are assembl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formed by fastening means so that a receiving space for the control unit can be formed. Side plates assembled by the fastening means, a rear plate assembled to the rear of the frame by the fastening means, and at least one door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rame.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하우징에 따르면, 사용자가 공구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하우징의 제조방법과는 달리 측면부를 절곡하는 과정이 생략되어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위 시간당 더욱 많은 수량의 조립형 하우징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한번에 하나 의 플레이트를 들고 프레임에 결합시켜서 작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큰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조립형 하우징을 조립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ssembled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be easily assembled using the tool and the fastening means, unlike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ousing, the process of bending the side portion can be omitte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time. Thus, a larger number of prefabricated housings can be manufactured per unit time. In addition, the user can work by holding one plate at a time and engaging the frame. Therefore, the user can assemble the assembled housing without using a large force.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하우징에서 도어부재가 개폐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member opened and closed state in the assembled hous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외부에 배치된 기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수용하는 조립형 하우징(100)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하우징(100)은, 프레임(110)과, 복수의 플레이트(120)들과,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재(130)를 포함한다.1 and 2, in the prefabricated housing 100 that accommodat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echanism device disposed outside, the prefabricated housing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110, a plurality of plates 120, and at least one door member 130.

프레임(110)은 미도시된 제어유닛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를 위한 프레임(110)은 하판(114)과, 상판(115)과, 수직기둥(116)을 포함한다. 하판(114)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상판(115)은 하판(114)과 서로의 일면이 마주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수직기둥(116)들은 양단이 하판(114)과 상판(115)에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수직기둥(116)들은 상판(115)과 하판(114) 사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Frame 110 has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control unit not shown. The frame 110 for this purpose includes a lower plate 114, an upper plate 115, and a vertical column 116. The lower plate 114 is formed flat. The upper plate 115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lower plate 114 and one surface thereof face each other. Both ends of the vertical columns 116 are coupled to the lower plate 114 and the upper plate 115, respectively. These vertical pillars 116 serve to support between the upper plate 115 and the lower plate 114.

플레이트(120)들은 프레임(110)의 측면 및 후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플레이트(120)는 판형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플레이트(120)는 조립형 하우징(100)의 하나의 면을 형성한다.Plates 120 are coupled to the side and back of the frame 110. The plate 1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One plate 120 forms one face of the prefabricated housing 100.

도어부재(130)는 프레임(110)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사용자가 제어유닛의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어부재(130)를 열고 조립형 하우징(100) 내에 배치된 제어유닛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 도어부재(130)를 열고 제어유닛을 교체할 수 있다.The door member 13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rame 110 to be opened and closed. When the user checks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 unit, the user can open the door member 130 and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 unit disposed in the assembled housing 100.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needs to be replaced, the door member 130 may be opened and the control unit may be replaced.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조립형 하우징(100)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하판(114)과, 상판(115)과, 수직기둥(116)과, 플레이트(120)들과, 도어부재(130)를 제조한다. 그리고, 하판(114)과, 상판(115)과, 수직기둥(116)을 체결수단으로 조립하여 프레임(110)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프레임(110)의 측면 및 후면에 체결수단으로 플레이트(120)를 조립한다. 이러한 조립형 하우징(100)의 제조 과정은 사용자가 공구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하우징 제조방법과는 달리 측면부를 절곡하는 과정이 생략되어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위 시간당 더욱 많은 수량의 조립형 하우징(100)을 제조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assembled housing 100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lower plate 114, the upper plate 115, the vertical column 116, the plate 120, the door member 130 is manufactured. The lower plate 114, the upper plate 115, and the vertical column 116 are assembled by fastening means to manufacture the frame 110. Next, the plate 120 is assembled to the side and rear of the frame 110 by a fastening means. Sinc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assembled housing 100 can be easily assembled by the user using a tool and a fastening means, unlike the conventional housing manufacturing method, the process of bending the side portion can be omitted, thereby shortening the manufacturing time. Accordingly, a larger amount of the assembled housing 100 can be manufactured per unit time.

또한, 전술한 조립형 하우징(10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사용자가 한번에 하나의 플레이트(120)를 들고 프레임(110)에 결합시켜서 작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적은 힘을 큰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조립형 하우징(100)을 조립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refabricated housing 100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work by holding the plate 120 at one time and coupled to the frame 110. Therefore, the user can assemble the prefabricated housing 100 without using a small force and a large force.

이하에서는 전술한 조립형 하우징(100)의 구성요소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립형 하우징(100)에서 하판(114)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판(114)은 조립형 하우징(100)의 최하단에 위치한 것으로, 특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립형 하우징(100)이 지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조립형 하우징(100) 내에 설치된 제어유닛이 지면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제어유닛이 지면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수분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assembled housing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prefabricated housing 100, the lower plate 114 has a rectangular shape. The lower plate 114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refabricated housing 100, and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specific thickness. This is to prevent the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assembled housing 100 from being positioned adjacent to the ground while the assembled housing 100 is disposed on the grou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ntamination of the control unit by foreign matters on the ground or corrosion by moisture.

상판(115)은 하판(114)과 동일한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하판(114)으로부터 특정 높이 이격 배치된다. 수직기둥(116)들 각각의 양단은 하판(114)과 상판(115)의 4개의 꼭지점에 각각 조립된다. 이러한 하판(114)과, 상판(115)과, 수직기둥(116)들은 체결수단에 의해 조립되어 프레임(110)을 형성하며, 프레임(110) 내부에는 제어유닛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The upper plate 115 is formed in a rectangle having the same size as the lower plate 114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late 114 by a specific height. Both ends of each of the vertical columns 116 are assembled at four vertices of the lower plate 114 and the upper plate 115, respectively. The lower plate 114, the upper plate 115, and the vertical pillars 116 are assembled by fastening means to form a frame 110, and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control unit is accommodated is formed in the frame 110.

측면 플레이트(125)들은 체결수단에 의해 프레임(110)의 양측에 조립된다. 후면 플레이트(126)는 체결수단에 의해 프레임(110)의 후면에 조립된다. 도어부재(130)는 프레임(1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어부재(130)와 프레임(110)의 결합은 힌지 또는 경첩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The side plates 125 are assembl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110 by fastening means. The back plate 126 is assembled to the back of the frame 110 by fastening means. The door member 1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rame 110. The door member 130 and the frame 11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using a hinge or a hinge.

한편, 전술한 체결수단은 볼트 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 결합은 결합시키려는 두 개의 대상물체들에 홀을 각각 형성하고, 볼트로 상기 홀들을 관통시킨 다음, 너트를 볼트에 결합시켜서 대상물체들을 체결한 것이다. 전술한 조립형 하우징(100)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볼트 결합으로 조립됨으로써, 제조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fastening means is preferably a bolt coupling. Bolt coupling is to form a hole in each of the two objects to be bonded, through the holes through the bolt, and then by coupling the nut to the bolt to fasten the objects. The prefabricated housing 100 described above may be easily manufactured by manufacturing each component by bolt coupling.

한편, 상기와 같은 조립형 하우징(100)은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립형 하우징(100)을 구성하는 하판(114), 상판(115), 측면 플레이트(125)들, 후면 플레이트(126) 및 도어부재(130)는 각각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수직기둥(116)의 길이도 상기 구성요소들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assembled housing 100 as described above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To this end, the lower plate 114, the upper plate 115, the side plates 125, the rear plate 126, and the door member 130 constituting the assembled housing 100 may have various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The length of the vertical column 116 is also variously made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components.

예를 들어,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60㎝ 및 60㎝인 후면 플레이트와,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60㎝ 및 70㎝인 후면 플레이트와,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60㎝ 및 80㎝인 후면 플레이트를 제조한다. 그리고,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60㎝ 및 60㎝인 측면 플레이트와,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70㎝ 및 60㎝인 측면 플레이트와,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80㎝ 및 60㎝인 측면 플레이트를 제조한다. 뿐만 아니라, 하판(114), 상판(115), 도어부재(130) 및 수직기둥(116)의 크기도 다양하게 제조한다.For example, a back plate of 60 cm and 60 cm in length and length, a back plate of 60 cm and 70 cm in length and length, and a back plate of 60 cm and 80 cm in length and width, respectively. To prepare. Then, the side plates having lengths of 60 cm and 60 cm in length and width, the side plates having lengths of 70 cm and 60 cm in length and length, and the side plates having lengths of 80 cm and 60 cm in length and length, respectively. do. In addition, the size of the lower plate 114, the upper plate 115, the door member 130 and the vertical column 116 is also manufactured in various ways.

이와 같이 조립형 하우징(100)을 구성하는 하판(114), 상판(115), 수직기둥(116), 측면 플레이트(125)들, 후면 플레이트(126) 및 도어부재(130)의 크기를 다양한 크기로 복수 개 제조하여 구비해 놓음으로써, 제조자는 다양한 크기의 조립형 하우징(100)을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us, the size of the lower plate 114, the upper plate 115, the vertical column 116, the side plate 125, the rear plate 126 and the door member 130 constituting the assembled housing 100 in various sizes By preparing a plurality of furnaces, the manufacturer has an advantage of quickly assembling the prefabricated housing 100 of various sizes.

한편, 프레임(110)의 수직기둥(116)과, 측면 및 후면 플레이트(125, 126)의 구조의 일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Meanwhile,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e vertical pillar 116 of the frame 110 and the side and rear plates 125 and 12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립형 하우징(100)의 A-A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A line of the assembled housing 100 shown in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수직기둥(116)은, 제1 베이스 부(111)와, 제1 결합부(112)와, 제1 지지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vertical pillar 116 of the frame 110 may include a first base portion 111, a first coupling portion 112, and a first support portion 113.

제1 베이스부(111)는 중앙이 90˚ 각도로 절곡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베이스부(111)의 중앙은 가상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절곡된다. 제1 결합부(112)는 제1 베이스부(111)의 양단으로부터 수용공간을 향하여 연장형성된다. 제1 지지부(113)는 제1 베이스부(111)와 나란하면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결합부(112)의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된다.The center of the first base 111 is bent at an angle of 90 degrees. In more detail, the center of the first base portion 111 is bent left and right about the virtual vertical axis. The first coupling part 112 extends from both ends of the first base part 111 toward the accommodation space. The first support part 113 extends from an end of the first coupling part 112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base part 111.

측면 및 후면 플레이트(125, 126)는, 제2 베이스부(121)와, 제2 결합부(122)와, 제2 지지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and rear plates 125 and 126 may include a second base portion 121, a second coupling portion 122,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123.

제2 베이스부(121)는 평평한 판형의 부재이다.The second base portion 121 is a flat plate member.

제2 결합부(122)는 제2 베이스부(121)의 단부로부터 수용공간을 항하여 연장형성되어 제1 결합부(112)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2 결합부(122)와, 제1 결합부(112)에는 각각 유사한 크기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은 제1 결합부(112)와 제2 결합부(122)가 접촉되는 경우,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사용자가 조립형 하우징(100)을 조립하는 경우, 수직기둥(116)에 측면 또는 후면 플레이트(126)가 맞닿도록 위치시키고, 제1 결합부(112)와 제2 결합부(122)에 형성된 홀이 맞닿도록 하여 볼트로 체결한다. The second coupling part 122 extends from the end of the second base part 121 along the receiving space and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112 by the fastening means. To this end, holes of a similar size are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art 122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2, respectively, and the holes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112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2. They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When the user assembles the assembled housing 100, the side or rear plate 126 is positioned to abut on the vertical pillar 116, and holes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art 112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2 ar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asten with a bolt.

제2 지지부(123)는 제2 결합부(122)의 단부로부터 제1 지지부(113)와 유격없이 접촉되도록 연장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인 즉, 수직기둥(116)에 측면 및 후면 플레이트(125, 126)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지지부(113)와 제2 지지부(123)가 유격없이 밀착되게 함으로써, 수직기둥(116)과 각각의 플레이트(120)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결합 신뢰성의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직기둥(116)과 플레이트(120) 사이로 이물질 또는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art 123 preferably extends from the end of the second coupling part 122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support part 113 without play. That is, the first support 113 and the second support 12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pillar 116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and rear plates 125 and 126 are coupled to the vertical pillar 116, thereby allowing the vertical pillar 116 and The contact area of each plate 120 may be widened, thereby improving coupling reliability. In addition, foreign matter or moisture may be minimized between the vertical column 116 and the plate 120.

한편, 프레임(110)은 이물질 유입방지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ame 110 may further include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118.

이물질 유입방지부(118)는 제1 지지부(113)의 단부로부터 제2 지지부(123)의 단부를 감싸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이물질 유입방지부(118)는 제1 지지부(113)와 제2 지지부(123)의 틈을 차단하여 상기 틈으로 약간의 이물질 또는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 별도의 씰링부재(117) 없이도 이물질 및 수분이 조립형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part 118 extends from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113 in the direction surrounding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123.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part 118 blocks the gap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113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23, and when some foreign material or moisture is introduced into the gap, the foreign material and the foreign material without a separate sealing member 117. Moisture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assembled housing 100.

한편, 도 3으로 되돌아가서, 후면 플레이트(126)는 제어유닛 결합부재(12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the back plate 126 preferably includes a control unit coupling member 127.

제어유닛 결합부재(127)는 양단이 하판(114)과 상판(115)에 조립되고 후면 플레이트(126)의 전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어유닛 결합부재(127)는 제어유닛이 후면 플레이트(126)에 대해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게 한다. 이러한 구조는, 제어유닛이 후면 플레이트(126)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한다. 이에 따라, 후면 플레이트(126)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어유닛으로 외력이 직접 전달되지 않게 되어 제어유닛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후면 플레이트(126)가 날카로운 도구에 의해 틈이 발생하여 상기 틈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이물질이 제어유닛에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Both ends of the control unit coupling member 127 are assembled to the lower plate 114 and the upper plate 115 and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plate 126. The control unit coupling member 127 allows the control unit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plate 126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is structure prevents the control unit from making direct contact with the back plate 126. Accordingly,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rear plate 126, the external force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control unit. In addition, when the back plate 126 has a gap generated by a sharp tool and foreign matter flows in between the gaps, the foreign matter may be minimized in contact with the control unit in the above structure.

한편, 하판(114)에는 출입용 홀(114a)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late 114 is preferably formed with an entrance hole 114a.

출입용 홀(114a)은 하판(114)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제 어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 및 제어유닛과 기구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선이 출입될 수 있게 한다. The entrance hole 114a is formed to penetrate the lower plate 114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llows a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and a signal lin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trol unit and the mechanism device to enter and exit.

한편, 도 2로 되돌아가서, 프레임(110)은 씰링부재(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turning to FIG. 2, the frame 110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ember 117.

씰링부재(117)는 프레임(11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일정 높이 돌출되고, 프레임(110)의 개구된 전면의 테두리를 따라 폐곡선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씰링부재(117)는 도어부재(130)가 프레임(110)의 전면을 폐쇄한 상태에서 프레임(110)과 도어부재(13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씰링부재(117)의 재질의 일예로 실리콘 및 고무 중 선택된 하나가 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117 protrudes a predetermined height toward the front from the front of the frame 110, and is formed in a closed curve along the edge of the open front of the frame 110. The sealing member 117 serves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between the frame 110 and the door member 130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member 130 closes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110. One example of the material of the sealing member 117 may be one selected from silicon and rubber.

한편, 상판(115)은 조명장치 결합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p plate 115 may further include a lighting device coupling member 140.

조명장치 결합부재(140)는 상판(115)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판(115)의 좌우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조명장치 결합부재(140)에는 프레임(110)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된다. 조명장치는 와이어 또는 볼트 등으로 상기 홀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조명장치 결합부재(140)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조명장치를 배치할 수 있게 한다.The lighting device coupling member 14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5 and is formed long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upper plate 115. At least one hole is formed in the lighting device coupling member 140 so that the lighting device for irradiating light inside the frame 110 may be coupled. The lighting device may be fixed to the hole with a wire or bolt. That is, the lighting device coupling member 140 allows the user to place the lighting device in the desired posit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hous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하우징에서 도어부재가 개폐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member is opened and closed in the assembled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housing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립형 하우징의 A-A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assembled housing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조립형 하우징100: prefabricated housing

110: 프레임110: frame

111: 제1 베이스부 112: 제1 결합부111: first base portion 112: first coupling portion

113: 제1 지지부 114: 하판113: first support portion 114: lower plate

114a: 출입용 홀 115: 상판114a: entrance hall 115: top plate

116: 수직기둥 117: 씰링부재116: vertical column 117: sealing member

118: 이물질 유입방지부 118: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120: 플레이트120: plate

121: 제2 베이스부 122: 제2 결합부121: second base portion 122: second coupling portion

123: 제2 지지부 125: 측면 플레이트123: second support portion 125: side plate

126: 후면 플레이트 127: 제어유닛 결합부재126: rear plate 127: control unit coupling member

130: 도어부재 140: 조명장치 결합부재130: door member 140: lighting device coupling member

Claims (10)

외부에 배치된 기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수용하는 조립형 하우징에 있어서,In the assembled housing that accommodates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echanism device disposed outside, 평평하게 형성된 하판과, 상기 하판과 서로의 일면이 마주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 상판과,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양단이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수직기둥들을 포함하는 프레임;A frame including a lower plate formed flat, an upper plat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one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a plurality of vertical pillars each of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t both ends to form a receiving space; 상기 프레임의 측면 및 후면에 결합된 복수의 플레이트들; 및A plurality of plates coupled to side and rear surfaces of the frame; And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재;At least one door member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rame to be opened and closed; 를 포함하는 조립형 하우징.Prefabricated housing includ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의 수직기둥은,The vertical column of the frame, 일부분이 특정 각도로 절곡된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연장형성된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나란하면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결합부의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A first base portion of which a portion is bent at a specific angle, a first coupling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base portion toward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n end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base portion A first support extending from the 상기 플레이트는,The plate, 평평하게 형성된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항하여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지지부와 유격없이 접촉되도록 연장형성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하우징.A second base portion formed to be flat, a second coup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base portion along the receiving space and coupled by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means, and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extending from said support without gaps therebetwee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프레임은,The frame, 상기 제1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의 단부를 감싸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이물질 유입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하우징.Assembly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surrounding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from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외부에 배치된 기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수용하는 조립형 하우징에 있어서,In the assembled housing that accommodates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echanism device disposed outside, 직사각형 형상의 하판;Bottom plate of rectangular shape; 상기 하판과 동일한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판으로부터 특정 높이 이격 배치된 상판;An upper plate formed of a rectangle having the same size as the lower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late by a specific height; 양단이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의 4개의 꼭지점에 조립되는 4개의 수직기둥들;Four vertical pillars whose ends are assembled at four vertices of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상기 제어유닛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하판과, 상판과, 수직기둥들이 체결수단에 의해 조립되어 이루어진 프레임의 양측에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조립된 측면 플레이트들;Side plates assembled by the fastening means on both sides of the frame including the lower plate, the upper plate, and the vertical pillars assembled by the fastening means so as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control unit is accommodated;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조립되는 후면 플레이트; 및A rear plate assembled to the rear of the frame by the fastening means; And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재;At least one door member rotatably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frame; 를 포함하는 조립형 하우징.Prefabricated housing including a.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프레임의 수직기둥은,The vertical column of the frame, 중앙이 90˚ 각도로 절곡된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연장형성된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나란하면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결합부의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A first base portion having a center bent at an angle of 90 °, a first coupling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base portion toward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base portion A first support extending from the end, 상기 측면 및 후면플레이트는,The side and rear plate, 평평하게 형성된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항하여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지지부와 유격없이 접촉되도록 연장형성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하우징.A second base portion formed to be flat, a second coup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base portion along the receiving space and coupled by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means, and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extending from said support without gaps therebetwee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프레임은,The frame, 상기 제1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의 단부를 감싸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이물질 유입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하우징.Assembly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surrounding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from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후면 플레이트는,The back plate, 양단이 상기 하판과 상판에 조립되고 상기 후면 플레이트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후면 플레이트에 대해 이격 배치되게 하는 제어유닛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하우징.And a control unit coupling member having both ends assembled to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rear plate so that the control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plat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하판에는 상기 제어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 및 상기 제어유닛과 상기 기구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선이 출입될 수 있도록 출입용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하우징.The lower plate is assembled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rance hole is formed so that the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and the signal lin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trol unit and the mechanism device can be entered.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프레임은,The frame, 전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일정 높이 돌출되고, 테두리를 따라 폐곡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재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과 도어부재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씰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하우징.It further comprises a sealing member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toward the front from the front surface, and is formed in a closed curve along the rim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between the frame and the door member while the door member closes the front of the frame. Prefabricated housing characterized i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상판은,The top plate, 그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판의 좌우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 임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된 조명장치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하우징.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ighting device coupling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and form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upper plate and formed with at least one hole so that the lighting device for irradiating light inside the frame can be coupled. Type housing.
KR1020090077248A 2009-08-20 2009-08-20 Assembly type housing KR201100196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248A KR20110019629A (en) 2009-08-20 2009-08-20 Assembly type 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248A KR20110019629A (en) 2009-08-20 2009-08-20 Assembly type hous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629A true KR20110019629A (en) 2011-02-28

Family

ID=43776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248A KR20110019629A (en) 2009-08-20 2009-08-20 Assembly type hou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962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325B1 (en) * 2013-12-06 2014-05-28 라인테크 주식회사 Assembly cabin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325B1 (en) * 2013-12-06 2014-05-28 라인테크 주식회사 Assembly cabi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88979B (en) Laboratory weighing device with a motorized sliding roof of a draft shield
JP2007034890A (en) Electronic device
KR20110019629A (en) Assembly type housing
JP5524713B2 (en) Electronic device storage box
JP2011114875A (en) Control panel
KR102596527B1 (en) Case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4150926B2 (en) Plasma television and panel type display device fixing structure
JP6343144B2 (en) Floor power generation structure
JP2008064829A5 (en)
JP6059418B2 (en) Exterior wall panel mounting structure and unit building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1249473A (en) Electronic device housing
EP2159629A1 (en) Flat screen assembly
JP6894794B2 (en) Display setting device
KR200377459Y1 (en) Door assembly
JP2007224528A (en) Housing airtight structure
KR200375911Y1 (en) Door assembly
JP2001212300A (en) Large scale pachinko game unit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JP3656153B2 (en) Control box
JP6262538B2 (en) Building structure
JP5988820B2 (en) jig
JP2001258111A (en) Box body of metal closing type switch gear
JPH0739276Y2 (en) Rack-type electronic equipment enclosure mounting device
JP7103160B2 (en) Exterior wall seismic performance exhibition device
JP3630651B2 (en) Unit type ossuary
KR100696502B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