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527A -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 및 운동처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 및 운동처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527A
KR20110019527A KR1020090077090A KR20090077090A KR20110019527A KR 20110019527 A KR20110019527 A KR 20110019527A KR 1020090077090 A KR1020090077090 A KR 1020090077090A KR 20090077090 A KR20090077090 A KR 20090077090A KR 20110019527 A KR20110019527 A KR 20110019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server
network
subject
ch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9598B1 (ko
Inventor
정경렬
김사엽
최준호
박성빈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77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5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59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 및 운동처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은 피검자의 요소동작 수행에 대해 문진(問診)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문진 결과를 입력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는 입력된 문진 결과를 기초로 상기 피검자가 수행하는 데 불편하거나 불가능한 요소동작과 관련된 근육군을 선별하는 과정; 상기 서버는 상기 피검자의 요소동작 능력 향상을 위해 훈련해야 하는 운동 항목을 선정하는 과정; 상기 피검자에 대해 체력검사를 실시하고 측정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입력하는 과정; 상기 서버는 상기 측정결과를 토대로 상기 피검자의 근력을 추정하는 과정; 및 상기 서버는 상기 피검자가 훈련할 상기 운동 항목과 상기 운동 항목에 대한 운동 강도를 처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 및 운동처방 시스템{Exercise Prescription Method and Exercise Prescription System Using Network}
본 발명은 운동처방 시스템 및 운동처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시스템 및 운동처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생활이 점점 윤택해지고 편해지는데 비례하여 신체활동이 감소하면서 운동부족과 성인병이 증가하고 있어, 신체기능의 약화를 방지하고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 운동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 그러나 바쁘고 복잡한 도시생활을 하는 현대인들은 시간이 부족하거나 운동할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기구를 갖춘 스포츠 센터나 헬스클럽이라고 하는 곳을 많이 이용한다.
이러한 곳에는 다리, 허리, 복부, 등, 가슴, 팔, 목 등 신체의 근력을 부위별로 증가시키는 여러 가지 운동장비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장비는 사용자의 성별, 숙련도, 체력 수준에 따라서 각각 사용하는 훈련중량을 달리하며, 사용자는 자신의 체력에 알맞게 적당한 횟수로 운동을 하여야 건강을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즉, 인체는 같은 종목의 운동을 하여도 작용하는 부하량이 너무 가벼우면 근력향상을 기대할 수 없고, 부하량이 너무 무거울 경우에는 과운동으로 근육이나 인대 등에 상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운동을 할 때에는 자신에게 가장 알맞은 최적의 운동량을 결정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령자, 장애인, 어린이 등 체력이 약한 피검자에게 적합한 체력검사를 실시하여 피검자의 체력 수준에 맞는 운동처방을 내림으로써 피검자의 일상생활 활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처방 시스템 및 운동처방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체력이 약한 피검자에게 부담이 되지 않는 간단한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검사 결과로부터 피검자의 최대 근력을 추정할 수 있는 운동처방 시스템 및 운동처방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피검자의 요소동작 수행에 대해 문진(問診)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문진 결과를 입력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는 입력된 문진 결과를 기초로 상기 피검자가 수행하는 데 불편하거나 불가능한 요소동작과 관련된 근육군을 선별하는 과정; 상기 서버는 상기 피검자의 요소동작 능력 향상을 위해 훈련해야 하는 운동 항목을 선정하는 과정; 상기 피검자에 대해 체력검사를 실시하고 측정 결과를 사용자 단말 기를 통해 서버에 입력하는 과정; 상기 서버는 상기 측정결과를 토대로 상기 피검자의 근력을 추정하는 과정; 및 상기 서버는 상기 피검자가 훈련할 상기 운동 항목과 상기 운동 항목에 대한 운동 강도를 처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피검자의 요소동작 수행결과 및 체력검사를 수행하고 측정한 데이터를 서버에 입력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와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입력된 상기 수행결과 및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피검자에게 훈련이 필요한 근육군을 알려주고 적어도 하나의 운동 항목 및 운동강도에 대한 처방을 내리는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운동처방 시스템 및 운동처방 방법은 첫째, 피검자 특히 고령자에게 적합한 체력검사를 실시하여 각자의 체력 수준에 맞는 운동처방을 내림으로써 피검자의 일상생활 활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피검자에게 부담이 되지 않는 간단한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검사 결과로부터 피검자의 최대 근력을 추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65세 이상 노인(이하 ‘고령자’라 함)의 일상생활 동작 수행도 가중치를 나타내는 표이다. 고령자들의 일상생활 활동 장애율에 대한 통계 및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장애율이 높은 일상 생활 활동(Activities of Daily Living, 이하 ‘ADL’이라 함)과 관련된 요소동작에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여기서 장애율은 각종 연구결과에서 ‘혼자서 할 수 없는 동작의 비중’을 의미하며 전혀 할 수 없거나 도움을 받아야 할 수 있다고 답한 비중을 의미한다. 장애율을 그대로 가중치로 적용할 경우 특정 연구결과에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모든 통계에서 가장 높은 장애율을 갖는 ADL에 가중치로 1을 적용하고 나머지는 그에 비례해서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ADL 장애율을 적용할 문헌은 국내 고령자를 대상으로 광범위하게 조사를 진행한 통계청 자료를 위주로 적용하였다.
도 2는 요소동작에 대한 일상생활 활동 가중치를 적용한 표이다. 요소동작이란 고령자가 일상생활을 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주요 동작을 말한다. 도 2를 참조 하면, ‘팔 굽히고 펴기(2.44)’의 가중치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물건 집기(2.09)’,‘체간 굽히고 펴기(2.08)’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중치가 높게 나타난 요소동작이 장애율이 높은 ADL과 밀접하게 연계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가중치가 부여된 요소동작과 관련된 근육군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요소동작에 관여하는 근육군을 대응시키고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훈련할 근육군의 우선순위를 선정할 수 있다. 도 2에서 각 요소동작에 대한 가중치가 도출되었으므로 특정 요소동작에 관여하는 근육에는 해당 가중치가 부여된다. 예를 들어‘눕고 일어나기’에 대한 가중치는 0.39이므로 눕고 일어나기에 관여하는 척추기립근, 외/내복사근, 복횡근, 요방형근, 장요근/장골근, 대둔근, 슬괵근, 대퇴사두근에는 각각 0.39의 가중치가 부여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가중치가 높은 동작에 관여하는 근육은 가중치 합계가 높아지게 되며 중요한 근육으로 선정된다. 체간 근육의 경우 척추기립근(13.4), 복직근(7.26), 장요근/장골근(7.26)의 순으로 가중치의 합이 가장 크고 상지근육의 경우 광배근(8.91), 대흉근(5.92), 삼각근(5.92), 상완이두근(5.92), 상완삼두근(5.92)의 순으로 가중치의 합이 가장 크고 하지 근육의 경우 대둔근/중둔근/소둔근(8.06), 슬괵근(5.18), 대퇴사두근(5.18) 의 순으로 가중치의 합이 가장 크다.
도 4는 고령자의 일상생활 활동에 반드시 필요한 12가지 요소동작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어나기’ 동작군에는 ‘눕고 일어나 앉기’, ‘바닥에 앉고 서기’, ‘의자에 앉고 서기’가 포함된다. ‘걷기’동작군에는 ‘정상 걷기’,‘계단 걷기’이 포함된다. ‘체간 동작’군에는 ‘체간 굽히고 펴기’, ‘체간 옆으로 굽히기’, ‘체간 비틀기’, ‘대소변 조절’이 포함된다. ‘상지 동작’군에는 ‘물건 집기’, ‘팔 굽히고 펴기’, ‘팔 올리고 내리기’가 포함된다.
고령자의 체력을 측정하는 데 널리 이용되는 검사로 고령자용 신체활동 체력검사(Senior Fitness Test, 이하 ‘SFT’라 함)가 있다. SFT에는‘30초 동안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 5회’, ‘덤벨 들기(회수)’,‘악력 측정’,‘6분 동안 걷기(m)’,‘의자에 앉아 앞으로 굽히기(cm)’,‘등 뒤에서 손잡기(cm)’,‘앉아서 손뻗기(cm)’,‘244cm 왕복 걷기(초)’,‘기능적 뻗기(cm)’,‘눈 뜨고 외발 서기(초)’,‘균형 검사(초)’ 및 ‘4m 걷기(초)’등이 포함된다.
‘30초 동안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는 하체 근지구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 진행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허리를 펴고 의자의 중간부분에 앉는다. ② 발은 바닥에 붙이고, 팔은 가슴에 X자 모양으로 놓는다. ③ 시작 신호와 함께 완전히 일어선 다음 다시 완전하게 앉는다. ④ 30초 동안 일어섰다 앉는 횟수를 측정한다.
‘의자에서 일어서기 5회(초)’는 하체 근지구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 진행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허리를 펴고 의자의 중간 부분에 앉는다. ② 발은 바닥에 붙이고, 팔은 가슴에 X자 모양으로 놓는다. ③ 시작 신호와 함께 왼전히 일어선 다음 다시 완전하게 앉는다. ④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를 5회 반복하여 측정한다.
‘덤벨 들기(회)’는 상체 근지구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 진행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허리는 펴고, 발은 바닥에 붙인다. ② 덤벨(남: 3kg, 여: 2kg)은 옆에 바닥과 수직으로 내려놓고 악수하듯이 잡는다. ③ 덤벨을 들어 올릴 때 손바닥이 위를 향하도록 들어올린다. ④ 완전한 가동범위를 통해 올리고 내리기를 최대한 빨리 반복하여 30초 동안 수행한 회수를 측정한다.
‘악력(kg)’은 전신 근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 진행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악력기를 손에 가볍게 쥔다. ② 시작 신호와 함께 최대한 힘을 주어 악력을 측정한다.
‘6분 걷기(m)’는 전신지구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 진행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출발 신호와 함께 제한된 6분 안에 가능한 많은 거리를 걸을 수 있도록 빠르게 걷는다. ② 6분이 되면 종료 신호를 주어 정지한 다음 6분 동안 걸은 거리를 측정한다.
‘의자에 앉아 앞으로 굽히기(cm)’는 하체 유연성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 진행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의자의 앞쪽 끝부분에 앉는다. ② 다리와 장골 사이의 엉덩이가 의자 앞부분에 평평하게 놓는다. ③ 다른 한쪽 발은 앞으로 쭉 편다. ④ 발은 대략 90도 굴곡 시켜 발뒤꿈치를 바닥에 댄다. ⑤ 손을 겹쳐 중지를 평평하게 한 후 중지 손가락 끝을 발가락 쪽으로 가능한 멀리 뻗거나 발가락을 지날 수 있도록 엉덩 관절을 구부리며, 양측 모두 실시하여 좋은 기록을 선택한다.
‘등 뒤에서 손잡기(cm)’는 상체 유연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 진행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서서 한 손을 어깨 위로 하여 등쪽으로 내리면서 손바닥을 아 래로 하여 손가락을 가능한 등 중간까지 멀리 펴도록 한다. ② 이때 팔꿈치는 위로 향하도록 한다. ③ 다른 손은 허리의 뒷부분에서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양손의 중지가 닿거나 겹치도록 한다. ④ 양손의 중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며, 양측 모두 실시하여 좋은 기록을 선택한다.
‘앉아서 손 뻗기(cm)’는 상체 유연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 진행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기기에 앉아 발을 대고 무릎을 곧게 편다. ② 이 상태에서 양손을 똑같이 겹쳐서 숨을 내쉬며 앞으로 쭉 민다. ③ 두 번 시도하여 가장 멀리 간 거리를 측정한다.
‘244cm 왕복 걷기(초)’는 민첩성 및 동적 평형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 진행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바닥 위에서 평평하게 발을 놓고, 허벅지 위에 손을 놓고 허리는 편 상태로 의자 중간부분에 앉도록 한다. ② 앞쪽으로 약간 상체를 구부린 상태에서 한쪽 발은 약간 다른 쪽보다 앞에 둔다. ③‘출발’이란 신호와 함께 의자에서 일어나 가능한 빨리 콘을 돌아 의자에 앉는다. ④ ‘출발’이란 신호와 함께 측정을 시작하여 다시 의자에 앉을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기능적 뻗기(cm)’는 동적 평형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 진행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손끝을 0점에 맞추어 선다. ② 손을 앞으로 뻗는다. ③ 이 때 몸도 같이 앞으로 기울인다. ④ 발이 떨어지는 순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며, 양측 모두 실시하여 좋은 기록을 선택한다.
‘눈 뜨고 외발 서기(초)’는 정적 평형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 진행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서 있는 자세에서 한쪽 다리를 45도 이상 들어올린다. ② 이 때 양팔은 벌려 균형을 잡는다. ③ 서 있는 시간을 측정하며, 규정된 자세로부터 다리가 떨어지거나 움직이면 측정을 중단한다.
‘균형 검사(초)’는 정적 평형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균형 검사, 반일렬 균형 검사, 일렬 균형 검사 등이 있다. 검사 진행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일반 균형(Side-by-side Stance) 검사는 양발을 모은 상태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② 반일렬 균형(Semi-tandem Stance) 검사는 좌우측 발을 반 정도 겹친 상태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③ 일렬 균형(Tandem Stance) 검사는 앞쪽 발뒤꿈치에 뒤쪽 발의 발끝이 닿게 하는 상태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④ 서 있는 시간을 측정하며, 규정된 자세로부터 다리가 떨어지거나 움직이면 측정을 중단한다.
‘4m 걷기(초)’는 민첩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 진행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의자의 중간 부분에 앉는다. ② 시작 신호와 함께 일어나 반대편 의자를 향해 걷는다. ③ 반대편 의자에 앉는 것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SFT에서 실시 회수, 실시 시간, 실시 각도 또는 실시 중량은 상황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다.
SFT를 실시하여 얻은 데이터로 고령자의 최대근력을 추정하기 위해 등속성 장비를 이용하여 고령자의 최대근력을 측정하였다. 65세 이상으로서 거동이 불편하지 않고, 의학적으로 특별한 질환이 없는 여성을 측정 대상으로 하였다. 본 측정은 일반인들이 활용하고 있는 많은 최대근력 추정 방법 중 고령자에게 적합한 최적의 추정식 선별을 위한 기준 데이터를 획득하고 근력/근지구력 향상을 위한 저항운동 설계의 정확한 데이터(reference data)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측정을 통해 객관적 근기능 측정 및 운동 전, 후의 객관적 정량적 평가가 가능하다. 또한 고정된 속도에서 변화하는 저항을 통해 전체 관절가동범위에서 최대 부하를 부여하여 최대 근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부적절한 스트레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절의 가동범위의 각도에 의한 정확한 근력의 비율 측정이 가능하고(좌/우, 주측/비주측) 저항 트레이닝의 두 가지(등척성, 등장성) 방법 모두 현장에서 쉽게 적용 가능하다.
표 1 피험자의 신체정보
연령(years) 신장(cm) 체중(kg)
평균 69.8 151.9 60.4
편차 3.2 4.6 8.7
피험자 수: 77명
최대근력 측정과 SFT와의 상관 분석은 표 2에 나타나 있다. 측정 후 SFT 항목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운동 항목을 선정하였다.
표 2 SFT 항목과 근력 운동 항목의 상관성
SFT 항목 운동 항목
30초 동안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 Chest Press, Abdominal, Shoulder Press
덤벨 들기 Hip Abduction , Chest Press, Leg Curl
6분 걷기 Lat Pull Down , Arm Curl
눈뜨고 외발서기(좌) 해당 없음
눈뜨고 외발서기(우) 해당 없음
의자에 앉아 앞으로 굽히기(좌) 해당 없음
의자에 앉아 앞으로 굽히기(우) Hip Abduction
등뒤에서 손잡기(좌) 해당 없음
등뒤에서 손잡기(우) 해당 없음
244cm 왕복 걷기 Abdominal , Chest Press, Shoulder Press, Hip Abduction
악력(좌) Leg Curl , Abdominal
악력(우) Abdominal, Leg Curl
기능적 뻗기(좌) Leg Curl, Chest Press, Leg Extension, Hip Abduction, Abdominal
기능적 뻗기(우) Shoulder Press, Leg Curl
앉아서 손 뻗기 해당 없음
4m 걷기 Shoulder Press , Abdominal, Lat Pull Down, Chest Press
의자에서 일어서기 5회 Chest Press, Shoulder Press
상기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SFT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최대 근력을 추정하였다. 최대근력과 SFT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SFT항목을 선정하였다. SFT 항목은 다음과 같다.
SFT 항목 : 30초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회), 덤벨 들기(회), 6분 걷기(m), 의자에 앉아 앞으로 굽히기(우,cm), 244cm 왕복 걷기(초), 악력(좌,kg), 기능적 뻗기(좌,cm), 4m 걷기(초), 의자에서 일어서기 5회(초)
SFT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운동 항목별 최대 근력 추정식은 표 3에 나타내었다. 추정식에 대입한 결과는 kg 으로 산출된다.
표 3 운동 항목별 최대 근력 추정식
운동 항목 추 정 식
Leg Extension -22.3 + 0.0499 x 6분 걷기(m) + 0.152 x 앉아 앞으로 굽히기(우,cm) + 0.183 x 244cm 왕복걷기(초) + 0.204 x 기능적 뻗기(좌,cm)
Leg curl 11.6 + 0.239 x 덤벨 들기(회) + 0.440 x 악력(좌,kg) + 0.130 x 기능적 뻗기(좌,cm) - 1.07 x 4m 걷기(초) - 0.410 x 의자에서 일어서기5회(초)
Hip abduction 28.6 + 0.244 x 덤벨 들기(회) + 0.267 x 의자에 앉아 앞으로 굽히기(우,cm) + 0.197 x 기능적 뻗기 (좌,cm) - 2.36 x 4m 걷기(초)
Leg press 40.7 + 0.0568 x 6분 걷기(m) - 1.02 x 악력(좌,kg) + 0.488 x 기능적 뻗기 (좌,cm)- 2.97 x 4m 걷기(초)
Arm curl 0.72 + 0.245 x 30초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회) + 0.00404 x 6분 걷기(m) + 0.103 x 기능적 뻗기(좌,cm) - 0.165 x 4m 걷기(초) - 0.213 x 의자에서 일어서기5회(초)
Shoulder press 29.8 - 0.267 x 30초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회) + 0.211 x 덤벨 들기(회) + 0.00965 x 6분 걷기(m) - 0.338 x 244cm 왕복걷기(초)- 2.12 x 4m 걷기(초) - 0.252 x 의자에서 일어서기5회(초)
Chest press 23.0 + 0.0845 x 덤벨 들기(회) + 0.298 x 기능적 뻗기(좌,cm)- 0.317 x 244cm 왕복걷기(초) - 1.29 x 4m걷기(초)- 0.129 x 의자에서 일어서기5회(초)
Lat pull down 31.5 - 0.100 x 의자에서 일어서기 5회(초) + 0.217 x 덤벨 들기(회) + 0.00662 x 6분 걷기(m) + 0.419 x 악력(좌,kg) - 2.54 x 4m 걷기(초) + 0.193 x 30초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회)
Abdominal 31.7 - 0.173 x 30초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회) - 0.209 x 244cm 왕복걷기(초) + 0.441 x 악력(좌,kg) + 0.291 x 기능적 뻗기(좌,cm) - 2.13 x 4m 걷기(초) - 0.435 x 의자에서 일어서기5회(초)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101에서 피검자의 요소동작 수행에 대해 문진(問診)한다. S102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문진결과를 입력한다. S103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는 입력된 문진 결과를 기초로 상기 피검자가 수행하는 데 불편하거나 불가능한 요소동작과 관련된 근육군을 선별한다. S104에서 서버는 상기 피검자의 요소동작 능력 향상을 위해 훈련해야 하는 운동 항목을 선정한다. 상기 운동 항목은 일 예로 근력 운동 일 수 있다. S105에서 피검자에 대해 체력검사를 실시하고 측정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입력한다. 상기 체력검사는 일 예로 SFT 일 수 있다. S106에서 서버는 체력검사 측정결과를 토대로 상 기 피검자의 근력을 추정한다. 피검자의 근력추정은 표 4의 최대 근력 추정식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통해 이루질 수 있다. S107에서 서버는 상기 피검자가 훈련할 운동 항목과 운동 항목에 대한 운동 강도를 처방한다. 운동 항목에 대한 처방은 S104를 기초로 하고, 운동 강도에 대한 처방은 S106의 최대 근력 추정을 기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S108에서 서버는 S103의 근육군, 피검자가 훈련할 운동 항목 또는 상기 운동 항목에 대한 운동 강도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함으로써 운동처방은 종료된다.
도 6 내지 도 10은 SFT 또는 요소 동작과 관련된 근육군과 근육군을 훈련하는 데 필요한 근력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체간근육에 포함되는 근육으로 척추기립근, 복직근, 대요근, 장골근이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체간 근육을 훈련하는 데 필요한 근력운동이 각각 나타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지 근육에 포함되는 근육으로 광배근, 대흉근, 삼각근,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이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지근육을 훈련하는 데 필요한 근력운동이 각각 나타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하지근육에 포함되는 근육으로 슬괵근, 대퇴사두근, 대둔근, 중둔근, 소둔근이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근육을 훈련하는 데 필요한 근력운동이 각각 나타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체간근육에 포함되는 복직근, 대요근, 장골근과 상지 근육에 포함되는 상완이두근, 광배근, 삼각근, 대흉근, 상완 삼두근이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근육을 훈련하는 데 필요한 근력 운동이 각각 나타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하지근육에 포함되는 근육으로 대퇴사두근, 슬괵근, 대퇴사두근, 대둔근, 중둔근, 소둔근(외전근)이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하지 근육을 훈련하는 데 필요한 근력운동이 각각 나타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도 1은 고령자의 일상생활 동작 수행도 가중치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2는 요소동작에 대한 일상생활 활동 가중치를 적용한 표이다.
도 3은 가중치가 부여된 요소동작과 관련된 근육군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4는 고령자의 일상생활 활동에 반드시 필요한 12가지 요소동작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SFT 또는 요소 동작과 관련된 근육군과 근육군을 훈련하는 데 필요한 근력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0)

  1. 피검자의 요소동작 수행에 대해 문진(問診)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문진 결과를 입력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는 입력된 문진 결과를 기초로 상기 피검자가 수행하는 데 불편하거나 불가능한 요소동작과 관련된 근육군을 선별하는 과정;
    상기 서버는 상기 피검자의 요소동작 능력 향상을 위해 훈련해야 하는 운동 항목을 선정하는 과정;
    상기 피검자에 대해 체력검사를 실시하고 측정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입력하는 과정;
    상기 서버는 상기 측정결과를 토대로 상기 피검자의 근력을 추정하는 과정; 및
    상기 서버는 상기 피검자가 훈련할 상기 운동 항목과 상기 운동 항목에 대한 운동 강도를 처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근육군, 피검자가 훈련할 운동 항목 또는 상기 운동 항목에 대한 운동 강도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동작은 눕고 일어나 앉기, 바닥면에 앉고 서기, 의자에 앉고 서기, 정상걷기, 계단걷기, 체간 굽히고 펴기, 체간 옆으로 굽히기, 체간 비틀기, 대소변 조절, 물건집기, 팔 굽히고 펴기 또는 팔 올리고 내리기 중 적어도 하나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항목은 근력 운동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검사는 SFT 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SFT는 30초 동안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 덤벨 들기, 6분 걷기, 눈뜨고 외발서기, 의자에 앉아 앞으로 굽히기, 등 뒤에서 손잡기, 244cm 왕복 걷기, 악력, 기능적 뻗기, 앉아서 손 뻗기, 4m 걷기 또는 의자에서 일어서기 5회 중 적어도 하나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
  7. 피검자의 요소동작 수행결과 및 체력검사를 수행하고 측정한 데이터를 관리 서버에 입력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와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입력된 상기 수행결과 및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피검자에게 훈련이 필요한 근육군을 알려주고 적어도 하나의 운동 항목 및 운동강도에 대한 처방을 내리는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근육군 또는 상기 처방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검사는 SFT 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항목은 근력 운동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시스템.
KR1020090077090A 2009-08-20 2009-08-20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 및 운동처방 시스템 Active KR101069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090A KR101069598B1 (ko) 2009-08-20 2009-08-20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 및 운동처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090A KR101069598B1 (ko) 2009-08-20 2009-08-20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 및 운동처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527A true KR20110019527A (ko) 2011-02-28
KR101069598B1 KR101069598B1 (ko) 2011-10-05

Family

ID=43776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090A Active KR101069598B1 (ko) 2009-08-20 2009-08-20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 및 운동처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5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5612A1 (ko) * 2012-10-25 2014-05-0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261229B1 (ko) * 2020-10-29 2021-06-04 권상언 운동 정보 제공 방법
KR20220138260A (ko) * 2021-04-05 2022-10-12 주식회사 바딧 운동을 처방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619887B1 (ko) * 2023-03-17 2024-01-02 한연오 신체활동 챌린지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5612A1 (ko) * 2012-10-25 2014-05-0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261229B1 (ko) * 2020-10-29 2021-06-04 권상언 운동 정보 제공 방법
KR20220138260A (ko) * 2021-04-05 2022-10-12 주식회사 바딧 운동을 처방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619887B1 (ko) * 2023-03-17 2024-01-02 한연오 신체활동 챌린지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9598B1 (ko)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luemper et al. Effect of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shoulder muscles on forward shoulder posture in competitive swimmers
Distefano et al. Gluteal muscle activation during common therapeutic exercises
Markovic et al. Movement performance and body size: the relationship for different groups of tests
Różańska-Kirschke et al. The Fullerton Fitness Test as an index of fitness in the elderly
Ekstrom et al.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core trunk, hip, and thigh muscles during 9 rehabilitation exercises
Baumgartner et al. Objectivity,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a revised push-up test protocol
Ng et al. Reliability of the 12-step ascend and descend test and its correlation with motor function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Chan et al. Cardiopulmonary demand of 16-kg kettlebell snatches in simulated Girevoy Sport
KR101069598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 및 운동처방 시스템
Rooks et al. Musculoskeletal assessment and training: the young athlete
Suarez-Villadat et al. Swim, strength, or combined programs: Effect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n adolescents with Down syndrome
Selvakumar et al. Effectiveness of Modified Plank vs Conventional Plank on Core Muscle Endurance and Stability in Recreational Athlete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nett et al. Effects of low volume resistance and cardiovascular training on strength and aerobic capacity in unfit men and women: a demonstration of a threshold model
Donahoe-Fillmore et al. The effects of home-based pilates in healthy college-aged women
White et al. The efficacy of aquatic exercise in increasing strength
Knutzen et al. Absolute vs. relative machine strength as predictors of function in older adults
Behm et al. Assessments of core fitness
Buskard et al. A novel method to determine optimal load in elastic-based power training
Ray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stability & squat ratio in resistance-trained males
KR20150081171A (ko) 고령자용 체력측정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체력 평가 방법
Schuler et al. Effect of five weeks of strength and flexibility training on associations between self-reported and performance-based measures of physical fitness in older African-American adults
Anugrahsari et al. The Perspective Of Clinical Clerkship Students On Health Protocol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On Daily Exercise Activities
Xiao et al. Immediate effects of arm swing exercise therapy on shoulder range of motion and forward head posture: a pilot study in young adults
RU2834148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эффективности техники выполнения физических упражнений и двигательных действий с учетом работы мышечно-фасциальных цепей
Konkeaw et al. Balance abilities in high dynamic-sport athletes with different maximal voluntary contr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