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184A - 지오 태깅 기능 이용 장치 - Google Patents

지오 태깅 기능 이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184A
KR20110019184A KR1020090076794A KR20090076794A KR20110019184A KR 20110019184 A KR20110019184 A KR 20110019184A KR 1020090076794 A KR1020090076794 A KR 1020090076794A KR 20090076794 A KR20090076794 A KR 20090076794A KR 20110019184 A KR20110019184 A KR 20110019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dministrative
latitude
geo
long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옥연
최경태
김현덕
Original Assignee
(주)비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글 filed Critical (주)비글
Priority to KR1020090076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9184A/ko
Publication of KR20110019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1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저의 위치를 경도 및 위도로 파악하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신호 수신부; 및 세계 맵 데이터로부터 행정계 데이터 및 POI (Position of Interest) 데이터로 소형화된 맵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GPS 신호에 포함된 경도 및 위도에 매칭하는 행정계 데이터 또는 POI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탐색하여, 상기 탐색된 데이터를 이미지 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 데이터에 태깅하는 GPS 엔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 태깅 (Geo tagging) 기능을 이용한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사진 이미지를 사진이 찍힌 날짜, 시간, 및 행정계 위치 또는 POI 위치를 나타내는 텍스트가 포함된 이미지로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지오 태깅, 디지털 카메라, POI

Description

지오 태깅 기능 이용 장치{APPARATUS USING GEO TAGGING FUNCTION}
본 발명은 지오 태깅 기능을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디지털 카메라는 많은 발전을 진행해 왔다. 특히, 촬영한 사진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포함하는 기술이 발전해 왔으며, 이에 대한 표준 규격 데이터가 존재한다. 이러한 표준 규격 데이터는 일본 산업진흥협회에 의해 제정된 EXIF (Exchangeable Image Format) 규격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 속에는 카메라 제조사, 제품명, 사진 찍은 날짜와 시간, 색 공간, 초점 거리, IOS 감도, 조리개, 및 셔터 속도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하여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사진의 등록정보를 열람하면 EXIF 규격의 메타 데이터를 판독하게 된다. 이에 의해 언제 어떤 카메라로 어떻게 사진을 찍었는지 EXIF 데이터를 판독하면 알 수 있다.
또한, 1998년 등장한 2.1 버전의 EXIF 메타데이터에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받은 위도와 경도 등 위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테이블이 정의돼 있다. 이로써, 어떤 카메라로 언제 어떻게 사진을 찍었는지와 더불어 어디서 찍었는지도 기록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에 위치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지오 태깅 (Geo Tagging) 즉, 위치 꼬리표 붙이기라 지칭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오 태깅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는 GPS 신호에 포함된 위도와 경도를 매칭시킬 맵을 저장하지만, 이러함 맵은 용량상 전세계의 맵을 포함하지 못한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디지털 카메라에서 수신한 GPS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시의 시간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하며, 이에 매칭되는 장소를 추정하는 역할을 하는 별도의 서버가 필요하다. 결국, 카메라와 서버는 별도의 장비로 구성되어야 하며, 별도의 통신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별도의 서버와 이러한 서버와의 통신이 필요없이 전세계의 맵을 압축하여 저장하며, 사진 촬영 즉시 확인하여 볼 수 있는 모든 기능이 포함된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진 이미지를 사진이 찍힌 날짜, 시간, 및 행정계 위치 또는 POI 위치를 나타내는 텍스트가 포함된 이미지로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하나의 기기에 모두 포함한 지오 태깅 기능을 이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오 태깅을 이용하는 장치의 구성은, 유저의 위치를 경도 및 위도로 파악하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신호 수신부; 및 세계 맵 데이터로부터 행정계 데이터 및 POI (Position of Interest) 데이터로 소형화된 맵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GPS 신호에 포함된 경도 및 위도에 매칭하는 행정계 데이터 또는 POI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탐색하여, 상기 탐색된 데이터를 이미지 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 데이터에 태깅하는 GPS 엔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 태깅 (Geo tagging) 이용 장치.
특히, 상기 GPS 엔진부는, 상기 소형화된 맵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오 데이터 저장부; 상기 GPS 신호 수신부에 포함된 위도 및 경도에 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호출하여 상기 위도 및 경도에 매칭하는 행정계 데이터 또는 POI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탐색하는 지오 데이터 탐색부; 및 상기 탐색된 데이터를 상기 EXIF 규격의 메타 데이터에 태깅하는 지오 데이터 태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오 태깅 기능 이용 장치는, 상기 태깅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 기 사진 이미지를 사진이 찍힌 날짜, 시간, 및 상기 선택된 행정계 위치 또는 POI 위치를 나타내는 텍스트가 포함된 이미지로 생성하는 메인 모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형화된 맵 데이터의 소형화 비율은 1/3900 이상 1/4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오 태깅 기능 이용 장치는, 상기 텍스트가 포함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행정계 데이터는 국가, 시, 구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진 이미지를 사진이 찍힌 날짜, 시간, 및 행정계 위치 또는 POI 위치를 나타내는 텍스트가 포함된 이미지로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오 태깅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오 태깅 기능을 이용하는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오 태깅 기능을 이용하는 장치 (100)는 GPS 신호 수신부 (110), GPS 엔진부 (120), 메인 모듈부 (130), 및 디스플레이부 (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오 태깅 기능을 이용하는 장치 (100)는 대표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를 들 수 있으나, 이미지 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기기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한는 데이터는 EXIF (Exchangeable Image Format) 규격의 메타 데이터가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GPS 신호 수신부 (110) GPS 신호를 수신한다. GPS 신호는 사진을 찍는 위도 및 경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GPS 신호 수신부 (110)는 디지털 카메라에 내장될 수도 있으며, 외장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GPS 엔진부 (120)는 세계의 맵 데이터로부터 행정계 데이터 및 POI (Position of Interest) 데이터로 소형화된 맵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행정계 데이터는 전 세계 국가의 맵을 행정 구역 명칭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베이스화된 것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외국의 경우에는 국가, 주, 시까지의 세분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며, 국내의 경우에는 국가, 시, 구까지 세분화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POI 데이터는, 주요 시설물, 역, 공항, 터미널, 호텔 등을 좌표로 전자 수치 지도에 표시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행정계 데이터 또는 POI 데이터 중 GPS 신호 수신부 (110) 에서 수신한 GPS 신호에 포함된 경도 및 위도에 매칭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탐색하여, 탐색된 데이터를 상기 EXIF 규격의 메타 데이터에 태깅한다.
여기서 매칭하는 데이터의 선택, 즉 행정계 데이터에 매칭하여 탐색할 것인 지 POI 데이터에 매칭하여 탐색할 것인지는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가 선택하는 장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파일 처리 장치 당업자에게 모드 선택의 방법은 자명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메인 모듈부 (130)는 이렇게 태깅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진 이미지를 사진이 찍힌 날짜, 시간, 및 상기 선택된 행정계 위치 또는 POI 위치를 나타내는 텍스트가 포함된 이미지로 생성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 (140)는 이렇게 텍스트가 포함되도록 생성된 이미지를 LCD 또는 디지털 카메라에 장착될 수 있는 다양한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GPS 엔진부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GPS 엔진부 (120)는 지오 데이터 저장부 (210), 지오 데이터 탐색부 (220), 및 지오 데이터 태깅부 (230)를 포함한다.
지오 데이터 저장부 (210)는 세계의 지도 맵 중 행정계 데이터 및 POI 데이터를 추출하여 소형화하여 저장한다. 본 소형화방식은 원본 데이터의 용량을 대폭적으로 감소시켜 전 세계의 행정계 데이터 및 POI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데이터 (예를 들어, 나브텍사에서 판매하는 GDF 파일 맵)인 세계 맵 데이터의 용량은 약 197G 임에 비해, 소형화된 데이터의 용량은 51M 로서 약 1/3900 이상 1/4000 이하의 범위로 소형화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메모리 용량 (본 발명에서는 GPS 엔진부의 지오 데이터 저장부 (210)) 에 부담을 현격히 줄일 수 있다. 따 라서, 이러한 용량 감소로 인해 맵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별도의 서버가 필요없게 되었으며, 서버와의 요청과 전송에 따른 통신 장치가 필요없이 신속한 데이터 태깅이 가능하다.
지오 데이터 탐색부 (220)는 상기 GPS 신호 수신부에 포함된 위도 및 경도에 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호출한다. 또한, 위도 및 경도에 매칭하는 행정계 데이터 또는 POI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탐색한다. 또한, 지오 데이터 태깅부 (230)는 이렇게 탐색된 데이터, 즉 행정계 데이터 또는 POI 데이터를 EXIF 규격의 메타 데이터와 같은 이미지 속정 정보 데이터에 태깅한다.
도 3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라 행정계 데이터가 태깅된 사진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 (140)에 표시된 사진 화면에는 날짜, 시간뿐만 아니라, 장소가 국가, 시, 구까지 나오게 된다. 특히 이러한 이미지는 별도의 컴퓨터에 연결하여 파일을 열 필요없이, 사진을 찍은 즉시 데이터를 태깅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3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라 POI 데이터가 태깅된 사진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 (140)에 표시된 사진 화면에는 날짜, 시간뿐만 아니라, 장소가 특정 장소의 명칭, 예를 들어, 부산 해운대와 같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는 사진을 찍은 즉시 화면으로 시간 및 장소가 텍스트로 표현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오 태깅 기능 이용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GPS 엔진부의 구성 블록도
도 3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라 행정계 데이터가 태깅된 사진 이미지
도 3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라 POI 데이터가 태깅된 사진 이미지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지오 태깅 (Geo tagging) 기능 이용 장치
110: GPS 신호 수신부 120: GPS 엔진부
130: 메인 모듈부 140: 디스플레이부
210: 지오데이터 저장부 220: 지오데이터 탐색부
230: 지오데이터 태깅부

Claims (7)

  1. 유저의 위치를 경도 및 위도로 파악하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신호 수신부; 및
    세계 맵 데이터로부터 행정계 데이터 및 POI (Position of Interest) 데이터로 소형화된 맵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GPS 신호에 포함된 경도 및 위도에 매칭하는 행정계 데이터 또는 POI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탐색하여, 상기 탐색된 데이터를 이미지 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 데이터에 태깅하는 GPS 엔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 태깅 (Geo tagging) 기능 이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GPS 엔진부는,
    상기 소형화된 맵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오 데이터 저장부;
    상기 GPS 신호 수신부에 포함된 위도 및 경도에 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호출하여 상기 위도 및 경도에 매칭하는 행정계 데이터 또는 POI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탐색하는 지오 데이터 탐색부; 및
    상기 탐색된 데이터를 상기 EXIF 규격의 메타 데이터에 태깅하는 지오 데이터 태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 태깅 기능 이용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 태깅 기능 이용 장치는,
    상기 태깅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사진 이미지를 사진이 찍힌 날짜, 시간, 및 상기 선택된 행정계 위치 또는 POI 위치를 나타내는 텍스트가 포함된 이미지로 생성하는 메인 모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 태깅 기능 이용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화된 맵 데이터의 소형화 비율은 1/3900 이상 1/4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 태깅 기능 이용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 태깅 기능 이용 장치는,
    상기 텍스트가 포함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 태깅 기능 이용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행정계 데이터는 국가, 시, 구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 태깅 기능 이용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 속성 정보 데이터는 EXIF (Exchangeable Image Format) 규격의 메타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 태깅 기능 이용 장치.
KR1020090076794A 2009-08-19 2009-08-19 지오 태깅 기능 이용 장치 KR201100191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794A KR20110019184A (ko) 2009-08-19 2009-08-19 지오 태깅 기능 이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794A KR20110019184A (ko) 2009-08-19 2009-08-19 지오 태깅 기능 이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184A true KR20110019184A (ko) 2011-02-25

Family

ID=4377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794A KR20110019184A (ko) 2009-08-19 2009-08-19 지오 태깅 기능 이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91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422B1 (ko) 2015-07-27 2016-11-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422B1 (ko) 2015-07-27 2016-11-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73138B (zh) 图像再现设备及其图像再现方法
US9406153B2 (en) Point of interest (POI) data positioning in image
US82547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icture file
US7667742B2 (en) Image pickup and reproducing apparatus
US201302862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Based Image Telegraphy
US20100053371A1 (en) Location name registration apparatus and location name registration method
WO2015117416A1 (zh) 一种照片信息处理方法、装置及终端
US20090136226A1 (en) Camera with photo tracklog producing fun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photo tracklog
JP2008042887A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画像データの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60034249A (ko) 디지털 이미지들의 강화된 조직화 및 검색
US8488021B2 (en) Image positioning method, POI tagging method and the apparatus
WO2005124594A1 (en) Automatic, real-time, superimposed labeling of points and objects of interest within a view
CN102279861A (zh) 在数码相机拍摄的照片中标记地理坐标的方法
US20120033070A1 (en) Local search device and local search method
KR20120126529A (ko) 촬영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간 연관성 분석방법 및 시스템
KR100676619B1 (ko) 위치기억 이동단말기, 이를 이용한 위치기억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TWI334577B (ko)
US200802504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tv program
KR101211209B1 (ko) 위치 정보를 활용한 영상 촬영 장치의 촬영 방법, 위치 정보를 활용한 영상 촬영 장치, 서버에서 위치 정보를 활용한 영상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방법 및 위치 정보를 활용한 영상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KR20030028770A (ko) Gps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지도정보가 있는 디지털 앨범 시스템
KR20110019184A (ko) 지오 태깅 기능 이용 장치
JP5967400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42987B1 (ko) 영상단말기의 파일 정렬 방법 및 장치
JP2010021885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支援方法
KR20090064677A (ko) 위치 및 방향 정보에 기반한 지도 컨텐츠 서비스 장치 및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