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807A - 양갈래를 형성하여 제공되는 앞머리용 부분가발 - Google Patents

양갈래를 형성하여 제공되는 앞머리용 부분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807A
KR20110018807A KR1020090082982A KR20090082982A KR20110018807A KR 20110018807 A KR20110018807 A KR 20110018807A KR 1020090082982 A KR1020090082982 A KR 1020090082982A KR 20090082982 A KR20090082982 A KR 20090082982A KR 20110018807 A KR20110018807 A KR 20110018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g
hair
partial
head
pla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8097B1 (ko
Inventor
김영휴
Original Assignee
김영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휴 filed Critical 김영휴
Publication of KR20110018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06Toupées covering a bald portion of the head
    • A41G5/0013Fastening thereof
    • A41G5/0026Fastening thereof by mechanical fasteners, e.g. clasps, buttons,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원은 사람의 앞머리와 두정부(정수리) 사이에 위치하여 머리에 탈, 부착하도록 제공되는 앞머리용 부분가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발캡을 갖는 베이스부에 식모부를 형성하여 제공되거나 또는 가발캡이 없이 레이스부에 식모부를 형성하여 제공되는 가발구조에서, 식모되는 가발모가 식모방향을 달리하여 일측은 가발모가 전면부를 향하도록 식재되고 타측은 가발모가 후면부를 향하도록 식재되어 갈래부를 형성하여 제공되는 앞머리용 부분가발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부분가발은 일측이 수직면으로 제공되고 타측은 반달형 라운드부를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수직면과 라운드부 경계면을 이루는 부위에는 고정밴드 삽입구가 마련되는 구조를 갖고 삽입구에 고정밴드가 끼워져 사용되거나 또는 갈래부 상부로 부분적으로 접합부가 마련되고 고정밴드 안쪽으로 접합부가 마련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가발캡의 양측 단면으로 고정구를 갖도록 제공되어 고정밴드 없이 고정구를 이용하여 자모와 연결되는 실시형태로 적용될 수 있는 부분가발에 관한 것이다.
가발, 앞머리 용, 양갈래 구조, 발단형 라운드부, 고정밴드

Description

양갈래를 형성하여 제공되는 앞머리용 부분가발{false-hair for forehead having two parts}
일반적으로 사람의 앞머리 부분은 본인의 얼굴 이미지와 조화를 이루기 위해 신경을 많이 쓰이게 되는 부분으로, 특히 여성들은 미장원에서 고대기로 곡선 줌을 형성하거나 앞머리 중앙을 깃점으로 양측으로 머리를 분활 시키는 구성 등으로 본인의 얼굴 이미지를 살리기 위해 앞머리 부위에서 다양한 시도를 하게된다.
그러나 사용자 본인이 원하는 앞머리 곡선이나 형태를 형성하였다 하더라도 바람에 휘날리어 보기 흉한 상태로 변화되기 쉽고, 더구나 탈모증상이 오거나 흰머리가 나기 시작하면 외출할 때 앞머리 부위에 신경을 쓰느라고 많은 시간을 투가하게 된다.
본원은 사람의 앞머리와 두정부 사이에 위치하여 머리에 탈, 부착하도록 제공되는 앞머리용 부분가발에 관한 것으로, 본원은 가발캡을 이루는 베이스부에 식모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가발캡이 없이 레이스부에 식모부를 형성하되, 식모되는 가발모의 식모방향을 서로 달리하여 양갈래가 형성된 앞머리용 부분가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예를들면 일측은 가발모 식재량이 적거나 또는 가발길이가 짧은 상태로 가발모가 전면을 향하도록 식재되고, 타측은 가발모 식재량이 상대적으로 많거나 또는 가발길이가 긴 상태로 가발모가 후면을 향하게 식재되어 양갈래가 형성된 상태의 앞머리용 부분가발이 제공됨으로, 하나의 가발로 사용자 본인의 두발상태나 선호하는 이미지의 구현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 후면을 바꿔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부분가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발구조 관련 기술에서 앞머리 부위를 개선하기 위해 시도된 선행기술들을 살펴보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187526호에 개시된 앞머리용 가발구조는 탄성을 갖는 머리띠 양단부로 피부를 보호하는 보호막이 끼워지고 머리띠 내면 상하측의 길이방향으로는 머리로 부터 머리띠가 고정되도록 수개의 돌출핀이 형성되며, 머리띠의 전면에는 합성사 또는 인모로 이루어진 댕기머리가 부착되고 이 댕기머리와 머리띠사이에는 앞머리용 가발이 부착되는 구성의 가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2000-7826호 기술에서는 이마나 앞 머리 부분에 모발이 없는 사람이 주위의 머리털 부분과 연결·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앞머리용 가발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조모발을 양측의 클립부가 대향 형성된 태극형 가발지지체를 식모하고 내측은 망사로 봉재시키되, 태극형 가발지지체 양면으로는 매직테이프를 부착하여 착·탈되게 하도록 제공되는 가발구조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종래의 가발구조로 가발 캡이 없이 신축성 있는 레이스만으로 이루어진 무캡 가발(capless wig)에 머리카락을 오븐에 볶아서 만든 볶은 머리가발(kingky hair wig), 물파마 가발(jerry curl wig)등이 가발업계에 선을 보여 제공된바 있으나, 종래의 앞머리용 가발구조에서는 일측으로만 가발모가 심겨진 구조로 제공되어 가발 착용자가 헤어스타일을 바꾸기를 원할 때마다 수 많은 종류의 가발셋트가 필요하였던 문제점을 갖고 있었고 또한, 마음에 드는 헤어스타일을 찾는다 하더라도 본원의 앞머리 자모가 자라나면 또 다른 가발셋트가 필요하였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여성들은 미장원에서 머리를 손질할 때 앞머리의 일정부위는 전면으로 향하도록 하고 일정부위 이후는 후면으로 향하도록 하여 자연미를 추구하며 볼륨감을 높이고자 하는 분들이 많으나, 가발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양갈래를 형성하여 제공된 가발이 존재하지 않고 일측면으로만 향하는 가발구조가 제공되고 있었으며 사람의 정수리부분은 외부온도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부위임에도 종래의 앞 머리용 가발은 천편일률적으로 식모가 밀식구조로 심겨진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본원은 사람의 앞머리와 두정부 사이에 위치하여 머리에 탈, 부착하도록 제공되는 부분가발에서 가발캡을 이루는 베이스부에 식모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가발캡이 없이 레이스부에 식모부를 형성하되, 식모양태가 일측은 가발모가 전면을 향하도록 식재되고 타측은 가발모가 후면을 향하도록 식재되어 양갈래를 형성한 가발구조를 제공하여, 하나의 가발로 사용자 본인의 두발상태나 선호하는 이미지의 구현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 후면을 바꿔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부분가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사용자의 앞머리와 두정부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 본인의 자모와 조화를 이루며 사용되도록 제공되거나 또는 뒷머리용 가발을 사용할 때는 뒷머리 가발과 조화를 이루며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앞 머리용 부분가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부분가발 구조의 특징은 일측은 가발모 식재량이 많거나 또는 가발길이가 짧은 상태로 가발모가 일측면(전면)을 향하도록 식재되고, 타측은 가발모 식재량이 상대적으로 적거나 또는 가발길이가 긴 상태로 타측면(후면)을 향하도록 식재되어 양갈래가 형성된 상태의 부분가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의 유용성을 살펴 보면, 일 적용예로 착용자의 자모길이가 짧을 때는 가발길이가 짧은 쪽이 전면으로 향하여 사용하다가 앞머리가 성장하여 길이가 길어진 경우에는 가발길이 가 긴 쪽을 전면으로 사용하도록 간편하게 앞, 뒤를 바꿔 자모와 조화를 이루도록 착용될 수 있는 구조의 부분가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을 이루기 위해 본원에서 제공되는 부분가발은 가발캡의 베이스부에 식모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캡이 없는 레이스부 만으로 식모부를 형성하는 가발구조에서, 일측은 가발모가 전면을 향하도록 식재되고 타측은 가발모가 후면을 향하도록 식재되어 양갈래를 형성하는 구성의 부분가발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부분가발 실시형태는 사람의 앞머리와 두정부(정수리) 사이에 중심부(갈래부)가 위치하여 머리에 탈, 부착하도록 제공되는 부분가발에 있어서, 가발캡을 갖는 베이스부 또는 가발캡이 없이 레이스부에 식모부를 형성하되, 일측은 가발모가 전면을 향하도록 식재되고 타측은 가발모가 후면을 향하도록 식재되어 갈래부를 형성한 구조로 제공되는 앞 머리용 부분가발이 개시된다.
상기 앞 머리용 부분가발 식모부는 일측이 수직면으로 제공되고 타측은 반달형 라운드부를 형성하도록 제공되고 수직면과 라운드부 사이에 갈래부를 형성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앞 머리용 부분가발의 저부에는 고정밴드 삽입부가 마련되고 삽입부에 고정밴드가 끼워지는 구성을 갖고 두부에 부착되는 구조를 택하든가 또는 앞 머리용 부분가발의 갈래부 상부면에 부분접착부가 마련되어 제공되고 고정밴드 내부쪽의 접착부에 부착되는 대응 구성으로 제공되어 두부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는 기술사상을 포함한다.
또한, 고정밴드 사용을 원치 않는 사용자분들을 위하여 고정밴드가 없는 구성으로 앞 머리용 부분가발의 양측부 단면에 똑딱이 등의 고정구가 마련되어 두부 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앞 머리용 부분가발이 일측은 수직면으로 제공되고 타측은 반달형 라운드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라운드부의 외연으로 연질수지층을 마련하여 가발의 착용감을 높이도록 제공되는 기술사상도 포함한다.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체적으로 가발구조에서 적용되는 실시양태는 아래의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 기재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에서 제공되는 부분가발은 양갈래가 형성된 상태로 제공됨으로, 하나의 가발로 사용자 본인의 두발상태나 선호하는 이미지의 구현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 후면을 바꿔가며 일석이조의 효과를 갖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부분가발은 사용자가 원하는 스타일로 예를들어 볶은머리가발 (kingky hair wig)이나, 물파마 가발(jerry curl wig)등 본인이 원하는 형상의 부분가발을 양쪽으로 각각 마련해 놓고 본인의 헤어스타일을 바꾸기 원할 때 오늘은볶은머리가발 내일은 물파마 가발 등으로 언제나 쉽고 간편하게 원하는 부분을 전면으로 착용함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구현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실시내용을 실시예로 기재하기에 앞서,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의 출원명세서에서 제시되는 도면은 발명자가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구현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제시된 형태 이외에 다양한 실시형태로 변형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아래 제시된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균등론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가발구조는 인공 또는 천연모발이 식모되어 머리부위에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탈모, 흉터, 화상 등의 부위를 보완하도록 제공되는 부분가발 구조에서, 식모를 하기 위한 바탕이 모노필라멘트부나 스킨컬러베이스부나 레이스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가장 간단한 실시양태로 도 1의 실시양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제시된 사진은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부분가발의 일실시예 적용제품을 촬용한 가발사진으로, 앞머리 이마부분에서부터 정수리 두정부[頭頂部]까지 사이에 중앙 갈림부가 위치하여 머리에 탈, 부착하도록 제공되는 부분가발제품의 상부 일측면을 사시도 형식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상기 사진제품의 저면(내부쪽)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나 가발식재가 가능한 베이스부나 또는 레이스부에 식모부를 형성하되, 일측은 가발모가 전면부[앞머리 부](10)를 향하도록 식재되고 타측은 가발모가 후면부[뒷머리부](30)를 향하도록 식재되어 중앙 쪽으로 갈래부(20)를 형성한 구조로 제공되는 부분이 본원 가발의 특징부이다.
도 2는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부분가발이 갈래부(20)를 갖는 부분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부분가발 및 부분가발을 두부에 부착시키는 수단을 도 2a,도 2b, 도 2c, 도 2d,도 2e, 도 2f를 통하여 나타내고자 한 것이다.
도 2a는 본원의 기술사상이 가장 간단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는 형태를 나타내고자 한 것으로, 중앙의 베이스부(40)가 좁은 간격으로 제공되되, 중앙 베이스부(40)는 식재부(41)와 망사부(42) 사이에 고정밴드를 넣고 빼는 간극(43)을 형성하도록 제공되고, 식재부(41)에는 인공 또는 천연모발이 심겨지되, 일측은 전면부(10)를 향하여 식재되고 타측은 후면부(30)를 향하여 식재되어 중앙 갈래부(20)를 형성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2b는 머신메이드 제품으로 중앙의 베이스부(40)가 일측은 수직면(44)으로 제공되고 타측은 반달형 라운드부(45)가 2~5㎝ 정도의 폭을 갖고 식재부(41)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부분가발을 나타내고자 한 것으로, 식재부(41)의 수직면(44) 쪽 1/3~1/4 정도는 전면부(10)를 향하여 식재되고, 식재부(41)의 라운드부(45) 쪽 2/3~3/4 정도는 후면부(30)를 향하여 식재되어 중앙부 쪽에 갈래부(20)를 형성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식재부(41)의 일측에 망사부(42)를 갖고 고정밴드(45)를 넣고 빼는 간극(43)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며, 식재부 라운드부(45)의 말단 외연으로는 고무나 실리콘재 등의 연질수지층(46)을 형성하여 머릿결을 가지런히 해주 는 기능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2c는 핸드메이드 제품으로 베이스부를 레이스(40')로 구성하여 일측은 수직면(44)으로 제공되고 타측은 반달형 라운드부(45)를 이루도록 식재부(41)를 형성하되, 식재부에 가발모가 식재된 미노(47) 1~5 개 정도를 이용하여 식재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식재부(41)의 수직면(44) 쪽 1/3~1/4 정도는 전면부(10)를 향하여 식재되고, 식재부(41)의 라운드부(45) 쪽 2/3~3/4 정도는 후면부(30)를 향하여 식재되어 중앙부 쪽에 갈래부(20)를 형성한 구성 및 식재부(41)의 일측에 망사부(42)를 갖고 고정밴드A(50)를 넣고 빼는 간극(43)을 형성하여 도록 제공되는 구성은 도 2b와 동일하거나 또는 고정밴드를 넣고 빼는 간극 구멍이 필요없이 베이스부나 레이스부의 양 단부쪽으로 고정핀(48)[도 3b에 표시]을 부착하는 구성으로도 제공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 2d는 상기 도 2a, 도 2b, 도 2c의 가발제품의 간극(43)부에 끼워져서 두부에 부착되도록 기능하는 바 타입의 고정밴드A(50)를 나타낸 것으로, 바 타입의 고정밴드A는 0.5~5㎜ 범위의 굵기로 탄성재질로 두부를 감싸도록 타원형상으로 제공되고 외부로 은색이나 금색등으로 예쁘게 코팅되고 타원형으로 구부러지는 코너링의 내부쪽으로 미세돌기(51)를 형성하여 가발제품이 쉽게 빠지지 않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e는 본원 기술사상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 2a, 도 2b, 도 2c의 가발제품을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측의 전면부(10)와 타측의 후면부(30)사이의 갈래부(20)를 갖는 구성에 부분적으로 부분접착부(21)를 추가하는 구 성으로 제공되는 앞머리용 부분가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f는 상기 도 2d에 나타난 바 타입의 고정밴드A와는 다르게 폭이 넓은 고정밴드B(60)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고정밴드B(60) 타입은 타원형상으로 두부를 넓게 감싸도록 코너링되는 내부쪽으로 접착부(61)을 갖도록 제공되어 상기 도 2e 타입으로 제공되는 부분가발의 갈래부(20)에 마련되는 부분접착부(21) 외측에서 고정밴드B(60) 타입의 접착부(61)와 대응되도록 결합되어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는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부분가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상기 도 2b 제품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상기 도 2c 제품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머신메이드 유형 제품으로 모발이 심겨지는 중앙의 베이스부가 일측은 수직면(44)으로 제공되고 타측은 반달형 라운드부(45)가 2~5㎝ 정도 범위의 폭을 갖고 식재부(41)를 이루도록 제공되고, 식재부(41)의 일측에 망사부(42)를 갖고 고정밴드(50)를 망사부(42)와 대응되는 안쪽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43)구멍에 고정밴드(50)를 끼우도록 제공되며, 라운드부(45) 외연으로는 고무나 실리콘재 등의 연질수지층(46)이 마련되어 머릿결을 가지런히 해주는 기능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b는 핸드메이드 유형 제품으로 베이스부를 레이스(40')로 구성하여 일측은 수직면(44)으로 제공되고 타측은 반달형 라운드부(45)를 갖고 식재부(41)를 이루되, 식재부에 가발모가 식재된 미노(47) 1~5 개 정도를 이용하여 식재부를 형성 할 수 있으며, 식재부의 반달형 라운드부(45) 양 측단부에 고정핀(48)을 마련하여자모에 부착하는 구성으로도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부분가발 사진도.
도 2a :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부분가발 1예시도.
도 2b :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부분가발 2예시도.
도 2c :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부분가발 3예시도.
도 2d : 본원의 사용되는 고정밴드A타입 예시도.
도 2e : 본원에서 제공되는 또 다른 타입의 부분가발 예시도.
도 2f : 본원의 사용되는 고정밴드B타입 예시도.
도 3a : 도 2d 가발제품의 내부 구조도.
도 3b : 도 2c 가발제품의 내부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0 : 전면부(앞머리부) 20 : 갈래부
21 : 부분접착부 30 : 후면부(뒷머리부)
40 : 베이스부 41 : 식재부
42 : 망사부 43 : 간극부
44 : 수직면 45 : 라운드부
46 : 연질수지층 47 : 미노
48 : 고정핀 50 : 고정밴드 A
51 : 미세돌기부 60 : 고정밴드B
61 : 접착부

Claims (6)

  1. 사람의 앞머리와 두정부(정수리) 사이에 가발중심부가 위치하여 머리에 탈, 부착하도록 제공되는 부분가발에 있어서,
    가발캡의 베이스부나 또는 레이스부에 식모부를 형성하되, 일측은 가발모가 전면을 향하도록 식재되고 타측은 가발모가 후면을 향하도록 식재되어 갈래부를 형성한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 머리용 부분가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 머리용 부분가발 식모부는 일측이 수직면으로 제공되고 타측은 반달형 라운드부를 형성하도록 제공되고 수직면과 라운드부 사이에 갈래부를 형성한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 머리용 부분가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 머리용 부분가발의 저부에는 고정밴드 삽입부가 마련되고 삽입부에 고정밴드가 끼워지는 구성을 갖고 두부에 부착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 머리용 부분가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 머리용 부분가발의 갈래부 상부로 부분접착부가 마련되어 제공됨으로 고정밴드 내부쪽의 접착부에 부착될 수 있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 머리용 부분가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가발의 양측 단부에 고정구가 마련되어 두부에 부착될 수 있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 머리용 부분가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앞 머리용 부분가발의 반달형 라운드부 외연으로 연질수지층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 머리용 부분가발.
KR1020090082982A 2009-08-18 2009-09-03 양갈래를 형성하여 제공되는 앞머리용 부분가발 KR101128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76427 2009-08-18
KR1020090076427 2009-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807A true KR20110018807A (ko) 2011-02-24
KR101128097B1 KR101128097B1 (ko) 2012-03-29

Family

ID=43776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982A KR101128097B1 (ko) 2009-08-18 2009-09-03 양갈래를 형성하여 제공되는 앞머리용 부분가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0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7098A1 (ko) * 2017-08-04 2019-02-07 박명복 기능성 패션 가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153Y1 (ko) * 2021-04-28 2022-11-11 박경진 이마 보정용 가발.
KR102377852B1 (ko) * 2021-06-16 2022-03-23 (주)피에이인터네셔널 헤어라인용 부분 가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3321U (ja) 1984-01-04 1985-07-31 湯川 博行 かつ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7098A1 (ko) * 2017-08-04 2019-02-07 박명복 기능성 패션 가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8097B1 (ko)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8023B2 (en) Headband with integral compartment and hair accessory
US20090188512A1 (en) Hair extens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US5337763A (en) Multi-use hair piece
US20150013710A1 (en) Hairpiece comprising a headband for hair extensions
US20160113342A1 (en) Half head wig
KR101177258B1 (ko) 가발제품의 내부 안쪽으로 볼륨 캡이 탈,부착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볼륨업과 라인업 기능을 갖도록 제공되는 가발
KR100844139B1 (ko) 서로 다른 길이의 줄(날개형 식모라인)을 이용하는부분가발
US20150189936A1 (en) Integrated hair pie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50061345A1 (en) Headband
US20220142279A1 (en) Hair topper
KR101128097B1 (ko) 양갈래를 형성하여 제공되는 앞머리용 부분가발
KR101166331B1 (ko) 가발을 구비한 헤어밴드
KR100889632B1 (ko) 탈부착 고리를 갖는 헤어밴드형 부분가발
KR100753436B1 (ko) 긴머리 가발
JP5715781B2 (ja) かつら及び補助装飾具
KR101097286B1 (ko) 머리띠형 부분가발
KR100844140B1 (ko) 가르마 부위를 구비하고 볼륨감을 높인 앞머리용 가발
JP2018003213A (ja) 部分ウィッグ及びその使用方法
US20140020703A1 (en) Wig
US20110219518A1 (en) Earmuffs and Designer Headband Combination
KR100361376B1 (ko) 가발의 모근판 테두리 가공방법
KR100628294B1 (ko) 길이가 자라는 연장가발
KR101790763B1 (ko) 다양한 헤어 연출이 가능한 부분 가발
KR101128096B1 (ko) 독립구조의 식모라인을 갖는 반 가발
JP2016079515A (ja) 簡易装着具付きかつ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