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795A - 스윙형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스윙형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795A
KR20110018795A KR1020090076432A KR20090076432A KR20110018795A KR 20110018795 A KR20110018795 A KR 20110018795A KR 1020090076432 A KR1020090076432 A KR 1020090076432A KR 20090076432 A KR20090076432 A KR 20090076432A KR 20110018795 A KR20110018795 A KR 20110018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ortable terminal
elastic
fix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6043B1 (ko
Inventor
김원태
박상준
조필제
허영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세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세네카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6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043B1/ko
Priority to CN2010202785846U priority patent/CN201781514U/zh
Priority to US12/847,088 priority patent/US8554285B2/en
Publication of KR20110018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1Including a rotatable keypad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61Side slide: elongated co-linear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888Reciprocating to or from oscillating
    • Y10T74/18896Snap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하우징들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들 중 제1의 하우징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 상기 하우징들 중 제2의 하우징 일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부재의 일면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회전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타면에서 상기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 부재에 고정되는 구동 부재; 및 일단이 상기 고정 부재 상에, 타단이 상기 구동 부재 상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구동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탄성 부재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 부재 및 구동 부재와 함께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에 중첩되거나 일측에 나란하게 위치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단말기, 스윙, 슬림, 탄성 부재

Description

스윙형 휴대용 단말기 {SWING TYP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쌍의 하우징들이 서로 중첩된 지점으로부터 서로의 일측에 나란하게 위치되는 지점까지 대면한 상태로 회전하는 스윙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는 초기에 음성 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최근 온라인 게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와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 동영상 파일 / 음악 파일 전송 등의 데이터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그 서비스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바형, 플립형, 폴더형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단말기는 키패드, 송화부 등의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수화부 등의 출력 장치가 하나의 하우징에 설치된 형태의 단말기이고, 플립형 단말기는 하나의 하우징에 입/출력 장치가 설치되면서 입력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플립 커버가 장착되어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는 형태의 단말기이다. 폴더형 단말기는 한 쌍의 하우징이 대면한 상태로 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의 단말기로서 각 하우징에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가 적절하게 분산 배치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접철된 상태에서 휴대하게 되므로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외에도 한 쌍의 하우징이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선형운동함에 따라 개폐되는 슬라이딩형 단말기, 한 쌍의 하우징이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회전운동함에 따라 개폐되는 스윙형 단말기, 개방된 상태에서 폴더의 전후면 반전이 가능하게 결합된 로터리형 단말기, 폴더형 단말기의 개폐동작과 스윙형 단말기의 개폐동작이 복합적으로 구현된 단말기 등이 등장하여 사용자들의 다양한 취향에 부합하고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국내 특허출원번호 제2002-43417호(2002.07.23; 미국특허출원번호 제287,148호, 2002.11.04)는 한 쌍의 하우징이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윙형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스윙형 단말기의 힌지 장치는 제1 힌지 베이스와, 상기 제1 힌지 베이스의 힌지 홀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샤프트가 형성된 제2 힌지 베이스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이-링(E-ring) 등의 체결수단이 결합된다.
이러한 스윙형 단말기의 힌지 장치는 어느 한 하우징에 고정되면서 힌지 샤프트가 연장된 힌지 베이스와, 다른 한 하우징에 고정되면서 상기 힌지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또 다른 힌지 베이스로 구성되고, 이들 힌지 베이스는 이- 링, 스냅 링과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서로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스윙형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하우징들을 중첩시킨 상태로 휴대하고, 사용할 때는 하우징들을 서로에 대하여 90도, 180도 중 어느 한 각도로 개방된 지점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단말기의 한 하우징을 다른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까지 하우징을 직접 회전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하우징들을 개폐시키기 용이한 스윙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들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소형화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소형화되면서도, 안정적인 개폐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쌍의 하우징들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들 중 제1의 하우징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 상기 하우징들 중 제2의 하우징 일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부재의 일면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회전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타면에서 상기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 부재에 고정되는 구동 부재; 및 일단이 상기 고정 부재 상에, 타단이 상기 구동 부재 상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구동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탄성 부재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 부재 및 구동 부재와 함께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에 중첩되거나 일측에 나란하게 위치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과, 상기 코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자유단들을 포함하는 토션 스프링이며,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자유단들의 단부를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고정 부재에 형성되는 지지 돌기; 상기 지지 돌기의 단부에 체결되는 결속 부재; 및 상기 구동 부재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자유단들 중 제1의 자유단이 상기 지지 돌기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결속 부재가 상기 지지 돌기의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자유단들 중 제2의 자유단에 결속된 상태로 상기 구동 부재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한 쌍이 상기 힌지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고정 부재의 일면에서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부재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의 외주면에 돌출된 가이드 스토퍼; 상기 회전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의 외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단차면들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단차면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이드 스토퍼에 간섭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단차면들이 상기 가이드 스토퍼에 간섭됨에 따라 상기 회전 부재는 180도 범위에서만 회전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고정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 및
상기 가이드 스토퍼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면, 상기 고정 돌기와 고정홈이 서로 맞물려 상기 가이드 스토퍼는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고정 부재 상에서 직선 왕복운동하는 왕복 부재; 및 일단이 상기 구동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왕복 부재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 부재; 및 상기 왕복 부재의 타단에 체결되는 지지 스크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왕복 부재의 외주면에 권선된 상태에서 그 일단이 상기 왕복 부재의 타단에, 타단이 상기 고정 부재 상에 지지되어 상기 구동 부재로부터 상기 왕복 부재를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 부재로부터 상기 힌지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링크 핀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링크 핀은 상기 구동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링크 부재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회전 부재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평면을 포함하는 실린더 형상의 제1 지지축; 상기 구동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 내에 위치되는 제2 지지축; 및 상기 제2 지지축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축에 맞물리는 지지홀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지지축 의 단부로부터 상기 힌지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링크 핀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링크 핀은 상기 구동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링크 부재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고정 부재에 형성되는 가이드 부; 상기 가이드 부의 일단부 벽을 관통하게 형성된 가이드 홀; 및 상기 왕복 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링크 부재의 타단은 상기 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속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이드 부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왕복 부재의 일부분은 상기 가이드 홀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부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가이드 부의 외측에서 상기 왕복 부재의 외주면에 권선된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 부의 일단부 외측벽에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스윙형 휴대용 단말기는 고정 부재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구동 부재와 회전 부재를 결합시켜 힌지 장치가 구성되는데, 이로써, 고정 부재에 대한 회전 부재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가 제공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전 부재를 일정 각도 지점으로 위치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개폐 동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힌지 샤프트와 이-링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구동 부재와 회전 부재를 대면한 상태로 스크류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부재와 회전 부재는 평판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게 되어 힌지 장치의 두께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200)를 구비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A)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101)을 개방시키고,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측으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하우징(101)에는 쿼티(QWERTY) 방식으로 배열된 키패드(111)를 설치한다면, 사용자는 상기 키패드(111)를 이용하여 장문의 메일이나 인터넷 홈페이지 등의 게시물을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개폐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21)를 사용자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위치시켜, 동영상 감상이나 방송 시청 등 멀티미디어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는 쿼티 방식으로 배열된 키패드(111)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21)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양측에 각각 스피커 장치(123)를 구비함으로써,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할 때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일측에 인접하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일단부 면에 마이크로 폰(125)을 설치한다면, 사용자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을 개방하지 않더라도 상기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를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한다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 상에 터치 키패드(111)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하우징(101)을 개방하지 않더라도 음성통화를 위해 상대방 전화 번호를 입력하거나, 단문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하우징을 서로 대면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회전 동작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구현함과 아울러, 소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21)나 키패드(111), 스피커 장치(123)나 마이크로 폰(125) 등의 설치는 당업자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과 도 4를 더 참조하여, 상기 힌지 장치(200)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힌지 장치(200)는 고정 부재(201), 회전 부재(202), 구동 부재(203) 및 탄성 부재(204)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부재(201)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 부재(202)와 구동 부재(203)가 서로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고정 부재(201) 상 에서 회전하며, 상기 탄성 부재(204)는 상기 회전 부재(202)와 구동 부재(203)가 회전하는 위치에 따라 그 회전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고정 부재(201)는 평판 형상으로서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고정되고, 그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홀(211)을 구비하는데, 상기 관통홀(211)은 원 형상으로 그의 중심이 상기 힌지축(A)에 일치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고정 부재(201)의 일면에는 상기 관통홀(211)에 인접하는 위치에 고정 돌기(215)가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는 지지 돌기(2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돌기(213)는 한 쌍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힌지축(A)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를 부여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 부재(201)의 타면에는 다수의 보스(boss)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보스들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상기 고정 부재(201)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 부재(201)의 일면에는 가이드 부재(20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205)는 그 일부분이 상기 관통홀(211) 내에 위치되며, 다른 일부분은 상기 고정 부재(201)의 일면 상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부재(205)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스토퍼(251)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스토퍼(251)의 단부에는 고정홈(2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205)가 상기 고정 부재(201)에 설치되면, 상기 가이드 스토퍼(251)는 상기 고정 부재(201)의 일면에 밀착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 돌기(215)가 상기 고정홈(253)에 맞물리게 된다. 이로써, 상기 가이드 부재(205)는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상기 고정 부재(201)에 설치된 다.
상기 회전 부재(202)는 상기 제2 하우징(102)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부재(201)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구동 부재(203)가 상기 고정 부재(201)의 타면에서 상기 관통홀(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 부재(202)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회전 부재(202)와 구동 부재(203)는 상기 고정 부재(201)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201)의 일면에 대면하는 상기 회전 부재(202)의 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용홈(2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홈(223)의 외측에는 한 쌍의 단차면(225)들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부재(202)가 상기 고정 부재(201)에 결합되면, 상기 가이드 부재(205)의 다른 일부분, 즉, 상기 고정 부재(201)의 일면 상에 위치된 부분이 상기 수용홈(223)에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 스토퍼(251)는 상기 수용홈(223)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회전 부재(202)가 상기 고정 부재(201)에 대하여 상기 힌지축(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 스토퍼(251)는 상기 수용홈(223)의 외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단차면(225)들 중 하나에 간섭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 부재(202)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즉, 상기 회전 부재(202)는 상기 가이드 스토퍼(251)와 상기 단차면(225)들에 의해 회전 범위가 제한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 부재(202)의 회전 범위는 180도로 설정된다.
상기 회전 부재(202)의 외주면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체결 아암(arm)이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과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아울 러, 상기 회전 부재(202)와 구동 부재(203)가 결합된 때, 상기 관통홀(211)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관통홀(211)과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는 배선홀(221)이 상기 회전 부재(202)에 형성되는데, 이 배선홀(221)을 통해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 내부의 회로 장치들을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가 배선된다.
상기 구동 부재(203)는 상기 고정 부재(201)의 타면에서 상기 관통홀(211)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부재(202)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구동 부재(203)는 상기 관통홀(211)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그 가장자리의 일부는 상기 구동 부재(203)의 타면과 대면한다. 상기 구동 부재(203)를 상기 회전 부재(202)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 부재(203)와 회전 부재(202)에는 각각 보스, 체결홀 등 스크류를 체결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204)는 그 양단을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탄성 부재(204)의 전형적인 한 형태로는 압축 코일(241) 스프링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204)로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부재(204)는 코일(241)과 상기 코일(241)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자유단들(243, 245)을 구비한다. 이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204)는 그 양단을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며, 이는 본 실시 예에 개시되는 토션 스프링의 자유단들(243, 245)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의미한다.
상기 탄성 부재(204)의 자유단들 중, 제1의 자유단(243)은 상기 고정 부 재(201)에 형성된 지지 돌기(213)에 결속, 지지된다. 상기 제1 자유단(243)의 단부는 상기 지지 돌기(213)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 돌기(213)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자유단(243)의 단부가 상기 지지 돌기(213)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속 부재(247)가 상기 지지 돌기(213)의 단부에 결합된다. 이로써, 상기 제1 자유단(243)은 상기 지지 돌기(213)에 결속된 상태로 이탈하지 않게 유지된다.
상기 탄성 부재(204)의 자유단들 중, 제2의 자유단(245)은 상기 구동 부재(203)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 부재(203)에는 리벳을 이용한 지지 부재(249)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2 자유단(245)이 상기 지지 부재(249)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부재(249)가 상기 구동 부재(203)에 고정된다.
이로써, 상기 탄성 부재(204)는 그 일단이 상기 고정 부재(201) 상에, 타단이 상기 구동 부재(203) 상에 각각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 돌기(213)가 상기 힌지축(A)을 중심으로 대칭인 상태로 배치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탄성 부재(204) 또한 한 쌍이 상기 힌지축(A)을 중심으로 대칭인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품에 따라서는 상기 탄성 부재(204)를 하나만 사용할 수도 있으며, 토션 스프링이 아닌 다른 형태의 스프링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즉, 상기 탄성 부재(204)가 반드시 상기 힌지축(A)을 중심으로 대칭인 상태로 배치될 필요는 없는 것이다.
도 5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전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 구체적으로, 상기 키패드(111)를 개방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상 기 키패드(111)가 개방되는 동안의 상기 힌지 장치(200)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탄성 부재(204)는 그 양단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상기 제1, 제2 자유단(243, 245)이 가장 근접한 지점에 이르렀을 때, 상기 탄성 부재(204)에 축적된 탄성력이 최대임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서로 중첩된 때, 상기 힌지 장치(200)는 도 6의 (a)에 도시된 상태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204)는 그 양단을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상기 구동 부재(203)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성향을 가지게 된다. 도 6의 (a)에서 시계 방향으로 상기 구동 부재(203)를 회전시키려는 구동력은 도 5에 도시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스토퍼(251)는 상기 단차면(225)들 중 하나에 간섭되어, 도 6 (a)에서 상기 구동 부재(203)는 더 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도 5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도 더 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유동하지 않게 고정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6의 (b)는 상기 구동 부재(20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제2 자유단(243, 245)이 가장 근접한 지점에 다다른 모습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제1, 제2 자유단(243, 245)이 가장 근접한 지점에서 상기 탄성 부재(204)는 최대의 탄성력을 축적하게 됨은 앞서 언급한 바 있다. 상기 제1, 제2 자유단(243, 245)들이 서로 가장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구동 부재(203)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은 상기 구동 부재(203)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 부재(203)는 상기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다.
도 6의 (b)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부재(203)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상기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은 상기 구동 부재(20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동력에 의해 상기 구동 부재(203)는 상기 가이드 스토퍼(251)가 상기 단차면(225)들 중 다른 하나에 간섭될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도 6의 (c)는 상기 가이드 스토퍼(251)가 상기 단차면(225)들 중 다른 하나에 간섭된 위치에서의 상기 힌지 장치(200)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 구체적으로 상기 키패드(111)를 완전히 개방한 지점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204)는 여전히 그 양단을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축적하고 있으므로, 이는 도 5의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스토퍼(251)는 이미 상기 단차면(225)들 중 다른 하나에 간섭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키패드(111)를 완전히 개방시킨 지점에서 안정된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단말기(100)의 제1 또는 제2 하우징(101, 10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된 지점과, 그 로부터 180도 회전하여 상기 키패드(111)를 완전히 개방시킨 지점 중에 어느 한 지점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탄성 부재(204)의 구동력에 의한 것임은 상술한 바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키패드(111)를 개방하고자 할 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전하는 180도 각도의 범위 중에 일부 각도 구간만큼 사용자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회전시키면, 나머지 구간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전하여 상기 키패드(111)를 개방시키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키패드(111)를 다시 폐쇄하고자 하는 때, 상기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이 도 6의 (a)에서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상기 구동 부재(203)를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하는 구간에 이를 때까지만 사용자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회전시키면, 나머지 구간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전하여 상기 키패드(111)를 폐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평판 형상의 고정 부재(201), 회전 부재(202), 구동 부재(203)와 아울러, 토션 스프링 구조의 탄성 부재(204)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스윙 동작을 구현하는 힌지 장치(200)의 두께를 줄이기 용이하며,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에 의해 반자동 개폐 동작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3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300)는 고정 부재(301), 회전 부재(302), 구동 부재(303) 및 탄성 부재(304)를 구비하며, 크랭크 구조를 이용하여 탄성 부재(304)의 탄성력을 회전력으로 전환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 예에 개시되는 탄성 부재(304)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그 양단을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직선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탄성 부재(304)의 탄성력은 본 실시 예의 크랭크 구조를 통해 상기 구동 부재(303)와 회전 부재(302), 궁극적으로는 제2 하우징(102)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으로 전환된다.
상기 고정 부재(301)가 휴대용 단말기의 제1 하우징(101)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부재(302)가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102)에 고정되는 구성은 선행 실시 예와 유사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1, 제2 하우징(101, 102)을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고 선행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함에 유의한다.
상기 고정 부재(301)는 그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홀(311)을 구비하며, 일면에는 가이드 스토퍼(315)가, 타면에는 가이드 부(31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스토퍼(315)는 상기 회전 부재(302)에 제공되는 수용홈(323) 내에 위치되며, 상기 수용홈(323)의 양단부 벽(325, 327)에 각각 간섭됨으로써, 상기 회전 부재(302)의 회전 범위를 180도 이내로 제한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부(313)는 크랭크 구조를 설치하기 위한 하우징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311)에 인접하는 상기 가이드 부(313)의 단부는 개방되며, 그에 대향하는 단부에는 가이드 홀(317)이 형성된 벽이 제공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 부재(301)의 타면에는 상기 가이드 부(313)의 가이드 홀(317)과 일직선 상에 연장된 회피홈(319)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탄성 부재(304)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나, 상기 탄성 부재(304)를 충분히 작게 제작할 수 있다면, 상기 회피홈(319)을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상기 회전 부재(302)는 상기 고정 부재(301)의 일면에 대면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그의 일면에는 외주면 중 일부가 평면인 실린더 형상의 제1 지지축(327)이 형성되어 있고, 그 둘레에 상기 수용홈(323)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323)은 상기 힌지축(A)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이다. 상기 제1 지지축(327)에는 상기 힌지축(A)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힌지축(A) 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크 핀(329)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 부재(303)는 상기 고정 부재(301)의 타면에서 그 일부분이 상기 관통홀(311)에 위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 부재(302)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구동 부재(303)에는 상기 제1 지지축(327)에 상응하는 제2 지지축(33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2 지지축(331)에는 상기 제1 지지축(327)을 수용하는 지지홀(3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홀(333) 또한 그 내벽에 평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지지축(327, 331)은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서로 맞물리게 된다.
상기 제1, 제2 지지축(327, 331)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별도의 스크류(391)를 체결하여 상기 제1, 제2 지지축(327, 331)을 결속하면, 상기 구동 부 재(303)와 상기 회전 부재(302)가 서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 부재(301)로부터 이탈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 부재(301)와 회전 부재(302) 사이, 상기 고정 부재(301)와 구동 부재(303) 사이에는 각각 윤활 부재(393, 395), 예를 들면,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과 같은 윤활성과 내마모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된 와셔 등을 개재시킴으로써, 상기 고정 부재(301)에 대한 상기 회전 부재(302), 구동 부재(303)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직선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크랭크 구조는 왕복 부재(305)와 링크 부재(306)로 이루어진다. 상기 왕복 부재(305)는 상기 가이드 부(313)에 설치되는데, 그 일부분은 직선 왕복운동하는 이동부(351)로서 상기 가이드 홀(317)을 통해 연장되며, 다른 일부분은 상기 이동부(351)의 일단에 형성되는 연결부(3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353)는 상기 가이드 부(313)의 내벽에 간섭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 부재(303)에 간섭되어 그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이는 결국, 상기 왕복 부재(305)의 직선 왕복운동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이동부(351)가 상기 가이드 홀(317)을 관통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304)는 상기 가이드 부(313)의 외측에서 상기 왕복 부재(305),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351)의 외주면에 권선된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탄성 부재(304)가 상기 이동부(351)의 외주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왕복 부재(305)의 타단에는 지지 스크류(355)가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 스크류(355)는 상기 탄성 부재(304)의 직경보다 더 큰 와셔(357)를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와셔(357)를 상기 왕복 부재(305)의 타단에 결속시킨다. 결국, 상기 탄성 부재(304)는 그의 일단이 상기 고정 부재(301) 상에,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이드 부(313)의 외측면에, 타단이 상기 와셔(357)에 각각 지지되어 그 양단을 멀어지게 하는 방향, 즉, 상기 왕복 부재(305)를 상기 구동 부재(303)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상기 연결부(353)는 상기 가이드 부(313)의 내측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상기 링크 부재(306)는 일단이 상기 구동 부재(303)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왕복 부재(305)의 연결부(35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 부재(302)로부터 연장된,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지축(327)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링크 핀(329)은 상기 구동 부재(303)를 관통하여 돌출됨으로써 상기 링크 부재(306)를 결합시키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303)에는 상기 링크 핀(329)을 관통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링크 홀(33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 홀(339)은 상기 힌지축(A)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링크 부재(306)와 구동 부재(303) 사이에는 폴리옥시메틸렌과 같은 재질의 또 다른 윤활 부재(399)가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링크 부재(306)의 타단은 회동 핀(397)에 의해 상기 연결부(353)에 회동 가능하게 결속된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힌지 장치(300)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11의 (a)는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서로 중첩된 위치에서의 상기 힌지 장치(30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서 로 중첩된 때, 상기 탄성 부재(304)의 탄성력은 상기 왕복 부재(305)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도 11의 (a)에서 상기 구동 부재(303)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성향을 가지고 있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 스토퍼(315)는 상기 수용홈(323)의 단부 벽들(325, 327) 중 하나에 간섭되어 있어 상기 구동 부재(303)는 더 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는 상태이다. 결국,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탄성 부재(304)의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가이드 스토퍼(315)가 상기 수용홈(323)의 단부 벽에 간섭되어 정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111)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 부재(303)는 점차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1의 (b)는 상기 구동 부재(303)가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 부재(304)의 양단이 가장 근접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구동 부재(303)가 어느 한쪽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탄성 부재(304)의 탄성력은 상기 구동 부재(303)를 그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한다.
즉, 도 11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회전시켜 상기 키패드(111)를 개방하면, 상기 도 11의 (b)에 도시된 지점을 지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탄성 부재(304)의 탄성력이 상기 제2 하우징(102)을 개방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한다.
상기 탄성 부재(30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키패드(111)가 개방되는 동안 상기 힌지 장치(300)는 도 11의 (c)에 도시된 지점을 지나 도 11의 (d)에 도시된 지 점까지 동작하게 된다. 이때, 도 11의 (d)에 도시된 지점은 상기 탄성 부재(304)에 축적된 탄성력이 가장 적은 지점이다.
도 11의 (d)는 도 11의 (a)에 도시된 지점으로부터 180도를 다소 초과하여 상기 구동 부재(303)가 회전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된 지점으로부터 180도만큼만 회전하게 되며, 상기 키패드(111)를 개방하여 상기 제2 하우징(102)이 멈추는 지점에서 상기 구동 부재(303)는 도 11의 (d)에 도시된 지점까지 회전하지는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키패드(111)가 완전히 개방된 지점에서, 상기 탄성 부재(304)의 탄성력은 여전히 상기 구동 부재(30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며, 상기 가이드 스토퍼(315)는 상기 수용홈(323)의 다른 단부 벽에 간섭되어 상기 구동 부재(303)는 더 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키패드(111)를 완전히 개방시킨 지점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안정된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30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탄성 부재(204, 304)의 탄성력과 가이드 스토퍼(251, 315) 등의 구성에 의해 제2 하우징(102)의 정지 상태, 즉, 키패드(111)가 폐쇄되거나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정지된 상태의 제2 하우징(102)을 회전시키면 일정 구간, 즉 탄성 부재(204, 304)의 양단이 가장 근접하는 지점까지는 탄성 부재(204, 304)의 탄성력이 점차 증가되며, 탄성 부재(204, 304)의 양단 이 가장 근접하는 지점을 지나는 시점으로부터 제2 하우징(102)은 탄성 부재(204, 304)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동작에 따른 힌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힌지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힌지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15)

  1. 한 쌍의 하우징들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들 중 제1의 하우징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
    상기 하우징들 중 제2의 하우징 일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부재의 일면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회전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타면에서 상기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 부재에 고정되는 구동 부재; 및
    일단이 상기 고정 부재 상에, 타단이 상기 구동 부재 상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구동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탄성 부재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 부재 및 구동 부재와 함께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에 중첩되거나 일측에 나란하게 위치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과, 상기 코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자유단들을 포함하는 토션 스프링이며,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자유단들의 단부를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 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에 형성되는 지지 돌기;
    상기 지지 돌기의 단부에 체결되는 결속 부재; 및
    상기 구동 부재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자유단들 중 제1의 자유단이 상기 지지 돌기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결속 부재가 상기 지지 돌기의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자유단들 중 제2의 자유단에 결속된 상태로 상기 구동 부재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한 쌍이 상기 힌지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일면에서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부재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의 외주면에 돌출된 가이드 스토퍼;
    상기 회전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의 외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단차면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단차면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이드 스토퍼에 간섭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정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들이 상기 가이드 스토퍼에 간섭됨에 따라 상기 회전 부재는 180도 범위에서만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 및
    상기 가이드 스토퍼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면, 상기 고정 돌기와 고정홈이 서로 맞물려 상기 가이드 스토퍼는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자유단들이 서로 근접하게 이동하여 상기 탄성 부재에 탄성력이 축적되며, 상기 자유단들이 서로 가장 근접한 지점을 지나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은 상기 구동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 상에서 직선 왕복운동하는 왕복 부재; 및
    일단이 상기 구동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왕복 부재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 부재; 및
    상기 왕복 부재의 타단에 체결되는 지지 스크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왕복 부재의 외주면에 권선된 상태에서 그 일단이 상기 왕복 부재의 타단에, 타단이 상기 고정 부재 상에 지지되어 상기 구동 부재로부터 상기 왕복 부재를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 부재로부터 상기 힌지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링크 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링크 핀은 상기 구동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링크 부재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평면을 포함하는 실린더 형상의 제1 지지축;
    상기 구동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 내에 위치되는 제2 지지축; 및
    상기 제2 지지축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축에 맞물리는 지지홀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지지축의 단부로부터 상기 힌지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링크 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링크 핀은 상기 구동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링크 부재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에 형성되는 가이드 부;
    상기 가이드 부의 일단부 벽을 관통하게 형성된 가이드 홀; 및
    상기 왕복 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링크 부재의 타단은 상기 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속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이드 부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부재의 일부분은 상기 가이드 홀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부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가이드 부의 외측에서 상기 왕복 부재의 외주면에 권선된 형태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 부의 일단부 외측벽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90076432A 2009-08-18 2009-08-18 스윙형 휴대용 단말기 KR101596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432A KR101596043B1 (ko) 2009-08-18 2009-08-18 스윙형 휴대용 단말기
CN2010202785846U CN201781514U (zh) 2009-08-18 2010-07-29 旋转型便携式终端
US12/847,088 US8554285B2 (en) 2009-08-18 2010-07-30 Swing-type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432A KR101596043B1 (ko) 2009-08-18 2009-08-18 스윙형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795A true KR20110018795A (ko) 2011-02-24
KR101596043B1 KR101596043B1 (ko) 2016-02-22

Family

ID=4360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432A KR101596043B1 (ko) 2009-08-18 2009-08-18 스윙형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54285B2 (ko)
KR (1) KR101596043B1 (ko)
CN (1) CN20178151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35007B (zh) * 2011-12-23 2014-04-21 Wistron Corp 雙軸式樞轉機構及其電子裝置
US8716598B2 (en) * 2012-08-23 2014-05-06 Octo Products LLC Case for housing and protecting an electronic device
USD872042S1 (en) * 2017-04-14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75700S1 (en) * 2017-04-14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72043S1 (en) * 2017-04-14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72041S1 (en) * 2017-04-14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73230S1 (en) * 2017-04-14 2020-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71360S1 (en) * 2017-04-14 2019-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59342S1 (en) * 2017-04-28 2019-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62406S1 (en) * 2017-05-17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54525S1 (en) * 2017-05-17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54526S1 (en) * 2017-05-17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54524S1 (en) * 2017-05-17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54527S1 (en) * 2017-05-17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55041S1 (en) * 2017-05-17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N108551506B (zh) * 2018-07-16 2020-04-10 于光远 一种触屏滑盖兼嵌入式键盘可翻转商务手机
GB202002660D0 (en) * 2020-02-25 2020-04-08 Planet Computers Ltd Smartphone 2020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054A (ko) * 2003-10-17 2005-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 모듈
KR20060100511A (ko) * 2005-03-17 2006-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스윙 장치
KR200428621Y1 (ko) * 2006-07-24 2006-10-13 (주)나라테크놀로지 스윙 폰의 반자동스윙힌지장치
KR20080059962A (ko) * 2006-12-26 2008-07-01 주식회사 다이아벨 스윙 힌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417A (ko) 2000-12-04 2002-06-10 이용일 임의형상 판재 자동절단 장치
KR200243417Y1 (ko) 2001-05-15 2001-10-15 태성정밀(주) 진공방지기
US7866000B2 (en) * 2006-07-24 2011-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ng hinge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TWI337062B (en) * 2007-12-06 2011-02-01 Htc Corp Electronic device and sliding mechanism thereof
JP2009225193A (ja) * 2008-03-17 2009-10-01 Fujitsu Ltd 携帯端末装置
JP5150934B2 (ja) * 2008-04-09 2013-02-2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船外機及び船外機に用いられるフックアッセンブリー
CN101621552B (zh) * 2008-07-04 2013-10-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JP5121649B2 (ja) * 2008-09-26 2013-01-16 株式会社東芝 無線装置
KR101517238B1 (ko) * 2008-11-20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기기의 거치 장치
CN102196694B (zh) * 2010-03-19 2015-11-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锁扣装置及具有锁扣装置的电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054A (ko) * 2003-10-17 2005-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 모듈
KR20060100511A (ko) * 2005-03-17 2006-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스윙 장치
KR200428621Y1 (ko) * 2006-07-24 2006-10-13 (주)나라테크놀로지 스윙 폰의 반자동스윙힌지장치
KR20080059962A (ko) * 2006-12-26 2008-07-01 주식회사 다이아벨 스윙 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54285B2 (en) 2013-10-08
CN201781514U (zh) 2011-03-30
US20110041634A1 (en) 2011-02-24
KR101596043B1 (ko) 201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8795A (ko) 스윙형 휴대용 단말기
KR10065149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US7522946B2 (en) Hi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8363391B2 (en) Portable terminal
US7484268B2 (en) Hinge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7287302B2 (en) Swing hinge device of portable terminal
KR10068951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US7844050B2 (en) Biaxial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mounting mechanism thereof
KR100856238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EP1773030A2 (en) Foldable portable terminal with a hinge which allows several angle positions of the two housings
US8505167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hinge apparatus
US8996079B2 (en) Portable terminal with multiple-hinges
KR1008425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US765702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100630136B1 (ko)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56221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0587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78058B1 (ko) 힌지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5006127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
KR10112642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2 축 힌지 장치
KR20080042528A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부
KR1006403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US8009064B2 (en) Data 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079016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20060010685A (ko) 스윙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