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155A -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하여 물성이 향상된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하여 물성이 향상된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155A
KR20110018155A KR1020090075800A KR20090075800A KR20110018155A KR 20110018155 A KR20110018155 A KR 20110018155A KR 1020090075800 A KR1020090075800 A KR 1020090075800A KR 20090075800 A KR20090075800 A KR 20090075800A KR 20110018155 A KR20110018155 A KR 20110018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nanocellulose fibers
weight
nanocellulose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0574B1 (ko
Inventor
이선영
도금현
남원석
전상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09007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57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8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1/00Processes for making continuous lengths of paper, or of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 board production, on paper-making machines
    • D21F11/14Making cellulose wadding, filter or blotting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08Mechanical or thermomechanical pulp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6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modified by a particular after-treatment
    • D21H11/18Highly hydrated, swollen or fibrillatable fibres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하여 물성이 향상된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에 있어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 및 종이 제조에 있어서, 펄프와 나노셀룰로오스 섬유와 혼합하여 고해시킨 후 초지한 다음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노셀룰로오스 섬유, 종이, 물성 향상

Description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하여 물성이 향상된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of papers by the addition of nanocellulose fib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하여 물성이 향상된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에 있어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 및 종이 제조에 있어서, 펄프와 나노셀룰로오스 섬유와 혼합하여 고해시킨 후 초지한 다음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이(paper)는 식물의 섬유를 물에 풀어 평평하면서 얇게 서로 엉기도록 하여 물을 빼고 말린 것을 일컫는다.
종이의 주된 목적을 글이나 그림을 통해 기록을 남기기 위한 수단으로서 종이 이외에 짐승의 가죽을 부드럽게 하여 만든 양피지(羊皮紙:parchment), 대나무나 나무를 얇게 깎아서 만든 것들과 레이온, 합성섬유 등을 원료로 하여 종이 모양으 로 만든 것들도 기록을 남길 수 있으므로, 넓은 의미로서 이들을 종이의 범주 안에 넣어 취급은 하지만 종이의 정의는 어디까지나 "순수한 식물의 섬유를 원료로 한 것"으로 하고 있다.
종이는 크게 한지(韓紙)와 양지(洋紙)로 나누며, 한지는 수록지(手錄紙)와 기계지(機械紙)로, 양지는 종이(좁은 뜻의)와 판지(板紙)로 다시 나눈다.
양지의 주된 원료는 목재펄프이며, 한지는 닥, 삼, 마 등의 인피섬유(靭皮纖維)를 원료로 하여 사람의 힘으로 제조되었으나, 근래에 와서 목재펄프를 섞어서 기계를 사용하여 만들기도 한다. 따라서, 양지와 한지의 구별은 점차 애매하게 되어 가며, 제품의 외관으로 구별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양지의 종이는 섬유를 단층으로 조성하여 만들며, 판지는 지층을 여러 겹을 조성하여 물을 머금은 상태에서 압착함으로써 섬유가 서로 엉겨 붙도록 하여 만든다. 그러나 종이의 두꺼운 것과 판지를 외관상으로 정확하게 구별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얼마든지 있다. 종이의 두께는 g/㎡로 표시하는데, 이는 1×1m 짜리를 저울에 달았을 때의 결과값을 말하며, 거래 단위는 관례상 t(M/T)을 사용한다.
종이는 통상적으로 펄프를 주재료로 하여 제조하는데 이러한 펄프 이외에 종이의 사용목적에 맞는 특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특정의 첨가제를 첨가하고 있다.
종이산업은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한 거대한 장치산업이다. 종이원가의 25%를 물과 에너지가 차지하는 에너지집약산업이기도 하다. 2006년 통계에 의하면 세계펄프 생산량은 미국, 캐나다, 중국, 스웨덴, 핀란드, 일본, 브라질, 러시아, 인도네시아, 인도 순이며 한국은 27위이다. 한국의 지류 생산량은 세계 8위이다.
종이는 물에 현탁된 지료를 와이어 상에서 탈수시켜 지필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펄프만으로 제조되는 종이는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으며, 섬유 뿐 아니라 충전제, 사이징제, 각종 에멀젼 제품 및 고분자물질 등과 같은 첨가제도 포함한다. 충전제(fillers)는 일반적으로 펄프보다 저가이며 종이의 원가를 낮추기 위하여 사용된다. 보통 충전제는 종이 중량의 10 중량부 내외의 함량을 첨가하는데 종이의 표면성질을 개선시키고 두께를 감소시키고,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지력증강제(dry strength additives)는 고해에 의존하지 않고 종이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종이 중량의 3중량부 안팎의 함량으로 첨가시킨다. 지력증강제는 인장강도와 파열강도를 최대 20% 정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인열강도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제지공정에서의 폐수오염원은 백수(white water), 사이징제, 왁스, 그리스, 오일, 섬유류 등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초지기는 대량의 백수를 배출하는데, 이 폐수는 산성으로 미세섬유와 장섬유 그리고 필러와 클레이(clay)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제지산업에 의한 공해는 다량의 물을 사용하고 있는 관계로 수질오염이 가장 큰 문제이다.
이에 본 발명은 종이에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첨가하고 종래 종이 제조시 사용하는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인열강도(tear strength), 내절도(folding endurance) 및 열단장(breaking length) 등의 물성이 향상된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8-0087654호에 식물(쑥 수리취)에서 얻은 단섬유소를 이용하여 각종 종이를 생산제조 함으로써 자연에서 얻는 순수 우리자원을 원료로 한 종이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종이에 관한 내용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84726 폴리아민과 카복실산을 반응시켜 수득한 아미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함유하는 종이용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종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내용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종이에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첨가하고 종래 종이 제조시 사용하는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인열강도(tear strength), 내절도(folding endurance) 및 열단장(breaking length) 등의 물성이 향상된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에서 언급한 선행기술과 대비시 발명의 기술적 특성이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은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하여 물성이 향상된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이에 있어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 및 종이 제조에 있어서, 펄프와 나노셀룰로오스 섬유와 혼합하여 고해시킨 후 초지한 다음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는 종래 나노셀룰로오스를 첨가하지 않은 종이에 비해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인열강도(tear strength), 내절도(folding endurance) 및 열단장(breaking length) 등의 물성이 향상된 종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는 종래 종이 제조시 종이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첨가제들을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그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종이 제조시 사용하는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적은 에너지 소모로 높은 강도의 종이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지업계의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는 종래 종이 제조시 종이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첨가제들을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그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이러한 첨가제들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환경친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종이에 있어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에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는 5∼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는 직경이 25∼100n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는 셀룰로오스 현탁액을 고압력의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직경의 노즐을 5회 이상 통과시켜 나노크기의 직경을 가지도록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는 0.1∼1.0% 농도의 셀룰로오스 현탁액을 10,000∼30,000psi의 압력의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50∼200㎛ 직경의 호모게나이저 노즐을 5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5∼20회 통과시켜 직경이 25∼100nm가 되도록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는 0.5% 농도의 셀룰로오스 현탁액을 20,000psi의 압력의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50∼200㎛ 직경의 호모게나이저 노즐을 5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5∼20회 통과시켜 직경이 25∼100nm이 되도록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노즐은 호모게나이저에 부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종이 제조에 있어서, 펄프와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혼합하여 고해시킨 후 초지한 다음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펄프 90∼95중량%와 나노셀룰로오스 섬유 5∼10중량%를 혼합하여 여수도 350∼550CSF(Canadian Standard Freeness)에 맞추어 고해(beating)시킨 후 이를 물속에서 10∼60분 동안 교반시킨 후 감압여과장치에서 여과지를 이용하여 초지한 다음 50∼70℃에서 10∼48시간 동안 7∼15kg의 무게하에서 건조시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펄프 90∼95중량%와 나노셀룰로오스 섬유 5∼10중량%를 혼합하여 여수도 350∼550CSF(Canadian Standard Freeness)에 맞추어 고해(beating)시킨 후 이를 물속에서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감압여과장치에서 여과지를 이용하여 초지한 다음 60℃에서 24시간 동안 10kg의 무게하에서 건조시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 제조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는 직경이 25∼100n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 제조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는 셀룰로오스 현탁액을 고압력의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나노 직경의 노즐을 5회 이상 통과시켜 나노크기의 직경을 가지도록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 제조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는 0.1∼1.0% 농도의 셀룰로오스 현탁액을 10,000∼30,000psi의 압력의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50~200 ㎛ 직경의 호모게나이저 노즐을 5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5∼20회 통과시켜 직경이 25∼100nm가 되도록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 제조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는 0.5% 농도의 셀룰로오스 현탁액을 20,000psi의 압력의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50~200 ㎛ 직경의 호모게나이저 노즐을 5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5∼20회 통과시켜 직경이 25∼100nm이 되도록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노즐은 호모게나이저에 부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 제조시 종래 종이 제조시 물성 향상을 위해 첨가한 첨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 제조시 종래 종이 제조시 물성 향상을 위해 첨가하는 첨가제, 일예로 사이징제, 충전제, 보류제, 왁스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조사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나노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나노셀룰로오스 섬유 제조
셀룰로오스(cellulose) 섬유를 물에 넣어 얻은 셀룰로오스 0.5% 농도 현탁액을 20분간 교반기로 섞은 후, 20,000 psi 압력의 호모게너이저(homogenizer)를 이용하여 50∼200㎛ 직경의 노즐을 5회, 10회, 15회 및 20회를 각각 통과시켜 섬유의 직경이 25∼100nm 크기의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제조하고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제조시 20,000 psi 압력의 호모게너이저를 이용하여 50∼200㎛ 직경의 노즐을 5회(좌상), 20,000 psi 압력의 호모게너이저를 이용하여 50∼200㎛ 직경의 노즐을 10회(우상), 20,000 psi 압력의 호모게너이저를 이용하여 50∼200㎛ 직경의 노즐을 15회(좌하) 및 20,000 psi 압력의 호모게너이저를 이용하여 50∼200㎛ 직경의 노즐을 20회(우하)를 통과하여 제조한 것을 각 나타낸 사진이다.
도 1에서처럼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제조시 50∼200㎛ 직경의 노즐을 5회에서 20회까지 통과회수를 증가시킬수록 나노셀룰로오스 섬유의 직경 크기는 100nm에 서 25nm 크기까지 감소하였다.
<비교예> 보통 종이 제조
제지용 펄프를 세 종류의 여수도 350CSF, 450CSF, 550CSF(Canadian Standard Freeness)에 맞추어 고해(beating)를 하였다. 후에 이 세 종류의 펄프를 물속에서 교반기로 30분간 교반시킨 후 감압여과장치에서 여과지를 이용하여 초지한 후, 60℃에서 24시간 동안 10kg의 무게 하에서 건조시켜 종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나노셀룰로오스 섬유 함유 종이 제조
제지용 펄프를 세 종류의 여수도 350CSF, 450CSF, 550CSF(Canadian Standard Freeness)에 맞추어 고해(beating)를 하였다. 후에 이 세 종류의 펄프 95중량%와 상기 제조예에서 호모게너이저를 이용하여 50∼200㎛ 직경의 노즐을 5회 통과하여 제조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도 1 우하) 5중량%를 혼합한 후 물속에서 교반기로 30분간 교반시킨 후 감압여과장치에서 여과지를 이용하여 초지한 후, 60℃에서 24시간 동안 10kg의 무게 하에서 건조시켜 종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나노셀룰로오스 섬유 함유 종이 제조
제지용 펄프를 세 종류의 여수도 350CSF, 450CSF, 550CSF(Canadian Standard Freeness)에 맞추어 고해(beating)를 하였다. 후에 이 세 종류의 펄프 90중량%와 상기 제조예에서 호모게너이저를 이용하여 50∼200㎛ 직경의 노즐을 5회 통과하여 제조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도 1 우하) 10중량%를 혼합한 후 물속에서 교반기를 30분간 충분히 교반시킨 후 감압여과장치에서 여과지를 이용하여 초지한 후, 60℃에서 24시간 동안 10kg의 무게 하에서 건조시켜 종이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종이 물성 측정
상기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각각의 종이에 대해 TAPPI Standard 방법에 의하여 무게, 평량, 두께, 밀도를 각각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비교에 및 실시예에서 제조된 종이의 물성
여수도
(CSF)
NCF*
(%)
무게
(g/sheet)
평량
(g/m2)
두께
(㎛)
밀도
(g/cm3)
550 0 1.38 69.1 341 0.20
550 5 1.48 73.8 304 0.24
550 10 1.49 74.3 243 0.31
450 0 1.34 67.2 302 0.22
450 5 1.44 71.8 239 0.30
450 10 1.52 76.0 223 0.34
350 0 1.41 70.7 297 0.24
350 5 1.45 72.6 260 0.28
350 10 1.54 77.0 226 0.34
* 나노셀룰로오스 섬유의 첨가량을 나타낸 것이다.
<시험예 2>
상기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각각의 종이에 대해 TAPPI Standard 방법에 의하여 Bulk, 열단장, 인장강도, 인열강도 및 내절도 등의 기계적 성질을 각각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의 종이,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5중량% 함유한 실시예 1의 종이,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10중량% 함유한 실시예 2의 종이를 각각 비교시 에서 제조한 각각의 종이에 대해 상기의 물성을 비교했을 때 놀라운 차이점이 발견되었다(표 2 참조).
표 2. 비교에 및 실시예에서 제조된 종이의 기계적 물성
여수도
(CSF)
NCF*
(%)
Bulk
(cm3/g)
인장강도
(Nm/g)
열단장
(km)
인열강도
(mNm2/g)
내절도
(No.)
550 0 4.93 5.15 0.54 5.39 0.5
550 5 4.12 16.80 1.76 18.45 3.0
550 10 3.27 24.05 2.52 23.92 5.0
450 0 4.49 10.41 1.09 13.72 1.3
450 5 3.33 18.60 1.85 22.41 3.5
450 10 2.93 27.94 3.06 27.88 6.5
350 0 4.20 14.39 1.51 14.82 2.0
350 5 3.59 22.07 2.31 25.94 5.0
350 10 2.93 28.16 2.95 31.24 11.0
* 나노셀룰로오스 섬유의 첨가량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2에서처럼 CSF 550ml 여수도에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5중량%와 10중량%를 첨가하였을 때 인장강도(tensile strength)는 각각 223%와 361% 증가하였다(도 2 참조). 같은 여수도에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5중량%와 10중량%를 첨가하였을 때 인열강도(tear strength)는 각각 243%와 343% 증가하였다(도 3 참조). 같은 여수도에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5중량%와 10중량%를 첨가하였을 때 내절도(folding endurance)는 각각 500%와 900% 증가하였다(도 4 참조). 같은 여수도에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5중량%와 10중량%를 첨가하였을 때 열단장(breaking length)은 각각 260%와 400% 증가하였다(도 5 참조).
그리고 CSF 450ml 여수도에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5중량%와 10중량%를 첨가하였을 때 인장강도(tensile strength)는 각각 79%와 168% 증가하였다(도 2 참조). 같은 여수도에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5중량%와 10중량%를 첨가하였을 때, 인열강도(tear strength)는 각각 64%와 104% 증가하였다(도 3 참조). 같은 여수도에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5중량%와 10중량%를 첨가하였을 때 내절도(folding endurance)는 각각 169%와 400% 증가하였다(도 4 참조). 같은 여수도에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5중량%와 10중량%를 첨가하였을 때 열단장(breaking length)은 각각 73%와 182% 증가하였다(도 5 참조).
또한 CSF 350ml 여수도에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5중량%와 10중량%를 첨가하였을 때 인장강도(tensile strength)는 각각 53%와 96% 증가하였다(도 2 참조). 같은 여수도에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5중량%와 10중량%를 첨가하였을 때 인열강도(tear strength)는 각각 75%와 111% 증가하였다(도 3 참조). 같은 여수도에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5중량%와 10중량%를 첨가하였을 때 내절도(folding endurance)는 각각 150%와 450% 증가하였다(도 4 참조). 같은 여수도에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5중량%와 10중량%를 첨가하였을 때 열단장(breaking length)은 각각 53%와 100% 증가하였다(도 5 참조).
상기 표 1 및 표 2에서처럼 본 발명과 같이 종이에 있어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실시예 1, 실시예 2의 종이는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의 종이에 비해 무게, 평량, 두께, 밀도 등의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인열강도(tear strength), 내절도(folding endurance) 및 열단장(breaking length) 등의 기계적 물성 또한 향상된 종이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제조예에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제조시 5회(좌상), 10회(우상), 15회(좌하) 및 20회(우하)를 통과한 것을 각각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나노셀룰로오스 섬유 첨가량 및 여수도에 따라 제조된 종이의 인장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나노셀룰로오스 섬유 첨가량 및 여수도에 따라 제조된 종이의 인열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나노셀룰로오스 섬유 첨가량 및 여수도에 따라 제조된 종이의 내절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나노셀룰로오스 섬유 첨가량 및 여수도에 따라 제조된 종이의 열단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8)

  1. 종이에 있어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
  2. 제1항에 있어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는 5∼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3. 제1항에 있어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는 직경이 25∼1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4. 제1항에 있어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는 0.1∼1.0% 농도의 셀룰로오스 현탁액을 10,000∼30,000psi의 압력의 호모게나이저로 교반한 후 50∼200㎛ 직경의 호모게나이저의 노즐을 5∼20회 통과시켜 직경이 25∼100nm이 되도록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5. 종이 제조에 있어서,
    펄프와 나노셀룰로오스 섬유와 혼합하여 고해시킨 후 초지한 다음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이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펄프 90∼95중량%와 나노셀룰로오스 섬유 5∼10중량%를 혼합하여 여수도 350∼550CSF에 맞추어 고해시킨 후 이를 물속에서 10∼60분 동안 교반시킨 후 감압여과장치에서 여과지를 이용하여 초지한 다음 50∼70℃에서 10∼48시간 동안 7∼15kg의 무게하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이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는 직경이 25∼1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는 0.1∼1.0% 농도의 셀룰로오스 현탁액을 10,000∼30,000psi의 압력의 호모게나이저로 교반한 후 25∼100nm 직경의 호모게나이저의 노즐을 5∼20회 통과시켜 직경이 25∼100nm이 되도록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의 제조방법.
KR1020090075800A 2009-08-17 2009-08-17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하여 물성이 향상된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40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800A KR101040574B1 (ko) 2009-08-17 2009-08-17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하여 물성이 향상된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800A KR101040574B1 (ko) 2009-08-17 2009-08-17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하여 물성이 향상된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155A true KR20110018155A (ko) 2011-02-23
KR101040574B1 KR101040574B1 (ko) 2011-06-16

Family

ID=4377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800A KR101040574B1 (ko) 2009-08-17 2009-08-17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하여 물성이 향상된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5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3066B2 (en) 2013-12-19 2018-10-09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Multilayered composite material using nanofibrillated cellulose and thermoplastic matrix polymer
US20200340182A1 (en) * 2017-10-06 2020-10-29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A cellulose paper composit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102B1 (ko) 2012-11-29 2014-09-23 한국화학연구원 나노피브릴화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판상엽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0261B (en) 1996-11-11 2000-10-25 Nippon Kodoshi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highly-airtight porous paper, highly airtight porous paper manufactured by the method, and non-aqueous battery using the paper
KR100536459B1 (ko) 2004-01-27 2005-12-14 박원호 은이 함유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나노섬유 웹
KR100856464B1 (ko) 2007-02-13 2008-09-04 박원호 셀룰로오스 나노섬유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3066B2 (en) 2013-12-19 2018-10-09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Multilayered composite material using nanofibrillated cellulose and thermoplastic matrix polymer
US20200340182A1 (en) * 2017-10-06 2020-10-29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A cellulose paper composit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0574B1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4863B2 (en) Method to produce composite-enhanced market pulp and paper
JP6985303B2 (ja) ミクロフィブリル化フィルム
FI124235B (en) Fiber-based paper or cardboard web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20537060A (ja) 酸素バリアフィルム
FI126699B (en) Process for making cardboard
CN103180511A (zh) 纤维素增强的高矿物质含量产品及其制备方法
CN1439071A (zh) 在纸浆加工过程中向纸浆添加吸附性化学添加剂的方法和通过所说的方法制作的产品
FI126083B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aper product using a multilayer technique and the paper product
KR100946630B1 (ko) 고강도 나노셀룰로오스 종이의 제조방법
JPWO2015008703A1 (ja) クルパック紙
CN107683358A (zh) 纤维素纤维用于制造非织造布的用途
KR20160018586A (ko) 연성 및 강도가 강화된 티슈
US20220127792A1 (en) Fibrous sheet with improved properties
CN112878089B (zh) 一种高耐破牛皮纸的制备方法
KR101910649B1 (ko) 미세 셀룰로오스 및 칼슘화합물을 이용한 충전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제지용 충전제를 포함하는 종이
KR101040574B1 (ko)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하여 물성이 향상된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50291A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film comprising microfibrillated cellulose
CN108611924A (zh) 一种环保立体复纹包装纸的生产方法
KR101442102B1 (ko) 나노피브릴화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판상엽 및 이의 제조방법
CN1985048A (zh) 使原棉短绒成为片状物的方法
SE505388C2 (sv) Mjukt, bulkigt, absorberande papper innehållande kemitermomekanisk massa
CN112513371A (zh) 通过湿法制备板或垫的方法,通过该方法制备的产品以及通过该方法制备的产品的用途
RU2735609C1 (ru) Вспененные волокнистые листы с извитыми штапельными волокнами
WO2019126848A1 (pt) Papel kraftliner de fibra química curta
JPH02502659A (ja) 植物充填材を含む低密度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