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799A -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799A
KR20110017799A KR1020090075460A KR20090075460A KR20110017799A KR 20110017799 A KR20110017799 A KR 20110017799A KR 1020090075460 A KR1020090075460 A KR 1020090075460A KR 20090075460 A KR20090075460 A KR 20090075460A KR 20110017799 A KR20110017799 A KR 20110017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gateway
cpns
entity
personal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1093B1 (ko
Inventor
박성진
황승오
최석훈
이지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5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093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지역에서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CPNS 서비스 가능한 장치가 특정 지역에 진입할 때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Zone CPNS 게이트웨이가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그 장치에게 알려주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경우 CPNS 서버를 통해 전달되는 서비스를 그 장치로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지역 안에 진입할 때 그 특정 지역의 Zone CPNS 게이트웨이가 제공하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Figure P1020090075460
CPNS, 게이트웨이, PN

Description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ZONE}
본 발명은 단말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및 그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단말에서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 가능한 기기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그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및 그 단말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가전(Consumer Electronics :CE) 기기 예컨대,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게임기, Netbook 등의 이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사용자들은 편한 컨텐츠(content) 다운로드 방법을 추구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PC(Personal Computer)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가전 기기에서 재생 가능한 컨텐츠를 검색한 후 검색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한다. 이어, 가전 기기와 PC가 전용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되면, 그 가전 기기는 PC로부터 그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야만 가전 기기에서는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이러한 케이블을 대체하여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 하여 기기 간에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가전 기기 자체가 외부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은 극히 제한적이다. 예를 들어, 일부 가전 기기들은 WiFi를 이용하여 접속 장치(Access Point:AP)가 있는 지역에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어야만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지만 외부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할 수 없는 기기, 즉 가전 기기들이 게이트웨이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원하는 서비스 예컨대, 컨텐츠 다운로드 등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응용 어플리케이션 표준을 담당하는 OMA(Open Mobile Alliance)에서는 CPNS(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를 제안하였다.
CPNS란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의 장치와 실제 서비스 및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와의 조합으로 구성된 하나의 개인 네트워크(Personal Network)를 구성하고 실제 서비스 및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가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장치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서비스/컨텐츠 제공부에 접속함으로써 해당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CPNS 시스템에서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Zone CPNS 게이트웨이가 존재할 경우, 사용자로부터 매번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특정 지역 안에 진입할 때 그 특정 지역의 Zone CPNS 게이트웨이가 제공하고자 하는 특화된(customized)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기능이 제안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지역 기반의 CP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전달받아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엔터티로 전달하는 장치에서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지역에 진입한 하나 이상의 새로운 엔터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된 하나 이상의 새로운 엔터티로 상기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가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정보를 공지하는 과정과, 상기 공지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새로운 엔터티로부터 응답을 수신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엔터티와의 개인망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로 상기 하나 이상의 새로운 엔터티로 제공할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한 서비스 수신 시 상기 개인망을 형성한 하나 이상의 새로운 엔터티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엔터티에서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가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와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가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정보 공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공지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를 허락할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로 허락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허락 메시지에 의해 상기 게이트웨이와의 개인망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전달받아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엔터티로 전달하며,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CPNS(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엔터티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물리적 연결을 담당하는 연결부와, 상기 특정 지역에 진입한 하나 이상의 엔터티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하나 이상의 엔터티에게 자신이 상기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임을 알리고, 제공하는 서비스 및 타입을 공지하고, 상기 서버로 상기 하나 이상의 엔터티로 제공할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한 서비스 수신 시 상기 하나 이상의 엔터티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서비스 관리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엔터티로 보내는 공지에 대한 응답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엔터티와의 개인망 형성을 담당하는 개인망 형성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엔터티에 있어서, 특 정 지역을 담당하는 Zone CPNS(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게이트웨이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물리적 연결을 담당하는 연결부와, 상기 Zone CPNS 게이트웨이가 보내는 서비스 리스트와 타입 공지를 수신하고, 상기 Zone CPNS 게이트웨이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신하는 서비스 관리부와, 상기 공지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허락 결정에 따라 상기 Zone CPNS 게이트웨이와의 개인망 형성을 담당하는 개인망 형성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CPNS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CPNS 게이트웨이를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특정 지역에서의 CPNS 게이트웨이를 통해 그 특정 지역에 특화된 CPN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CPNS 사업자 입장에서는 CPNS 서비스 가능한 단말 장치를 가진 CPNS 사용자들에게 특정 지역에서의 CPNS 게이트웨이를 통해 그 사업자가 추진하는 전략적인 서비스/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의 표준 기구인 OMA(Open Mobile Alliance)의 CPNS(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에서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을 사용할 것이나, 이러한 표준 및 명칭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특정 지역 기반의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CPNS 서비스 가능한 장치가 특정 지역에 진입할 때, 그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Zone CPNS 게이트웨이가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그 장치에게 알려주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경우 CPNS 서버를 통해 전달되는 서비스를 그 장치로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지역 안에 진입할 때 자동으로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일반적인 CPNS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기 위해 도 1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CPNS 시스템의 서비스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사용자가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비스를 요청하고 그 요청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컨텐츠를 요청하고 해당 컨텐츠를 제공받는 경우에 있어서도 각 구성부들의 동작은 동일함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10단계에서 CPNS 게이트웨이(100)와 개인망(Personal Network)을 구성한 개인망 엔터티(Personal Network Entity:PNE)(110)는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CPNS 게이트웨 이(100)에게 전송한다.
그러면 20단계에서 CPNS 게이트웨이(100)는 그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외부 네트워크, 즉 사업자 네트워크에 있는 CPNS 서버(130)로 중계한다. 이에 대응하여 CPNS 서버(130)는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 파악한 후 30단계에서 해당 서비스를 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40)로 파악된 서비스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40)의 예로는 서비스/컨텐츠 제공자(Service/Content Provider)가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40)는 40단계에서 이 요청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CPNS 게이트웨이(100)로 전달하면, 그 CPNS 게이트웨이(100)는 50단계에서 이를 개인망 엔터티(110)에게 전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PNS 시스템의 구성요소들도 일반적인 CPNS 시스템의 구성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각 구성요소들의 역할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PNS 시스템의 구성요소 및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CPNS 시스템은 크게 하나 이상의 개인망 엔터티(Personal Network Entity: PNE)(210, 220), Zone CPNS 게이트웨이(Gateway)(200), CPNS 서버(240)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 역할의 서비스/컨텐츠 제공부(Service/Content Provider)로 이루어진다.
그 중에서도 개인망 엔터티(210, 220)는 직접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이다.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PMP 등이 이에 해당하며, 이 단말 장치들은 장치 내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재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러한 개인망 엔터티(210, 220)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내장하고 있어, 근처에 있는 다른 단말 장치인 개인망 엔터티와 근거리 통신은 가능하지만,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게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없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개인망 엔터티는 개인망 기기(PN Device)라고도 일컬어진다. 이러한 개인망 엔터티(210, 220)는 근거리 통신으로 Zone CPNS 게이트웨이(200)와의 개인망(230)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개인망(230)은 하나의 Zone CPNS 게이트웨이(200)에 여러개의 개인망 엔터티(210, 220)들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개인망(230)을 통해 개인망 엔터티(210, 220)는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Zone CPNS 게이트웨이(200)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는 외부 네트워크, 즉 사업자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CPNS 서버(240)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로는 휴대폰, 셋탑박스(Set top Box) 등이 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개인망을 구성한 여러 개의 개인망 엔터티(210, 220) 로 CPNS 서버(240)로부터의 서비스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는 특정 지역을 담당하므로, 그 특정 지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를 개인망 엔터티에게 제공하기 위해 특정 지역에 진입하는 개인망 엔터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특정 지역이란 Zone CPNS 게이트웨이(200)에서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반경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없이도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는 스스로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자신이 관할하는 지역에 개인망 엔티터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동작인 기기 디스커버리(Device Discovery)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기 디스커버리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CPNS 게이트웨이(200)는 자신이 관할하는 특정 지역에 새롭게 진입한 개인망 엔터티들을 찾을 수 있다.
만일 특정 지역에 개인망 엔터티(210)가 진입했을 경우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는 개인망 엔터티(210)에게 자신이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임을 공지한다. 즉, 특정 지역에서 CPNS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에 있어서 개인망 엔터티(210)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린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인망 엔터티(210)는 그 공지를 통해 Zone CPNS 게이트웨이(200)의 존재를 인식함과 동시에 그 CPNS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음을 인지하게 된다. 이러한 공지에는 상기 자신이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임을 알리는 식별자 및 제공하는 서비스 리스트가 포함되며, 이에 따라 개인망 엔터티(210)는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지를 미리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는 그 공지를 수신한 개인망 엔터티(210)로부터 서비스 허락에 따른 응답이 수신될 경우 그 개인망 엔터티(210)와 개인망을 형성하게 된다. 혹은, 개인망 엔터티의 서비스 허락에 따른 응답 메시지 자체가 개인망 형성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때, 개인망(230)이 형성되고 난 이후에는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는 개인망 엔터티(210)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도 바로 CPNS 서버(240)에게 자신이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는 CPNS 서버(240)로의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자신이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임을 알리는 식별자 및 자신이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CPNS 게이트웨이(200)는 자신이 담당하는 특정 지역에서 CPNS 서비스 가능한 단말 장치인 개인망 엔터티(210, 220)를 발견하는 기기 디스커버리 기능, 자신이 담당하는 서비스를 단말 장치(210,220)에게 알려주는 공지 기능, 단말 장치(210, 220)의 응답에 따라 개인망을 형성하는 기능 및 자신이 담당하는 서비스를 CPNS 서버(240)에게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Zone CPNS 게이트웨이(200)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망 엔터티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물리적 연결을 담당하는 연결부(210)와, 특정 지역에 진입한 하나 이상의 엔터티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하나 이상의 개인망 엔터티에게 자신이 Zone CPNS 게이트웨이라는 것을 알리고, 제공하는 서비스 리스트와 타입을 공지하는 기능과 서버로 상기 개인망 엔터티로 제공할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한 서비스 수신 시 상기 개인망을 형성한 하나 이상의 엔터티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서비스 관리부(230)와, 상기 개인망 엔터티로 보내는 공지에 대한 개인망 엔터티의 응답에 따라 개인망 구성을 담당하는 개인망 형성부 관리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식당, 주유소 등의 특정 지역에 진입항 개인망 엔터티가 발견된 경우에는 CPNS 게이트웨이(200)가 담당하는 서비스 예컨대, 식당 메뉴 전송, 주유소에서 지도 다운로드 등의 서비스를 CPNS 서버(240)를 거쳐 담당 서비스/컨텐츠 제공부(250)에게 요청한다. 이러한 CPNS 게이트웨이(200)에서 제공 가능한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로는, CPNS 사업자가 제공하려는 서비스 또는 다른 CPNS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고자 하는 서비스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인망 엔터티의 사용자는 특정 지역에서 다른 CPNS 사용자 또는 CPNS 사업자가 제공하려는 서비스를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또 다른 특징은 일반적인 CPNS 시스템에서 개인망 엔터티의 사용자가 자신의 CPNS 게이트웨이와 개인망을 형성하는 것과 달리, 다른 개인망 엔터티 사용자 혹은 CPNS 사업자가 제공하는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 기능의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를 이용하여 개인망을 형성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인망 엔터티(210)는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로부터 그 공지를 수신할 경우, 그 Zone CPNS 게이트웨이(200)의 존재와 그 Zone CPNS 게이트웨이(2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인지하게 된다. 그리고나서 개인망 엔터티(210)의 사용자는 그 서비스 제공 허락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서비스를 허락하는 응답 메시지를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해야지만 그 Zone CPNS 게이트웨이(200)와의 개인망(230)이 형성된다. 이에 반해 서비스를 허락하지 않는 경우에는 응답 메시지를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 과정이 종료되게 된다. 다르게는, 서비스를 허락하지 않는 경우에도 응답 메시지가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응답 메시지에는 서비스를 허락하지 않음을 알리는 내용이 포함되며,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는 그 응답 메시지를 근거로 개인망(230)을 형성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개인망 엔터티(210)는 특정 지역에서 Zone CPNS 게이트웨이(200)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사용 유무에 따라 즉, 개인망 엔터티(210)의 응답 여부에 따라 Zone CPNS 게이트웨이(200)와의 개인망 형성 여부가 결정된다.
또한 일반적인 CPNS 시스템에서는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개인망 엔터티(210)가 직접 전송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망 엔터티(210)는 이러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도 특정 지역에 진입했을 때 Zone CPNS 게이트웨이(200)에 의해 제공되는 CPNS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유소에서 주유할 때, 그 주유소에 있는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자동으로 지도 컨텐츠 등을 다운로드받고 사용자는 이러한 컨텐츠를 볼 수 있다.
이러한 개인망 엔터티(210)는, Zone CPNS 게이트웨이(200)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물리적 연결을 담당하는 연결부와, Zone CPNS 게이트웨이(200)가 보내는 서비스 리스트와 타입 공지를 수신하는 기능과, Zone CPNS 게이트웨이(2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신하는 서비스 관리부와, 수신한 공지에 따라 사용자의 결정에 따라 Zone CPNS 게이트웨이(200)와 개인망 구성을 담당하는 개인망 형성부로 구성된다. 개인망 엔터티의 각 구성부는, 상기 Zone CPNS 게이트웨이와 기능부 명칭은 같 지만 담당하는 기능을 다름을 공지한다.
한편, CPNS 서버(240)는 Zone CPNS 게이트웨이(200)와 하나 이상의 개인망 엔터티(210, 220)들을 관리한다. 이러한 CPNS 서버(240)는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로부터 전달되는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여 적절한 서비스/컨텐츠 제공부(250)로의 라우팅을 수행한다. 즉, CPNS 서버(240)는 Zone CPNS 게이트웨이(200)의 서비스 요청에 포함된 서비스 식별자(Indicator)에 따른 서비스/컨텐츠 제공부(250)로 그 서비스 요청을 재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서비스 컨텐츠 제공부(250)는 개인망 엔터티의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CPNS 시스템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는 자신이 담당하는 지역에 새로운 개인망 엔터티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기 디스커버리(Device Discovery)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기 디스커버리 기능의 수행은 사용자의 입력없이 스스로 또는 주기적으로 이루어진다.
Zone CPNS 게이트웨이(200)에서 기기 디스커버리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의 하나의 예로써는,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모든 개인망 엔터티로부터 기기 디스커버리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이다. 이에 따라 300단계에서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모든 개인망 엔터티로 기기 디스커버리 요청을 전송하고, 305단계에서 그 모든 개인망 엔터티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러한 응답 메시지를 통해 모든 개인망 엔터티는 자신의 존재를 Zone CPNS 게이트웨이(200)에게 알린다. 그러면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는 이 응답 메시지들을 보낸 개인망 엔터티들과 이전에 응답 메시지들을 보냈던 개인망 엔터티들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이 담당하는 특정 지역에 새로 진입한 개인망 엔터티를 구분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의 예로써는, 특정 기기 타입 또는 서비스 타입을 지정함으로써 기기 디스커버리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전술한 실시예들 이외에, 기기 디스커버리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만일 기기 디스커버리 기능을 수행함으로 새로운 개인망 엔터티(210)를 발견한 경우 310단계에서 그 개인망 엔터티(210)와 통신 연결을 위한 페어링(pairing)을 수행한다. 도 3에서는 하나의 개인망 엔터티(210)만 도시되어 있지만, 하나 이상의 개인망 엔터티가 발견된 경우에는 그 발견된 개인망 엔터티들과도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와 같이 통신 연결이 완료되면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는 315단계에서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정보를 공지한다. 이러한 서비스 정보는 자신의 식별정보(id), 제공할 서비스 리스트 및 서비스 타입을 포함한다.
이 공지를 받은 개인망 엔터티(210)는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 기능이 있는 Zone CPNS 게이트웨이(200)가 존재함을 인식하고, 동시에 그 Zone CPNS 게이트웨이(200)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리스트 및 타입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나서 320단계에서 이러한 서비스 제공을 수락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만일 이러한 서비스 제공을 수락하지 않을 경우에는 CPNS 서비스가 종료된다. 이와 달리 서비스 제공을 수락할 경우 325단계에서 Zone CPNS 게이트웨이(200)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함을 나타내는 허락(Accept)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허락 메시지는 개인망 엔터티(210)가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에 전송하게 되며, 이 메시지를 통해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는 자신의 서비스를 그 개인망 엔터티(210)가 제공받고자 함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러면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는 330단계에서 개인망 형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335단계에서 그 개인망 엔터티(210)와의 개인망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허락 메시지는 개인망을 형성하고자 하는 요청 메시지로도 사용될 수 있다.
개인망 엔터티(210)와의 개인망을 형성하게 되면,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는 340단계에서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없이도 바로 CPNS 서버(240)에게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와 같이 개인망 엔터티(210)는 서비스 수락 여부만 알려주면 되므로 별도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는 CPNS 서버(240)로 자신이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이 메시지에는 자신이 일반 CPNS 게이트웨이가 아닌 특정 지역의 서비스 제공 기능의 CPNS 게이트웨이임을 알리는 식별정보(id), 자신이 담당하는 서비스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한다. 이때, Zone CPNS 게이트웨이(200)가 담당하는 서비스가 하나 이상일 경우에는 그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대한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CPNS 서버(240)는 그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Zone CPNS 게이트웨이(200)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 기능의 CPNS 게 이트웨이가 존재함을 인지하고, 그 Zone CPNS 게이트웨이(200)가 요청한 서비스 지시자에 따른 서비스/컨텐츠 제공부(250)로 라우팅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350단계에서 CPNS 서버(240)는 Zone CPNS 게이트웨이(200)가 요청한 서비스/컨텐츠를 담당하는 제공부(250)에게 관련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러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서비스/컨텐츠 제공부(250)는 355단계 및 360단계에서 Zone CPNS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개인망 엔터티(210)에게 Zone CPNS 게이트웨이(200)가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CPNS 시스템의 서비스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Zone CPNS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PNS 시스템에서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Zone CPNS 게이트웨이 구성도.

Claims (12)

  1. 외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전달받아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엔터티로 전달하는 장치에서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지역에 진입한 하나 이상의 새로운 엔터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된 하나 이상의 새로운 엔터티로 상기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가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정보를 공지하는 과정과,
    상기 공지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새로운 엔터티로부터 응답을 수신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엔터티와의 개인망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로 상기 하나 이상의 새로운 엔터티로 제공할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한 서비스 수신 시 상기 개인망을 형성한 하나 이상의 새로운 엔터티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정보는,
    상기 장치가 상기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임을 알리는 식별 정보, 상기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 리스트 및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역에 진입한 하나 이상의 새로운 엔터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특정 지역에 있는 모든 엔터티로 기기 디스커버리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모든 엔터티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 메시지를 보낸 모든 엔터티들과 이전의 기기 디스커버리 요청에 따라 응답 메시지들을 보냈던 엔터티들과의 비교를 통해 상기 특정 지역에 새로 진입한 엔터티를 구분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상기 장치가 상기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임을 알리는 식별 정보, 상기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지시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역에 진입한 하나 이상의 새로운 엔터티가 있는지의 판단은,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새로운 엔터티로 제공할 서비스는,
    상기 장치가 담당하는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새로운 엔터티는 CPNS(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가 가능한 단말 장치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CPNS 게이트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근거리 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엔터티에서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가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와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가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정보 공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공지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를 허락할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로 허락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허락 메시지에 의해 상기 게이트웨이와의 개인망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엔터티는 CPNS(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가 가능한 단말 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게이트웨이가 담당하는 상기 특정 지역에 새로 진입한 엔터티를 구분하기 위한 기기 디스커버리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기 디스커버리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11. 외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전달받아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엔터티로 전달하며,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CPNS(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엔터티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물리적 연결을 담당하는 연결부와,
    상기 특정 지역에 진입한 하나 이상의 엔터티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하나 이상의 엔터티에게 자신이 상기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임을 알리고, 제공하는 서비스 및 타입을 공지하고, 상기 서버로 상기 하나 이상의 엔터티로 제공할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한 서비스 수신 시 상기 하나 이상의 엔터티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서비스 관리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엔터티로 보내는 공지에 대한 응답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엔터티와의 개인망 형성을 담당하는 개인망 형성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
  12.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엔터티에 있어서,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Zone CPNS(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게이 트웨이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물리적 연결을 담당하는 연결부와,
    상기 Zone CPNS 게이트웨이가 보내는 서비스 리스트와 타입 공지를 수신하고, 상기 Zone CPNS 게이트웨이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신하는 서비스 관리부와,
    상기 공지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허락 결정에 따라 상기 Zone CPNS 게이트웨이와의 개인망 형성을 담당하는 개인망 형성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장치.
KR1020090075460A 2009-08-14 2009-08-14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21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460A KR101621093B1 (ko) 2009-08-14 2009-08-14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460A KR101621093B1 (ko) 2009-08-14 2009-08-14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799A true KR20110017799A (ko) 2011-02-22
KR101621093B1 KR101621093B1 (ko) 2016-05-16

Family

ID=4377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460A KR101621093B1 (ko) 2009-08-14 2009-08-14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0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7917A1 (ko) * 2011-08-24 2013-02-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Cpns 환경에서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3027916A1 (ko) * 2011-08-24 2013-02-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Cpns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24992A (ko) * 2011-08-24 2013-03-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통합 개인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D781847S1 (en) 2014-10-06 2017-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7917A1 (ko) * 2011-08-24 2013-02-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Cpns 환경에서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3027916A1 (ko) * 2011-08-24 2013-02-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Cpns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24992A (ko) * 2011-08-24 2013-03-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통합 개인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D781847S1 (en) 2014-10-06 2017-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093B1 (ko)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428B1 (ko) Cpns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인망 형성 장치 및 방법
US9369342B2 (en) Configuring captive portals with a cloud service
KR101674903B1 (ko) 개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328779B1 (ko) 이동 단말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296162B1 (ko) 무선랜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8029012A (zh) 配置文件处理方法、配置文件处理装置、用户终端及eUICC
KR20160002211A (ko) 단말의 프로파일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1680715B1 (ko) 개인 네트워크 등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918256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401500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controlled p2p device discovery
KR20110137917A (ko) Pn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한 개인 네트워크의 구성 장치 및 방법
KR20130048947A (ko)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표시 방법, 컨텐츠 제공 방법, 상기 컨텐츠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10017799A (ko)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105024B1 (ko) 특별 영역에서의 이동국 존재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JP6182060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KR20120050367A (ko) 개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9088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
EP295051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KR20130015980A (ko) Cpns시스템에서 개인망과 cpns서버의 접속 관리 방법
KR101676432B1 (ko) 무선 와이파이 환경에서 사물인터넷 보드와 응용 서버의 탐색 및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199954A (ja) フェムトセル情報サーバ、フェムトセル基地局、フェムトセルの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039480A (ja) WiFi接続システム、アクセスポイント情報管理装置、WiFi接続端末、アクセスポイント選択方法、WiFi接続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選択プログラム及びWiFi接続プログラム
KR101854390B1 (ko) Cpns 환경에서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3089486A1 (ko) 개인 네트워크 관리 방법
KR101833256B1 (ko) Cpns 환경에서 개인망 엔티티의 인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