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174A -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휴대용 부항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휴대용 부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174A
KR20110017174A KR1020090074723A KR20090074723A KR20110017174A KR 20110017174 A KR20110017174 A KR 20110017174A KR 1020090074723 A KR1020090074723 A KR 1020090074723A KR 20090074723 A KR20090074723 A KR 20090074723A KR 20110017174 A KR20110017174 A KR 20110017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ping
pump
laser
unit
ai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2837B1 (ko
Inventor
정병조
이용흠
이경중
손태윤
여창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74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83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부항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항기의 용기 본체 내에 압력펌프, 레이저 다이오드, 제어부, 배터리 등 필요한 구성부가 전부 내장된 휴대용 부항기로서, 부항기의 용기 본체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이저 다이오드를 환부에 밀착시킨 상태로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부항 시술에 의한 혈액 순환 촉진, 체내 독소 배출 및 면역 기능 향상과 같은 부항 치료 효과를 증대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휴대용 부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항기 본체가 컵 형태로 피부에 장착하도록 이루어지되, 배터리, 펌프, 레이저 조사부를 내부에 내장하고 있는 휴대용 부항기에 있어서,
부항기 본체의 외측 일측에 홀이 위치되며 상기 홀과 펌프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로, 펌프와 부항기 본체 외부와의 사이에 공기의 유통 및 차단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외측 공기 통로; 부항기 본체의 내측 일측에 내측 통기공이 위치되며 상기 내측 통기공과 펌프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로, 펌프와 부항기 본체 내측과의 사이에 공기의 유통 및 차단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내측 공기 통로; 부항기 본체 상단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온오프(ON/OFF) 스위치를 포함하는 설정부; 상기 설정부로 부터 입력된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펌프와 레이저 조사부를 구동시키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항기, 전원장치, 공기 배출수단, 지지부재, 레이저 다이오드, 공기 통로

Description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휴대용 부항 장치{Potable cupping system with laser diode}
본 발명은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부항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항기의 용기 본체 내에 압력펌프, 레이저 다이오드, 제어부, 배터리 등 필요한 구성부가 전부 내장된 휴대용 부항기로서, 부항기의 용기 본체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이저 다이오드를 환부에 밀착시킨 상태로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부항 시술에 의한 혈액 순환 촉진, 체내 독소 배출 및 면역 기능 향상과 같은 부항 치료 효과를 증대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휴대용 부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민간 치료요법으로 사용되는 진공정혈 치료법 중 하나인 부항 시술은 환자의 환부에 포함된 체내의 독소를 배출시키거나 사혈을 제거하여 혈액을 정화함으로써, 환자의 혈액 순환과 조혈 작용을 증대시켜 상처 치료 회복을 돕거나 면역 기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부항 시술은, 부항기를 환자의 피부에 밀착시켜 부항기 본체 내부를 진공상태로 함으로써, 환부 근육 및 신경이 이완되어 확대된 땀구멍을 통해서 체내 에 포함된 사혈이나 농과 같은 노폐물 혹은 유해가스와 같은 독소를 피부 밖으로 배출함으로써,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 정화, 국소 혈관확장, 진통 및 소염 작용을 행하는 동시에 신진 대사를 촉진하여 면역 기능도 향상시킨다.
또한, 부항 시술에 의해 환자 피부의 붓기가 가라앉으면 혈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노폐물 혹은 독소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환자의 피부에 저출력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치료요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항 시술 및 레이저 치료요법이 별개로 시행되는 것을 개선한 부항기가 개발되었으나, 종래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부항기들은 피부에 직접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하더라도 단지 닿기만 한 정도에서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저출력레이저의 특성상 피하층에 깊이 투과하지 못하여 치료효과가 미미하게 되며, 음압 및 레이저를 제공하기위한 별도의 해당 시스템을 필요로 하여 이동성 및 휴대성에 제한이 있었다.
도 1은 종래 부항기를 설명하기위한 종래 부항기의 요부 발췌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부항기는, 흡읍기에 그 일단이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구비된 플랙시블한 흡입호스와, 상기 흡입호스의 타단이 그 상단부의 결합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며, 이 결합부에는 결합부의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된 개폐부재가 구비된 부항캡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항기의 부항캡(100) 내부에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치료소자가 설치된다. 이때, 치료소자는 부항캡(100) 내부에 설치되어 환부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사용시 열원이 발생되지 않는 조건을 갖는다. 이를 위해 치료소자는 열원 이 발생하지 않는 레이저 다이오드(200)가 선택되는데 이 레이저 다이오드는 환부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부항캡(100) 상단에 설치되고 전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전기장치(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부항기 외부에 음압을 가하기위한 장치등과 레이저를 제공하기위한 별도의 해당 시스템을 더 구비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부항기의 사용은, 먼저 환부에 부항캡(100)을 위치시킨 후 통상의 방법을 통하여 부항캡을 환부에 진공 상태로 밀착 고정시킨다.
이후 환부의 사혈이 제거되고 레이저 다이오드(200)측에 전원을 인가하면 이 레이저 다이오드는 환부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환부에 골고루 레이저를 조사하게 된다. 이때 레이저 다이오드(200)는 그 특성상 열원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부항캡 내부가 열원에 의해 팽창하지 않으므로 계속적인 치료를 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부항기는 환자 피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레이저를 조사하므로 환자 피부의 피하층에 깊이 레이저가 투과하지 못하여 레이저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저출력레이저의 특성상 피하층에 깊이 투과하지 못하여 치료효과가 미미하다.
또한, 종래의 부항기는 별개의 음압시스템 및 레이저 시스템을 필요로 하므로, 이동성이나 휴대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항기의 내부에 환자 피부와 직접 접촉하도록 레이저 조사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레이저 치료효과를 향상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부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항기의 내부에 음압시스템 및 레이저 시스템을 함께 설치함으로써, 이동성 및 휴대성을 높이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부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이외의 목적, 특징, 양상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결합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부항기 본체가 컵 형태로 피부에 장착하도록 이루어지되, 배터리, 펌프, 레이저 조사부를 내부에 내장하고 있는 휴대용 부항기에 있어서,
부항기 본체의 외측 일측에 홀이 위치되며 상기 홀과 펌프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로, 펌프와 부항기 본체 외부와의 사이에 공기의 유통 및 차단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외측 공기 통로; 부항기 본체의 내측 일측에 내측 통기공이 위치되며 상기 내측 통기공과 펌프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로, 펌프와 부항기 본체 내측과의 사이에 공기의 유통 및 차단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내측 공기 통로; 부항기 본체 상단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온오프(ON/OFF) 스위치를 포함하는 설정부; 상기 설정부로 부터 입력된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펌프와 레이저 조사부를 구동시 키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항기 본체 내측에 내장되며, 부항기 본체 외부로 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부항기 본체 내측으로 공기를 토출하거나 부항기 본체 내측으로 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부항기 본체 외부로 토출하도록 이루어진 펌프; 부항기 본체의 외측 일측에 홀이 위치되며 상기 홀과 상기 펌프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로, 상기 펌프와 부항기 본체 외부와의 사이에 공기의 유통 및 차단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외측 공기 통로; 부항기 본체의 내측 일측에 내측 통기공이 위치되며 상기 내측 통기공과 상기 펌프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로, 상기 펌프와 부항기 본체 내측과의 사이에 공기의 유통 및 차단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내측 공기 통로; 일단이 부항기 본체 내측의 중앙부에 장착되며 다른 일단에 레이저 다이오드가 장착되어 있는 지지부재;
상기 펌프와 레이저 조사부를 구동시키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항기 본체 상단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온오프(ON/OFF) 스위치를 포함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지지부재와 레이저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이 부항기 본체 내측의 중앙부에 장착되며 다른 일단에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부는 부항기의 사용시간을 설정하여 설정시간 후 자동으로 부항기의 구동이 오프(OFF) 되게 하는 사용시간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설정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연산처리하고 이에 따라 펌프제어신호 또는 레이저제어신호 생성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로부터 레이저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시키는 레이저 구동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로부터 펌프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펌프를 구동시키는 펌프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는 충전가능한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펌프는 음압을 가하기 위해 내측 공기 통로를 통해 부항기 내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측 공기 통로와 홀을 통해 토출하며, 음압을 제거하기 위해 부항기 본체의 외부에서 홀과 외측 공기 통로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내측 공기 통로를 통해 부항기 본체의 내측에 토출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프는 압력펌프 또는 진공펌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길이를 조정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항기 본체는 투명한 유리 또는 불투명한 도자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압력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항기 본체가 컵 형태로 피부에 장착하도록 이루어지되, 배터리, 펌프, 레이저 조사부를 내부에 내장하고 있는 휴대용 부항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사용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설정 데이터 입력단계; 온/오프(ON/OFF) 스위치가 온(ON)상태이면, 음압발생을 위한 펌프제어신호와 레이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부항기구동 제어신호 생성단계; 상기 부항기구동 제어신호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음압발생을 위한 펌프제어신호를 펌프구동부로 출력하여 부항기 에 음압을 발생시켜 유지하는 음압발생 및 유지단계; 상기 부항기구동 제어신호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레이저 제어신호를 레이저구동부로 출력하여 레이저가 조사되게 하는 레이저조사단계; 상기 설정 데이터 입력단계에서 설정된 사용시간과 부항기 구동시간이 같은지 판단하여 아직 같지 않았다면, 음압을 계속 유지하며, 레이저를 계속 조사하게 하는 부항기구동 지속여부 판단단계; 상기 부항기구동 지속여부 판단단계에서 설정된 사용시간과 부항기 구동시간이 같다면 레이저 제어신호의 출력을 종료하고 레이저조사를 종료하게 하는 레이저조사 종료단계; 상기 레이저조사 종료단계후, 음압제거을 위한 펌프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펌프구동부로 출력하여 부항기의 음압을 제거하게 하는 부항기의 음압제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항기 용기 본체 내부에 공기 배출수단 및 레이저 조사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부항기에 이동성이나 휴대성을 갖게 하여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부항 시술 및 레이저 치료를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항기 용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레이저 다이오드가 환자 피부와 직접 접촉하므로,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가 환자의 피부 피하층까지 깊숙히 투과하므로 레이저 치료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항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부항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 부항기 본체(10), 설정부(31), 구동제어부(35), 배터리(33), 펌프(51), 지지부재(71), 레이저 다이오드(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부항기 본체(10)는 컵 형태로 피부에 장착하도록 이루어지며, 구동제어부(35), 배터리(33), 펌프(51)를 내부에 내장하고 있으며, 부항기 본체(10) 외측 일측에 펌프(51)과 외부와의 공기의 유통 및 차단이 가능한 홀(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항기가 피부에 밀착되었을 경우 부항기 본체(10) 내측에 펌프(51)를 이용하여 음압을 가하기 위해, 부항기 본체(10) 내측 일측에 펌프(51)와 연결된 내측 공기 통로(A)를 구비한다. 부항기 본체(10)는 투명한 유리 또는 불투명한 도자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부항기 본체(10)는 적외선 방사물질 또는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홀(11)과 펌프(51)의 사이에 공기를 전달하는 외측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홀(11)에는 부항기 본체(10)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 유통을 차단하는 개폐 가능한 차단밸브(H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단밸브(H1)는 유리, 도자기 혹은 고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공기 통로(A)에 있어서, 부항기 본체(10) 내측에 내측 통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기공과 펌프 사이에 내측 공기 통로(A)가 형성되어 있다.
설정부(31)는 부항기 본체(10) 상단부에 위치하며, 온오프(ON/OFF) 스위치 (미도시), 모드설정부(미도시), 사용시간설정부(미도시) 등을 구비한다. 도 2에서는 설정부(31)가 부항기 본체(10)의 상단에 위치하나 이는 사용자가 스위치 조작이 편리한 부항기 본체(10)의 어디에도 설치될 수 있다.
온오프(ON/OFF) 스위치는 부항기의 구동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치이다.
모드설정부는 부항기의 구동에 있어, 부항기의 구동만 할 것인지, 레이저 조사만 할 것인지, 부항기 및 레이저 조사를 동시에 할 것인지를 정할 수 있다.
사용시간설정부는 부항기의 사용시간을 설정하여 설정시간 후 자동으로 부항기의 구동이 오프(OFF) 되게 한다.
구동제어부(35)는 설정부(31)로 부터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압력펌프 또는 레이저를 구동시킨다. 구동제어부(35)는 마이크로컨트롤러(미도시), 레이저 구동부(미도시), 펌프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미도시)는 설정부(31)로 부터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연산처리하고 이에 따라 펌프제어신호 또는 레이저제어신호 생성한다.
즉,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펌프(51)를 이용하여 부항기 본체(10) 내측의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나, 레이저 다이오드(73)를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수단(70)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등과 같은 각종 소프트웨어 및 운영 프로그램을 저장 또는 재기록하는 ROM이나 RAM과 같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구동부(미도시)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로부터 레이저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레이저 다이오드(73)를 구동시킨다.
펌프구동부(미도시)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로부터 펌프제어신호를 수신하 여 펌프(51)를 구동시킨다.
배터리(33)는 설정부(31), 구동제어부(35), 펌프(51), 레이저 다이오드(73) 등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배터리(33)는 1회만 사용하는 배터리 또는 충전에 의해 재사용하는 배터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터리는 알카라인, 리튬, 아연탄소, 망간, 니켈 카드뮴, 니켈 망간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33)는 부항기 본체(10)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펌프(51)는 홀(11)(외측 공기통로)과 내측 공기 통로(A)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고 흡입하는 펌프이다. 즉, 부항기가 피부에 밀착되어 부항기 구동을 온(on)시키는 경우 음압을 가하기 위해 부항기 본체(10) 내측에 펌프(51)를 이용하여 내측 공기 통로(A)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홀(11)(외측 공기 통로)를 통해 토출하며, 부항기 구동을 오프(off)시키는 경우 음압을 제거하기 위해 펌프(51)를 이용하여 부항기 본체(10) 외측에서 홀(11)(외측 공기 통로)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내측 공기 통로(A)를 통해 부항기 본체(10) 내측에 토출한다. 펌프(51)는 압력펌프 또는 진공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재(71)는 일단이 피부에 접촉되며, 다른 일단이 부항기 본체(10) 내측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피부와 접촉되는 일단에 레이저 다이오드(73)가 장착되어 있다. 지지부재(71)는 레이저 다이오드(73)가 피부와 접촉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지지부재(71)는 그 길이를 조정가능하도록 이루어져, 레이저 다이오드(73)가 피부로 부터 일정 위치에 떨어져 위치될 수도 있다. 이경우 지지부재(71)는 안테나처럼 절첩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재(71)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재(71)는 소정의 압력에 따라 환자 피부와 접촉한 상태로 피부의 융기에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금속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다이오드(73)는 지지부재(71)의 일단에 장착되어 환부에 근접하여, 환부에 레이저를 제공하는 다이오드이다. 이를 통해 환부에 열, 레이저 등이 제공된다. 레이저 다이오드(73)는 적외선 등의 소정 주파수대의 레이저의 다이오드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 다이오드(73)와 지지부재(71)를 합하여 레이저 조사수단(70)이라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부항기의 구동 종료를 알리는 알람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부항기의 구동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a 및 4b는 부항기로 음압을 발생함과 동시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경우의 구동제어부(35)의 마이크로컨트롤러의 구동방법을 나타낸다.
설정 데이터 입력단계로, 사용시간 등의 설정 데이터를 입력한다(S110). 즉, 시술하고자 하는 환자의 피부에 부항기 본체(10)를 위치시킨 후,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단부에 설치된 설정부(31)로 설정 데이터를 입력한다.
부항기 시작여부 판단단계로, 설정부(31)의 온/오프(ON/OFF) 스위치가 온(ON)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온(ON)상태가 아니면, 설정부(31)의 온/오프(ON/OFF) 스위치가 온(ON)상태가 될때까지 기다린다(S120). 즉, 설정부(31)의 온/오프(ON/OFF) 스위치를 온(ON)으로 조작하면,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각종 기기로 전원이 공급된다.
부항기구동 제어신호 생성단계로, 음압발생을 위한 펌프제어신호를 생성하며, 또한 레이저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130). 여기서, 음압발생을 위한 펌프제어신호는 부항기 본체(10) 내측에 펌프(51)를 이용하여 내측 공기 통로(A)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홀(11)(외측 공기 통로)를 통해 토출하도록 하는 펌프제어신호이다.
음압발생 및 유지단계로, 생성된 음압발생을 위한 펌프제어신호를 펌프구동부로 출력하여 부항기에 음압을 발생시켜 유지한다(S140). 즉, 내측 공기 통로(A)와 부항기 본체(10)에 형성된 홀(11)(외측 공기 통로)을 통해서 부항기 본체(10) 내부의 공기가 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부항기 본체(10) 내부가 진공상태에 도달되면, 상기 환자 피부와 접촉하고 있는 지지부재(71)와 지지부재(71)의 하단에 설치된 레이저 다이오드(73)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환자 피부와 함께 서서히 융기된다.
도 2 내지 도 4a, 4b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은 부항기 본체(10) 내측의 진공상태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부항기 본체(10) 내부가 진공상태에 도달여부를 판단하여, 진공상태에 도달시 레이저조사단계(S150)로 가서, 레이저 다이오드(73)를 구동해서 환자의 피부로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레이저조사단계로, 생성된 레이저 제어신호를 레이저구동부로 출력하여 레이저가 조사되게 한다(S150).
부항기 지속여부 판단단계로, 설정된 사용시간의 종료여부를 판단하여, 아직 종료되지 않았다면, 음압발생 및 유지단계(S140)로 되돌아가 음압을 계속 유지하 며, 레이저를 계속 조사하게 한다(S160).
레이저조사 종료단계로, 부항기 지속여부 판단단계(S160)에서 설정된 사용시간이 종료되었다면, 레이저 제어신호의 출력을 종료하고 레이저조사를 종료하게 한다(S170). 즉, 설정 데이터 입력단계에서 설정된 사용시간과 부항기 구동시간이 같은지 판단하여 아직 같지 않았다면, 음압을 계속 유지하며, 레이저를 계속 조사하게 한다.
부항기종료 제어신호 생성단계로, 음압제거을 위한 펌프제어신호를 생성한다(S180). 즉, 음압제거을 위한 펌프제어신호는 펌프(51)를 이용하여 부항기 본체(10) 외측에서 홀(11)(외측 공기 통로)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내측 공기 통로(A)를 통해 부항기 본체(10) 내측에 토출하도록 하는 펌프제어신호이다.
부항기의 음압제거단계로, 음압제거을 위한 펌프제어신호를 펌프구동부로 출력하여 부항기의 음압을 제거하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기 배출수단 및 레이저 조사수단을 부항기 용기 본체에 함께 설치한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부항기를 제공하여, 이동성 및 휴대성을 높여 장소 에 관계없이 환자의 피부에 대해서 부항 시술 및 레이저 치료를 효율적으로 실시한다.
도 1은 종래 부항기를 설명하기위한 종래 부항기의 요부 발췌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항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항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부호의 설명*
10 : 부항기 본체, 11 : 홀, 31 : 설정부
35 : 구동제어부, 33 : 배터리, 51 : 펌프
71 : 지지부재, 73 : 레이저 다이오드,
A : 내측공기통로, H1 : 차단밸브

Claims (13)

  1. 부항기 본체가 컵 형태로 피부에 장착하도록 이루어지되, 배터리, 펌프, 레이저 조사부를 내부에 내장하고 있는 휴대용 부항기에 있어서,
    부항기 본체의 외측 일측에 홀이 위치되며 상기 홀과 펌프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로, 펌프와 부항기 본체 외부와의 사이에 공기의 유통 및 차단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외측 공기 통로;
    부항기 본체의 내측 일측에 내측 통기공이 위치되며 상기 내측 통기공과 펌프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로, 펌프와 부항기 본체 내측과의 사이에 공기의 유통 및 차단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내측 공기 통로;
    부항기 본체 상단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온오프(ON/OFF) 스위치를 포함하는 설정부;
    상기 설정부로 부터 입력된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펌프와 레이저 조사부를 구동시키는 구동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부항기.
  2. 부항기 본체가 컵 형태로 피부에 장착하도록 이루어지되, 배터리, 레이저 조사부를 내부에 내장하고 있는 휴대용 부항기에 있어서,
    부항기 본체 내측에 내장되며, 부항기 본체 외부로 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부항기 본체 내측으로 공기를 토출하거나 부항기 본체 내측으로 부터 공기를 흡입하 여 부항기 본체 외부로 토출하도록 이루어진 펌프;
    부항기 본체의 외측 일측에 홀이 위치되며 상기 홀과 상기 펌프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로, 상기 펌프와 부항기 본체 외부와의 사이에 공기의 유통 및 차단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외측 공기 통로;
    부항기 본체의 내측 일측에 내측 통기공이 위치되며 상기 내측 통기공과 상기 펌프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로, 상기 펌프와 부항기 본체 내측과의 사이에 공기의 유통 및 차단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내측 공기 통로;
    일단이 부항기 본체 내측의 중앙부에 장착되며 다른 일단에 레이저 다이오드가 장착되어 있는 지지부재;
    상기 펌프와 레이저 조사부를 구동시키는 구동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부항기.
  3. 제2항에 있어서,
    부항기 본체 상단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온오프(ON/OFF) 스위치를 포함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부항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지지부재와 레이저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이 부항기 본체 내측의 중앙부에 장착되며 다른 일단에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부항기.
  5.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부항기의 사용시간을 설정하여 설정시간 후 자동으로 부항기의 구동이 오프(OFF) 되게 하는 사용시간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부항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설정부로 부터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연산처리하고 이에 따라 펌프제어신호 또는 레이저제어신호 생성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로부터 레이저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시키는 레이저 구동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로부터 펌프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펌프를 구동시키는 펌프구동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부항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충전가능한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부항기.
  8.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음압을 가하기 위해 내측 공기 통로를 통해 부항기 내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측 공기 통로와 홀을 통해 토출하며,
    음압을 제거하기 위해 부항기 본체의 외부에서 홀과 외측 공기 통로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내측 공기 통로를 통해 부항기 본체의 내측에 토출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부항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압력펌프 또는 진공펌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부항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길이를 조정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부항기.
  11. 제5항에 있어서,
    부항기 본체는 투명한 유리 또는 불투명한 도자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부항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압력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부항기.
  13. 부항기 본체가 컵 형태로 피부에 장착하도록 이루어지되, 배터리, 펌프, 레이저 조사부를 내부에 내장하고 있는 휴대용 부항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사용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설정 데이터 입력단계;
    온/오프(ON/OFF) 스위치가 온(ON)상태이면, 음압발생을 위한 펌프제어신호와 레이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부항기구동 제어신호 생성단계;
    상기 부항기구동 제어신호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음압발생을 위한 펌프제어신호를 펌프구동부로 출력하여 부항기에 음압을 발생시켜 유지하는 음압발생 및 유지단계;
    상기 부항기구동 제어신호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레이저 제어신호를 레이저구동부로 출력하여 레이저가 조사되게 하는 레이저조사단계;
    상기 설정 데이터 입력단계에서 설정된 사용시간과 부항기 구동시간이 같은지 판단하여 아직 같지 않았다면, 음압을 계속 유지하며, 레이저를 계속 조사하게 하는 부항기구동 지속여부 판단단계;
    상기 부항기구동 지속여부 판단단계에서 설정된 사용시간과 부항기 구동시간이 같다면 레이저 제어신호의 출력을 종료하고 레이저조사를 종료하게 하는 레이저조사 종료단계;
    상기 레이저조사 종료단계후, 음압제거을 위한 펌프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펌프구동부로 출력하여 부항기의 음압을 제거하게 하는 부항기의 음압제거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부항기의 구동방법
KR1020090074723A 2009-08-13 2009-08-13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휴대용 부항 장치 KR101042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723A KR101042837B1 (ko) 2009-08-13 2009-08-13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휴대용 부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723A KR101042837B1 (ko) 2009-08-13 2009-08-13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휴대용 부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174A true KR20110017174A (ko) 2011-02-21
KR101042837B1 KR101042837B1 (ko) 2011-06-21

Family

ID=4377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723A KR101042837B1 (ko) 2009-08-13 2009-08-13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휴대용 부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8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316B1 (ko) * 2010-06-30 2013-03-14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터치 센서 내장형 레이저 부항 장치
KR102093081B1 (ko) * 2019-12-17 2020-03-24 주식회사 신우메디랜드 레이저 치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313B1 (ko) * 2011-07-08 2013-05-28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수직으로 이동되는 조사부를 갖는 레이저 부항기
KR101292564B1 (ko) * 2011-08-25 2013-08-09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수직으로 이동되는 고주파 발생부를 가지는 부항 장치
KR101585151B1 (ko) 2015-08-31 2016-01-13 (주)에스디생명공학 맞춤형 복합자극이 가능한 피부 기능 개선용 입체 음압 복합 자극기 모듈
KR101788725B1 (ko) * 2015-10-21 2017-11-15 (주)굿플 비침습 레이저 통증 완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510B1 (ko) * 1999-03-23 2002-05-31 정우협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KR100663222B1 (ko) * 2000-07-14 2007-01-03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스로어웨이식 절삭 공구
KR100385505B1 (ko) * 2001-03-13 2003-05-27 장계숙 레이저 조사수단을 갖는 원적외선 방사체로 되는 부황기
KR200243219Y1 (ko) 2001-05-08 2001-10-15 이천한 레이저 다이오드를 갖는 부항기
TWI232348B (en) * 2001-12-26 2005-05-11 Pentax Corp Projection aligner
KR200376206Y1 (ko) 2004-12-02 2005-02-23 노주석 부항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316B1 (ko) * 2010-06-30 2013-03-14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터치 센서 내장형 레이저 부항 장치
KR102093081B1 (ko) * 2019-12-17 2020-03-24 주식회사 신우메디랜드 레이저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837B1 (ko) 201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837B1 (ko)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휴대용 부항 장치
KR101686783B1 (ko)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휴대용 피부 미용기
EP2265238B1 (en) Handpiece for ultrasound treatments of human tissue
KR101292562B1 (ko) 고주파를 이용한 부항 장치
KR100339510B1 (ko)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KR102409168B1 (ko) 석션형 고주파 미용기기
KR101226717B1 (ko) 모기 타액 분해를 위한 적외선 치료기구
KR101268313B1 (ko) 수직으로 이동되는 조사부를 갖는 레이저 부항기
KR101128044B1 (ko) 초음파 처리 장치
KR20220142908A (ko) 알에프전극의 극성 스위칭수단과 진공캡을 구비한 핸드피스
KR101142019B1 (ko)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 장치
KR101142020B1 (ko) 내부 압력 감지형 레이저 부항 장치
KR100367360B1 (ko)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KR101292564B1 (ko) 수직으로 이동되는 고주파 발생부를 가지는 부항 장치
KR20070098234A (ko) 원적외선 및 자력이 발산되는 부항기
KR200475326Y1 (ko) 복합적 자극이 가능한 원터치형 부항 컵
CN213554086U (zh) 一种廉价创伤负压治疗仪
KR200243219Y1 (ko) 레이저 다이오드를 갖는 부항기
KR101240316B1 (ko) 터치 센서 내장형 레이저 부항 장치
KR101692280B1 (ko) 의료기용 진공 펄스 발생 장치 및 의료기용 진공 펄스를 발생하는 방법
CN215961433U (zh) 一种多功能拔罐式热敷药物渗透治疗仪
KR102289863B1 (ko) 인가 전력을 제어하는 고주파 피부 치료기
WO2010016243A1 (ja) 超音波処理装置
CN110812702A (zh) 基于远红外线及磁场切割的智能吸附理疗仪及其理疗方法
KR20170027042A (ko) 고주파 전기 자극 및 저출력 레이저 조사 기능을 갖는 부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