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076A -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076A
KR20110017076A KR1020090074569A KR20090074569A KR20110017076A KR 20110017076 A KR20110017076 A KR 20110017076A KR 1020090074569 A KR1020090074569 A KR 1020090074569A KR 20090074569 A KR20090074569 A KR 20090074569A KR 20110017076 A KR20110017076 A KR 20110017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ealth care
gps
mobile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7465B1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덴스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덴스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덴스플랜
Priority to KR1020090074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4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통해 건강관리기능을 기지는 건강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수단을 구비하여 이동단말기의 구동 및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GPS신호 수신이 양호한 지역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고도에 대한 GPS 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와,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음영지역에서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거리에 대한 고도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GPS수신부 및 센서부를 통해 수신 또는 측정된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거리에 대한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트랙데이터를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산출되는 트랙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통신망을 이용한 상기 건강관리서버와의 송수신을 통해 상기 트랙데이터를 전송하며, 운동량 및 건강관리방법을 수신받는 송수신부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적정 운동량, 건강관리방법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GPS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수신이 양호하지 않는 지역을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운동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동한 운동량 및 시간대별 또는 거리별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고 이에 따른 적합한 트래킹 코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GPS, 위치정보, 운동량, 건강관리, 단말기

Description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Mobile health device and that method usong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건강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GPS신호 수신 양호한 지역에서 GPS 정보를 수신받으며,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않은 음영지역에서는 자체적으로 마련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산출하며 이에 따라 적정 운동량을 제공하고, 신규 운동량 정보가 없는 경우 기간별 운동량 통계에 따른 적정 운동량 및 트래킹 코스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하고 있는 문명사회에서 현대인들의 평균 신장과 체중 그리고 수명은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의 건강은 운동 부족으로 인하여 갈수록 약해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건강과 관련된 상품들은 건강식, 간강보조용품, 운동기구 등에 이르기까지 폭발적인 관심과 수요가 발생하고 있으며, 반면에 잘못된 정보의 전달로 인한 피해 사례도 늘어가고 있다.
특히 서구형의 신체에 대한 잘못된 환상과 운동 부족에 의한 비만 환자가 증 가하여 잘못된 다이어트에 관한 정보의 폐해는 나날이 커지고 있어 적당한 유산소 운동에 의한 건강관리에 대한 의식의 전환과 보급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섭취한 음식의 양이, 일상적인 활동의 운동량에 의한 소비보다 많으면, 에너지 불균형의 결과로 소비되지 않고 남은 과잉의 에너지가 지방 조직의 체지방으로 축적되며, 반면 섭취한 음식의 양이 부족하면 체력의 감쇠가 나타나며, 섭취한 음식의 양이 지속적으로 적으면 건강을 해치게 되며 심각한 영양실조를 유발하기도 한다.
자신이 섭취한 음식의 양에 적합한 일상적 활동과 운동에 의한 에너지 소비량을 파악하고 섭취한 영양에 비례한 활동을 하기에는, 측정 장치가 고가이거나 일반인이 사용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고, 대개는 운동과 활동의 양을 대략적으로 추측하여 섭취한 식사의 에너지가 적당한지에 관해 관리를 하거나, 개인의 감각과 생각에 의존한 관리를 하므로 정확하지가 않은 단점이 있다.
한편, 일반인들이 가장 손쉽게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운동으로는 가벼운 산책이나 조깅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는 이러한 유산소 운동은 건강, 다이어트 및 각종 질병의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산책이나 조깅에 사용되는 보조 수단은 운동 시간을 측정하는 시계와 걸음의 횟수를 측정하는 만보계가 그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만보계는 하루에 몇 보를 걸었는지 그 횟수를 측정하여 판단하도록 되어 있으나, 도보와 조깅의 그 효과는 큰 차이가 있으며, 도보의 경우에도 느린 걸음과 빠른 걸음 때의 칼로리 소모량은 거의 배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실제 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그 정확성이 크게 떨어진다.
따라서, 운동에 따른 칼로리의 소비는 체중과 성별 그리고 시간에 따른 이동 거리를 변수로 하는 식으로 계산되어 소모 칼로리를 계산하는 방법과 프로그램의 발달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 정확한 거리를 알고 있는 구역을 운동하는 방법 이외에는 그 운동 거리와 속도를 정확하게 산출하여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하는 마땅한 수단이 없어 건강관리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GPS기기를 이용한 위치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운동시 운동거리와 위치를 통한 운동량을 산출하는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단말기는 GPS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수신이 양호하지 않은 지역을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의 이동거리나 이동속도 등의 정보를 정확히 측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대한 정확한 운동량을 정확히 산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마련된 센서를 이용하여 GPS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수신이 양호하지 않는 지역을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의 이동거리나 이동속도 등의 정보가 포함된 트랙데이터를 산출하며 이에 따른 정확한 운동량을 계산할 수 있는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한 운동량 및 시간대별 또는 거리별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고 이에 따른 적합한 트래킹 코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건강관리기능을 제공하는 GPS를 이용한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입력수단을 구비하여 이동단말기의 구동 및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GPS신호 수신이 양호한 지역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고도에 대한 GPS 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와,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음영지역에서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거리에 대한 고도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GPS수신부 및 센서부를 통해 수신 또는 측정된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거리에 대한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트랙데이터를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산출되는 트랙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관리서버와의 송수신을 통해 상기 트랙데이터를 전송하며, 운동량 및 건강관리방법을 수신받는 송수신부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적정 운동량, 건강관리방법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서 GPS신호 수신 양호한 지역에서 GPS 정보를 수신받고,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않은 음영지역에서는 자체적으로 마련된 센서를 이용하여 트랙데이터를 산출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건강관리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음영지역에서 사용자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와,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음영지역에서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와,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음영지역에서 사용자의 걸음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진동센서와,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음영지역에서 사용자의 이동거리에 대한 고도를 감지하는 고도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음영지역에서 사용자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음영지역에서 사용자의 이동 거리에 따른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는 GPS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GPS 시간신호를 수신받아 시간을 주기적으로 동기화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랙데이터 및 상기 고도 정보를 이용한 운동량을 계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트랙데이터 및 운동량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간대별 또는 거리별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적정 운동량 및 건강관리방법에 따라 적합한 트래킹 코스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관리서버와의 송수신을 통해 상기 트랙데이터를 전송하며, 운동량 및 건강관리방법, 트래킹 코스를 수신받는 송수신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GPS 위치정보를 통하여 건강관리기능을 제공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키, 몸무게를 포함한 신체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단말기에 GPS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와, GPS신호 수신이 양호한 경우 GPS수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고도에 대한 GP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경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거리에 대한 고도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와, 제어부를 통해 상기 GPS수신부 또는 센서부를 통해 수신 또는 측정된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거리에 대한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트랙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산출되는 트랙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 및 건강관리서버에 송신 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및 적정 운동량, 건강관리방법을 표시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GPS신호 수신 양호한 지역에서 GPS 정보를 수신받고,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않은 음영지역에서는 자체적으로 마련된 센서를 이용하여 트랙데이터를 산출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건강관리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트랙데이터 및 상기 고도 정보를 이용한 운동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를 통해 트랙데이터 및 운동량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간대별 또는 거리별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강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적정 운동량 및 건강관리방법에 따라 적합한 트래킹 코스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GPS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수신이 양호하지 않는 지역을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운동량을 계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한 운동량 및 시간대별 또는 거리별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고 이에 따른 적합한 트래킹 코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이동단말기가 포함된 건강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은 GPS신호 수신 양호한 지역에서는 GPS 정보를 수신받으며,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않은 음영지역에서는 자체적으로 마련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를 포함한 트랙데이터를 산출하여 건강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이동단말기(100)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관리하며, 통신망(320)을 통하여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트랙데이터를 수신받아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소비한 운동량을 추출하여 주기적으로 저장하며, 사용자의 체력수준에 적합한 운동량을 관리하는 건강관리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망(320)은 일반 인터넷망이 될 수도 있고, WCDMA망과 같은 이동통신망(320)이 될 수도 있다.
만일 상기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경우 인터넷 망을 이용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PC), 노트북, PDA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추가로 구성하여 본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건강관리서버(200)와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운동량, 건강관리방법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는 통신망(320)으로의 직접적인 접속 기능이 없는 이동단말기(100)를 대신해서 사용자의 트랙데이터를 상기 건강관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매개역할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상기 건강관리 서버를 통해 자신의 운동정보 및 운동량 정보를 조회하고 이용하기 위한 단말 역할을 한다.
이동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트랙데이터를 산출하며, 이를 상기 건강관리서버(200)에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에 대한 이동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100)는 입력부(130)와, GPS수신부(110)와, 센서부(120)와, 제어부(140)와, 송수신부(160)와,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30)는 숫자 버튼을 비롯해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가 표시된 문자 버튼, 메뉴의 선택을 위한 선택 버튼 등의 입력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30)는 이동단말기(100)를 구동하는 버튼을 구비하고, 이동단말기(100)의 구동 후 사용자의 몸무게나 키 등의 신체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GPS수신부(110)는 GPS 칩이 내장되어 GPS 위성(310)으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및 고도에 대한 GPS 신호를 수신한다.
즉, 상기 GPS수신부(110)는 GPS 위성(310)으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위성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에 대한 x,y,z의 3차원 정보와 시간을 계산하여 위치 및 이동거리, 이동속도 등의 정보로 변환하고, 이러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센서부(120)는 건물 내부나 지하공간 등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음영 지역에서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거리에 대한 고도 정보를 측정하는 다수의 센서가 마련된다.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와 같이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음영지역에서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122)와,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진동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걸음수를 측정하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진동센서(123)와, 사용자의 이동거리에 대한 고도를 감지하는 고도센서(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는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음영지역에서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이동단말기의 중심 이동 방향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121)와, 사용자의 이동 거리에 따른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는 GPS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GPS 시간신호를 수신받아 시간을 GPS 표준시로 주기적으로 동기화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들(121, 122, 123, 124, 125)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및 고도 정보는 상기 제어부(140)로 전송된다.
제어부(140)는 이동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GPS수신부(110) 및 센서부(12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거리에 따른 고도 등의 정보를 통해 상기 트랙데이터를 산출하며, 이러한 트랙데이터를 상기 건강관리서버(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트랙데이터 및 상기 고도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의 이동 거리 및 고도에 따른 운동량을 계산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렇게 산출된 운동량을 바탕으로 상기 트랙데이터에 기록된 운동 시간 및 이동거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간대별 또는 거리별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부(150)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상기 제어부(140)를 통해 산출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거리에 따른 고도 등의 정보가 포함된 트랙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50)는 사용자의 이동 거리 및 고도에 따른 운동량을 계산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렇게 산출된 운동량을 바탕으로 상기 트랙데이터에 기록된 운동 시간 및 이동거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간대별 또는 거리별 칼로리 소모량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50)는 상기 건강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적정 운동량 및 건강관리방법에 대한 정보와 이에 따른 다양한 트래킹 코스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상기 메모리부(150)에 저장되는 구체적인 정보로는 등산로 맵(map), 골프장 맵, 도로 맵, 도로의 카메라 위치 데이터 등이며, 운동량 정보로는 걷기, 달리기 등 운동시에 표시되는 기록, 예컨대 운동시간, 운동속도, 운동거리 및 칼로리 소비량 등이 저장되며, 사용자 정보로 신체적 조건, 예컨대 성별, 나이, 신장, 체중 등도 저장된다.
이러한 상기 메모리부(150)는 기록후 전원이 오프(off)되어도 기록된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플래쉬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다.
송수신부(160)는 상기 통신망(320)을 통해 상기 건강관리서버(200)와 상기 트랙데이터, 운동량 및 건강관리방법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송수신부(16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WiFi 또는 WCDMA 등의 이동통신망(320) 접속기능을 갖는 경우, 이를 통해 곧바로 건강관리 서버와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며, 그렇지 아니한 경우는 사용자 단말기(400)로 데이터를 전송한 뒤,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건강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사용자 단말기(400)로의 데이터 전송은 USB 인터페이스, 시리얼 인터페이스 등을 통한 유선통신방식과 ZigBee, IrDA 등과 같은 무선 통신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단말기(400)는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데이터를 파일 형태로 저장하며, 이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건강관리서버(200)로 업로드 된다.
디스플레이부(170)는 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마련되어, 전원의 사용 정도,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한 이동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상태를 표시해 주고, 또한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운동시간, 운동량, 건강관리방법 등과 같은 건강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건강관리서버(200)로 전송된 테이터 및 상기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를 통하여 산출된 적정 운동량 및 건강관리방법과 이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트래킹 코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위치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키, 몸무게 등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한다.(S21)
다음으로, 사용자가 이동하는 이동지역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GPS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파악한다.(S22)
다음으로 GPS신호 수신이 양호한 경우 GPS수신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고도 운동시간에 대한 GPS 정보를 수신한다.(S23)
다음으로,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경우 센서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운동시간, 고도 정보를 측정한다.(S24)
여기서, 상기 운동시간의 측정은 타이머를 통해 이루어지고, 타이머는 GPS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GPS 시간신호를 수신받아 시간을 GPS 표준시로 주기적으로 동기화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40)를 통해 상기 GPS수신부(110) 또는 센서부(120)를 통해 수신 또는 측정된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거리, 운동시간,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트랙데이터를 산출한다.(S25)
여기서, 상기 트랙데이터는 운동시간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이동한 평균거리와 이에 대한 걸음수 정보 및 이동거리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운동시간과 이에 대한 걸음수 정보가 포함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40)를 통해 상기 트랙데이터 및 상기 고도 정보를 이용한 운동량을 계산한다.(S26)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40)를 통해 트랙데이터 및 운동량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간대별 또는 거리별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한다.(S27)
다음으로,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산출되는 트랙데이터를 메모리부(150)에 저장함과 동시에 송수신부(160)를 통해 상기 트랙데이터를 상기 건강관리서버로 송신한다.(S28)
다음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및 상기 건강관리서버로(200)부터 수신되는 적정 운동량, 건강관리방법을 표시해준다.(S29)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건강관리서버(200)로부터 상기 적정 운동량 및 건강관리방법에 따라 적합한 트래킹 코스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동을 정지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정지시키지 않으면,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S30)
이상,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 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뿐만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형상 및 구성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이동단말기가 포함된 건강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에 대한 이동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단말기 110 : GPS수신부
120 : 센서부 130 : 입력부
140 : 제어부 150 : 메모리부
160 : 송수신부 17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2)

  1. 건강관리기능을 제공하는 GPS를 이용한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입력수단을 구비하여 이동단말기의 구동 및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GPS신호 수신이 양호한 지역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고도 및 시간에 대한 GPS 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와,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음영지역에서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고도 및 운동시간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GPS수신부 및 센서부를 통해 수신 또는 측정된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거리에 대한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트랙데이터를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산출되는 트랙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관리서버와의 송수신을 통해 상기 트랙데이터를 전송하며, 운동량 및 건강관리방법을 수신받는 송수신부;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적정 운동량, 건강관리방법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서 GPS신호 수신 양호한 지역에서 GPS 정보를 수신받고,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않은 음영지역에서는 자체적으로 마련된 센서를 이용하여 트랙데이터를 산출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건강관리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음영지역에서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와,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음영지역에서 사용자의 걸음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진동센서;와,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음영지역에서 사용자의 이동거리에 대한 고도를 감지하는 고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음영지역에서 사용자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음영지역에서 사용자의 이동 거리에 따른 운동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는 GPS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GPS 시간신호를 수신받아 시간을 주기적으로 동기화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랙데이터 및 상기 고도 정보를 이용한 운동량을 계산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트랙데이터 및 운동량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간대별 또는 거리별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적정 운동량 및 건강관리방법에 따라 적합한 트래킹 코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관리서버와의 송수신을 통해 상기 트랙데이터를 전송하며, 운동량 및 건강관리방법, 트래킹 코스를 수신받는 송수신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
  9. GPS 위치정보를 통하여 건강관리기능을 제공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키, 몸무게를 포함한 신체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단말기에 GPS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와
    GPS신호 수신이 양호한 경우 GPS수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운동시간, 이동거리에 따른 고도에 대한 GP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경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운동시간, 이동거리에 대한 고도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와,
    제어부를 통해 상기 GPS수신부 또는 센서부를 통해 수신 또는 측정된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운동시간, 이동거리에 대한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트랙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산출되는 트랙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 및 건강관리서버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및 적정 운동량, 건강관리방법을 표시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GPS신호 수신 양호한 지역에서 GPS 정보를 수신받고, GPS신호 수신이 양호하지 않은 음영지역에서는 자체적으로 마련된 센서를 이용하여 트랙데이터를 산출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건강관리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트랙데이터 및 상기 고도 정보를 이용한 운동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트랙데이터 및 운동량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간대별 또는 거리별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적정 운동량 및 건강관리방법에 따라 적합한 트래킹 코스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KR1020090074569A 2009-08-13 2009-08-13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KR101067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569A KR101067465B1 (ko) 2009-08-13 2009-08-13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569A KR101067465B1 (ko) 2009-08-13 2009-08-13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076A true KR20110017076A (ko) 2011-02-21
KR101067465B1 KR101067465B1 (ko) 2011-09-27

Family

ID=4377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569A KR101067465B1 (ko) 2009-08-13 2009-08-13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465B1 (ko)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351B1 (ko) * 2011-08-24 2013-07-2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Gps 기능 및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한 운동량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17591A (ko) * 2015-08-07 201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경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101726366B1 (ko) * 2016-07-15 2017-04-12 주식회사 메이플테크 축우농가에서 소의 운동량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6252A (ko) * 2016-09-02 2018-03-12 변규리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사물인식을 사용하여 칼로리 측정 및 소비를 위한 o2o 방식의 칼로리 관리시스템
KR20190105124A (ko) * 2013-12-04 2019-09-11 애플 인크. 생리학적 데이터의 제시
US10635267B2 (en) 2017-05-15 2020-04-28 Apple Inc. Displaying a scrollable list of affordan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KR20200052121A (ko) * 2018-11-06 2020-05-14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에 설치된 6분보행검사앱을 통한 건강관리시스템
US10674942B2 (en) 2018-05-07 2020-06-09 Apple Inc. Displaying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US10736543B2 (en) 2016-09-22 2020-08-11 Apple Inc. Workout monitor interface
US10777314B1 (en) 2019-05-06 2020-09-15 Apple Inc. Activity trends and workouts
US10953307B2 (en) 2018-09-28 2021-03-23 Apple Inc. Swim tracking and notifications for wearable devices
US10978195B2 (en) 2014-09-02 2021-04-13 Apple Inc. Physical activity and workout monitor
US11107580B1 (en) 2020-06-02 2021-08-3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health applications
US11152100B2 (en) 2019-06-01 2021-10-19 Apple Inc. Health application user interfaces
US11148007B2 (en) 2016-06-11 2021-10-19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US11216119B2 (en) 2016-06-12 2022-01-04 Apple Inc. Displaying a predetermined view of an application
US11277485B2 (en) 2019-06-01 2022-03-15 Apple Inc. Multi-modal activity tracking user interface
US11317833B2 (en) 2018-05-07 2022-05-03 Apple Inc. Displaying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US11446548B2 (en) 2020-02-14 2022-09-2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US11580867B2 (en) 2015-08-20 2023-02-14 Apple Inc. Exercised-based watch face and complications
US11896871B2 (en) 2022-06-05 2024-02-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physical activity information
US11931625B2 (en) 2021-05-15 2024-03-19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group workouts
US11977729B2 (en) 2022-06-05 2024-05-07 Apple Inc. Physical activity information user interfaces
US11985506B2 (en) 2022-09-23 2024-05-1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253A (ko) * 2004-10-25 2006-04-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기반 다이어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25404B1 (ko) * 2007-07-19 2009-11-09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위치 추적 장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위치 추적 방법

Cited B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351B1 (ko) * 2011-08-24 2013-07-2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Gps 기능 및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한 운동량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05124A (ko) * 2013-12-04 2019-09-11 애플 인크. 생리학적 데이터의 제시
US10978195B2 (en) 2014-09-02 2021-04-13 Apple Inc. Physical activity and workout monitor
US11798672B2 (en) 2014-09-02 2023-10-24 Apple Inc. Physical activity and workout monitor with a progress indicator
US11107567B2 (en) 2014-09-02 2021-08-31 Apple Inc. Physical activity and workout monitor with a progress indicator
US11424018B2 (en) 2014-09-02 2022-08-23 Apple Inc. Physical activity and workout monitor
KR20170017591A (ko) * 2015-08-07 201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경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11580867B2 (en) 2015-08-20 2023-02-14 Apple Inc. Exercised-based watch face and complications
US11908343B2 (en) 2015-08-20 2024-02-20 Apple Inc. Exercised-based watch face and complications
US11660503B2 (en) 2016-06-11 2023-05-30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US11918857B2 (en) 2016-06-11 2024-03-05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US11148007B2 (en) 2016-06-11 2021-10-19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US11161010B2 (en) 2016-06-11 2021-11-02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US11216119B2 (en) 2016-06-12 2022-01-04 Apple Inc. Displaying a predetermined view of an application
WO2018012870A1 (ko) * 2016-07-15 2018-01-18 주식회사 메이플테크 축우농가에서 소의 운동량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726366B1 (ko) * 2016-07-15 2017-04-12 주식회사 메이플테크 축우농가에서 소의 운동량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6252A (ko) * 2016-09-02 2018-03-12 변규리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사물인식을 사용하여 칼로리 측정 및 소비를 위한 o2o 방식의 칼로리 관리시스템
US10736543B2 (en) 2016-09-22 2020-08-11 Apple Inc. Workout monitor interface
US11439324B2 (en) 2016-09-22 2022-09-13 Apple Inc. Workout monitor interface
US11331007B2 (en) 2016-09-22 2022-05-17 Apple Inc. Workout monitor interface
US10963129B2 (en) 2017-05-15 2021-03-30 Apple Inc. Displaying a scrollable list of affordan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US11429252B2 (en) 2017-05-15 2022-08-30 Apple Inc. Displaying a scrollable list of affordan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US10845955B2 (en) 2017-05-15 2020-11-24 Apple Inc. Displaying a scrollable list of affordan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US10635267B2 (en) 2017-05-15 2020-04-28 Apple Inc. Displaying a scrollable list of affordan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US10866695B2 (en) 2017-05-15 2020-12-15 Apple Inc. Displaying a scrollable list of affordan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US11317833B2 (en) 2018-05-07 2022-05-03 Apple Inc. Displaying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US10674942B2 (en) 2018-05-07 2020-06-09 Apple Inc. Displaying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US10987028B2 (en) 2018-05-07 2021-04-27 Apple Inc. Displaying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US11712179B2 (en) 2018-05-07 2023-08-01 Apple Inc. Displaying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US11103161B2 (en) 2018-05-07 2021-08-31 Apple Inc. Displaying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US10953307B2 (en) 2018-09-28 2021-03-23 Apple Inc. Swim tracking and notifications for wearable devices
KR20200052121A (ko) * 2018-11-06 2020-05-14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에 설치된 6분보행검사앱을 통한 건강관리시스템
US11404154B2 (en) 2019-05-06 2022-08-02 Apple Inc. Activity trends and workouts
US11972853B2 (en) 2019-05-06 2024-04-30 Apple Inc. Activity trends and workouts
US10777314B1 (en) 2019-05-06 2020-09-15 Apple Inc. Activity trends and workouts
US11791031B2 (en) 2019-05-06 2023-10-17 Apple Inc. Activity trends and workouts
US11979467B2 (en) 2019-06-01 2024-05-07 Apple Inc. Multi-modal activity tracking user interface
US11527316B2 (en) 2019-06-01 2022-12-13 Apple Inc. Health application user interfaces
US11842806B2 (en) 2019-06-01 2023-12-12 Apple Inc. Health application user interfaces
US11152100B2 (en) 2019-06-01 2021-10-19 Apple Inc. Health application user interfaces
US11277485B2 (en) 2019-06-01 2022-03-15 Apple Inc. Multi-modal activity tracking user interface
US11611883B2 (en) 2020-02-14 2023-03-2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US11716629B2 (en) 2020-02-14 2023-08-0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US11638158B2 (en) 2020-02-14 2023-04-2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US11564103B2 (en) 2020-02-14 2023-01-2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US11452915B2 (en) 2020-02-14 2022-09-27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US11446548B2 (en) 2020-02-14 2022-09-2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US11107580B1 (en) 2020-06-02 2021-08-3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health applications
US11594330B2 (en) 2020-06-02 2023-02-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health applications
US11482328B2 (en) 2020-06-02 2022-10-2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health applications
US11194455B1 (en) 2020-06-02 2021-12-07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health applications
US11710563B2 (en) 2020-06-02 2023-07-2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health applications
US11931625B2 (en) 2021-05-15 2024-03-19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group workouts
US11938376B2 (en) 2021-05-15 2024-03-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group workouts
US11896871B2 (en) 2022-06-05 2024-02-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physical activity information
US11977729B2 (en) 2022-06-05 2024-05-07 Apple Inc. Physical activity information user interfaces
US11985506B2 (en) 2022-09-23 2024-05-1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465B1 (ko) 201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465B1 (ko) 위치정보 기능을 구비한 건강관리용 이동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AU2021200519B2 (en) Wireless drink container for monitoring hydration
EP2642251B1 (en) Required time calculating system, required time calculat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required time calculating program
KR101557892B1 (ko) 건강관리용 스푼 및 그를 이용하는 섭취 음식물 관리 시스템
US9258678B2 (en) Closed loop athlete training system
EP2612595B1 (en) Athletic watch
EP2947588B1 (en) Method for calculating the activity of a user
US9141087B2 (en) Athletic watch
EP2667577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2171967A2 (en) An athletic performance monitoring device
US8826177B2 (en) Multiple user profiles in portable apparatus
JP2009148338A (ja) 携帯機器、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11071888B2 (en) Exercise data display device, exercise data display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with program stored thereon
EP2869142A2 (en) Measure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measurement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US2017027363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30242709A1 (en) Hand-worn device with programmable memory
KR20110017078A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4516844B (zh) 为显示设备产生实时活动数据更新的方法、系统和设备
JP2017012661A (ja) 活動情報測定装置、端末装置、通信制御方法、サービス提供方法、通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KR100466966B1 (ko) 다이어트 및 건강 관리용 손목 시계 및 상기 손목 시계를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JP5757982B2 (ja) 活動支援装置、携帯端末、及び、活動支援システム
US20150142371A1 (en) Recognition device of foot action and recognition method of foot action
KR20140087870A (ko) 다이어트 정보 관리시스템
KR200426687Y1 (ko) 레져용 지피에스 장치
JP2019125163A (ja) 設定情報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