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6571A -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6571A
KR20110016571A KR1020090074146A KR20090074146A KR20110016571A KR 20110016571 A KR20110016571 A KR 20110016571A KR 1020090074146 A KR1020090074146 A KR 1020090074146A KR 20090074146 A KR20090074146 A KR 20090074146A KR 20110016571 A KR20110016571 A KR 20110016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ptv
mobile phone
content
data
top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윤선
Original Assignee
옥윤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윤선 filed Critical 옥윤선
Priority to KR1020090074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6571A/ko
Publication of KR20110016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타겟 콘텐츠 요청을 입력하기 위한 핸드폰; IP망으로 접속하기 위한 셋탑박스와 연결된 구조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셋탑박스를 이용해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상기 타겟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IPTV; 및 다수의 콘텐츠를 저장하며, 상기 셋탑박스를 통해 상기 타겟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콘텐츠 중 상기 타겟 콘텐츠, 상기 타겟 콘텐츠에 포함되는 다수의 부가 콘텐츠, 상기 부가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셋탑박스를 통해 상기 IPTV로 전송하는 콘텐츠제공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IPTV는 상기 콘텐츠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타겟 콘텐츠, 상기 다수의 부가 콘텐츠 및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상기 타겟 콘텐츠 및 상기 위치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핸드폰이 상기 핸드폰 사용자의 터치패드에 대한 터치에 의해 생성된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 위치로 상기 핸드폰의 제 1 출력부 상의 커서(Cursor)를 이동시켜 위치이동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면, 상기 위치이동데이터에 상기 IPTV의 제 2 출력부 상의 커서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위치이동데이터에 의한 상기 IPTV의 커서의 위치가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핸드폰으로 매칭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상기 매칭신호를 생성하게 한 상기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여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 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반환받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상기 정보취득시스템은 상기 IPTV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목적 디바이스;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핸드폰은, 상기 핸드폰 사용자의 상기 IPTV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상기 목적 디바이스로 전송할 것을 상기 IPTV로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요청하여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셋탑박스가 상기 IPTV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상기 목적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핸드폰과 IPTV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기화시킴으로써, 핸드폰 상에 구현된 커서와 IPTV 상에 구현된 커서가 일치하는 지점의 객체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음으로써, 분리된 장소에 위치한 IPTV의 입력장치에 대한 접근 필요없이 조작하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핸드폰에 대한 입력을 통해 IPTV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중 정보를 알고 싶은 객체를 선택하여 정보를 추출하여 바로 디스플레이 할수 있는 즉시성의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핸드폰을 이용해 DLNA 홈네트워크 상의 목적 디바이스로 타겟 콘텐츠에 대한 부가 콘텐츠를 속성별로 저장하여 차후에 정보 미디어로 사용할 수 있다.
핸드폰, 콘텐츠, 부가, 위치데이터

Description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contents using mobile phone}
본 발명은 타겟 콘텐츠에 대한 부가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핸드폰과 IPTV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기화시킴으로써, 핸드폰 상에 구현된 커서와 IPTV 상에 구현된 커서가 일치하는 지점의 객체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음으로써, 분리된 장소에 위치한 IPTV의 입력장치에 대한 접근 필요없이 조작하는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홈네트워크 서비스나 통신방송 융합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디바이스간 데이터 공유를 효율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기술들을 응용한 디바이스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DLNA는 이미 구축되어 있는 공개 업계 표준에 기반하여 상호 호환이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업계 간 컨버젼스(Convergence)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DLNA는 가전제품, 개인용 컴퓨터(PC), 무선기기 등의 제조업체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를 기반으로 업체의 가이 드라인 도입을 촉진하고 있다.
DLNA에서 현재 도입된 가이드라인은 가전제품, PC, 무선기기 사이의 유무선 홈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다른 브랜드와 제품 간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설계 원칙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가이드라인에 따라 설계된 제품들은 음악, 사진, 비디오 등의 미디어 콘텐츠(Media Contents)를 홈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고자 하는 일반 사용자가 용이하게 하나의 화면을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된 화면에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배치하여 각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각각의 분할된 화면상에 재생될 수 있는 멀티화면 콘텐츠 구현방법에 대한 기술이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자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일반 사용자의 위치는 과거 일방적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받던 수동적인 입장에서 탈피하여 자신이 직접 제작 또는 편집한 동영상(UCC, User Created Content)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일반 사용자와 공유하는 능동적이고 활동적인 위치로 바뀌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방식(즉, 하나의 화면에 하나의 콘텐츠를 배치하여 재생되도록 구성된 기존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방식)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와 표현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DLNA 기반의 홈네트워크의 기능을 확장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와 표현을 충족시기며, DLNA 홈네트워크 상에서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며, 특히,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핸드폰에 대한 입력을 통해 IPTV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중 정보를 알고 싶은 객체를 선택하여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핸드폰을 이용해 DLNA 홈네트워크 상의 목적 디바이스로 타겟 콘텐츠에 대한 부가 콘텐츠를 속성별로 저장하여 차후에 정보 미디어로 사용하기 위한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핸드폰과 IPTV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기화시킴으로써, 핸드폰 상에 구현된 커서와 IPTV 상에 구현된 커서가 일치하는 지점의 객체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음으로써, 분리된 장소에 위치한 IPTV의 입력장치에 대한 접근 필요없이 조작하는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은, 타겟 콘텐츠 요청을 입력하기 위한 핸드폰; IP망으로 접속하기 위한 셋탑박스와 연결된 구조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셋탑박스를 이용해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상기 타겟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IPTV; 및 다수의 콘텐츠를 저장하며, 상기 셋탑박스를 통해 상기 타겟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콘텐츠 중 상기 타겟 콘텐츠, 상기 타겟 콘텐츠에 포함되는 다수의 부가 콘텐츠, 상기 부가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셋탑박스를 통해 상기 IPTV로 전송하는 콘텐츠제공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IPTV는 상기 콘텐츠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타겟 콘텐츠, 상기 다수의 부가 콘텐츠 및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상기 타겟 콘텐츠 및 상기 위치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핸드폰이 상기 핸드폰 사용자의 터치패드에 대한 터치에 의해 생성된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 위치로 상기 핸드폰의 제 1 출력부 상의 커서(Cursor)를 이동시켜 위치이동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면, 상기 위치이동데이터에 상기 IPTV의 제 2 출력부 상의 커서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위치이동데이터에 의한 상기 IPTV의 커서의 위치가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핸드폰으로 매칭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상기 매칭신호를 생성하게 한 상기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여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반환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콘텐츠는 타겟 콘텐츠에 포함된 다수의 오브젝트(Object)에 대한 디스크립션(Description) 정보이며, 상기 위치데이터는 상기 다수의 오브젝트의 상 기 타겟 콘텐츠 내에서의 위치좌표를 나타내는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은, 상기 IPTV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목적 디바이스;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핸드폰은, 상기 핸드폰 사용자의 상기 IPTV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상기 목적 디바이스로 전송할 것을 상기 IPTV로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요청하여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셋탑박스가 상기 IPTV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상기 목적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 디바이스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부가 콘텐츠의 속성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속성 정보로 분리하여 저장하며, 상기 속성정보는 인물, 건물, 인간을 제외한 동식물, 작품, 고적지, 역사, 병원, 교통, 지역, 제품, 식품, 그리고 식품 또는 제품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의 핸드폰은, 입력신호를 그래픽화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 1 출력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입력받고,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제 1 출력부로 출력된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패드;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된 IPTV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 1 근거리무선통신부; 및 상기 터치패드로 입력된 상기 타겟 콘텐츠 요청의 입력에 따라, 셋탑박스와 연결된 상기 IPTV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세션을 설정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 요청을 상기 IPTV로 전송하고, 상기 IPTV가 콘텐츠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셋탑박스를 이용해 수신한 타겟 콘텐츠, 상기 타겟 콘텐츠에 포함되는 다수의 부가 콘텐츠, 상기 부가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상기 타켓 콘텐츠와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면, 상기 터치패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매칭되는 위치로 커서가 이동하면 위치이동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IPTV로 전송하여 상기 IPTV의 제 2 출력부의 커서를 동기화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상기 동기화에 따라 상기 제 2 출력부의 커서의 위치가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매칭되면 상기 IPTV로부터 매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매칭신호를 생성하게 한 상기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을 상기 IPTV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1 근거리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IPTV가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 1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의 IPTV은, 입력신호를 그래픽화여 출력하기 위한 제 2 출력부; 셋탑박스와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입출력인터페이스;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핸드폰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 및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타겟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도록 입출력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셋탑박스가 콘텐츠제공서버로부터 타겟 콘텐츠, 상기 타겟 콘텐츠에 포함되는 다수의 부가 콘텐츠, 상기 부가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 및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타겟 콘텐츠 및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입출력인터페이스를 제어하며, 상기 타겟 콘텐츠 및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제 2 출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상기 핸드폰의 제 1 출력부 상에서의 커서 이동에 의해 생성된 위치이동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위치이동데이터에 상기 제 2 출력부로 출력되는 커서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위치이동데이터에 의한 상기 IPTV의 커서의 위치가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매칭되는 경우 매칭신호를 상기 핸드폰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매칭신호를 생성하게 한 상기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을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IPTV가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상기 제 2 출력부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방법은, 핸드폰, 셋탑박스와 연결된 IPTV, 그리고 콘텐츠제공서버를 이용한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 상기 IPTV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타겟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셋탑박스를 통해 상기 콘텐츠제공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IPTV는 상기 셋탑박스를 통해 상기 콘텐츠제공서버로부터 타겟 콘텐츠, 상기 타겟 콘텐츠에 포함되는 다수의 부가 콘텐츠, 상기 부가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IPTV는 상기 콘텐츠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타겟 콘텐츠와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3 단계; 상기 IPTV는 상기 핸드폰이 상기 핸드폰 사용자의 터치패드에 대한 터치에 의해 생성된 위치데이 터에 매칭되는 위치로 상기 핸드폰의 제 1 출력부의 커서를 이동시켜 위치이동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면, 상기 위치이동데이터에 상기 IPTV의 제 2 출력부의 커서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4 단계; 상기 IPTV는 상기 위치이동데이터에 의한 상기 제 2 출력부의 커서의 위치가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핸드폰으로 매칭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상기 매칭신호를 생성하게 한 상기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IPTV는 수신된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여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반환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방법은, 상기 제 6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IPTV는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상기 핸드폰 사용자의 상기 IPTV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상기 목적 디바이스로의 전송 요청을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수신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IPTV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로의 전송 요청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여, 상기 셋탑박스가 상기 IPTV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상기 목적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 8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방법은, 상기 제 8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가 상기 부가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부가 콘텐츠의 속성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속성 정보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속성정보는 인물, 건물, 인간을 제외한 동식물, 작품, 고적지, 역사, 병원, 교통, 지역, 제품, 식품, 그리고 식품 또는 제품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정보 중 어 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 및 방법은 핸드폰과 IPTV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기화시킴으로써, 핸드폰 상에 구현된 커서와 IPTV 상에 구현된 커서가 일치하는 지점의 객체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음으로써, 분리된 장소에 위치한 IPTV의 입력장치에 대한 접근 필요없이 조작하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핸드폰에 대한 입력을 통해 IPTV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중 정보를 알고 싶은 객체를 선택하여 정보를 추출하여 바로 디스플레이 할수 있는 즉시성의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해, 핸드폰을 이용해 DLNA 홈네트워크 상의 목적 디바이스로 타겟 콘텐츠에 대한 부가 콘텐츠를 속성별로 저장하여 차후에 정보 미디어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은 핸드폰(100), IPTV(300), 셋탑박스(400), IP망(500) 및 콘텐츠제공서버(70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폰(100)은 이동통신망(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기로서,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PMP과 같이 멀티미디어 폰 및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 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일 수 있다.
핸드폰(100) 사용자는 핸드폰(100)을 통해 타겟 콘텐츠 요청을 입력하면, 핸드폰(100))은 IPTV(3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세션을 설정한다. 세션 연결 설정 후, 핸드폰(100)은 IPTV(300)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전송한다.
IPTV(300)는 IP기반 네트워크의 통신망(500)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방송컨텐츠, 비디오컨텐츠, 오디오컨텐츠, 텍스트컨텐츠 및 데이터컨텐츠)를 스크린(Screen)을 통하여 제공하는 장치로, 규정된 품질 이상의 QoS(Quality of Service)/QoE(Qulity of Experience), 정보보호, 상호작용, 신뢰성 등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IPTV(300)는 컨텐츠서버, 방송서버 등으로부터 셋탑박스(400)를 이용해 방송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IPTV(300)는 핸드폰(100)으로부터 수신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셋탑박스(400)를 통해 콘텐츠제공서버(7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IPTV(300)는 타겟 콘텐츠, 부가 콘텐츠, 위치데이터를 반환받은 셋탑박스(400)로부터 타겟 콘텐츠와 위치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IPTV(300)는 다수의 콘텐츠 중 타겟 콘텐츠, 타겟 콘텐츠에 포함되는 다수의 부가 콘텐츠, 다수의 부가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콘텐츠제공서버(700)로부터 수신한 셋탑박스(400)로부터, 타겟 콘텐츠, 그리고 다수의 부가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위치데이터는 점선 또는 실선으로 오브젝트(Object)의 테두리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콘텐츠는 타겟 콘텐츠에 포함된 다수의 오브젝트(Object)에 대한 디스크립션(Description) 정보일 수 있다. 위치데이터는 다수의 오브젝트(Object)의 타겟 콘텐츠 내에서의 위치좌표를 나타내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후, IPTV(300)가 타겟 콘텐츠와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핸드폰(100) 사용자가 핸드폰(100)의 터치패드에 대한 터치에 의해 생성된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 위치로 커서(Cursor)를 이동시켜 위치이동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면, IPTV(300)는 이를 수신하여 수신된 위치이동데이터에 커서(Cursor)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한다.
IPTV(300)는 위치이동데이터에 의한 커서의 위치가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지를 판단하고, 매칭되는 경우 IPTV(200)는 매칭신호를 핸드폰(100)으로 전송한다.
IPTV(300)는 핸드폰(100)으로부터 매칭신호와 일치하는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부가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부가 콘텐츠 요청을 셋탑박스(400)로 전송한다.
셋탑박스(400)는 사용자 측에 설치되어 IPTV(200)와 접속된다. 셋탑박스(400)는 IP망(500)을 통해 방송국 등에 설치되는 컨텐츠서버, 방송사서버 등과 접속되어 인터넷 프로토콜(IP) 등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채널의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을 접속된 IPTV(200)의 스크린을 통해 송출하여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셋탑박스(400)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각종 네트워크 디바이스(핸드폰(100), IPTV(300), VTR, 디지털 카메라, 오디오 시스템 등의 가전디바이스)에 연결되어 해당 기기들을 제어한다. 셋탑박스(400)는 IP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부터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들을 공유가 가능하도록 한다.
예들 들어, 셋탑박스(4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특정 디바이스(핸드폰(100) 또는 IPTV(300))의 개인 영역의 장치에 저장된 많은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들을 가정 내의 다른 디바이스들이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들을 가정 내의 위치 및 장치에 무관하게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셋탑박스(4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호 호환성을 위해 해결함에 큰 역점을 두고 있다. 즉, DLNA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기술을 근간으로 물리적인 미디어 네트워크 전송, 미디어 포맷, 스트리밍 프로토콜, DRM(Digital Right Management)등을 수행할 수 있다. 셋탑박스(400)는 다수의 네트 워크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비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호환한다. 즉, 셋탑박스(400)는 각 개별 네트워크 디바이스들과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데, WiFi(802.11b) 인터페이스, 이더넷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셋탑박스(400)는 다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과 동일한 IP그룹을 가지며, 효과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사설 IP할당 기능을 포함한다. 셋탑박스(400)는 유선 또는 유선으로 다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게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다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관리하기 위해 DLNA 망 내부에서 기기를 발견하고 제어하는 IP 주소 같은 네트워킹 설정을 자동으로 구성하고, 네트워크상에 있는 다른 기기를 인식하도록 관리하는 것으로, 기존의 UPnP AV 아키텍처(Architecture) 및 UPnP 디바이스 아키텍처에 기반을 두고 있다.
셋탑박스(400)는 IPTV(300)를 통해 수신한 핸드폰(100)의 타겟 콘텐츠 요청을 콘텐츠제공서버(700)로 전송한다.
이후, 셋탑박스(400)는 콘텐츠제공서버(700)로부터 타겟 콘텐츠, 다수의 부가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 뒤, 셋탑박스(400)는 타겟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IPTV(300)로 전송한다.
셋탑박스(400)는 핸드폰(100) 사용자가 위치 지정을 통해 생성한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부가 콘텐츠 요청을 IPTV(300)를 통해 수신하고, 저장된 부가 콘텐츠 중 핸드폰(100)에 의해 요청된 부가 콘텐츠를 추출한다.
셋탑박스(400)는 추출된 부가 콘텐츠를 IPTV(2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IP망(50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통신망(60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통신망(600)은 홈게이트웨이(100), 이동단말(900), 통신망(600)에 연결된 프레즌스서버(700) 및 위치정보제공서버(800)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콘텐츠제공서버(700)는 다수의 콘텐츠, 다수의 콘텐츠에 포함된 다수의 부가 콘텐츠, 다수의 부가 콘텐츠에 매칭되어 부가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다수의 위치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2a는 도 1의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의 핸드폰(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핸드폰(100)은 터치패드(110), 제 1 근거리무선통신부(120), 제 1 송수신부(130), 제 1 제어부(150), 제 1 출력부(170) 및 제 1 저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드(1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입력받아 제 1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터치패드(110)는 제 1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제 1 출력부(170)로 커서(Cursor)가 출력되면, 터치 입력을 통해 커서(Cursor)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 1 근거리무선통신부(120)는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IPTV(3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 1 송수신부(130)는 이동통신망(미도시)를 통해 다른 휴대폰(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RF신호 복조를 수행한 후 제 1 제어부(150)로 전달하거나 제 1 제어부(15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 RF신호로 변조하여 이동통신망(미도시)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1 제어부(150)는 터치패드(110)로 입력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입력에 따라, IPTV(3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세션을 설정하도록 제 1 근거리무선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제 1 제어부(150)는 IPTV(300)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 1 근거리무선통신부(120)를 제어한다.
IPTV(300)가 셋탑박스(400), 콘텐츠제공서버(700)와의 연동을 통해 콘텐츠제공서버(700)로부터 수신된 타겟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제 1 제어부(150)는 터치패드(1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 위치로 제 1 출력부(170) 상의 커서(Cursor)를 이동시키면 위치이동데이터를 생성한다.
제 1 제어부(150)는 생성된 위치이동데이터를 IPTV(300)로 전송한다.
IPTV(300)가 수신된 위치이동데이터에 커서(Cursor)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위치이동데이터에 의한 커서의 위치가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데이터에 매칭 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매칭되는 경우 IPTV(200)는 매칭신호를 핸드폰(100)으로 전송하도록 제 1 근거리무선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 1 제어부(150)는 매칭신호와 일치하는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부가 콘텐츠 요청을 IPTV(300)로 전송하도록 제 1 근거리무선통신부(120)를 제어한다.
IPTV(300)는 해당 부가 콘텐츠 요청을 셋탑박스(400)로 전송하면, 셋탑박스(400)는 저장된 부가 콘텐츠 중 핸드폰(100)에 의해 요청된 부가 콘텐츠를 추출하여 추출된 부가 콘텐츠를 IPTV(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IPTV(200)는 수신된 부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제 1 출력부(17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통상적으로, 제 1 출력부(170)는 터치패드(110)를 통해 입력하는 문자, 그리고 멀티미디어 모듈 실행시 해당 멀티미디어 모듈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 1 출력부(170)는 제 1 저장부(19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 1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제 1 저장부(19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 1 출력부(170)는 터치패드(110)로 입력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입력에 따라, 제 1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타겟 콘텐츠 요청을 출력한다.
제 1 출력부(170)는 제 1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커서(Cursor)를 그래픽화하여 출력하며, 터치패드(1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커서(Cursor)를 이동시 키면 커서의 이동화면을 그래픽화하여 출력한다.
한편, 제 1 출력부(170)는 음성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음성출력부는 컨텐츠에 포함된 음성데이터, 버튼입력시 효과음, 그리고 멀티미디어 모듈 실행시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관련해서 출력되는 음성데이터 등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피커를 내장한다.
제 1 저장부(190)는 터치패드(1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 위치로 커서(Cursor)를 이동시켜 생성된 위치이동데이터를 제 1 제어부(15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제 1 저장부(190)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로써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데이터를 계속 유지하며 삭제되지 않으며,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상변화 램), FRAM(Ferroelectric RAM: 강유전체 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b는 도 1의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의 핸드폰(100)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터치패드(110)에 구현된 커서(Cursor)가 도시되어 있다. 커서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반응하며, 사용자의 터치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어 위치이동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도 3a는 도 1의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의 IPTV(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IPTV(300)는 입출력인터페이 스(310),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330), 제 2 제어부(350), 제 2 출력부(370) 및 제 2 저장부(390)를 포함한다.
입출력인터페이스(310)는 셋탑박스(400)와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330)는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핸드폰(100)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 2 제어부(350)는 핸드폰(100)으로부터 타겟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도록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330)를 제어한다.
제 2 제어부(350)는 수신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셋탑박스(400)로 전송하도록 입출력인터페이스(310)를 제어한다.
셋탑박스(400)가 콘텐츠제공서버(700)로부터 타겟 콘텐츠, 다수의 부가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타겟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전송하면, 제 2 제어부(350)는 타겟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입출력인터페이스(310)를 제어한다.
제 2 제어부(350)는 수신된 타겟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제 2 출력부(370)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 2 제어부(350)는 핸드폰(100)으로부터 위치이동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330)를 제어한다.
제 2 제어부(350)는 수신된 위치이동데이터에 커서(Cursor)를 동기화하여 제 2 출력부(370)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제 2 제어부(350)는 수신된 위치이동데이터에 의한 커서의 위치가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 경우 매칭신호를 핸드폰(100)으로 전송하도록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330)를 제어한다.
제 2 제어부(350)는 핸드폰(100)으로부터 매칭신호와 일치하는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부가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도록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330)를 제어한다.
제 2 제어부(350)는 수신된 부가 콘텐츠 요청을 셋탑박스(400)로 전송하도록 입출력인터페이스(310)를 제어한다.
제 2 제어부(350)는 셋탑박스(400)가 콘텐츠제공서버(700)와의 연동에 의해 수신한 핸드폰(100)에 의해 요청된 부가 콘텐츠를 수신하면, 이를 셋탑박스(400)로부터 수신하도록 입출력인터페이스(310)를 제어한다.
제 2 제어부(350)는 수신된 부가 콘텐츠를 제 2 출력부(370)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 2 출력부(37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제 2 출력부(370)는 제 2 저장부(39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 2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제 2 저장부(39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 2 출력부(370)는 제 2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셋탑박스(400)로부터 타겟 콘텐츠 및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제 2 출력부(370)는 제 2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핸드폰(100)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이동데이터에 커서(Cursor)를 동기화하여 출력한다.
제 2 출력부(370)는 제 2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셋탑박스(400)로부터 수신된 핸드폰(100)에 의해 요청된 부가 콘텐츠를 출력한다.
제 2 저장부(390)는 제 2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타겟 콘텐츠 및 위치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제 2 저장부(390)는 제 2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위치이동데이터 및 부가 콘텐츠를 저장한다.
도 3b는 도 1의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의 IPTV(300)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IPTV(300)는 핸드폰(100)으로부터 위치이동데이터를 수신하여, 위치이동데이터에 동기화시켜 IPTV(300)의 제 2 출력부(370)에 커서(Cursor)를 구현된다. 이때, 위치이동데이터에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매칭될 경우 IPTV(300)는 핸드폰(100)으로 매칭신호를 전송하고, 핸드폰(100)으로부터 매칭된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부가 콘텐츠가 요청된다. 이에 따라, IPTV(300)는 매칭된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부가 콘텐츠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매칭된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특정인데 대한 부가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즉, 도면과 같이, 매칭된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인물에 대한 부가 콘텐츠인 "이름: XXX, 소속: XXT엔터테인먼트, 나이:43"과 같은 부가 콘텐츠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핸드폰(100)을 통해 타겟 콘텐 츠 요청을 입력한다(S801).
이에 따라, 핸드폰(100))은 IPTV(3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세션을 설정한다(S803).
단계(S803) 이후, 핸드폰(100)은 IPTV(300)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전송하면, IPTV(300)는 셋탑박스(400)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전달한다(S805).
셋탑박스(400)는 콘텐츠제공서버(700)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전송한다(S807).
콘텐츠제공서버(700)는 타겟 콘텐츠, 다수의 부가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셋탑박스(400)로 전송한다(S809).
셋탑박스(400)는 단계(S809)에서 수신된 타겟 콘텐츠, 다수의 부가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저장한다(S811).
단계(S811)이후, 셋탑박스(400)는 타겟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IPTV(300)로 전송한다(S813).
IPTV(300)는 단계(S813)에서 수신된 타겟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S815).
핸드폰(100) 사용자는 터치패드를 터치하여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 위치로 커서(Cursor)를 이동시켜 위치이동데이터를 생성한다(S817).
핸드폰(100)은 위치이동데이터를 IPTV(300)로 전송한다(S819).
IPTV(300)는 단계(S819)에서 수신된 위치이동데이터에 커서(Cursor)를 동기 화하여 디스플레이한다(S821).
IPTV(300)는 위치이동데이터에 의한 커서의 위치가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지를 판단한다(S823).
단계(S823)의 판단 결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 단계(S819)로 회귀하여 IPTV(300)는 핸드폰(100)로부터 위치이동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S823)의 판단 결과 매칭되는 경우 IPTV(200)는 매칭신호를 핸드폰(100)으로 전송한다(S825).
핸드폰(100)은 단계(S825)의 매칭신호와 일치하는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부가 콘텐츠 요청을 IPTV(300)로 전송하면, IPTV(300)는 해당 부가 콘텐츠 요청을 셋탑박스(400)로 전송한다(S827).
셋탑박스(400)는 단계(S811)에서 저장된 부가 콘텐츠 중 핸드폰(100)에 의해 요청된 부가 콘텐츠를 추출한다(S829)
셋탑박스(400)는 추출된 부가 콘텐츠를 IPTV(200)로 전송한다(S831).
IPTV(200)는 단계(S831)에서 수신된 부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833).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은 핸드폰(100), 목적 디바이스(200), IPTV(300), 셋탑박스(400), IP망(500) 및 콘텐츠제공서버(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과의 차이점인 목적 디바이스(200)의 추가를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핸드폰(100)은 사용자는 핸드폰(100)을 통해 타겟 콘텐츠 요청을 입력하면, 핸드폰(100)은 IPTV(300)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전송한다.
목적 디바이스(200)는 후술할 핸드폰(100)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부가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DLNA 홈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이다. 목적 디바이스(200)는 핸드폰(100)에 의해 지정에 따라 셋탑박스(400)로부터 다수의 부가 콘텐츠를 수신한다.
다수의 부가 콘텐츠를 수신한 목적 디바이스(200)는 다수의 부가 콘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를 파악한다. 목적 디바이스(200)는 속성 정보에 따라 다수의 부가 콘텐츠를 분류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속성 정보는 인물, 건물, 인간을 제외한 동식물, 작품, 고적지, 역사, 병원, 교통, 지역, 제품, 식품, 그리고 식품 또는 제품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정보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IPTV(300)는 핸드폰(100)으로부터 수신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셋탑박스(400)를 통해 콘텐츠제공서버(7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IPTV(300)는 타겟 콘텐츠, 다수의 부가 콘텐츠,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반환받은 셋탑박스(400)로부터 타겟 콘텐츠와 위치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부가 콘텐츠는 타겟 콘텐츠에 포함된 다수의 오브젝트(Object)에 대한 디스크립션(Description) 정보일 수 있다. 위치데이터는 다수의 오브젝트(Object)의 타겟 콘텐츠 내에서의 위치좌표를 나타내는 데이터일 수 있다. IPTV(300)는 타겟 콘텐츠와 위치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핸드폰(100) 사용자가 핸드폰(100)의 터치패드에 대한 터치에 의해 생성된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 위치로 커 서(Cursor)를 이동시켜 위치이동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면, IPTV(300)는 이를 수신하여 수신된 위치이동데이터에 커서(Cursor)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한다.
IPTV(300)는 위치이동데이터에 의한 커서의 위치가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 지를 판단하고, 매칭되는 경우 IPTV(200)는 매칭신호를 핸드폰(100)으로 전송한다.
IPTV(300)는 핸드폰(100)으로부터 매칭신호와 일치하는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부가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부가 콘텐츠 요청을 셋탑박스(400)로 전송한다.
셋탑박스(400)는 사용자측에 설치되어 IPTV(300)와 접속된다. 셋탑박스(400)는 IPTV(300)를 통해 수신한 핸드폰(100)의 타겟 콘텐츠 요청을 콘텐츠제공서버(700)로 전송한다. 이후, 셋탑박스(400)는 콘텐츠제공서버(700)로부터 타겟 콘텐츠, 부가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 뒤, 셋탑박스(400)는 타겟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IPTV(300)로 전송한다.
셋탑박스(400)는 핸드폰(100) 사용자가 위치 지정을 통해 생성한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부가 콘텐츠 요청을 IPTV(300)를 통해 수신하고, 저장된 부가 콘텐츠 중 핸드폰(100)에 의해 요청된 부가 콘텐츠를 추출한다.
셋탑박스(400)는 추출된 부가 콘텐츠를 IPTV(3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한편, IPTV(300)가 부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에, 셋탑박스(400)는 핸드폰(100)으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부가 콘텐츠의 목적 디바이스(200)로의 전송 요 청을 수신한다.
이에 따라, 셋탑박스(400)는 목적 디바이스(200)와 근거리 무선통신 세션 연결을 설정한 뒤, 설정된 근거리 무선통신 세션으로 부가 콘텐츠를 전송한다.
콘텐츠제공서버(700)는 도 1의 콘텐츠제공서버(700)와 동일하게 다수의 콘텐츠, 다수의 콘텐츠에 매칭되는 각 부가 콘텐츠, 다수의 부가 콘텐츠에 매칭되는 각 위치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5의 본 발명의 다른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의 핸드폰(100)의 구성은 도 2a의 핸드폰(100)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핸드폰(100)은 터치패드(110), 제 1 근거리무선통신부(120), 제 1 송수신부(130), 제 1 제어부(150), 제 1 출력부(170) 및 제 1 저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드(1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입력받아 제 1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터치패드(110)는 제 1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제 1 출력부(170)로 커서(Cursor)가 출력되면, 터치 입력을 통해 커서(Cursor)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 1 근거리무선통신부(120)는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IPTV(3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 1 송수신부(130)는 이동통신망(미도시)를 통해 다른 휴대폰(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RF신호 복조를 수행한 후 제 1 제어부(150)로 전달하거나 제 1 제어부(15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 RF신호로 변조하여 이동통신망(미도 시)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1 제어부(150)는 터치패드(110)로 입력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입력에 따라, IPTV(3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세션을 설정하도록 제 1 근거리무선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제 1 제어부(150)는 IPTV(300)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 1 근거리무선통신부(120)를 제어한다.
IPTV(300)가 셋탑박스(400), 콘텐츠제공서버(700)와의 연동을 통해 콘텐츠제공서버(700)로부터 수신된 타겟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제 1 제어부(150)는 터치패드(1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 위치로 커서(Cursor)를 이동시키면 위치이동데이터를 생성한다.
제 1 제어부(150)는 생성된 위치이동데이터를 IPTV(300)로 전송한다.
IPTV(300)가 수신된 위치이동데이터에 커서(Cursor)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위치이동데이터에 의한 커서의 위치가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매칭되는 경우 IPTV(200)는 매칭신호를 핸드폰(10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 1 제어부(150)는 매칭신호와 일치하는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부가 콘텐츠 요청을 IPTV(300)로 전송하도록 제 1 근거리무선통신부(120)를 제어한다.
IPTV(300)는 해당 부가 콘텐츠 요청을 셋탑박스(400)로 전송하면, 셋탑박 스(400)는 저장된 부가 콘텐츠 중 핸드폰(100)에 의해 요청된 부가 콘텐츠를 추출하여 추출된 부가 콘텐츠를 IPTV(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IPTV(200)는 수신된 부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제 1 제어부(150)는 IPTV(300)를 통해 셋탑박스(400)로 IPTV(300)가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부가 콘텐츠를 목적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즉, 제 1 제어부(150)는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IPTV(300)와 연결을 수행하며, 결과적으로 IPTV(300)에 연결된 셋탑박스(400)로 현재 IPTV(300)가 디스플레이 하고 있는 부가 콘텐츠를 목적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제 1 출력부(17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통상적으로, 제 1 출력부(170)는 터치패드(110)를 통해 입력하는 문자, 그리고 멀티미디어 모듈 실행시 해당 멀티미디어 모듈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 1 출력부(170)는 제 1 저장부(19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 1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제 1 저장부(19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 1 출력부(170)는 터치패드(110)로 입력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입력에 따라, 제 1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타겟 콘텐츠 요청을 출력한다.
제 1 출력부(170)는 제 1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커서(Cursor)를 그래픽화하여 출력하며, 터치패드(1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커서(Cursor)를 이동시키면 커서의 이동화면을 그래픽화하여 출력한다.
한편, 제 1 출력부(170)는 음성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음성출력부는 컨텐츠에 포함된 음성데이터, 버튼입력시 효과음, 그리고 멀티미디어 모 듈 실행시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관련해서 출력되는 음성데이터 등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피커를 내장한다.
제 1 저장부(190)는 터치패드(1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 위치로 커서(Cursor)를 이동시켜 생성된 위치이동데이터를 제 1 제어부(15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도 5의 본 발명의 다른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의 핸드폰(100)의 구성은 도 3a의 IPTV(300)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IPTV(300)는 입출력인터페이스(310),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330), 제 2 제어부(350), 제 2 출력부(370) 및 제 2 저장부(390)를 포함한다.
입출력인터페이스(310)는 셋탑박스(400)와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330)는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핸드폰(100)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 2 제어부(350)는 핸드폰(100)으로부터 타겟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도록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330)를 제어한다.
제 2 제어부(350)는 수신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셋탑박스(400)로 전송하도록 입출력인터페이스(310)를 제어한다.
셋탑박스(400)가 콘텐츠제공서버(700)로부터 타겟 콘텐츠, 다수의 부가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타겟 콘텐츠 및 위치데이터를 전송하면, 제 2 제어부(350)는 타겟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입출력인터페이스(310)를 제어한다.
제 2 제어부(350)는 수신된 타겟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제 2 출력부(370)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 2 제어부(350)는 핸드폰(100)으로부터 위치이동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330)를 제어한다.
제 2 제어부(350)는 수신된 위치이동데이터에 커서(Cursor)를 동기화하여 제 2 출력부(370)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제 2 제어부(350)는 수신된 위치이동데이터에 의한 커서의 위치가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 경우 매칭신호를 핸드폰(100)으로 전송하도록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330)를 제어한다.
제 2 제어부(350)는 핸드폰(100)으로부터 매칭신호와 일치하는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부가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도록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330)를 제어한다.
제 2 제어부(350)는 수신된 부가 콘텐츠 요청을 셋탑박스(400)로 전송하도록 입출력인터페이스(310)를 제어한다.
제 2 제어부(350)는 셋탑박스(400)가 콘텐츠제공서버(700)와의 연동에 의해 수신한 핸드폰(100)에 의해 요청된 부가 콘텐츠를 수신하면, 이를 셋탑박스(400)로부터 수신하도록 입출력인터페이스(310)를 제어한다.
제 2 제어부(350)는 수신된 부가 콘텐츠를 제 2 출력부(370)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 2 제어부(350)는 핸드폰(100)으로부터 부가 콘텐츠에 대한 목적 디바이스(200)로 전송 요청을 수신하도록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300)를 제어한다.
이후, 제 2 제어부(350)는 부가 콘텐츠에 대한 목적 디바이스(200)로의 전송 요청을 셋탑박스(400)로 전송하도록 입출력인터페이스(310)를 제어한다.
제 2 출력부(37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제 2 출력부(370)는 제 2 저장부(39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 2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제 2 저장부(39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 2 출력부(370)는 제 2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셋탑박스(400)로부터 타겟 콘텐츠 및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제 2 출력부(370)는 제 2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핸드폰(100)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이동데이터에 커서(Cursor)를 동기화하여 출력한다.
제 2 출력부(370)는 제 2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셋탑박스(400)로부터 수신된 핸드폰(100)에 의해 요청된 부가 콘텐츠를 출력한다.
제 2 저장부(390)는 제 2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타겟 콘텐츠 및 위치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제 2 저장부(390)는 제 2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위치이동데이터 및 부가 콘텐츠를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핸드폰(100)을 통해 타겟 콘텐츠 요청을 입력한다(S901).
이에 따라, 핸드폰(100))은 IPTV(3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세션을 설정한다(S903).
단계(S903) 이후, 핸드폰(100)은 IPTV(300)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전송하면, IPTV(300)는 셋탑박스(400)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전달한다(S905).
셋탑박스(400)는 콘텐츠제공서버(700)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전송한다(S907).
콘텐츠제공서버(700)는 타겟 콘텐츠, 다수의 부가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셋탑박스(400)로 전송한다(S909).
셋탑박스(400)는 단계(S909)에서 수신된 타겟 콘텐츠, 다수의 부가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저장한다(S911).
단계(S911)이후, 셋탑박스(400)는 타겟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IPTV(300)로 전송한다(S913).
IPTV(300)는 단계(S913)에서 수신된 타겟 콘텐츠 및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S915).
핸드폰(100) 사용자는 터치패드를 터치하여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 위치로 커서(Cursor)를 이동시켜 위치이동데이터를 생성한다(S917).
핸드폰(100)은 위치이동데이터를 IPTV(300)로 전송한다(S919).
IPTV(300)는 단계(S919)에서 수신된 위치이동데이터에 커서(Cursor)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한다(S921).
IPTV(300)는 위치이동데이터에 의한 커서의 위치가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지를 판단한다(S923).
단계(S923)의 판단 결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 단계(S919)로 회귀하여 IPTV(300)는 핸드폰(100)로부터 위치이동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S923)의 판단 결과 매칭되는 경우 IPTV(200)는 매칭신호를 핸드폰(100)으로 전송한다(S925).
핸드폰(100)은 단계(S925)의 매칭신호와 일치하는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부가 콘텐츠 요청을 IPTV(300)로 전송하면, IPTV(300)는 해당 부가 콘텐츠 요청을 셋탑박스(400)로 전송한다(S927).
셋탑박스(400)는 단계(S911)에서 저장된 부가 콘텐츠 중 핸드폰(100)에 의해 요청된 부가 콘텐츠를 추출한다(S929)
셋탑박스(400)는 추출된 부가 콘텐츠를 IPTV(200)로 전송한다(S931).
IPTV(200)는 단계(S831)에서 수신된 부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933).
이후, 핸드폰(100) 사용자는 부가 콘텐츠를 목적 디바이스(200)로의 전송할 것을 IPTV(300)를 통해 셋탑박스(400)로 요청한다(S935).
단계(S935)에 따라 목적 디바이스(200)와 셋탑박스(400)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 세션 연결이 설정된다(S937). 이를 위해 셋탑박스(400)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이후, 셉탁박스(400)는 부가 콘텐츠를 목적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S939).
목적 디바이스(200)는 부가 콘텐츠를 수신하여 부가 콘텐츠의 속성 정보를 파악한다(S941).
이후, 목적 디바이스(200)는 부가 콘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로 분리하여 저장한다(S943).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사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 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 및 방법에 의해, 핸드폰과 IPTV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기화시킴으로써, 핸드폰 상에 구현된 커서와 IPTV 상에 구현된 커서가 일치하는 지점의 객체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음으로써, 분리된 장소에 위치한 IPTV의 입력장치에 대한 접근 필요없이 조작하는 편리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laims (9)

  1. 타겟 콘텐츠 요청을 입력하기 위한 핸드폰;
    IP망으로 접속하기 위한 셋탑박스와 연결된 구조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셋탑박스를 이용해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상기 타겟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IPTV; 및
    다수의 콘텐츠를 저장하며, 상기 셋탑박스를 통해 상기 타겟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콘텐츠 중 상기 타겟 콘텐츠, 상기 타겟 콘텐츠에 포함되는 다수의 부가 콘텐츠, 상기 부가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셋탑박스를 통해 상기 IPTV로 전송하는 콘텐츠제공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IPTV는 상기 콘텐츠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타겟 콘텐츠, 상기 다수의 부가 콘텐츠 및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상기 타겟 콘텐츠 및 상기 위치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핸드폰이 상기 핸드폰 사용자의 터치패드에 대한 터치에 의해 생성된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 위치로 상기 핸드폰의 제 1 출력부 상의 커서(Cursor)를 이동시켜 위치이동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면, 상기 위치이동데이터에 상기 IPTV의 제 2 출력부 상의 커서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위치이동데이터에 의한 상기 IPTV의 커서의 위치가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핸드폰으로 매칭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상기 매칭신호를 생성하게 한 상기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을 상기 셋탑박스 로 전송하여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반환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콘텐츠는 타겟 콘텐츠에 포함된 다수의 오브젝트(Object)에 대한 디스크립션(Description) 정보이며, 상기 위치데이터는 상기 다수의 오브젝트의 상기 타겟 콘텐츠 내에서의 위치좌표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IPTV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목적 디바이스;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핸드폰은, 상기 핸드폰 사용자의 상기 IPTV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상기 목적 디바이스로 전송할 것을 상기 IPTV로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요청하여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셋탑박스가 상기 IPTV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상기 목적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디바이스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부가 콘텐츠의 속성 정보를 파악하여 상 기 속성 정보로 분리하여 저장하며,
    상기 속성정보는 인물, 건물, 인간을 제외한 동식물, 작품, 고적지, 역사, 병원, 교통, 지역, 제품, 식품, 그리고 식품 또는 제품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
  5. 입력신호를 그래픽화여 출력하기 위한 제 1 출력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입력받고,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제 1 출력부로 출력된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패드;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된 IPTV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 1 근거리무선통신부; 및
    상기 터치패드로 입력된 상기 타겟 콘텐츠 요청의 입력에 따라, 셋탑박스와 연결된 상기 IPTV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세션을 설정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 요청을 상기 IPTV로 전송하고,
    상기 IPTV가 콘텐츠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셋탑박스를 이용해 수신한 타겟 콘텐츠, 상기 타겟 콘텐츠에 포함되는 다수의 부가 콘텐츠, 상기 부가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상기 타켓 콘텐츠와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면, 상기 터치패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매칭되는 위치로 커서가 이동하면 위치이동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IPTV로 전송하여 상기 IPTV의 제 2 출력부의 커서를 동기화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상기 동기화에 따라 상기 제 2 출력부의 커서의 위치가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매칭되면 상기 IPTV로부터 매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매칭신호를 생성하게 한 상기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을 상기 IPTV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1 근거리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IPTV가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 1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의 핸드폰.
  6. 입력신호를 그래픽화여 출력하기 위한 제 2 출력부;
    셋탑박스와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입출력인터페이스;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핸드폰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 및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타겟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타겟 콘텐츠 요청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도록 입출력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셋탑박스가 콘텐츠제공서버로부터 타겟 콘텐츠, 상기 타겟 콘텐츠에 포함되는 다수의 부가 콘텐츠, 상기 부가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 및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타겟 콘텐츠 및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입출력인터페이스를 제어하며, 상기 타겟 콘텐츠 및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제 2 출력부를 제어 하며,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상기 핸드폰의 제 1 출력부 상에서의 커서 이동에 의해 생성된 위치이동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위치이동데이터에 상기 제 2 출력부로 출력되는 커서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위치이동데이터에 의한 상기 IPTV의 커서의 위치가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매칭되는 경우 매칭신호를 상기 핸드폰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매칭신호를 생성하게 한 상기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을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제 2 근거리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IPTV가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상기 제 2 출력부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의 IPTV.
  7. 핸드폰, 셋탑박스와 연결된 IPTV, 그리고 콘텐츠제공서버를 이용한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
    상기 IPTV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타겟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셋탑박스를 통해 상기 콘텐츠제공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IPTV는 상기 셋탑박스를 통해 상기 콘텐츠제공서버로부터 타겟 콘텐츠, 상기 타겟 콘텐츠에 포함되는 다수의 부가 콘텐츠, 상기 부가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IPTV는 상기 콘텐츠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타겟 콘텐츠와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3 단계;
    상기 IPTV는 상기 핸드폰이 상기 핸드폰 사용자의 터치패드에 대한 터치에 의해 생성된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 위치로 상기 핸드폰의 제 1 출력부의 커서를 이동시켜 위치이동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면, 상기 위치이동데이터에 상기 IPTV의 제 2 출력부의 커서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4 단계;
    상기 IPTV는 상기 위치이동데이터에 의한 상기 제 2 출력부의 커서의 위치가 상기 다수의 위치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데이터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핸드폰으로 매칭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상기 매칭신호를 생성하게 한 상기 위치데이터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IPTV는 수신된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여 상기 부가 콘텐츠 요청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반환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IPTV는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상기 핸드폰 사용자의 상기 IPTV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상기 목적 디바이스로의 전송 요청을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수신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IPTV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로의 전송 요청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 여, 상기 셋탑박스가 상기 IPTV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부가 콘텐츠를 상기 목적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 8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가 상기 부가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부가 콘텐츠의 속성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속성 정보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속성정보는 인물, 건물, 인간을 제외한 동식물, 작품, 고적지, 역사, 병원, 교통, 지역, 제품, 식품, 그리고 식품 또는 제품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방법.
KR1020090074146A 2009-08-12 2009-08-12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 및 방법 KR201100165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146A KR20110016571A (ko) 2009-08-12 2009-08-12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146A KR20110016571A (ko) 2009-08-12 2009-08-12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571A true KR20110016571A (ko) 2011-02-18

Family

ID=43774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146A KR20110016571A (ko) 2009-08-12 2009-08-12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65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759A1 (en) * 2012-07-25 201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inform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759A1 (en) * 2012-07-25 201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inform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
US9549143B2 (en) 2012-07-25 2017-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inform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41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2710992B (zh) 一种互动消息展示方法、装置及系统
US8238887B2 (en) Output of content from the internet on a media rendering device
US11716497B2 (en) Control system for playing a data stream on a receiving device
US10812865B2 (en) Network-based control of a media device
CN104301399A (zh) 一种语音远程控制音箱的系统及方法
CN103957218A (zh) 共享媒体播放的方法和系统
WO2015035742A1 (zh) 一种数字电视的音视频共享方法、终端及系统
CN102638715A (zh) 智能电视系统远程监控方法、相关设备以及智能电视系统
CN107615258A (zh) 信息处理方法、程序、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系统
CN103118018B (zh) 一种基于dlna的媒体资源同步播放方法及装置
CN106095132B (zh) 播放设备按键功能设置方法及装置
US20170127120A1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10016571A (ko)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취득시스템 및 방법
KR101990866B1 (ko)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48226B1 (ko)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미디어 컨텐츠 푸쉬 방법
JP2014011618A (ja) コンテンツ編集装置、コンテンツ処理装置、コンテンツ編集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編集方法
KR20120018920A (ko) 컨텐츠 공유 제어 방법,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및 컨텐츠 공유 시스템
KR20110015117A (ko) Dlna 홈네트워크의 적응적 콘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064527B1 (ko) 이동단말을 이용한 dlna 홈네트워크의 디바이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TWI538493B (zh) Multimedia system, cross - platform real - time sharing system and method
KR101405895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장치
KR20120018929A (ko) 컨텐츠 공유 제어 방법,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컨텐츠 재생 장치 및 시스템
KR20130082981A (ko)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74440A (ko)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