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6372A - 조명등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등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6372A
KR20110016372A KR1020090114630A KR20090114630A KR20110016372A KR 20110016372 A KR20110016372 A KR 20110016372A KR 1020090114630 A KR1020090114630 A KR 1020090114630A KR 20090114630 A KR20090114630 A KR 20090114630A KR 20110016372 A KR20110016372 A KR 20110016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power semiconductor
circuit
driving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희
Original Assignee
신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희 filed Critical 신동희
Publication of KR20110016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명등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입력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충전전류가 흐르는 전력 반도체 소자와,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를 통해 흐르는 상기 충전전류의 전류값을 센싱하는 전류 센싱부와, 상기 센싱된 전류값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를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를 전류 최대값 이하로 제한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류 제한부; 상기 정류된 입력전압에 대한 충전과 방전을 통해 상기 입력전압을 평활하되, 상기 충전시 상기 충전전류가 흐르는 필터부; 및 상기 평활된 입력전압에 따른 구동전류를 조명등으로 공급하는 조명등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전압을 평활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콘덴서를 충전할 때 발생하는 충전전류를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조명등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조명등, 충전전류

Description

조명등 구동 장치{Driving Apparatus of Lighting Lamp}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명등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전압을 평활하고 입력전압에 포함된 고주파를 감쇄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콘덴서를 충전할 때 발생하는 충전전류를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조명등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조명등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명등 구동 회로는, 위상제어된 교류 파형의 입력전압을 입력받아,입력전압의 위상제어된 파형에 따라 조명등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조도를 조절하는 회로이다. 이러한 조명등 구동 회로는 입력전압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와, 정류된 입력전압을 평활하는 평활 회로와,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 조명등이나 형광등과 같은 조명등으로 구동 전류를 제어하여 공급하는 구동 회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조명등 구동 회로의 평활 회로에서, 입력전압을 평활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콘덴서를 충전할 때, 통상의 정격 전류의 수십배에 달하는 매우 큰 충전전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매우 큰 충전전류는 전기회로에 매우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된다. 특히 조명등 구동 회로의 전원이나 외부기기 등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적은, 입력전압을 평활하고 입력전압에 포함된 고주파를 감쇄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콘덴서를 충전할 때 발생하는 충전전류를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조명등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입력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충전전류가 흐르는 전력 반도체 소자와,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를 통해 흐르는 상기 충전전류의 전류값을 센싱하는 전류 센싱부와, 상기 센싱된 전류값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를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를 전류 최대값 이하로 제한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류 제한부; 상기 정류된 입력전압에 대한 충전과 방전을 통해 상기 입력전압을 평활하되, 상기 충전시 상기 충전전류가 흐르는 필터부; 및 상기 평활된 입력전압에 따른 구동전류를 조명등으로 공급하는 조명등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입력전압을 정류하여 정류전압을 발생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전압의 고주파성분을 제거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와 상기 정류부 사이의 경로 상에 위치하여 충전전류가 흐르는 전력 반도체 소자와,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를 통해 흐르는 상기 충전전류의 전류값을 센싱하는 전류 센싱부와, 상기 센싱된 전류값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를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를 전류 최대값 이하로 제한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류 제한부; 및 상기 고주파성분이 제거된 정류전압에 따른 구동전류를 조명등으로 공급하는 조명등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구동 장 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전압을 평활하고 입력전압에 포함된 고주파를 감쇄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콘덴서를 충전할 때 발생하는 충전전류를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조명등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구동 장치(100)에 대한 블록 구 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구동 장치(100)는 전원(10)으로부터 입력전압을 입력받고, 입력된 입력전압에 따라 조명등(20)으로 공급하는 구동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조명등(20)의 조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조명등 구동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된 입력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110), 정류된 입력전압에 대한 충전과 방전을 통해 정류된 입력전압을 평활하는 필터부(130), 및 평활된 입력전압에 따른 구동전류를 조명등(20)으로 공급하는 조명등 구동부(140)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필터부(130)는 정류된 입력전압에 대한 충전시 충전전류가 흐른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필터부(130)에서의 충전으로 인해 흐르는 충전전류는 순간적으로 매우 큰 피크값(Peak Value)을 보일 수 있으며, 이는 조명등 구동 장치(100) 내부, 전원(10), 또는 전원(10)과 연결된 다른 외부 전기 기기에도 매우 나쁜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구동 장치(100)는, 필터부(130)에서의 충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충전전류가 순간적으로 매우 큰 피크값(Peak Value)을 보이지 않도록 충전전류를 전류 제한값 이하로 제한하는 전류 제한부(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류 제한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30)에서의 충전으로 인해 발생한 충전전류가 흐르는 전력 반도체 소자(210)와, 전력 반도체 소자(210)를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의 전류값을 센싱하는 전류 센싱부(220)와, 전력 반도체 소자(210)를 제어함으로써 센싱된 전류값을 전류 최대값 이하로 제한하는 전류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한편, 필터부(130)는 입력전압을 평활할 뿐만 아니라 정류부(110)에서 발생한 정류전압에 섞여 있는 고주파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전류 제한부(120)는, 필터부(130)와 정류부(110) 사이의 경로 상에 위치하여 충전전류가 흐르는 전력 반도체 소자(210)와, 전력 반도체 소자(210)를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의 전류값을 센싱하는 전류 센싱부(220)와, 센싱된 전류값에 근거하여 전력 반도체 소자(210)를 제어함으로써 전력 반도체 소자(210)를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를 전류 최대값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조명등 구동부(140)는 필터부(130)에 의해 정류전압의 고주파성분이 제거되면 고주파성분이 제거된 정류전압에 따른 구동전류를 조명등(2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반도체 소자(210)의 공급단(2110), 출력단(2120) 및 구동단(2130)은 필터부(130), 전류 센싱부(220) 및 전류 제어부(230)와 각각 연결된다.
전술한 전력 반도체 소자(210)는, 일 예로서, N형 또는 P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or)이거나, NPN형 또는 PNP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 또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전력 반도체 소자(210)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절연 게이트 양 극성 트랜지스터 등에 제한되지 않고 이들과 동등한 기능을 하는 어떠한 반도체 소자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만약, 전력 반도체 소자(210)가 N형 또는 P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인 경우, 전력 반도체 소자(210)의 공급단(2110), 출력단(2120) 및 구동단(2130)은 드레인(Drain), 소스(Source) 및 게이트(Gate)와 각각 대응된다.
또한 전력 반도체 소자(210)가 NPN형 또는 PNP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경우, 전력 반도체 소자(210)의 공급단(2110), 출력단(2120) 및 구동단(2130)은 콜렉터(Collecter), 에미터(Emitter) 및 베이스(Base)와 각각 대응된다.
전술한 전류 제한부(120)에 포함된 전류 센싱부(220)는, 전력 반도체 소자(210)의 출력단(2120)과 연결되는 "전류 센싱 저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전류 센싱부(220)는 전력 반도체 소자(210)의 출력단(2120)을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에 의해 전류 센싱 저항에서 발생한 전압 강하에 근거하여 충전전류의 전류값을 센싱(Sensing)한다.
전술한 전류 제한부(120)에 포함된 전류 제어부(230)는, 전류 제어용 소자(들)를 이용하여, 전력 반도체 소자(210)의 구동단(2130)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전력 반도체 소자(210)를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전류 제어용 소자(들)에는, 일 예로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 또는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OP AMP: Operational Amplifier)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력 반도체 소자(210)를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어떠한 소자나 직접회로(IC) 등의 회로들이 이용될 수 있다.
먼저, 전술한 전류 제한부(120)에 포함된 전류 제어부(230)가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 전류 제어부(230)는 전력 반도체 소자(210)의 구동단(2130)과 연결되는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를 통해, 전류 센싱부(220)에서 센싱된 전류값(즉, 전압값)이 높아지면 전류제어용 반도체 소자로 흐르는 바이패스 전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전류제어용 반도체 소자의 공급단과 출력단 사이의 전압이 강하하여 전력 반도체 소자(210)의 구동단(2130) 전압이 낮아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력 반도체 소자(210)를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를 전류 최대값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즉, 전류제어용 반도체 소자로의 바이패스 전류가 증가한 만큼 필터부(130)로 흐르는 충전전류가 감소한다.
위에서 언급한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는 공급단, 출력단 및 구동단을 포함하는데,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의 공급단은 전력 반도체 소자(210)의 구동단(2130)과 연결되고,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의 출력단과 구동단은 전류 센싱부(220)에 포함된 전류 센싱 저항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의 입력단에는 전류 센싱 저항의 일단부 및 전력 반도체 소자(210)의 출력단이 병렬로 연결되고,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의 출력단에는 전류 센싱 저항의 타단부 및 정류부(110)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또한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의 입력단은 정류부(110)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는, N형 또는 P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or)이거나, NPN형 또는 PNP형 바이폴라 트랜지스 터(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일 수 있다. 만약,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가 N형 또는 P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인 경우,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의 공급단, 출력단 및 구동단은 드레인(Drain), 소스(Source) 및 게이트(Gate)와 각각 대응된다. 또한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가 NPN형 또는 PNP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경우,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의 공급단, 출력단 및 구동단은 콜렉터(Collecter), 에미터(Emitter) 및 베이스(Base)와 각각 대응된다.
전술한 전류 제어부(230)는, 전력 반도체 소자(210)의 구동단(2130)과 연결되는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를 통해, 전력 반도체 소자(210)의 구동단(2130) 전압을 제어하여 전력 반도체 소자(210)를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를 전류 최대값 이하로 제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충전전류의 제한시 근거가 되는 전류 최대값은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 및 전류 센싱 저항의 특성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 최대값은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의 출력단과 구동단 간의 동작전압 값(예: 약 0.6V)을 전류 센싱 저항의 저항값으로 나눈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가령, 전류 제한부(120)를 구현하기 위한 회로 설계시, 조명등 구동 장치(100) 내부, 전원(10), 또는 전원(10)과 연결된 다른 외부 전기 기기 등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충전전류의 최대 전류값을 미리 정하고, 이렇게 정해진 최대 전류값이 되도록 하는 특성을 갖는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 및/또는 전류 센싱 저항을 결정하여 회로 설계를 함으로써, 충전전류의 전류 최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전류 제한부(120)에 포함된 전류 제어부(230)는, 전력 반도체 소자(210)의 구동단(2130)에 일정 크기 이상의 과전압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과 전압 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전압 보호부는 제너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너 다이오드의 양단을 전력 반도체 소자(210)의 구동단(2130)과 전류 센싱 저항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하여 전력 반도체 소자(210)의 구동단(2130)의 과전압을 제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전류 제한부(120)에 포함된 전류 제어부(230)가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를 이용하는 경우, 전류 제어부(230)는 전력 반도체 소자(210)의 구동단(2130)과 연결되는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를 통해, 센싱된 전류값에 근거하여 전력 반도체 소자(210)의 구동단(2130)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전력 반도체 소자(210)를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를 전류 최대값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는 +전원 공급단, -전원 공급단, 출력단, + 입력단 및 - 입력단을 포함하는데,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의 +전원 공급단 및 -전원 공급단이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의 양단과 각각 연결되고,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은 전력 반도체 소자(210)의 구동단(2130)과 연결되며,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의 + 입력단은 제 1 분할 저항의 일단 및 제 2 분할 저항의 일단과 연결되고,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의 - 입력단은 전류 센싱 저항의 일단과 연결되고,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의 +전원 공급단 및 -전원 공급단에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의 양단은 제 1 분할 저항의 타단 및 제 2 분할 저항의 타단과 각각 연결된다.
전술한 전류 제어부(230)가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를 이용하여 충전전류를 제한하는 경우, 충전전류의 전류 최대값은 제 1 분할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전 압을 전류 센싱 저항으로 나눈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전류 제한부(120)는, 필터부(130)에 포함된 콘덴서(condenser, 이를 커패시터(capacitor) 또는 축전기라고도 함)가 충전되는 동안 발생한 충전전류의 흐름에 대하여, 필터부(130)에 포함된 콘덴서의 앞 또는 뒤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필터부(130)는 정류부(110)에서 정류된 입력전압을 평활하는 구성으로서, 정류된 입력전압에서 높은 전압은 낮추어 주거나 낮은 전압은 높여주는 등의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시켜서 직류로 바꾸어주거나, 입력전압에 섞여 있는 고주파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130)는, 일 예로서, 한 개의 콘덴서만으로 구성되는 평활회로로 구현되거나, 콘덴서와 인덕터로 구성된 평활회로 구현되거나, 또는 콘덴서와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밸리 필 타입(Vally Fill Type)의 평활 회로로 구현되거나, 고주파성분 제거에 적합한 용량의 콘덴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력을 평활하는 용도의 콘덴서는 고주파성분 제거하는 기능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평활하는 기능에는 필터부(130)에 입력된 입력전압의 고주파 성분까지도 제거하는 기능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필터부(130)는 정류된 입력전압을 평활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정류된 입력전압에 섞여 있거나 조명등 구동부(140)에서 발생된 고주파성분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정류된 입력전압에 섞여있는 고주파를 제거하면 고주파성분이 조명등 구동부(140) 등 본 발명의 조명등 구동 장치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조명등 구동부(140)에서 발생된 고주파성분을 제거하 면 본 발명의 조명등 구동 장치에서 발생한 고주파성분이 외부로 전달되어 다른 기기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조명등 구동부(140)는, 정류부(110)에 의해 정류되기 전 또는 정류된 입력전압으로부터 조도조절 제어정보를 검출하는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부"와,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부에서 검출된 조도조절 제어정보와 필터부(130)에서 평활된 입력전압에 근거하여, 조명등(20)의 조도가 조절되도록 조명등(20)에 공급되는 구동전류의 전류량을 제어하는 "구동전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부가 (정류되기 전 또는 정류된) 입력전압으로부터 조도조절 제어정보를 검출하기 위해서, 정류부(110)로 입력된 입력전압에 조도조절 제어정보가 실려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한 일 예로서, 사용자가 조도 조절 리모컨 등을 통해 조명등(20)의 원하는 조도를 조절함에 따라 발생한 디밍(Dimming, 조도 조절) 정보나, 조명등(20)의 주변 밝기를 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센싱하여 센싱된 결과에 따른 디밍(조도 조절) 정보가, 입력신호에서 검출될 수 있도록 신호처리되어 입력신호에 실려 정류부(110)에 입력될 수 있다.
전술한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부는, 정류부(110)에 의해 정류되기 전 또는 정류된 입력전압의 신호 파형에서 턴 온(Turn-On) 구간의 폭을 조도조절 제어정보로서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구동전류 제어부를 통해 구동전류를 공급받는 조명등(20)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조명등 및 형광등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어떠한 형태의 조명등도 모두 포함할 수 있 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구동 장치(100)는 조명등 구동 회로로 설계되어 구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조명등 구동 장치(100)에 포함된 정류부(110), 전류 제한부(120), 필터부(130) 및 조명등 구동부(140)는 정류회로, 전류제한회로, 평활회로 및 구동회로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정류회로는 위상 제어된 교류 파형을 갖는 입력전압을 입력받아 입력전압을 정류하기 위해 입력전압을 + 전압만 존재하는 직류에 근사한 파형으로 바꾸어 주는 회로이고, 반파 정류 회로, 전파 정류 회로, 브릿지 정류 회로 및 배전압 정류 회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정류회로에 의해 정류된 입력전압은 직류가 아니라 + 전압만 존재하는 맥류이기 때문에, 평활회로가 이러한 맥류를 직류로 바꾸어 준다. 평활회로는 정류된 입력전압, 즉 맥류를 직류로 바꾸기 위해서, 정류된 입력전압의 높은 전압은 낮추어 주거나 낮은 전압은 높이는 등의 동작으로 통해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시켜 직류로 바꾸어 준다. 이러한 평활회로는 기본적으로는 콘덴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일 예로, 한 개의 콘덴서만으로 구성되거나, 콘덴서와 인덕터로 구성되거나, 또는 콘덴서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밸리 필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구동 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조명등 구동 회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3, 도 4, 도 5 및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조명등 구동 회로(300, 400, 500 및 600)를 참조하여 전술한 조명등 구동 장치(100)의 동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조명등 구동 회로에서, 전력 반도체 소자(210), 전류 센싱부(220) 및 전류 제어부(230)를 포함하는 전류 제한부(120)를 구현한 전류제한회로는, 전력 반도체 소자(210)로서의 N형 또는 P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전류 센싱부(220)를 구현한 전류 센싱 저항과, 전류 제어부(230)를 구현한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가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구동 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조명등 구동 회로(300)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에 일 예로서 도시된 조명등 구동 회로(300)는, 조명등(20)으로서의 발광 다이오드 조명등(350)으로 조절된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정류회로(310), 전류제한회로(320), 평활회로(330) 및 구동회로(340)를 포함한다.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정류회로(310)는 4개의 다이오드를 브릿지 모양으로 연결한 브릿지 정류 회로이다. 또한, 평활회로(330)는 한 개의 콘덴서인 C1으로 구성된 회로이다.
또한,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전류제한회로(320)는, 전력 반도체 소자(210)로서의 N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인 "Q1(321)"과, 전류 센싱부(220)를 구현한 전류 센싱 저항인 "R1(322)"과, 전류 제어부(230)를 구현한 "전류제어회로(3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류제어회로(323)는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로서의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Q2", 제너 다이오드인 "ZD1", 및 저항 "R2"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활회로(330)에 포함된 콘덴서 C1이 충전될 때 충전전류(3000)가 발생하면, 발생한 충전전류(3000)는 평활회로(330)에 포함된 콘덴서 C1을 거쳐 전류제한회로(320)로 흘러들어가고, 이러한 충전전류(3000)는 D1, C1, Q1(321) 및 R1(322)를 통해 흐름으로써, D1, C1, Q1(321) 및 R1(322)를 포함하는 충전회로가 형성된다. 도 3에서의 전류제한회로(320)는 충전전류(3000)의 흐름에 대하여 평활회로(330)의 뒷부분에 위치한다. 또한 Q1(321)은 평활회로(330)와 정류회로(310) 사이의 경로 상에 위치하여 충전전류가 흐르도록 구현됨을 알 수 있다.
전류제한회로(320)에 의해 충전전류(3000)가 제한되는 원리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평활회로(330)에 포함된 콘덴서 C1이 충전될 때 발생한 충전전류(3000)가 전류제한회로(320)로 흘러들어갈 때, 동시에 정류회로(310)에서 정류된 입력전압이 R2를 통해 Q1(321)의 게이트에 인가되면 Q1(321)을 통해 충전전류(3000)가 흐른다. 여기서, 정류된 입력전압은 대개 Q1(321)의 게이트 전압보다 훨씬 크며, Q1(321)의 게이트에 과도한 전압이 인가되면 Q1(321)이 소손되기 때문에 ZD1을 통해 Q1(321)의 게이트에 과도한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정류회로(310)에서 정류된 입력전압이 R2를 통해 Q1(321)의 게이트에 인가되어 Q1(321)이 도통되면, Q1(321)의 드레인-소스 간에 충전전류(3000)가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해 R1(322)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한다. 이러한 전압 강하를 토대로 충전전류(3000)의 전류값을 센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R1(322)에서 발생한 전압이 Q2의 베이스-에미터 동작전압(약 0.6V)보다 낮을 때는 Q2가 동작하지 않다가, 충전 전류(3000)가 과도하게 흘러 R1(322)에서의 전압 강하가 Q2의 베이스-에미터 동작 전압을 초과하게 되면 Q2가 동작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서, Q2의 콜렉터-에미터로 흐르는 바이패스 전류로 인하여 Q1(321)의 게이트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그러면 Q1(321)이 완전히 온(ON)되지 않고 Q1(321)의 드레인-소스 사이에 저항값이 증가하여 D1, C1, Q1(321) 및 R1(322)를 포함하여 형성된 충전회로를 따라 흐르는 충전전류(3000)가 줄어들게 된다. 즉, 충전회로를 따라 흐르는 충전전류(3000)는 R1(322)에서의 전압 강하가 Q2의 베이스-에미터 동작 전압 이상이 되지 않도록 제한한다. 그러므로, 전류제한회로(320)에서의 충전전류를 Q2의 베이스-에미터 동작 전압을 R1(322)의 저항값으로 나눈 전류 제한값으로 제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정류회로(310), 전류제한회로(320) 및 평활회로(330)를 포함하는 회로와, X점, Y점 및 Z점에서 연결된 구동회로(340)는, 평활회로(330)에서 평활된 입력전압에 따른 구동전류를 조절하여, 조절된 구동전류를 조명등(20)으로서의 발광 다이오드 조명등(350)으로 공급하는 회로이다. 다만, 정류회로(310), 전류제한회로(320) 및 평활회로(330)를 포함하는 회로와, X점, Y점 및 Z점에서 연결되는 구동회로(340)는, 도 4에 도시된 구동회로(440), 또는 도 5에 도시된 구동회로(540), 또는 도 6에 도시된 구동회로(640) 등을 포함하는 어떠한 구동회로로도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회로(340)는,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 회로(341)와 구동전류 제어회로로 구성된다.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 회로(341)는, 발광 다이오드 조명등(350)을 얼마나 조절할지를 지시하는 정보로서의 조도조절 제어정보를 정류된 입 력전압으로부터 검출한다. 구동전류 제어회로는,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 회로(341)에 의해 검출된 조도조절 제어정보와 평활회로(330)에 의해 평활된 입력전압에 근거하여 발광 다이오드 조명등(350)의 조도가 조절되도록 발광 다이오드 조명등(350)에 공급하는 구동전류의 전류량을 제어한다. 구동회로(340)에서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 회로(34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구동전류 제어회로에 해당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회로(341)는, 포토 커플러(PC1),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Q3),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4), 저항(R6, R7, R60, R69, R70) 및 콘덴서(C30) 등으로 구성되어, 정류된 입력전압의 신호 파형에서 턴 온(Turn-On) 구간의 폭을 조도조절 제어정보로서 검출할 수 있다. 이렇게 검출된 턴 온(Turn-On) 구간의 폭(조도조절 제어정보)는 직접회로(IC)인 U1로 전류제어지령의 의미로서 보내진다. 이에 따라 직접회로(IC)인 U1은 발광 다이오드(LED) 조명등(350)으로 전류제어지령에 맞는 구동전류를 공급한다. 여기서 직접회로(IC)인 U1은 발진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 기능의 일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구동 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조명등 구동 회로(400)에 대한 다른 예시도이다.
도 4에 일 예로서 도시된 조명등 구동 회로(400)는, 조명등(20)으로서의 발광 다이오드 조명등(450)으로 조절된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정류회로(410), 전류제한회로(420), 평활회로(430) 및 구동회로(440)를 포함한다.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정류회로(410)는 4개의 다이오드를 브릿지 모양으 로 연결한 브릿지 정류 회로이다. 또한, 평활회로(430)는 한 개의 콘덴서인 C1으로 구성된 회로이다.
또한,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전류제한회로(420)는, 전력 반도체 소자(210)로서의 P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인 "Q1(421)"과, 전류 센싱부(220)를 구현한 전류 센싱 저항인 "R1(422)"과, 전류 제어부(230)를 구현한 "전류제어회로(4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류제어회로(423)는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로서의 PNP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Q2", 제너 다이오드인 "ZD1", 및 저항 "R2"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활회로(430)에 포함된 콘덴서 C1이 충전될 때 충전전류(4000)가 발생하면, 발생한 충전전류(4000)는 평활회로(430)에 포함된 콘덴서 C1을 거쳐 전류제한회로(420)로 흘러들어가고, 이러한 충전전류(4000)는 D1, R1(422), Q1(421) 및 C1를 통해 흐름으로써, D1, R1(422), Q1(421) 및 C1를 포함하는 충전회로가 형성된다. 도 4에서의 전류제한회로(420)는 충전전류(4000)의 흐름에 대하여 평활회로(430)의 앞 부분에 위치한다. 여기서도 또한 Q1(421)은 평활회로(430)와 정류회로(410) 사이의 경로 상에 위치하여 충전전류가 흐르도록 구현됨을 알 수 있다.
전류제한회로(420)에 의해 충전전류(4000)가 제한되는 원리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평활회로(430)에 포함된 콘덴서 C1이 충전될 때 발생한 충전전류(4000)가 전류제한회로(420)로 흘러들어갈 때, 동시에 정류회로(410)에서 정류된 입력전압이 R2를 통해 Q1(421)의 게이트에 인가되면 Q1(421)을 통해 충전전류(4000)가 도통된다. 여기서, 정류된 입력전압은 대개 Q1(421)의 게이트 전압보다 훨씬 크며, Q1(421)의 게이트에 과도한 전압이 인가되면 Q1(421)이 소손되기 때문에 ZD1을 통해 Q1(421)의 게이트에 과도한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정류회로(410)에서 정류된 입력전압이 R2를 통해 Q1(421)의 게이트에 인가되어 Q1(421)이 도통되면, Q1(421)의 소스-드레인 간에 충전전류(3000)가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해 R1(422)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한다. 이러한 전압 강하를 토대로 충전전류(4000)의 전류값을 센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R1(422)에서 발생한 전압이 Q2의 에미터-베이스 동작전압(약 0.6V)보다 낮을 때는 Q2가 동작하지 않다가, 충전전류(4000)가 과도하게 흘러 R1(422)에서의 전압 강하가 Q2의 에미터-베이스 동작 전압을 초과하게 되면 Q2가 동작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서, Q2의 에미터-콜렉터로 흐르는 전류로 인하여 Q1(421)의 게이트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그러면 Q1(421)이 완전히 온(ON)되지 않고 Q1(421)의 소스-드레인 사이에 저항값이 증가하여 D1, R1(422), Q1(421) 및 C1을 포함하여 형성된 충전회로를 따라 흐르는 충전전류(4000)가 줄어들게 된다. 즉, 충전회로를 따라 흐르는 충전전류(4000)는 R1(422)에서의 전압 강하가 Q2의 에미터-베이스 동작 전압 이상이 되지 않도록 제한한다. 그러므로, 전류제한회로(420)에서의 충전전류를 Q2의 에미터-베이스 동작 전압을 R1(422)의 저항값으로 나눈 전류 제한값으로 제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류회로(410), 전류제한회로(420) 및 평활회로(430)를 포함하는 회로와, X점, Y점 및 Z점에서 연결된 구동회로(440)는, 평활회로(430)에서 평활된 입력전압에 따른 구동전류를 조절하여, 조절된 구동전류를 조명등(20)으로서의 발광 다이오드 조명등(450)으로 공급하는 회로이다. 다만, 정류회로(410), 전류제한회로(420) 및 평활회로(430)를 포함하는 회로와, X점, Y점 및 Z점에서 연결된 구동회로(440)는, 도 3에 도시된 구동회로(340), 또는 도 5에 도시된 구동회로(540), 또는 도 6에 도시된 구동회로(640) 등을 포함하는 어떠한 구동회로로도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회로(440)는,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 회로(441)와 구동전류 제어회로로 구성된다.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 회로(441)는, 발광 다이오드 조명등(450)을 얼마나 조절할지를 지시하는 정보로서의 조도조절 제어정보를 정류된 입력전압으로부터 검출한다. 구동전류 제어회로는,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 회로(441)에 의해 검출된 조도조절 제어정보와 평활회로(430)에 의해 평활된 입력전압에 근거하여 발광 다이오드 조명등(450)의 조도가 조절되도록 발광 다이오드 조명등(450)에 공급하는 구동전류의 전류량을 제어한다. 구동회로(440)에서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 회로(44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구동전류 제어회로에 해당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회로(441)는, 저항(R4, R7),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Q3) 및 제너 다이오드(ZD2) 등으로 구성되어, 정류된 입력전압의 신호 파형에서 턴 온(Turn-On) 구간의 폭을 조도조절 제어정보로서 검출할 수 있다. 이렇게 검출된 턴 온(Turn-On) 구간의 폭(조도조절 제어정보)는 직접회로(IC)인 U1로 전류제어지령의 의미로서 보내진다. 이에 따라 직접회로(IC)인 U1은 발광 다이오드(LED) 조명등(350)으로 전류제어지령에 맞는 구동전류를 공급한다. 여기서 직접회로(IC)인 U1은 발진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 기능의 일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구동 장치(500)를 구현하기 위한 조명등 구동 회로(500)에 대한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5에 일 예로서 도시된 조명등 구동 회로(500)는, 조명등(20)으로서의 형광등(550)으로 조절된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정류회로(510), 전류제한회로(520), 평활회로(530) 및 구동회로(540)를 포함한다.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정류회로(510)는 4개의 다이오드를 브릿지 모양으로 연결한 브릿지 정류 회로이다. 또한, 평활회로(530)는 2개의 콘덴서(C1, C2)와 3개의 다이오드(D2, D3, D4)를 밸티 필 타입으로 구성한 밸리 필 타입 평활 회로이다.
또한,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전류제한회로(520)는, 전력 반도체 소자(210)로서의 N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인 "Q1(521)"과, 전류 센싱부(220)를 구현한 전류 센싱 저항인 "R1(522)"과, 전류 제어부(230)를 구현한 "전류제어회로(5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류제어회로(523)는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로서의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Q2", 제너 다이오드인 "ZD1", 및 저항 "R2"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활회로(530)에 포함된 콘덴서 C1과 C2가 충전될 때 충전전류(5000)가 발생하면, 발생한 충전전류(5000)는 평활회로(530)에 포함된 콘덴서 C1을 거쳐 전류제한회로(520)로 흘러들어가고, 이러한 충전전류(5000)는 D1, C1, D2, Q1(521), R1(522) 및 C2를 통해 흐름으로써, D1, C1, D2, Q1(521), R1(522) 및 C2를 포함하는 충전회로가 형성된다. 도 5에서의 전류제한회로(520)는 충전전류(5000)의 흐름에 대하여, 콘덴서 C1의 뒷부분과 콘덴서 C2의 앞 부분에 위치한다. 즉, 전류제한회로(520)는 평활회로(530) 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위치한다. 여기서도 Q1(521)은 평활회로(530)와 정류회로(510) 사이의 경로 상에 위치하여 충전전류가 흐르도록 구현됨을 알 수 있다.
전류제한회로(520)에 의해 충전전류(5000)가 제한되는 원리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평활회로(530)에 포함된 콘덴서 C1과 C2가 충전될 때 발생한 충전전류(5000)가 콘덴서 C1을 거쳐 전류제한회로(520)로 흘러들어갈 때, 동시에 정류회로(510)에서 정류된 입력전압이 R2를 통해 Q1(521)의 게이트에 인가되면 Q1(521)을 통해 충전전류(3000)가 도통된다. 여기서, 정류된 입력전압은 대개 Q1(521)의 게이트 전압보다 훨씬 크며, Q1(521)의 게이트에 과도한 전압이 인가되면 Q1(521)이 소손되기 때문에 ZD1을 통해 Q1(521)의 게이트에 과도한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정류회로(510)에서 정류된 입력전압이 R2를 통해 Q1(521)의 게이트에 인가되어 Q1(521)이 도통되면, Q1(521)의 드레인-소스 간에 충전전류(5000)가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해 R1(522)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한다. 이러한 전압 강하를 토대로 충전전류(5000)의 전류값을 센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R1(522)에서 발생한 전압이 Q2의 베이스-에미터 동작전압(약 0.6V)보다 낮을 때는 Q2가 동작하지 않다가, 충전전류(5000)가 과도하게 흘러 R1(522)에서의 전압 강하가 Q2의 베이스-에미터 동작 전압을 초과하게 되면 Q2가 동작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서, Q2의 콜렉터-에미터로 흐르는 전류로 인하여 Q1(521)의 게이트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그러면 Q1(521)이 완전히 온(ON)되지 않고 Q1(521)의 드레인-소스 사이에 저항값이 증가하여 D1, C1, D2, Q1(521), R1(522) 및 C2를 포함하여 형성된 충전회로를 따라 흐르는 충전전류(5000)가 줄어들게 된다. 즉, 충전회로를 따라 흐르는 충전전류(5000)는 R1(522)에서의 전압 강하가 Q2의 베이스-에미터 동작 전압 이상이 되지 않도록 제한한다. 그러므로, 전류제한회로(520)에서의 충전전류를 Q2의 베이스-에미터 동작 전압을 R1(522)의 저항값으로 나눈 전류 제한값으로 제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정류회로(510), 전류제한회로(520) 및 평활회로(530)를 포함하는 회로와, X점, Y점 및 Z점에서 연결된 구동회로(540)는, 평활회로(530)에서 평활된 입력전압에 따른 구동전류를 조절하여, 조절된 구동전류를 조명등(20)으로서의 형광등(550)으로 공급하는 회로이다. 다만, 정류회로(510), 전류제한회로(520) 및 평활회로(530)를 포함하는 회로와, X점, Y점 및 Z점에서 연결된 구동회로(540)는, 도 3에 도시된 구동회로(340), 또는 도 4에 도시된 구동회로(440), 또는 도 6에 도시된 구동회로(640) 등을 포함하는 어떠한 구동회로로도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회로(540)는,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 회로(541)와 구동전류 제어회로로 구성된다.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 회로(541)는, 형광등(550)을 얼마나 조절할지를 지시하는 정보로서의 조도조절 제어정보를 정류된 입력전압으로부터 검출한다. 구동전류 제어회로는,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 회로(541)에 의해 검출된 조도조절 제어정보와 평활회로(530)에 의해 평활된 입력전압에 근거하여 형광등(550)의 조도가 조절되도록 형광등(550)에 공급하는 구동전류의 전류량을 제어한다. 구동회로(540)에서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 회로(54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구동전류 제어회로에 해당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회로(541)는, 포토 커플러(PC1),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Q1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4), 저항(R7, R8, R81, R83, R84) 및 콘덴서(C33) 등으로 구성되어, 정류된 입력전압의 신호 파형에서 턴 온(Turn-On) 구간의 폭을 조도조절 제어정보로서 검출할 수 있다. 이렇게 검출된 턴 온(Turn-On) 구간의 폭(조도조절 제어정보)는 직접회로(IC)인 U1로 전류제어지령의 의미로서 보내진다. 이에 따라 직접회로(IC)인 U1은 형광등(550)으로 전류제어지령에 맞는 구동전류를 공급한다. 여기서 직접회로(IC)인 U1은 발진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 기능의 일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구동 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조명등 구동 회로(600)에 대한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6에 일 예로서 도시된 조명등 구동 회로(600)는, 조명등(20)으로서의 발광 다이오드 조명등(650)으로 조절된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정류회로(610), 전류제한회로(620), 평활회로(630) 및 구동회로(640)를 포함한다.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정류회로(610)는 4개의 다이오드를 브릿지 모양으로 연결한 브릿지 정류 회로이다. 또한, 평활회로(630)는 한 개의 콘덴서인 C1으로 구성된 회로이다.
또한,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전류제한회로(620)는, 전력 반도체 소자(210)로서의 N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인 "Q1(621)"과, 전류 센싱부(220)를 구현한 전류 센싱 저항인 "R1(622)"과, 전류 제어부(230)를 구현한 "전류제어회로(6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류제어회로(623)는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IC1), 저항(R2, R3, R4) 및 제너 다이오드(ZD1)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항 R3와 R4는 ZD1 양단에 걸리는 일정 전압을 일정한 비율로 분할하는 분할 저항으로서, R4를 제 1 분할 저항, R3를 제 2 분할 저항이라고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활회로(630)에 포함된 콘덴서 C1이 충전될 때 충전전류(6000)가 발생하면, 발생한 충전전류(6000)는 평활회로(630)에 포함된 콘덴서 C1을 거쳐 전류제한회로(620)로 흘러들어가고, 이러한 충전전류(6000)는 D1, C1, Q1(621) 및 R1(622)를 통해 흐름으로써, D1, C1, Q1(621) 및 R1(622)를 포함하는 충전회로가 형성된다. 도 6에서의 전류제한회로(620)는 충전전류(6000)의 흐름에 대하여 평활회로(630)의 뒷부분에 위치한다.
전류제한회로(620)에 의해 충전전류(6000)가 제한되는 원리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평활회로(630)에 포함된 콘덴서 C1이 충전될 때 발생한 충전전류(6000)가 전류제한회로(620)로 흘러들어갈 때, 동시에 정류회로(610)에서 정류된 입력전압에 따른 전류는 R2를 통해 흘러서 ZD1에 일정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ZD1에 발생한 일정 전압은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인 IC1의 동작 전압으로 공급된다. 또한, ZD1에 발생한 일정 전압은 R4와 R3에 의해 분할된다. 이렇게 분할된 R4(제 1 분할 저항) 양단에 걸린 전압은 전류 기준치가 되어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인 IC1의 + 입력단에 인가된다. 한편, Q1(621)을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6000)는 R1(622)을 통해 전압으로 나타남으로써 Q1(621)을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6000)의 전류값을 센싱할 수 있다. R1(622)에 걸린 전압은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인 IC1의 - 입력단에 인가된다.
만일, Q1(621)을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6000)가 적어 R1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R4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보다는 낮으면,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인 IC1의 출력 전압은 높아져 Q1의 게이트에 높은 전압이 인가되어 Q1을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6000)가 증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충전전류(6000)가 증가하다가, R1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R4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보다는 높아지게 되면,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인 IC1의 출력 전압은 낮아져 Q1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이 낮아지게 되어 Q1을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6000)가 감소함으로써 충전전류(6000)가 제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정류회로(610), 전류제한회로(620) 및 평활회로(630)를 포함하는 회로와, X점, Y점 및 Z점에서 연결된 구동회로(640)는, 평활회로(630)에서 평활된 입력전압에 따른 구동전류를 조절하여, 조절된 구동전류를 조명등(20)으로서의 발광 다이오드 조명등(650)으로 공급하는 회로이다. 다만, 정류회로(610), 전류제한회로(620) 및 평활회로(630)를 포함하는 회로와, X점, Y점 및 Z점에서 연결된 구동회로(640)는, 도 3에 도시된 구동회로(340), 또는 도 4에 도시된 구동회로(440), 또는 도 5에 도시된 구동회로(540) 등을 포함하는 어떠한 구동회로로도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회로(640)는,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 회로(641)와 구동전류 제어회로로 구성된다.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 회로(641)는, 발광 다이오드 조명등(650)을 얼마나 조절할지를 지시하는 정보로서의 조도조절 제어정보를 정류된 입력전압으로부터 검출한다. 구동전류 제어회로는,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 회로(641)에 의해 검출된 조도조절 제어정보와 평활회로(630)에 의해 평활된 입력전압에 근거하여 발광 다이오드 조명등(650)의 조도가 조절되도록 발광 다이오드 조명등(650)으로 공급하는 구동전류의 전류량을 제어한다. 구동회로(640)에서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 회로(64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구동전류 제어회로에 해당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회로(641)는, 포토 커플러(PC1),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Q3),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4), 저항(R6, R7, R60, R69, R70) 및 콘덴서(C30) 등으로 구성되어, 정류된 입력전압의 신호 파형에서 턴 온(Turn-On) 구간의 폭을 조도조절 제어정보로서 검출할 수 있다. 이렇게 검출된 턴 온(Turn-On) 구간의 폭(조도조절 제어정보)는 직접회로(IC)인 U1로 전류제어지령의 의미로서 보내진다. 이에 따라 직접회로(IC)인 U1은 발광 다이오드(LED) 조명등(650)으로 전류제어지령에 맞는 구동전류를 공급한다. 여기서 직접회로(IC)인 U1은 발진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조도조절 제어정보 검출 기능의 일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전류제한회로(620)는, 전력 반도체 소자(210)로서 N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인 Q1(621)을 이용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P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전력 반도체 소자(210)로서 P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면, N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인 Q1(321)을 이용한 도 3에서의 전류제한회로(320)가 P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인 Q1(421)을 이용한 도 4에서의 전류제한회로(420)로 변경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류제한회로(620)가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종래의 조명등 구동 장치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구동 장치(100) 각각의 입력 측에서 입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측정하여 신호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는, 충전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이 없는 종래의 조명등 구동 장치로 입력되는 입력전압의 신호 파형(710)과 입력전류의 신호 파형(72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입력전압의 신호 파형(710)과 입력전류의 신호 파형(720)은,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정류부(110)의 앞 단에서 찍어서 얻은 신호 파형이므로 교류 파형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입력전압의 신호 파형(710)은, 일정 주기를 갖고 매 사이클(Cycle) 마다 위상 제어된 교류 전압의 파형이다. 그리고, 도 7의 (a)에 도시된 입력전류의 신호 파형(720)은 일정 주기를 갖는 교류 전류의 파형으로서, 이러한 입력전류는 필터부(130)에서의 콘덴서의 충전시 발생하는 충전전류와 조명등 구동부(140)에서의 소모 전류를 포함한다. 입력전류에 포함된 조명등 구동부(140)에서의 소모 전류는 충전전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값을 가지기 때문에, 도 7의 (a)에 도시된 입력전류의 신호 파형(720)을 콘덴서에서의 충전전류의 신호 파 형으로 간주하여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a)에 도시된 입력전류의 신호 파형(720)을 통해, 전류 제한 회로(230)가 없는, 즉 충전전류 제한 기능이 없는 종래의 조명등 구동 장치에서 흐르는 충전전류는 순간적으로 매우 큰 피크 치를 보이면서 흐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순간적으로 매우 큰 피크 치를 보이면서 흐르는 충전전류는, 순간적으로 정격 전류의 수십 배에 달하기 때문에 입력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10), 조명등 구동 장치에 연결된 조명등(20) 또는 다른 외부 전기 기기들, 그리고 조명등 구동 장치 자체에도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입력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10)은 순간적으로 큰 입력전류를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공급하는 전원이 흔들리거나 노이즈(Noise)가 발생하거나 순간적인 큰 입력전류로 인해 장치 자체에 큰 충격을 입힐 수도 있다. 또한 조명등 구동 장치에서의 순간적인 큰 충전전류로 인하여, 조명등 구동 장치에 연결된 조명등(20)이나 다른 외부 전기 기기들에게 공급되어야 할 전류를 조명등 구동 장치가 순간적으로 뺏어감으로써 조명등(20) 또는 다른 외부 전기 기기들에게 순간적으로 전류가 공급되지 못하거나 적게 공급되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명등 구동 장치 자체에도 순간적으로 매우 큰 피크 치를 보이면서 흐르는 충전전류로 인한 회로 상의 큰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충전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구동 장치(100)로 입력되는 입력전압의 신호 파형(730)과 입력전류의 신호 파형(740)을 도 7의 (b)에 도시하였다.
도 7의 (b)에 도시된 입력전압의 신호 파형(730)과 입력전류의 신호 파형(740)은,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정류부(110)의 앞 단에서 찍어서 얻은 신호 파형이므로 교류 파형이다.
도 7의 (b)에 도시된 입력전압의 신호 파형(730)은, 일정 주기를 갖고 매 사이클마다 위상 제어된 교류 전압의 파형이다. 그리고, 도 7의 (b)에 도시된 입력전류의 신호 파형(740)은 일정 주기를 갖는 교류 전류의 파형으로서, 이러한 입력전류는 필터부(130)에서의 콘덴서의 충전전류와 조명등 구동부(140)에서의 소모 전류를 포함한다. 입력전류에 포함된 조명등 구동부(140)에서의 소모 전류는 충전전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값을 가지기 때문에, 도 7의 (b)에 도시된 입력전류의 신호 파형(740)을 콘덴서에서의 충전전류의 신호 파형으로 간주하여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a)에 도시된 입력전류의 신호 파형(720)과 비교하여, 도 7의 (b)에 도시된 입력전류의 신호 파형(740)을 통해서 전류 제한부(120)의 충전전류 제한 기능에 의해 조명등 구동 장치(100)에서 흐르는 충전전류는, 도 7의 (a)에 도시된 입력전류의 신호 파형(720)에서처럼 순간적으로 매우 큰 피크 치를 보이지 않고, 어느 정도의 값(전류 제한값)에서 제한되어 보다 오랫동안 흐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전류를 제한함으로써, 순간적으로 매우 큰 피크 치를 보이면서 흘렀던 충전전류에 의해 전원(10), 다른 외부 전기기기들, 또는 조명등 구동 장치(100) 자체에 끼쳤던 나쁜 영향을 상당히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류된 입력전압에 섞여있는 고주파를 제거하여 고주파성분이 조명등 구동부(140) 등 본 발명의 조명등 구동 장치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조명등 구동부(140)에서 발생된 고주파성분을 제거하여 본 발명의 조명등 구동 장치에서 발생한 고주파성분이 외부로 전달되어 다른 기기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 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구동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구동 장치에 포함된 전류 제한부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구동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조명등 구동 회로에 대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구동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조명등 구동 회로에 대한 다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구동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조명등 구동 회로에 대한 또 다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구동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조명등 구동 회로에 대한 또 다른 예시도,
도 7은 종래의 조명등 구동 장치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구동 장치 각각의 입력 측에서 입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측정하여 신호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원
20: 조명등
100: 조명등 구동 장치
110: 정류부
120: 전류 제한부
130: 필터부
140: 조명등 구동부
210: 전력 반도체 소자
220: 전류 센싱부
230: 전류 제어부

Claims (12)

  1. 입력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충전전류가 흐르는 전력 반도체 소자와,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를 통해 흐르는 상기 충전전류의 전류값을 센싱하는 전류 센싱부와, 상기 센싱된 전류값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를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를 전류 최대값 이하로 제한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류 제한부;
    상기 정류된 입력전압에 대한 충전과 방전을 통해 상기 입력전압을 평활하되, 상기 충전시 상기 충전전류가 흐르는 필터부; 및
    상기 평활된 입력전압에 따른 구동전류를 조명등으로 공급하는 조명등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구동 장치.
  2. 입력전압을 정류하여 정류전압을 발생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전압의 고주파성분을 제거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와 상기 정류부 사이의 경로 상에 위치하여 충전전류가 흐르는 전력 반도체 소자와,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를 통해 흐르는 상기 충전전류의 전류값을 센싱하는 전류 센싱부와, 상기 센싱된 전류값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를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를 전류 최대값 이하로 제한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류 제한부; 및
    상기 고주파성분이 제거된 정류전압에 따른 구동전류를 조명등으로 공급하는 조명등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구동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조명등 구동부에서 발생한 고주파성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구동 장치.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의 공급단, 출력단 및 구동단은 상기 필터부, 상기 전류 센싱부 및 상기 전류 제어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류 센싱부는,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의 출력단과 연결되는 전류 센싱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의 출력단을 통해 흐르는 상기 충전전류에 의해 상기 전류 센싱 저항에서 발생한 전압 강하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전류의 전류값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구동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의 구동단과 연결되는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를 통 해, 상기 센싱된 전류값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의 구동단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를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를 상기 전류 최대값 이하로 제한하되,
    상기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의 공급단은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의 구동단과 연결되고, 상기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의 출력단과 구동단은 상기 전류 센싱 저항의 양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구동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용 반도체 소자는,
    N형 또는 P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or)이거나, NPN형 또는 PNP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구동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의 구동단에 일정 크기 이상의 과전압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과전압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구동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의 구동단과 연결되는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를 통해, 상기 센싱된 전류값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의 구동단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를 통해 흐르는 충전전류를 상기 전류 최대값 이하로 제한하되,
    상기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의 전원 공급단은 제너 다이오드와 연결되고, 상기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은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의 구동단과 연결되며, 상기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의 + 입력단은 제 1 분할 저항의 일단 및 제 2 분할 저항 간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전류 제어용 연산 증폭기의 - 입력단은 상기 전류 센싱 저항과 연결되고,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양단은 상기 제 1 분할 저항의 타단 및 상기 제 2 분할 저항의 타단과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구동 장치.
  9.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는,
    N형 또는 P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or)이거나, NPN형 또는 PNP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이거나,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구동 장치.
  10.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한부는,
    상기 필터부에 포함된 콘덴서가 충전되는 동안 발생한 상기 충전전류의 흐름에 대하여, 상기 콘덴서의 앞 또는 뒤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구동 장치.
  11.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밸리 필 타입(Vally Fill Type)의 평활 회로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구동 장치.
  12.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조명등 및 형광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구동 장치.
KR1020090114630A 2009-08-10 2009-11-25 조명등 구동 장치 KR201100163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419 2009-08-10
KR20090073419 2009-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372A true KR20110016372A (ko) 2011-02-17

Family

ID=4377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630A KR20110016372A (ko) 2009-08-10 2009-11-25 조명등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637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561A (ko) * 2012-12-28 2014-07-08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Led 연속구동을 위한 led 구동회로,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및 구동방법
KR20140086560A (ko) * 2012-12-28 2014-07-08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Led 연속구동을 위한 led 구동회로,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및 구동방법
US9480113B2 (en) 2013-02-28 2016-10-25 Silicon Works Co., Ltd. Control circuit of LED lighting apparatus
US9538605B2 (en) 2014-12-10 2017-01-03 Silicon Works Co., Ltd. Control circuit of LED lighting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561A (ko) * 2012-12-28 2014-07-08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Led 연속구동을 위한 led 구동회로,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및 구동방법
KR20140086560A (ko) * 2012-12-28 2014-07-08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Led 연속구동을 위한 led 구동회로,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및 구동방법
US9480113B2 (en) 2013-02-28 2016-10-25 Silicon Works Co., Ltd. Control circuit of LED lighting apparatus
US9538605B2 (en) 2014-12-10 2017-01-03 Silicon Works Co., Ltd. Control circuit of LED ligh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9819B1 (en) Enhanced active preload for high performance LED driver with extended dimming
US8810157B2 (en) Simplified current sense for buck LED driver
US85758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constant power to luminuous loads
US7525259B2 (en) Primary side regulated power supply system with constant current output
US9635719B2 (en) High voltage converter without auxiliary winding
US85758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constant power to luminuous loads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US20080291709A1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JP2016036242A (ja) 絶縁同期整流型dc/dc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フィードバック回路、その同期整流コントローラ、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電源アダプタおよび電子機器
US10122252B2 (en) Supply voltage management
JP2012529124A (ja) Ac線電力を照明デバイスに供給する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9693417B2 (en) LED mains voltage measurement using a current mirror
KR101002600B1 (ko) 엘이디 조명 제어 회로
JP5783838B2 (ja) 発光体駆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機器
US11705807B2 (en) Control circuit of power factor improvement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TWI443946B (zh) 過功率保護補償電路及返馳式電源
TW201422045A (zh) 高穩定度led控制電路
US9137863B2 (en) Illumination device power control module
KR20110016372A (ko) 조명등 구동 장치
KR100954123B1 (ko) 엘이디 조명기구용 전원공급 장치
US8836236B1 (en) LED offset voltage dimmer
JP6603763B2 (ja) 照明システム
JP2015042030A (ja) Led電源装置及びled照明装置
CN211457423U (zh) 一种调光电路
US10306717B1 (en) Flicker-free LED driving apparatus and voltage regulating method thereof
KR20140070126A (ko) 조명 구동 장치 및 조명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