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5775A -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5775A
KR20110015775A KR1020090073167A KR20090073167A KR20110015775A KR 20110015775 A KR20110015775 A KR 20110015775A KR 1020090073167 A KR1020090073167 A KR 1020090073167A KR 20090073167 A KR20090073167 A KR 20090073167A KR 20110015775 A KR20110015775 A KR 20110015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tile
frequency
tiles
overl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수
조한규
임빈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3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5775A/ko
Publication of KR20110015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수신 모듈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 자원 유닛 맵퍼는 상기 단말이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에 매핑한다. 전송 모듈은 상기 자원 유닛 맵퍼에 의해 상기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에 매핑된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며, 상기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 중 제 1 자원 유닛은 주파수축의 M개의 부반송파 및 시간축의 N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M×N 구조를 가지는 제 1 내지 제 3 타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타일 내지 제 3 타일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한다.
전력 최적화, 타일, 자원 할당

Description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방법{MOBILE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한정된 무선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시간, 공간, 및 주파수 영역에서 보다 효과적인 송수신 기법 및 활용방안들이 제안되어 왔다. 특히, 다중 반송파(multi carrier) 기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함) 방식을 사용하면, 광대역 채널의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 환경에서 수신단의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부반송파(subcarrier) 마다 채널 특성이 다르다는 점을 활용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선택적 스케줄링(selective scheduling)을 수행함으로써 주파수 효율(spectral efficiency)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OFDM 방식은 다중 사용자(multi user)에게 상이한 부반송파 할당을 하는 방식인 직교 주파수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라 함) 방식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이 OFDMA 방식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무선 자원의 효율성 증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받고 있다. OFDMA를 적용한 대표적인 Wireless MAN-OFDMA 표준규격으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2004 및 IEEE 802.16e-2005 수정규격(이하 IEEE 802.16) 등이 있다.
도 1은 상향링크 물리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각각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여러 개의 주파수 파티션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파티션은 서브프레임 내의 이용 가능한 총 OFDMA 심볼의 개수에 걸친 한 세트의 물리 자원 유닛들로 구성된다. 각각의 주파수 파티션은 인접한 물리 자원 유닛(로컬 자원 유닛) 및/또는 인접하지 않은 물리 자원 유닛(분산 자원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주파수 파티션은 부분 주파수 재사용(FFR: Fractional Frequency Reuse, 이하 FFR이라 함)과 같은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링크 물리 구조는 두 개의 FFR 그룹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FFR 그룹 2(FFR group 2)는 로컬 및 분산 자원 할당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를 위해 사용되는 물리 및 논리 자원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리 자원 유닛(PRU: Physical Resource Unit, 이하 PRU라고 함)은 Psc 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와 Nsym 개의 OFDMA 심볼을 포함하는 자원 할당을 위한 기본 물리 유닛이다. Psc는 18개의 부반송파이고, Nsym은 OFDMA 심볼의 개수를 나타내는 데, 이는 서브프레임의 타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논리 자원 유닛(LRU: Logical Resource Unit, 이하 LRU라고 함)은 분산 자원 할당 및 로컬 자원 할당을 위한 기본 논리 유닛이며, 그 크기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Psc*Nsym로 정해질 수 있다. 제어 채널/메시지 전송을 위해서는, LRU의 크기는 데이터 전송의 크기와 동일하여야 하고, 다수의 사용자들은 하나의 제어 LRU를 공유할 수 있도록 허용될 수 있다. LRU는 하나의 PRU 내에서 사용되는 개수의 파일럿들을 포함하고,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LRU 내의 실질적인 데이터 부반송파의 개수는 할당된 파일럿들의 개수 및 제어 채널의 존재하는 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향링크를 위한 분산 논리 자원 유닛(DLRU: Distributed Logical Resource Unit, 이하 DLRU라고 함)은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LRU는 분산 자원 할당에 걸쳐 펼쳐진 한 그룹의 부반송파들을 포함할 수 있다. DLRU의 크기는 분산 할당을 위한 LRU의 크기와 동일하다. 타일(tile)은 DLRU를 형성하기 위한 최소 유닛이다. T개의 서로 다른 타입의 타일들이 정의될 수 있다. 이때, T=1일 수 있다. 상향링크 타일 크기는 6×Nsym로 정해질 수 있는데, 이때 Nsym은 서브프레임 타입에 좌우된다.
상향링크를 위한 논리 로컬 자원 유닛(LLRU: Logical Localized Resource Unit, 이하 LLRU라고 함)은 주파수-선택적 스케줄링 이득을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LLRU는 로컬 자원 할당에 걸쳐 연속적인 한 그룹의 부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LLRU의 크기는 로컬 할당을 위한 LRU의 크기, 즉 Psc개의 부반송파 및 Nsym 개 의 OFDMA 심볼로 이루어진 크기와 동일하다.
지금까지 IEEE 802.16m 시스템의 자원 유닛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자원 유닛 할당을 이용하여 주어진 서브프레임 구조 및 상향링크, 하향링크의 비율에 따라 단말이 기지국으로 최적화된 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아직까지 제안된 바가 없다.
즉, 단말이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전력 제한(power limitation)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전력 제한 조건 속에서 주어진 서브프레임 구조 및 상향링크, 하향링크의 비율에 따라 전력을 최적화하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내용은 개시된 바가 없었다. 또한, 이를 위한 IEEE 802.16m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의 할당 방법 등에 대해서는 제안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기술적 과제는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단말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단말이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에 매핑하는 자원 유닛 맵퍼; 및 상기 자원 유닛 맵퍼에 의해 상기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에 매핑된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 중 제 1 자원 유닛은 주파수축의 M개의 부반송파 및 시간축의 N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M×N 구조를 가지는 제 1 내지 제 3 타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타일 내지 제 3 타일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에 매핑된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 중 제 1 자원 유닛은 주파수축의 M개의 부반송파 및 시간축의 N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M×N 구조를 가지는 제 1 내지 제 3 타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타일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타일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1 내지 제 3 서브프레임에 서브프레임 별로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타일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1 서브프레임 내에 각각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 1 타일은 제 1 서브프레임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타일은 상기 제 1 타일과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2 서브프레임에 위치하며, 상기 제 3 타일은 상기 제 1 및 제 2 타일과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1 서브프레임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 중 제 2 자원 유닛은 주파수축의 M개의 부반송파 및 시간축의 N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M×N 구조를 가지는 제 4 내지 제 6 타일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4 내지 제 6 서브프레임에 서브프레임 별로 위치한다.
또한, 상기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 중 제 2 자원 유닛은 주파수축의 M개의 부반송파 및 시간축의 N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M×N 구조를 가지는 제 4 내지 제 6 타일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2 내지 제 4 서브프레임에 서브프레임 별로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 중 제 2 자원 유닛은 주파수축의 M개의 부반송파 및 시간축의 N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M×N 구조를 가지는 제 4 내지 제 6 타일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3 내지 제 5 서브프레임에 서브프레임 별로 위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 최적화된 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면, 단말은 톤(tone)당 전력을 최대화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상향링크 신호 전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 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에서 일정 용어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들 용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임의의 용어로서 지칭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 개시되는 기술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기술은 하향링크(Downlink) 또는 상향링크(Uplink)에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Base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BS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MS: Mobile Station)은 UE(User Equipment), SS(Subscriber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AMS 또는 Mobile Terminal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송신단은 데이터 또는 음성 서비스를 전송하는 노드를 말하고, 수신단은 데이터 또는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에서는 단말이 송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수신단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에서는 단말이 수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송신단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단말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EEE 802.16 시스템의 표준 문서인 P802.16-2004, P802.16e-2005 및 P802.16Rev2 등의 문서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장치의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장치 는 수신 모듈(210), 자원 유닛 맵퍼(220) 및 전송 모듈(230)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210)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자원 유닛 맵퍼(220)는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에 매핑할 수 있다.
전송 모듈(230)은 자원 유닛 맵퍼에 의해 상기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에 매핑된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 전송 체인에서의 프로세스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MAC 모듈(310), FEC 모듈(320), 변조 모듈(330), 자원 유닛 맵퍼(340) 및 IFFF/CP 삽입 모듈(350)을 포함한다.
FEC(Forward Error Correction) 모듈(320)은 MAC(Medium Access Control) 모듈(310)로부터 수신한 MAC 데이터 신호의 오류를 자동으로 정정하고, 오류가 정정되어 코딩된 데이터를 변조 모듈(330)로 전송할 수 있다.
변조 모듈(330)은 코딩된 데이터를 변조하여 변조된 데이터(심볼 형태일 수 있다)를 출력하여 자원 유닛 맵퍼(3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자원 유닛 맵퍼(340)은 변조된 데이터들에 대해 논리 자원 유닛(LRU) 단위로 세그먼트하고, 논리 자원 유닛을 데이터 버스트에 매핑할 수 있다.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CP(Cyclic Prefix) 삽입 모듈(350)은 매핑된 데이터 버스트(혹은 데이터 영역)을 역 고속 푸리에 변환하고 CP(Cyclic Prefix) 삽입 처리를 수행하여 OFDMA 심볼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원 유닛 맵퍼(340)이 변조된 데이터들에 대한 자원 매핑, 할당 과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먼저 부채널화(subchannelization) 및 자원 매핑(resource mapping)에 대한 개념을 설명한다.
기본 심볼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하나의 OFDMA 심볼의 부반송파들은 Ng,left 개의 좌측 보호 부반송파, Ng , right 개의 우측 보호 부반송파 및 Nused 개의 사용 부반송파로 분할된다. DC 부반송파는 로드되지 않는다. Nused 개의 부반송파는 PRU들로 나뉘어진다. 각각의 PRU는 파일럿 및 데이터 부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 파일럿 및 데이터 부반송파의 개수는, 서브프레임의 타입, 즉, 타입-1 또는 타입-2 뿐만 아니라, MIMO 모드, 랭크, 다중화된 단말의 개수 및 자원 할당의 타입, 즉 분산 또는 로컬 자원 할당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향링크 부반송파의 자원 유닛으로의 매핑에 대해 설명한다.
자원 매핑에는 몇 가지 주된 특징이 있다. 첫째, 로컬화된 자원 유닛(CRU) 및 분산 자원 유닛(DRU)을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지원할 수 있다. 둘째, DRU는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해 분산 자원 할당에 의한 흩어져 있는 복수 개의 타일(til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셋째, FFR이 상향링크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concept)을 바탕으로, 상향 링크 부반송파의 자원 유닛으로의 매핑 처리 과정은 아래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부반송파의 자원 유닛으로의 매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첫째, 제 1 레벨(First-level) 또는 외부 퍼뮤테이션(permutation)이 N1개 및 N2개의 PRU 단위로 PRU들에게 적용된다. 여기서, N1=4이고 N2=1일 수 있다. 외부 퍼뮤테이션으로 이루어지는 직접적인 매핑이 지원될 수 있다.
둘째, 번호가 재부여된 PRU들을 주파수 파티션들에게 분배할 수 있다.
셋째, 주파수 파티션은 CRU 및/또는 DRU로 나누어질 수 있다. 섹터 별 존에 사용되는 섹터 특정 퍼뮤테이션(sector specific permutation)이 지원될 수 있고, 자원들의 직접적인 매핑이 로컬 자원들에 대해 지원될 수 있다. 분산 자원, 로컬 자원들의 크기는 섹터마다 유연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인접한 섹터들은 동일한 설정의 로컬 및 분산 자원들을 가질 필요는 없다.
넷째, 상기 분산 및 로컬 그룹들은 LRU들로 매핑될 수 있다. CRU에 대해 매핑은 직접적으로 이루어진다. DLRU에 대하여, 분산 그룹의 타일을 퍼뮤팅하거나 또는 호핑(hopping)하기 위해 타일 퍼뮤테이션 또는 호핑 퍼뮤테이션이 수행될 ㅅ수 있다.
이하에서 상향링크 분산 자원을 위한 부채널화에 대해 설명한다.
내부 퍼뮤테이션(inner permutation)에 의해 하나의 주파수 파티션 내의 PRU들이 퍼뮤팅된다. 로컬 자원은 직접적으로 매핑될 수 있다. 상향링크 분산 자원 할 당을 위해 정의된 타일 퍼뮤테이션(tile permutation)은 분산 자원 할당 주파수 대역에 할당된 모든 영역에 대해 DRU의 타일을 흩어 놓을 수 있다.
상향링크 분산 부채널화를 위해 두 종류의 분산 자원 할당이 사용될 수 있다. 첫 번째는 정규 분산 할당(regular distributed allocation)이고, 두 번째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최적화 분산 할당(UL transmit power optimized distributed allocation)이다. 상향링크 전송 전력 최적화 분산 자원이 우선 할당될 수 있다. 그 다음, 나머지 주파수 자원들은 정규 분산 할당을 위해 할당된다.
주파수 영역에서 호핑 유닛들을 확산(spread)시키는 전력 최적화 할당을 위해 호핑/퍼뮤테이션 시퀀스가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상향링크 정규 분산 자원 할당을 위해 정의된 제 2 레벨(second-level) 또는 내부 퍼뮤테이션에 의해 DLRU의 타일들은 주파수 대역 상에 확산될 수 있다. 내부 퍼뮤테이션의 그래뉼래러티(granularity)는 DRU를 형성하기 위한 타일 크기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상향링크 분산 부채널화(UL distributed subchannelization)의 경우에, 최적화된 전송 전력의 분산 할당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하향링크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common pilot) 신호를 단말들이 수신하며, 이 공통 파일럿을 통하여 각 단말은 기지국과 자신 사이의 하향링크 채널 추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상향링크에서는 반드시 각 단말들이 자기 고유의 파일럿(dedicated pilot) 신호를 기지국에 송신하여야 기지국 수신부가 각 단말들과 기지국 사이의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향링크에서 각 단말의 신호들마다 반드시 파일럿 부반송파와 데이터 부반송파가 존재하도록 구성한 특수한 구조를 타일 구조라고 한다. 상향링크 분산 부채널화의 기본 단위는 타일(tile)이다. 부채널이란 복수 개의 부반송파들의 집합으로서, 서로 다른 사용자에게 할당될 수 있는 최소한의 주파수 자원 단위를 의미한다.
타일 구조의 일 예로서, 타일은 주파수축으로 6개의 부반송파 및 시간축으로 6개의 OFDM 심볼(6×6)로 구성될 수 있다. 분산 부채널화의 기본 단위인 타일로 상향링크 퍼뮤테이션을 할 때, 전력 최적화 할당을 위해서 하나의 서브프레임뿐만 아니라 다수의 서브프레임으로 자원 할당을 스패닝(spanning)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상향링크에서 이용 가능한(available)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3의 배수라면, 쉽게 자원 할당을 스패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자원 유닛은 주파수축의 18개의 부반송파 및 시간축의 6개의 OFDM 심볼(18×6)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3의 배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에 맞는 적절한 자원 할당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서브프레임의 수가 3의 배수인지 아닌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타일이 할당되는 주파수 및 시간 영역으로의 포지셔닝(positioning)을 정하는 과정에서,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를 간단한 모듈러(moduler) 연산으로 정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쉽게 전력을 최적화하여 자원 할당(power optimized resource allocation)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타일은 주파수축으로 6개의 부반송파 및 시간축으로 6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부반송파의 자원으로의 매핑 과정 중 내부 퍼뮤테이션 또는 타일 퍼뮤테이션을 할 때, 전력 최적화 분산 할당을 위한 각 타일은 위치(position)는 주파수축 및 시간축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축은 자원 유닛 인덱스(resource unit index)를, 시간축은 서브프레임 인덱스(subframe index)를 나타낸다.
주파수축의 위치가 주어진 부채널화 규칙(f(k)라 칭함)에 의하여 결정되고, 시간축의 위치가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인덱스(tile(k)라 칭함)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가정하면, 내부 퍼뮤테이션을 구성하는 각 타일의 위치는 다음과 같은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타일 위치(tile position) = P(f(k), tile(k)),
여기서 f(k)는 자원 유닛 인덱스, tile(k)는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나타낸다.
f(k) = OFDM 심볼들에서 소정의 내부 퍼뮤테이션 규칙이고, tile(k) = k mod s 이다.
여기서 s는 상향링크에서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이다. 그리고, 예를 들어 1 자원 유닛이 18개의 부반송파 및 6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고, 타일이 6개의 부반송파 및 6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경우, 타일 인덱스 k는 0, 1, 2이다.
도 5는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3인 경우의 전력 최적화 자원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 s가 3인 경우, 타일의 인덱스(tile(k))는 각 타일 별로 각각 0, 1, 2가 되고,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 전체에 스패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3인 경우에, tile(0)=0, tile(1)=1, tile(2)=2이고, 여기서 tile(k)는 k번째 타일 인덱스를 갖는 서브프레임 위치를 의미한다. 이때, 인덱스가 0인 타일(tile(0))은 제 1 서브프레임에 할당될 수 있고, 인덱스가 1인 타일(tile(1))은 제 2 서브프레임 내에서 인덱스 0인 타일의 주파수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다른 주파수 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덱스가 2인 타일(tile(2))은 제 3 서브프레임에서 인덱스가 0인 타일 및 인덱스가 1인 타일이 할당된 주파수 영역과는 중첩되지 않도록 다른 주파수 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즉, 3개의 각 타일은 서브프레임 별로 제 1 서브프레임 내지 제 3 서브프레임에 할당되며, 또한 서로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할당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3인 경우에 적용하는 자원 할당 방식을 이하에서 제 1 할당 방식이라 칭한다.
이러한 제 1 할당 방식을 이용하면, 톤(tone)당 전력을 최대화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할당해야 하는 자원 유닛의 수가 하나 이상인 경우, tile(k)의 값은 모두 같게 적용하고 소정의 내부 퍼뮤테이션 규칙에 맞게 주파수 영역으로 스패닝(spanning)하여 f(k)값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2인 경우의 전력 최적화 자원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 s가 2인 경우, 순환 회 전(cyclic rotation)을 적용하여 타일들을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듈러(moduler) 연산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을 인덱싱한 tile(k)는 0, 1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방식을 적용하면, tile(0)=0, tile(1)=1, tile(2)=0이다.
인덱스가 0인 타일(tile(0))은 제 1 서브프레임에 할당될 수 있고, 인덱스가 1인 타일(tile(1))은 제 2 서브프레임 내에 인덱스 0인 타일이 할당된 주파수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주파수 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덱스가 2인 타일(tile(2))은 제 1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인덱스가 0인 타일 및 제 2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인덱스가 1인 타일과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도 할당해야 하는 자원 유닛의 수가 하나 이상인 경우, tile(k)의 값은 모두 같게 적용하고 주어진 내부 펴뮤테이션 규칙에 맞게 주파수 영역으로 스패닝하여 f(k)값이 적용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2인 경우에 적용하는 자원 할당 방식을 이하에서 제 2 할당 방식이라 칭한다.
도 7은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1인 경우의 전력 최적화 자원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 s가 1이면, 모듈러(moduler) 연산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을 인덱싱한 tile(k)는 0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tile(0)=0, tile(1)=0, tile(2)=0이다. 이 경우는 하나의 OFDM 심볼 안에서 분산 부채널화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1이므로, 3개의 각 타일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할당되지만, 서로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할당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1인 경우에 적용하는 자원 할당 방식을 이하에서 제 3 할당 방식이라 칭한다.
또한,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3, 2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할당해야 하는 자원 유닛 수가 하나 이상인 경우, tile(k)의 값은 모두 같게 적용하고 소정의 내부 퍼뮤테이션 규칙에 맞게 주파수 영역으로 스패닝(spanning)하여 f(k)값이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자원 유닛의 논리 인덱스(logical index)에 맞춰서 순서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규칙을 이용하여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자원 유닛들의 물리적인 위치는 소정의 내부 퍼뮤테이션 규칙에 맞게 할당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용 가능한 서브 프레임의 수가 3을 초과하는 경우에, 할당해야 하는 자원 유닛 수에 따라 타일을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할당해야 하는 자원 유닛 수가 1개인 경우와 1개 이상인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할당해야 하는 자원 유닛 수가 1개 이상인 경우에는 두 가지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할당해야 하는 자원 유닛 수가 1개인 경우를 살펴보면, 세 번째 서브프레임까지 타일을 순서대로 할당하고 나머지 서브프레임에는 타일을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술한 바와 같이 할당해야 하는 자원 유닛 수가 1개 이상인 경우 두 가지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먼저, 각 자원 유닛 별로 tile(k)의 값은 동일하게 적용하고, 주어진 f(k)에 따라 주파수 영역에서의 위치를 적용하는 방식이 있다.
다음으로,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서브프레임의 수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또한, 자원 유 닛 수에 따라 각 자원 유닛 별로 tile(k)의 값은 동일하게 적용하고, 주어진 f(k)에 따라 주파수 영역에서의 위치를 적용하는 방식 및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에 따라 적용하는 방식을 함께 적용할 수 있다. 함께 적용하는 경우에, 순서 및 방법은 어느 것이든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3을 초과하는 경우의 전력 최적화 자원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 s가 3x+1인 경우(여기서 x=0,1,2,..양의 정수 값)를 살펴보자. 이 경우에는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3인 경우에 적용하는 제 1 할당 방식 및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1인 제 3 할당 방식을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제 1 할당 방식 및 제 3 할당 방식간에 조합되어 적용되는 순서는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인덱스가 0 내지 2인 타일들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서브프레임 별로 제 1 서브프레임 내지 제 3 서브프레임에 할당될 수 있다(제 1 할당 방식). 그리고, 인덱스가 3 내지 5인 타일들은 제 4 서브프레임 내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각각 할당될 수 있다(제 3 할당 방식).
이 경우에도, 할당해야 하는 자원 유닛 수가 하나 이상인 경우, tile(k)의 값은 모두 같게 적용되고, 소정의 내부 퍼뮤테이션 규칙에 맞게 주파수 영역으로 스패닝(spanning)하여 f(k)값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3을 초과하는 경우의 전력 최적화 자원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 s가 3x+2(여기서 x=0,1,2,..양의 정수값)인 경우를 살펴보자. 이 경우에는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3인 경우에 적용하는 제 1 할당 방식 및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2인 제 3 할당 방식을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제 1 할당 방식 및 제 2 할당 방식 간의 조합되어 적용되는 순서는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인덱스가 0 내지 2인 타일들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서브프레임 별로 제 1 서브프레임 내지 제 3 서브프레임에 할당될 수 있다(제 1 할당 방식). 그리고, 인덱스가 3인 타일은 제 4 서브프레임에, 인덱스 4인 타일은 인덱스가 3인 타일과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5 서브프레임에 할당될 수 있고, 인덱스가 5인 타일들은 인덱스 3 및 인덱스 4인 타일과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4 서브프레임에 할당될 수 있다(제 2 할당 방식). 즉, 제 1 할당 방식과 제 2 할당 방식이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할당해야 하는 자원 유닛의 수가 하나 이상인 경우, tile(k)의 값은 모두 같게 적용되고, 소정의 내부 퍼뮤테이션 규칙에 맞게 주파수 영역으로 스패닝(spanning)하여 f(k)값이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자원 유닛의 논리 인덱스(logical index)에 맞춰서 순서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규칙을 이용하여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자원 유닛들의 물리적인 위치는 소정의 내부 퍼뮤테이션 규칙에 맞게 할당될 수 있다.
도 10은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3을 초과하는 경우의 전력 최적화 자원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 s가 3x(여기서 x=0,1,2,..양의 정수값) 인 경우를 살펴보자. 이 경우에는 제 1 할당 방식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인덱스가 0 내지 2인 타일들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서브프레임 별로 제 1 서브프레임 내지 제 3 서브프레임에 할당될 수 있다(제 1 할당 방식). 그리고, 인덱스가 3 내지 5인 타일들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서브프레임 별로 제 4 서브프레임 내지 제 5 서브프레임에 할당될 수 있다(제 1 할당 방식).
또한, 이러한 할당해야 하는 자원 유닛의 수가 하나 이상인 경우, tile(k)의 값은 모두 같게 적용되고, 소정의 내부 퍼뮤테이션 규칙에 맞게 주파수 영역으로 스패닝(spanning)하여 f(k)값이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자원 유닛의 논리 인덱스 논리 인덱스(logical index)에 맞춰서 순서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규칙을 이용하여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자원 유닛들의 물리적인 위치는 소정의 내부 퍼뮤테이션 규칙에 맞게 할당될 수 있다.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사전에 단말 및 기지국간에 공유될 수 있다. 즉, 각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무선 자원 유닛 개수 등의 자원 구성 정보는 단말 및 기지국에 사전에 공유될 수 있다. 기지국은 방송채널(broadcasting channel) 등을 통해 단말로 상향링크 자원 구성에 관한 정보 등을 시그널링 해줄 수 있다.
요컨대, 상술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 하면, 단말은 톤(tone)당 전력을 최대화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상향링크 신호 전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자원 할당 방식 중에서도,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3의 배수인 경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전력 최적화 관점에서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 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상향링크 물리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장치의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 전송 체인에서의 프로세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부반송파의 자원 유닛으로의 매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3인 경우의 전력 최적화 자원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2인 경우의 전력 최적화 자원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1인 경우의 전력 최적화 자원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3을 초과하는 경우의 전력 최적화 자원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3을 초과하는 경우의 전력 최적화 자원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0은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3을 초과하는 경우의 전력 최적화 자원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4)

  1.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단말이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에 매핑하는 자원 유닛 맵퍼; 및
    상기 자원 유닛 맵퍼에 의해 상기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에 매핑된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 중 제 1 자원 유닛은 주파수축의 M개의 부반송파 및 시간축의 N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M×N 구조를 가지는 제 1 내지 제 3 타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타일 내지 제 3 타일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하는, 단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타일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1 내지 제 3 서브프레임에 서브프레임 별로 위치하는, 단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타일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1 서브프레임 내에 각각 위치하는, 단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일은 제 1 서브프레임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타일은 상기 제 1 타일과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2 서브프레임에 위치하며, 상기 제 3 타일은 상기 제 1 및 제 2 타일과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1 서브프레임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 중 제 2 자원 유닛은 주파수축의 M개의 부반송파 및 시간축의 N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M×N 구조를 가지는 제 4 내지 제 6 타일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4 내지 제 6 서브프레임에 서브프레임 별로 위치하는, 단말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 중 제 2 자원 유닛은 주파수축의 M개의 부반송파 및 시간축의 N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M×N 구조를 가지는 제 4 내지 제 6 타일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2 내지 제 4 서브프레임에 서브프레임 별로 위치하는, 단말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 중 제 2 자원 유닛은 주파수축의 M개의 부반송파 및 시간축의 N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M×N 구조를 가지는 제 4 내지 제 6 타일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3 내지 제 5 서브프레임에 서브프레임 별로 위치하는, 단말 장치.
  8.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에 매핑된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 중 제 1 자원 유닛은 주파수축의 M개의 부반송파 및 시간축의 N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M×N 구조를 가지는 제 1 내지 제 3 타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타일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하는, 신호 전송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타일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1 내지 제 3 서브프레임에 서브프레임 별로 위치하는, 신호 전송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타일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1 서브프레임 내에 각각 위치하는, 신호 전송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일은 제 1 서브프레임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타일은 상기 제 1 타일과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2 서브프레임에 위치하며, 상기 제 3 타일은 상기 제 1 및 제 2 타일과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1 서브프레임에 위치하는, 신호 전송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 중 제 2 자원 유닛은 주파수축의 M개의 부반송파 및 시간축의 N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M×N 구조를 가지는 제 4 내지 제 6 타일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4 내지 제 6 서브프레임에 서브프레임 별로 위치하는, 신호 전송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 중 제 2 자원 유닛은 주파수축의 M개의 부반송파 및 시간축의 N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M×N 구조를 가지는 제 4 내지 제 6 타 일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2 내지 제 4 서브프레임에 서브프레임 별로 위치하는, 신호 전송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자원 유닛 중 제 2 자원 유닛은 주파수축의 M개의 부반송파 및 시간축의 N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M×N 구조를 가지는 제 4 내지 제 6 타일은 서로 간에 주파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 3 내지 제 5 서브프레임에 서브프레임 별로 위치하는, 신호 전송 방법.
KR1020090073167A 2009-08-10 2009-08-10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15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167A KR20110015775A (ko) 2009-08-10 2009-08-10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167A KR20110015775A (ko) 2009-08-10 2009-08-10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775A true KR20110015775A (ko) 2011-02-17

Family

ID=43774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167A KR20110015775A (ko) 2009-08-10 2009-08-10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57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15316B2 (en)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RU255398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ресурса канала управления узла ретранслятора в подкадре транзитной передачи
US9648586B2 (en)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device and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plink and downlink multi carriers,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1537607B1 (ko) 조정필드를 이용한 효율적인 무선채널 전송방법
CN111567117A (zh) 无线通信系统的资源分配方法、装置和系统
US8811255B2 (en)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 for multicast and/or broadcast service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pparatus therefor
US20110188441A1 (en)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 for multicast and/or broadcast service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pparatus therefor
US8509053B2 (en) Method of multiplexing multiple access region
US201001108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504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HARQ acknowledgement in OFDM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10011806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5065151A1 (ko) Mtc를 위한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00162215A1 (en) Pilot signals
US201101498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012283A2 (ko) 무선접속시스템에서 향상된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US8811263B2 (en) Method for sending an uplink control signal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20120320860A1 (en) Multicarrier based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GB2565344A (en) Slot aggregation
US83400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anging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971553A (zh)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以及用户设备
KR20110015775A (ko)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106113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00115714A (ko) 다중-반송파 상황에서의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4765868A (zh)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以及用户设备
CN115996472A (zh) 资源配置方法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