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8065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8065A
KR20100118065A KR1020100034829A KR20100034829A KR20100118065A KR 20100118065 A KR20100118065 A KR 20100118065A KR 1020100034829 A KR1020100034829 A KR 1020100034829A KR 20100034829 A KR20100034829 A KR 20100034829A KR 20100118065 A KR20100118065 A KR 20100118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k
reference signal
nack
signal
contro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7521B1 (ko
Inventor
권영현
김소연
조한규
정재훈
한승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0/00243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126247A2/ko
Priority to US13/265,993 priority patent/US8797979B2/en
Priority to EP10769892.0A priority patent/EP2426833A4/en
Publication of KR2010011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04Channel estimation of multipl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4Channel estimation channel estimation algorithms
    • H04L25/0242Channel estimation channel estimation algorithms using matrix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제어 신호 즉, ACK/NACK (Acknowledgement/Negative-ACK)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ACK/NACK 신호 중 일부를 메시지 영역과 참조 신호 영역의 조합으로 구성된 선택 정보에 맵핑하는 단계, 상기 맵핑된 선택 정보에 기반하여 동일한 자원 블록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 하나의 메시지 영역과 하나의 참조 신호 영역을 독립적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메시지 영역을 나머지 ACK/NACK 신호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메시지 영역과 상기 선택된 참조 신호 영역을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TRASMITTING UPLINK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반송파 집성 기법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 함) 통신 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은 기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서, 현재 3GPP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E-UMT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단말(User Equipment; UE)(120)과 기지국(eNode B; eNB)(110a 및 110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한다.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돼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 링크(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 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Core Network; CN)은 AG와 단말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무선 통신 기술은 WCDMA를 기반으로 LTE까지 개발되어 왔지만, 사용자와 사업자의 요구와 기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으므로 향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 진화가 요구된다. 비트당 비용 감소, 서비스 가용성 증대, 융통성 있는 주파수 밴드의 사용, 단순구조와 개방형 인터페이스, 단말의 적절한 파워 소모 등이 요구된다.
최근 3GPP는 LTE에 대한 후속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기술을 "LTE-Advanced" 또는 "LTE-A"라고 지칭한다. LTE 시스템과 LTE-A 시스템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는 시스템 대역폭의 차이다. LTE-A 시스템은 최대 100 MHz의 광대역을 지원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LTE-A 시스템은 복수의 콤포넌트 반송파를 사용하여 광대역을 달성하는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또는 bandwidth aggregation) 기술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반송파 집성은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콤포넌트 반송파를 하나의 커다란 논리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각 콤포넌트 반송파의 대역폭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블록의 대역폭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콤포넌트 반송파는 컴포넌트 반송파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본 발명은 반송파 집성 기법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ACK)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은 ACK/NACK 신호 중 일부를 참조 신호 영역 선택 정보에 맵핑하는 단계; 상기 맵핑된 참조 신호 영역 선택 정보에 기반하여 동일한 자원 블록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 하나 이상의 참조 신호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 각각의 메시지 영역을 나머지 ACK/NACK 신호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참조 신호 영역과 상기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 각각의 메시지 영역을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참조 신호 영역 선택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에 포함된 참조 신호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개수의 참조 신호 영역의 조합에 관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에 포함된 참조 신호 영역들의 개수가 N개이고, 상기 선택된 참조 신호 영역의 개수가 K개인 경우, 상기 ACK/NACK 신호 중 일부의 크기는 log2{NCK} 비트 혹은 log2{NCK} 보다 작은 정수 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ACK)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은 ACK/NACK 신호 중 일부를 메시지 영역과 참조 신호 영역의 조합으로 구성된 선택 정보에 맵핑하는 단계; 상기 맵핑된 선택 정보에 기반하여 동일한 자원 블록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 하나의 메시지 영역과 하나의 참조 신호 영역을 독립적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메시지 영역을 나머지 ACK/NACK 신호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메시지 영역과 상기 선택된 참조 신호 영역을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의 개수가 N개인 경우, 상기 ACK/NACK 신호 중 일부의 크기는 log2(N*N) 비트 혹은 log2{N*N} 보다 작은 정수 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동일한 자원 블록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선택된 메시지 영역과 상기 선택된 참조 신호 영역은 서로 다른 제어 채널 자원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인 단말 장치는,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ACK) 신호 중 일부를 참조 신호 영역 선택 정보에 맵핑하고, 상기 맵핑된 참조 신호 영역 선택 정보에 기반하여 동일한 자원 블록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 하나 이상의 참조 신호 영역을 선택하며, 상기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 각각의 메시지 영역을 나머지 ACK/NACK 신호에 할당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선택된 참조 신호 영역과 상기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 각각의 메시지 영역을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참조 신호 영역 선택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에 포함된 참조 신호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개수의 참조 신호 영역의 조합에 관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에 포함된 참조 신호 영역들의 개수가 N개이고, 상기 선택된 참조 신호 영역의 개수가 K개인 경우, 상기 ACK/NACK 신호 중 일부의 크기는 log2{NCK} 비트 혹은 log2{NCK} 보다 작은 정수 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인 단말 장치는 ACK/NACK (Acknowledgement/Negative-ACK) 신호 중 일부를 메시지 영역과 참조 신호 영역의 조합으로 구성된 선택 정보에 맵핑하고, 상기 맵핑된 선택 정보에 기반하여 동일한 자원 블록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 하나의 메시지 영역과 하나의 참조 신호 영역을 독립적으로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메시지 영역을 나머지 ACK/NACK 신호에 할당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선택된 메시지 영역과 상기 선택된 참조 신호 영역을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의 개수가 N개인 경우, 상기 ACK/NACK 신호 중 일부의 크기는 log2(N*N) 비트 혹은 log2{N*N} 보다 작은 정수 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일한 자원 블록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에 관한 정보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시그널링되며, 상기 선택된 메시지 영역과 상기 선택된 참조 신호 영역은 서로 다른 제어 채널 자원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송파 집성 기법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기지국으로 효과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OFDMA 및 SC-FDMA를 위한 송신기 및 수신기의 블록도를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LTE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단일 콤포넌트 반송파 상황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LTE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ACK/NACK을 전송하기 위한 PUCCH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ACK/NACK 신호 전송을 위한 PUCCH 자원을 결정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다중 콤포넌트 반송파 상황 하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LTE 시스템에서 일반(normal) CP를 사용하는 PUCCH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과 단말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3GPP 시스템에 적용된 예들이다.
이하, 시스템 대역이 단일 콤포넌트 반송파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 또는 협대역 시스템(narrowband system)으로 지칭한다. 이와 대응하여, 시스템 대역이 복수의 콤포넌트 반송파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콤포넌트 반송파를 레거시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을 진화된 시스템(evolved system) 또는 광대역 시스템(wideband system)이라고 지칭한다. 레거시 시스템 블록으로 사용되는 콤포넌트 반송파는 레거시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반면, 나머지 콤포넌트 반송파들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시스템 단순화를 위하여, 상기 나머지 콤포넌트 반송파들의 크기도 레거시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3GPP LTE 시스템과 3GPP LTE-A 시스템은 레거시 시스템과 진화된 시스템의 관계에 있다.
상기 정의에 기초하여, 본 명세서에서 3GPP LTE 시스템을 LTE 시스템 또는 레거시 시스템으로 지칭한다. 또한, LTE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을 LTE 단말 또는 레거시 단말로 지칭한다. 이와 대응하여, 3GPP LTE-A 시스템을 LTE-A 시스템 또는 진화된 시스템으로 지칭한다. 또한, LTE-A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을 LTE-A 단말 또는 진화된 단말로 지칭한다.
편의상, 본 명세서는 LTE 시스템 및 LTE-A 시스템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정의에 해당되는 어떤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OFDMA 및 SC-FDMA를 위한 송신기 및 수신기의 블록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202~214)는 단말이고 수신기(216~230)는 기지국의 일부이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이다.
도 2을 참조하면, OFDMA 송신기는 직/병렬 변환기(Serial to Parallel converter, 202), 부반송파 맵핑(sub-carrier mapping) 모듈(206), M-포인트(point) IDFT(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모듈(208),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 부가 모듈(210), 병/직렬 변환기(Parallel to Serial converter, 212) 및 RF(Radio Frequency)/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모듈(214)을 포함한다.
OFDMA 송신기에서 신호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비트 스트림(bit stream)이 데이터 심볼 시퀀스(data symbol sequence)로 변조된다. 비트 스트림은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블록에 채널 부호화(channel encoding), 인터리빙(interleaving), 스크램블링(scrambling) 등과 같은 다양한 신호 처리를 하여 얻어질 수 있다. 비트 스트림은 부호어(codeword)로 지칭되기도 하며 MAC 계층으로부터 받는 데이터 블록과 등가이다. MAC 계층으로부터 받는 데이터 블록은 전송 블록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변조 방식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n-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직렬의 데이터 심볼 시퀀스는 N개씩 병렬로 변환된다(202). N개의 데이터 심볼은 전체 M개의 부반송파 중에서 할당받은 N개의 부반송파에 맵핑(mapping)되고 남은 M-N개의 반송파는 0으로 패딩된다(206). 주파수 영역에 맵핑된 데이터 심볼은 M-포인트 IDFT 처리를 통해 시간 영역 시퀀스로 변환된다(208). 그 후, 심볼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ISI)과 반송파간 간섭(Inter-Carrier Interference; ICI)을 줄이기 위해서, 상기 시간 영역 시퀀스에 CP를 더하여 OFDMA 심볼을 생성한다(210). 생성된 OFDMA 심볼은 병렬에서 직렬로 변환된다(212). 그 후, OFDMA 심볼은 디지털-대-아날로그 변환, 주파수 상향변환 등의 과정을 거쳐 수신기로 전송된다(214). 다른 사용자는 남은 M-N개의 부반송파 중에서 가용한 부반송파를 할당받는다. OFDMA 수신기는 RF/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모듈(216), 직/병렬 변환기(218), CP 제거(Remove CP) 모듈(220), M-포인트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모듈(222), 부반송파 디맵핑(demapping)/등화(equalization) 모듈(224), 병/직렬 변환기(228) 및 검출(detection) 모듈(230)을 포함한다. OFDMA 수신기의 신호 처리 과정은 OFDMA 송신기의 역으로 구성된다.
SC-FDMA 송신기는 OFDMA 송신기와 비교하여 부반송파 맵핑 모듈(206) 이전에 N-포인트 DFT 모듈(204)을 추가로 포함한다. SC-FDMA 송신기는 IDFT 처리 이전에 DFT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에 확산시켜 송신 신호의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을 OFDMA 방식에 비해 크게 줄일 수 있다. SC-FDMA 수신기는 OFDMA 수신기와 비교하여 부반송파 디맵핑 모듈(224) 이후에 N-포인트 IDFT 모듈(226)을 추가로 포함한다. SC-FDMA 수신기의 신호 처리 과정은 SC-FDMA 송신기의 역으로 구성된다.
도 3은 LTE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ms(327200·Ts)의 길이를 가지며 10개의 균등한 크기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슬롯은 0.5ms(15360·Ts)의 길이를 가진다. 여기에서, Ts는 샘플링 시간을 나타내고, Ts=1/(15kHz×2048)=3.2552×10-8(약 33ns)로 표시된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A(또는 SC-FDMA)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자원블록은 12개의 부반송파×7(6)개의 OFDMA(또는 SC-FDMA) 심볼을 포함한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시간인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은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단위로 정해질 수 있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의 수, 서브프레임 내의 슬롯의 수, 슬롯 내의 OFDMA(또는 SC-FDMA)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단일 콤포넌트 반송파 상황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LTE 시스템의 통신 예에 대응할 수 있다.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에서는 하나의 하향링크 대역과 이에 대응하는 하나의 상향링크 대역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FDD 방식에서는 도 4의 무선 프레임 구조가 하향링크 전송 또는 상향링크 전송에만 사용된다. 반면,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에서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시간 영역에서 하향링크 구간과 이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구간으로 나눈다. 구체적으로, TDD 방식에서는 도 4의 무선 프레임 구조가 하향링크 전송 및 이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구분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단말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제어 정보(예, 스케줄링 정보)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 내에 설정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단말에게 전달된다.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한다. 단말은 제어 채널을 통해 스케줄링 정보(예, 데이터가 할당된 자원, 데이터의 크기, 코딩 방식, 리던던시 버전 등)를 수신한 뒤, 스케줄링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하향링크 공용 채널을 통해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하향링크 공용 채널은 PDSCH(Physical Uplink Channel)를 포함한다. 그 후,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 내에 설정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수신 응답 신호(예, HARQ ACK/NACK)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한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HARQ ACK/NACK을 간단히 ACK/NACK 신호로 표시한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ACK/NACK 신호를 수신한 뒤, NACK으로 지시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해 재전송을 수행한다. 기지국이 복수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HARQ 과정은 각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송 블록별로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LTE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복수(예, 2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슬롯은 CP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수의 SC-FDMA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일반(normal) CP의 경우 슬롯은 7개의 SC-FDMA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데이터 영역과 제어 영역으로 구분된다. 데이터 영역은 PUSCH를 포함하고 음성 등의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제어 영역은 PUCCH를 포함하고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PUCCH는 주파수 축에서 데이터 영역의 양끝부분에 위치한 RB 쌍(RB pair)(예, m=0,1,2,3)을 포함하며 슬롯을 경계로 호핑한다. 제어 정보는 ACK/NACK, CQI, PMI, RI 등을 포함한다. 또한, PUSCH와 PUCCH는 동시에 전송되지 않는다. 아래 표 1은 3GPP TS 36.211 Release-8에 기술된 PUCCH 포맷의 특징을 나타낸다.
PUCCH format Modulation scheme Number of bits per subframe,
Figure pat00001
1 N/A N/A
1a BPSK 1
1b QPSK 2
2 QPSK 20
2a QPSK+BPSK 21
2b QPSK+QPSK 22
도 6은 ACK/NACK을 전송하기 위한 PUCCH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반 CP인 경우 슬롯의 중간에 위치한 3개의 연속된 심볼에는 참조 신호(UL RS)가 실리고, 남은 4개의 심볼에는 제어 정보(즉, ACK/NACK)가 실린다. 확장 CP인 경우 슬롯은 6개의 심볼을 포함하고 3번째 및 4번째 심볼에 참조 신호가 실린다. 복수의 단말로부터의 ACK/NACK은 CDM 방식을 이용하여 하나의 PUCCH 자원에 다중화된다. CDM 방식은 주파수 확산을 위한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Cyclic Shift; CS) 및/또는 시간 확산을 위한 직교 커버 시퀀스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일 예로, ACK/NACK은 CG-CAZAC(Computer Generated Constant Amplitude Zero Auto Correlation) 시퀀스의 서로 다른 순환 쉬프트(Cyclic Shift; CS)(주파수 확산) 및/또는 서로 다른 왈쉬(Walsh)/DFT 직교 커버 시퀀스(시간 확산)를 이용하여 구분된다. IFFT 이후에 곱해지는 w0, w1, w2, w3은 IFFT 이전에 곱해져도 결과는 같다. LTE 시스템에서 ACK/NACK을 전송하기 위한 PUCCH 자원은 주파수-시간 자원(예, 자원블록)의 위치, 주파수 확산을 위한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및 시간 확산을 위한 직교 커버 시퀀스의 조합으로 표현되며, 각 PUCCH 자원은 PUCCH (자원) 인덱스를 이용하여 지시된다.
도 7은 ACK/NACK 신호 전송을 위한 PUCCH 자원을 결정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LTE 시스템에서 ACK/NACK을 위한 PUCCH 자원은 각 단말에게 미리 할당되어 있지 않고, 복수의 PUCCH 자원을 셀 내의 복수의 단말들이 매 시점마다 나눠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ACK/NACK을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PUCCH 자원은 해당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나르는 PDCCH에 대응된다. 각각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가 전송되는 전체 영역은 복수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로 구성되고, 단말에게 전송되는 PDCCH는 하나 이상의 CCE로 구성된다. 단말은 자신이 수신한 PDCCH를 구성하는 CCE들 중 특정 CCE (예, 첫 번째 CCE)에 대응되는 PUCCH 자원을 통해 ACK/NACK을 전송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DownLink Component Carrier; 하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에서 각 사각형은 CCE를 나타내고, 상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UpLink Component Carrier; UL CC)에서 각 사각형은 PUCCH 자원을 나타낸다. 각각의 PUCCH 인덱스는 ACK/NACK을 위한 PUCCH 자원에 대응된다. 도 7에서와 같이 4~6 번 CCE로 구성된 PDCCH를 통해 PDSCH에 대한 정보가 전달된다고 가정할 경우, 단말은 PDCCH를 구성하는 첫 번째 CCE인 4번 CCE에 대응되는 4번 PUCCH를 통해 ACK/NACK을 전송한다. 도 6은 하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에 최대 N개의 CCE가 존재할 때에 UL CC에 최대 M개의 PUCCH가 존재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N=M일 수도 있지만 M값과 N값을 다르게 설계하고 CCE와 PUCCH들의 매핑이 겹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LTE 시스템에서 PUCCH 자원 인덱스는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n(1) PUCCH는 ACK/NACK을 전송하기 위한 PUCCH 자원 인덱스를 나타내고, N(1) PUCCH는 상위계층으로부터 전달받는 시그널링 값을 나타내며, nCCE는 PDCCH 전송에 사용된 CCE 인덱스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낸다.
도 8은 다중 콤포넌트 반송파 상황 하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LTE-A 시스템의 통신 예에 대응할 수 있다. LTE-A 시스템은 더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위해 복수의 상/하향링크 주파수 블록을 모아 더 큰 상/하향링크 대역폭을 사용하는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또는 bandwidth aggregation) 기술을 사용한다. 각 주파수 블록은 콤포넌트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를 이용해 전송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하향링크에 각각 5개의 20MHz CC들이 모여서 100MHz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콤포넌트 반송파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인접하거나 비-인접할 수 있다. 도 3에서 예시한 무선 프레임 구조는 다중 콤포넌트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무선 프레임, 서브프레임 및 슬롯은 시간 단위이므로, 일 예로 기지국과 단말은 하나의 서브프레임 상에서 복수의 콤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편의상 상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의 대역폭과 하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의 대역폭이 모두 동일하고 대칭인 경우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각 콤포넌트 반송파의 대역폭은 독립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의 대역폭은 5MHz(UL CC0) + 20MHz(UL CC1) + 20MHz(UL CC2) + 20MHz(UL CC3) + 5MHz(UL CC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UL CC의 개수와 하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의 개수가 다른 비대칭적 반송파 집성도 가능하다. 비대칭적 반송파 집성은 가용한 주파수 대역의 제한으로 인해 발생되거나 네트워크 설정에 의해 인위적으로 조성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신호는 일대일로 매핑된 콤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네트워크 설정 또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실제로 신호가 전송되는 콤포넌트 반송파는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스케줄링 명령이 전송되는 콤포넌트 반송파와 스케줄링 명령에 따라 데이터가 전송되는 콤포넌트 반송파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콤포넌트 반송파간의 매핑 여부와 관계없이 특정 상향링크/하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의 개수가 하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의 개수보다 작은 경우, 단말은 복수의 하향링크 PDSCH 전송에 대한 ACK/NACK을 보다 적은 상향링크 PUCCH를 통해서 전송해야 한다. 특히, 복수의 하향링크 PDSCH 전송에 대한 ACK/NACK이 특정 상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를 통해서만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와 하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의 개수가 같은 경우에도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방식을 사용하거나 TDD로 동작할 경우 단말은 복수의 전송 블록을 수신하게 된다. 이 경우, 단말은 복수의 전송 블록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제한된 PUCCH 자원을 통해 전송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즉 ACK/NACK 신호 송신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의 ACK/NACK 신호 송신 방법은 ACK/NACK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PUCCH 자원들이 동일한 물리적 자원 블록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지만 이에 꼭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주파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일지라도 다른 물리적 자원 블록에 위치하는 PUCCH 자원들도 채널 상태의 유사성이 존재한다면 적용 가능하다.
도 9는 LTE 시스템에서 일반(normal) CP를 사용하는 PUCCH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ACK/NACK 신호는 변조 과정을 거쳐 OFDM 심볼들 중 메시지(Message) 영역 즉, S1, S2, S6 및 S7에 탑재되고 길이 4인 직교 커버 시퀀스가 적용되어 시간 영역으로 확산되며, 채널 측정을 위한 참조 신호가 탑재되는 OFDM 심볼 S3 내지 S5는 길이 3 직교 커버 시퀀스가 적용되어 시간 영역으로 확산된다. 기지국은 OFDM 심볼 S3 내지 S5를 이용한 채널 측정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PUCCH 자원들로부터 ACK/NACK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PUCCH 자원들이 동일한 물리적 자원 블록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PUCCH 자원에 포함된 참조 신호를 이용한 채널 측정 결과가 동일하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PUCCH 자원을 통하여 수신한 참조 신호를 이용한 채널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다른 PUCCH 자원을 통하여 수신한 ACK/NACK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기반하여, LTE-A 시스템에서 PUCCH의 메시지 영역 이외에도 상향링크 제어 신호, 특히 ACK/NACK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OFDM 심볼 공간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아래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PUCCH 자원들이 동일한 물리적 자원 블록에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이러한 자원 할당은 기지국 또는 스케쥴러에서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사항이다.
<제 1 실시예>
ACK/NACK 신호의 피드백을 위하여 복수의 PUCCH 자원을 이용한 전송을 하는 경우, 복수의 참조 신호를 이용한 채널 측정은 단말의 제한된 송신 전력으로 인하여 기지국의 신호 대 잡음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채널 측정을 위하여 전체 N개의 참조 신호 중 일부의 참조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송되는 참조 신호는 나머지 미전송 참조 신호에 사용될 전력도 할당하여 전송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 입장에서는 신호 대 잡음비가 개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체 N개의 PUCCH 자원을 이용하여 복수의 PDSCH에 대응하는 ACK/NACK 신호들을 송신하는 경우, N개의 PUCCH 자원의 메시지 영역을 송신하되, N개의 PUCCH 자원의 참조 신호 영역 중 일부의 참조 신호 영역만을 선택하여 전송하는 방법에 의한다면, 상향링크 제어 신호, 특히 ACK/NACK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 심볼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N개의 PUCCH 자원 중 하나의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면, 참조 신호 영역의 선택은 N개의 경우의 수가 존재한다.
기지국은 어떠한 참조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상향링크 제어 정보로 해석할 수 있다. 즉, N개의 경우가 존재하는 참조 신호의 선택은 log2N혹은 이보다 작은 정수 개의 비트 크기의 제어 정보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다.
Index of DM-RS Information
1 000
2 001
3 010
4 011
5 100
6 101
7 110
8 111
표 2는 8개의 PUCCH 자원 중 1개의 참조 신호를 선택하여 송신한 경우, 참조 신호 영역 선택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비트 정보를 예시한다. 만약 단말이 1번 PUCCH 자원의 참조 신호를 송신한 경우 기지국은 이를 000의 비트 정보로 해석하며, 단말이 6번 PUCCH 자원의 참조 신호를 송신한 경우 기지국은 이를 101의 비트 정보로 해석할 수 있다. 만약, N개의 PUCCH 자원 중 두 개의 참조 신호를 선택하여 송신하는 경우라면, 참조 신호의 선택은 NC2=N*(N-1)/2개의 경우의 수가 존재하며, 이는 기지국이 log2N*(N-1)/2 혹은 이보다 작은 정수 비트 크기의 제어 정보로 해석할 수 있다.
물론, 최대 N개의 참조 신호를 선택할 수 있으나, 기지국이 해석할 수 있는 최대 비트 수는 단말이 N/2개의 참조 신호를 선택한 경우이다. 이 경우 참조 신호의 선택은 NCN /2개의 경우의 수가 존재하며, 이는 기지국이 log2{NCN /2} 혹은 이보다 작은 정수 비트 크기의 제어 정보로 해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1000에서 단말은 동일한 물리적 자원 블록에 위치하는 PUCCH 자원의 개수(N) 판단한다. 이때 N은 기지국 또는 스케쥴러로부터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시그널링된다.
또한 단말은 단계 1005에서 ACK/NACK 신호 중 일부를 참조 신호 영역 선택 정보에 맵핑한다, 이에 대응하여 N개의 PUCCH 자원 중 K개의 참조 신호 영역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ACK/NACK 신호 중 X=log2{NCK} 비트 크기의 신호를 추가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기지국과의 기 설정된 테이블 정보에 의하여 ACK/NACK 신호 중 X 비트의 신호를 표현하기 위한 참조 신호 영역 K개의 선택 정보에 맵핑한다. 단계 1010에서 단말은 상기 맵핑 결과에 기반하여 N개의 PUCCH 자원 중 참조 신호 영역 선택한다.
계속하여, 단계 1015에서 단말은 N개의 PUCCH 자원 각각의 메시지 영역을 나머지 ACK/NACK 신호에 할당하고, 단계 1020에서 N개의 PUCCH 자원 각각의 메시지 영역과 선택된 참조 신호 영역을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N개의 PUCCH 자원 각각의 메시지 영역에 포함된 변조 심볼들과 N개의 PUCCH 자원 중 어떠한 K개의 참조 신호 영역이 선택되었는지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서는 ACK/NACK 응답으로 동일한 물리적 자원 블록에 위치한 복수의 PUCCH 자원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경우이지만, 제 2 실시예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PDSCH들에 대한 ACK/NACK 응답을 동일한 물리적 자원 블록에 위치한 복수의 PUCCH 자원들 중 하나의 PUCCH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물리적 자원 블록에 5개의 PUCCH 자원이 존재하고, 이 중에서 1개의 PUCCH 자원이 선택된 경우, 전송되는 정보는 선택된 PUCCH 자원의 메시지 영역에 실린 정보와 PUCCH 자원의 선택에 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즉, PUCCH 자원의 메시지 영역에는 변조 기법으로 QPSK가 사용되므로 총 2비트 정보가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함께 5개의 PUCCH 자원 중 1개의 PUCCH 자원이 선택되었다는 log25 비트 크기의 제어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물리적 자원 영역에 복수의 PUCCH 자원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PUCCH 자원의 메시지 영역과 참조 신호 영역을 독립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즉, 동일한 물리적 자원 영역에 N 개의 PUCCH 자원이 존재하는 경우, 메시지 영역의 선택에 N가지 경우의 수가 존재하고 참조 신호 영역의 선택에 N가지 경우의 수가 존재한다. 따라서 선택된 PUCCH 자원의 메시지 영역에 실리는 변조 심볼 이외에도 log2(N*N) 비트 크기의 제어 정보가 추가로 전송될 수 있는 것이다.
아래 표 3은 각각의 안테나에서 송신할 수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자원 영역에 존재하는 PUCCH 자원의 개수가 2개 내지 5개인 경우 메시지 영역과 참조 신호 영역의 선택 조합을 예시한다.
N(number of PUCCH per antenna) Possible Combinations
Mi: Message part of PUCCH i, Ri: DM-RS part of PUCCH i.
2 (M1,R1), (M1,R2), (M2,R1), (M2, R2)
3 (M1,R1), (M1,R2), (M1,R3), (M2,R1), (M2, R2), (M2,R3), (M3,R1), (M3, R2), (M3,R3)
4 (M1,R1), (M1,R2), (M1,R3), (M1, R4), (M2,R1), (M2, R2), (M2,R3), (M2,R4), (M3,R1), (M3, R2), (M3,R3), (M3,R4), (M4, R1), (M4, R2), (M4,R3), (M4,R4)
5 (M1,R1), (M1,R2), (M1,R3), (M1, R4), (M1,R5), (M2,R1), (M2, R2), (M2,R3), (M2,R4), (M2,R5), (M3,R1), (M3, R2), (M3,R3), (M3,R4), (M3,R5), (M4, R1), (M4, R2), (M4,R3), (M4,R4), (M4,R5), (M5,R1), (M5,R2), (M5,R3), (M5,R4), (M5,R5)
표 3을 참조하면, 안테나 당 2개의 PUCCH 자원이 존재하는 경우, (M1,R1), (M1,R2), (M2,R1) 및 (M2, R2)의 4 가지 조합이 존재하므로, 선택된 PUCCH 자원의 메시지 영역(즉, M1 또는 M2)이외에 log24인 2 비트 크기의 제어 정보가 추가로 전송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안테나 당 4개의 PUCCH 자원이 존재하는 경우, 16 가지 조합이 존재하므로, 선택된 PUCCH 자원의 메시지 영역(즉, M1 또는 M2)이외에 log216인 4 비트 크기의 제어 정보가 추가로 전송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하나의 안테나만을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에 있어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고는 경우라면, 각각 안테나는 동일한 물리적 자원 블록 상에 존재하는 Nk개의 PUCCH 자원들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k는 안테나의 인덱스를 지시한다. 각각의 안테나에서 전송되는 메시지들이 서로 독립적인 경우, 각각의 안테나마다 log2(Nk*Nk) 비트 크기의 제어 정보가 추가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안테나에서 전송되는 메시지들이 서로 연관되어 하나의 메시지를 구성하는 경우라면, 각 안테나의 자원 조합은 또 다른 하나의 메시지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K개의 송신 안테나 간에 A개의 PUCCH 자원들을 공유하는 경우라면, A개의 PUCCH 자원들 중 K개의 서로 다른 메시지 영역을 선택하며, 이 경우 X=ACK 개 선택 조합이 존재할 수 있다. 나아가,A개의 PUCCH 자원들 중 K개의 서로 다른 참조 신호 영역을 선택하며, 이 경우에도 X=ACK 개 선택 조합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각 안테나에서 선택된 PUCCH 자원의 메시지 영역에 실리는 변조 심볼 이외에도 총 log2(X*X) 비트 크기의 제어 정보가 추가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1100에서 단말은 동일한 물리적 자원 블록에 위치하는 PUCCH 자원의 개수(N) 판단한다. 이때 N은 기지국 또는 스케쥴러로부터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시그널링된다.
또한 단말은 단계 1105에서 ACK/NACK 신호 중 X=log2(N*N) 비트 크기의 신호를 추가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기지국과의 기 설정된 테이블 정보에 의하여 N개의 PUCCH 자원 중 1개의 메시지 영역과 1개의 참조 신호 영역으로 구성된 선택 정보에 맵핑한다. 단계 1110에서 단말은 상기 맵핑 결과에 기반하여 N개의 PUCCH 자원 중 1개의 메시지 영역과 1개의 참조 신호 영역을 개별적으로 선택한다. 여기서 선택된 메시지 영역과 참조 신호 영역은 동일한 PUCCH 자원에 포함될 필요가 없으며 상호 독립적임을 유의한다.
계속하여, 단계 1115에서 단말은 선택된 메시지 영역을 나머지 ACK/NACK 신호에 할당하고, 단계 1120에서 선택된 메시지 영역과 선택된 참조 신호 영역을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선택된 메시지 영역에 포함된 변조 심볼들과 상기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UCCH 자원의 메시지 영역에는 본래 의도했던 정보(즉, ACK/NACK 신호)가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가되는 심볼 공간(즉, 상기 선택 정보 등)은 본래 의도했던 정보가 확장되어서 가는 것뿐만 아니라 또 다른 정보가 추가되어서 전송되는 방식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추가적인 정보를 선택 정보에 맵핑하여 전송하는 경우, 그 대상이 될 수 있는 제어 정보는 상향 링크에서의 스케쥴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와 같이 간헐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정보, 혹은 채널 추정에 대한 정보로써 CQI, RI, PMI와 같은 정보를 일부 혹은 전부를 포함시켜서 전송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ACK/NACK 신호들에 포함된 ACK/NACK 신호의 개수와 같이 ACK/NACK 신호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선택 정보에 맵핑하여 전송하는 것 역시 고려할 수 있다. 복수의 ACK/NACK 신호들에 포함된 ACK/NACK 신호의 개수를 전송하는 경우라면, 참조 신호 영역 선택에 일정한 순서를 설정하고 이에 기반하여 실제 사용하는 PUCCH 자원 중 참조 신호 영역의 개수와 인덱스를 전송하는 ACK/NACK 신호의 개수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과 단말을 예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BS, 1210) 및 단말(UE, 1220)을 포함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21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1220)의 일부이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2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1210)의 일부이다. 기지국(1210) 및/또는 단말(1220)은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단말(1220)은 프로세서(1222), 메모리(1224) 및 RF 유닛(122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22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224)는 프로세서(122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22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유닛(1226)은 프로세서(122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즉, RF 유닛(1226)은 송신 모듈과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기지국(1210)은 프로세서(1212), 메모리(1214) 및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유닛(121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21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214)는 프로세서(121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21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유닛(1216)은 프로세서(121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즉, RF 유닛(1216)은 송신 모듈과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특히 ACK/NACK 응답으로 동일한 물리적 자원 블록에 위치한 복수의 PUCCH 자원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경우, 단말(1220)의 프로세서(1222)는 동일한 물리적 자원 블록에 위치하는 PUCCH 자원의 개수(N) 판단하고, ACK/NACK 신호 중 일부를 참조 신호 영역 선택 정보에 맵핑한다. 또한 단말(1220)의 프로세서(1222)는 맵핑된 참조 신호 영역 선택 정보에 기반하여 N개의 PUCCH 자원 중 K 개의 참조 신호 영역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ACK/NACK 신호 중 X=log2{NCK} 비트 크기의 신호를 추가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기지국과의 기 설정된 테이블 정보에 의하여 ACK/NACK 신호 중 X 비트의 신호를 표현하기 위한 참조 신호 영역 K개의 선택 정보에 맵핑한다. 나아가 단말(1220)의 프로세서(1222)는 상기 맵핑 결과에 기반하여 N개의 PUCCH 자원 중 참조 신호 영역 선택하고 N개의 PUCCH 자원 각각의 메시지 영역을 나머지 ACK/NACK 신호에 할당한다. 이때 N은 기지국 또는 스케쥴러로부터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시그널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지국(1210)의 프로세서(1212)는 N개의 PUCCH 자원 각각의 메시지 영역에 포함된 변조 심볼들과 N개의 PUCCH 자원 중 어떠한 K개의 참조 신호 영역이 선택되었는지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PDSCH들에 대한 ACK/NACK 응답을 동일한 물리적 자원 블록에 위치한 복수의 PUCCH 자원들 중 하나의 PUCCH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단말(1220)의 프로세서(1222)는 ACK/NACK 신호 중 X=log2(N*N) 비트 크기의 신호를 추가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기지국과의 기 설정된 테이블 정보에 의하여 N개의 PUCCH 자원 중 1개의 메시지 영역과 1개의 참조 신호 영역으로 구성된 선택 정보에 맵핑하고, 상기 맵핑 결과에 기반하여 N개의 PUCCH 자원 중 1개의 메시지 영역과 1개의 참조 신호 영역을 개별적으로 선택한다. 이 경우 단말(1220)의 프로세서(1222)는 선택된 메시지 영역을 나머지 ACK/NACK 신호에 할당한다. 이 경우, 기지국(1210)의 프로세서(1212)는 선택된 메시지 영역에 포함된 변조 심볼들과 상기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로 단말과 기지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반송파 집성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 ACK/NACK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ACK)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ACK/NACK 신호 중 일부를 참조 신호 영역 선택 정보에 맵핑하는 단계;
    상기 맵핑된 참조 신호 영역 선택 정보에 기반하여 동일한 자원 블록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 하나 이상의 참조 신호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 각각의 메시지 영역을 나머지 ACK/NACK 신호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참조 신호 영역과 상기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 각각의 메시지 영역을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CK/NACK 신호 송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 영역 선택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에 포함된 참조 신호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개수의 참조 신호 영역의 조합에 관한 정보인,
    ACK/NACK 신호 송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에 포함된 참조 신호 영역들의 개수가 N개이고, 상기 선택된 참조 신호 영역의 개수가 K개인 경우,
    상기 ACK/NACK 신호 중 일부의 크기는,
    log2{NCK} 비트 또는 log2{NCK} 보다 작은 정수 비트인,
    ACK/NACK 신호 송신 방법.
  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ACK)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ACK/NACK 신호 중 일부를 메시지 영역과 참조 신호 영역의 조합으로 구성된 선택 정보에 맵핑하는 단계;
    상기 맵핑된 선택 정보에 기반하여 동일한 자원 블록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 하나의 메시지 영역과 하나의 참조 신호 영역을 독립적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메시지 영역을 나머지 ACK/NACK 신호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메시지 영역과 상기 선택된 참조 신호 영역을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CK/NACK 신호 송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의 개수가 N개인 경우,
    상기 ACK/NACK 신호 중 일부의 크기는,
    log2(N*N) 비트 또는 log2{N*N} 보다 작은 정수 비트인,
    자원 할당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동일한 자원 블록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CK/NACK 신호 송신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메시지 영역과 상기 선택된 참조 신호 영역은
    서로 다른 제어 채널 자원에 포함된,
    ACK/NACK 신호 송신 방법.
  8.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ACK) 신호 중 일부를 참조 신호 영역 선택 정보에 맵핑하고, 상기 맵핑된 참조 신호 영역 선택 정보에 기반하여 동일한 자원 블록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 하나 이상의 참조 신호 영역을 선택하며, 상기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 각각의 메시지 영역을 나머지 ACK/NACK 신호에 할당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선택된 참조 신호 영역과 상기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 각각의 메시지 영역을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 영역 선택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에 포함된 참조 신호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개수의 참조 신호 영역의 조합에 관한 정보인,
    단말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에 포함된 참조 신호 영역들의 개수가 N개이고, 상기 선택된 참조 신호 영역의 개수가 K개인 경우,
    상기 ACK/NACK 신호 중 일부의 크기는,
    log2{NCK} 비트 또는 log2{NCK} 보다 작은 정수 비트인,
    단말 장치.
  11. ACK/NACK 신호 중 일부를 메시지 영역과 참조 신호 영역의 조합으로 구성된 선택 정보에 맵핑하고, 상기 맵핑된 선택 정보에 기반하여 동일한 자원 블록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 하나의 메시지 영역과 하나의 참조 신호 영역을 독립적으로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메시지 영역을 나머지 ACK/NACK 신호에 할당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선택된 메시지 영역과 상기 선택된 참조 신호 영역을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의 개수가 N개인 경우,
    상기 ACK/NACK 신호 중 일부의 크기는,
    log2(N*N) 비트 또는 log2{N*N} 보다 작은 정수 비트인,
    단말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자원 블록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어 채널 자원들에 관한 정보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시그널링되는,
    단말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메시지 영역과 상기 선택된 참조 신호 영역은
    서로 다른 제어 채널 자원에 포함된,
    단말 장치.
KR1020100034829A 2009-04-26 2010-04-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17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2437 WO2010126247A2 (ko) 2009-04-26 2010-04-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3/265,993 US8797979B2 (en) 2009-04-26 2010-04-20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0769892.0A EP2426833A4 (en) 2009-04-26 2010-04-20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N UPLINK CONTROL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77909P 2009-04-26 2009-04-26
US61/172,779 2009-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065A true KR20100118065A (ko) 2010-11-04
KR101717521B1 KR101717521B1 (ko) 2017-03-17

Family

ID=43404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829A KR101717521B1 (ko) 2009-04-26 2010-04-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97979B2 (ko)
EP (1) EP2426833A4 (ko)
KR (1) KR101717521B1 (ko)
WO (1) WO2010126247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3673A1 (ko) * 2012-03-08 2013-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참조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EP2648393A1 (en) 2012-04-04 2013-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ault Diagnosis for an Electronic Appliance
KR20140134600A (ko) * 2013-05-14 2014-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파수 도약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031B1 (ko) * 2010-04-13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2764632B1 (en) * 2011-10-04 2019-03-2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mproved pucch multiplexing scheme
US9215058B2 (en) 2012-03-06 2015-12-15 Blackberry Limited Enhanced PHICH transmission for LTE-advanced
US9198181B2 (en) 2012-03-19 2015-11-24 Blackberry Limited Enhanced common downlink control channels
US9591519B2 (en) * 2012-08-02 2017-03-07 Sun Patent Trust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base station device, resource allocation method
EP2890195B1 (en) * 2012-09-28 2018-09-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WO2018068808A1 (en) * 2016-10-10 2018-04-1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detection in unlicensed communication syste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9908A1 (en) * 2007-10-30 2009-04-30 Pierre Bertrand Transmission of Sounding Reference Signal and Scheduling Request in Single Carrier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39367A (en) 2006-06-20 2007-12-27 Nec Corp Separate ACK/NACK channel from a control channel
US7907567B2 (en) 2006-09-29 2011-03-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to uplink control channel
KR100975704B1 (ko) 2007-01-10 2010-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응답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345505B1 (ko) * 2007-02-06 2013-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장치
JP5206921B2 (ja) * 2007-03-16 2013-06-12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リソース割当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01410120B1 (ko) * 2007-08-21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복합 자동 재전송을 지원하는 응답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1512100A (ja) * 2008-02-11 2011-04-14 ゼットティーイー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の独立情報メッセージを統合して符号化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10104352A2 (en) * 2009-03-11 2010-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of acknowledgement sig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EP2409438B1 (en) * 2009-03-17 2021-10-1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nfiguring the transmission of periodic feedback information on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9908A1 (en) * 2007-10-30 2009-04-30 Pierre Bertrand Transmission of Sounding Reference Signal and Scheduling Request in Single Carrier System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uawei, "PUCCH desogn for carrier aggregation", 3GPP Draft, R1-091275, 2009.03.17.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3673A1 (ko) * 2012-03-08 2013-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참조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US9553704B2 (en) 2012-03-08 2017-01-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reference signals,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s
EP2648393A1 (en) 2012-04-04 2013-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ault Diagnosis for an Electronic Appliance
EP3240267A1 (en) 2012-04-04 2017-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ault diagnosis for an electronic appliance
KR20140134600A (ko) * 2013-05-14 2014-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파수 도약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44896A1 (en) 2012-02-23
US8797979B2 (en) 2014-08-05
KR101717521B1 (ko) 2017-03-17
EP2426833A4 (en) 2015-04-08
EP2426833A2 (en) 2012-03-07
WO2010126247A3 (ko) 2011-01-13
WO2010126247A2 (ko)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5431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174653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84861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CK/NAC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ed carrier aggregation and apparatus therefor
KR10171752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61610B1 (ko) 시간-슬롯 기반으로 다중 α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KR2011011759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77020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241921B1 (ko) Ack/nack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10066833A (ko) 캐리어 집합을 지원하는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1162540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구성 반송파를 지원하는 응답 정보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