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5578A -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용 공구 - Google Patents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5578A
KR20110015578A KR1020107026883A KR20107026883A KR20110015578A KR 20110015578 A KR20110015578 A KR 20110015578A KR 1020107026883 A KR1020107026883 A KR 1020107026883A KR 20107026883 A KR20107026883 A KR 20107026883A KR 20110015578 A KR20110015578 A KR 20110015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plunger
hous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셉 엔 카스티글리온
스티븐 펠드만
리차드 제이 쉐러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10015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2Hand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10T29/49217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by elastic jo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 Y10T29/49822Disassembling by applying force
    • Y10T29/49824Disassembling by applying force to elastically deform work part or conn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274Means to disassemble electrical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274Means to dis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83Means comprising hand-manipulatable imp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909Means comprising hand manipulatable tool
    • Y10T29/53943Hand gripper for direct push or pu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공구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플런저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래칭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타인을 갖는다. 플런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공구는 고속 전기 커넥터들의 보수를 촉진시키는 추출 및 삽입 공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용 공구{TOOL FOR TERMINATED CABLE ASSEMBLIES}
본 발명은 고속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높은 신호 라인 밀도를 제공하면서 또한 신호 라인에 대한 차폐 제어 임피던스(shielded controlled impedance, SCI)를 제공하는 고속 전기 커넥터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추출 및 삽입하기 위한 공구에 관한 것이다.
집적 회로를 다른 회로 기판, 케이블 또는 전자 장치에 상호 접속시키는 것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상호 접속은 전형적으로, 특히 신호 라인 밀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에, 그리고 신호를 상호 접속체 또는 인쇄 회로 기판 내의 전도체를 통해 전하는 데 필요한 시간 길이와 비교할 때 회로 스위칭 속도(또한 에지율(edge rate) 또는 신호 상승 시간(signal rise time)으로 지칭됨)가 느린 경우에는, 형성하기가 어렵지 않았다. 상호 접속체 크기 및 회로 스위칭 속도 둘 모두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점점 더 많은 것을 요구함에 따라, 물리적 크기 및 전기적 성능 둘 모두의 측면에서 만족스럽게 수행할 수 있는 상호 접속체의 설계 및 제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그 결과, 이러한 상호 접속체의 필수적인 보수가 더욱 난제가 되었다.
상호 접속체의 필요한 보수를 보조하기 위한 공구가 개발되어 왔다. 이들 공구 중 많은 공구가 유용하지만, 고속 전기 커넥터의 보수를 촉진하는 추출 및 삽입 공구 설계에 대한 필요성이 당업계에 여전히 있다.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하우징, 및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플런저(plunger)를 포함하는 공구를 제공한다. 하우징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래칭 해제(unlatch)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타인(tine)을 갖는다. 플런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하우징 및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공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하우징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래칭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타인을 갖는다. 플런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본 방법은 하나 이상의 타인을 전기 커넥터 조립체 내로 삽입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래칭 해제시키는 단계, 플런저를 가압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접촉 요소를 각각 갖는 복수의 제1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들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접촉 요소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타인을 포함하는 공구를 제공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타인을 전기 커넥터 조립체 내로 삽입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제1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를 편향시키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1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에 인접하게 전기 커넥터 조립체 내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삽입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타인을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개요는 본 발명의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또는 모든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하기의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예시한다.
<도 1>
도 1은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제거하는 과정 중의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공구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절결 사시도.
<도 2>
도 2는 도 1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들 중 하나의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초기 단계 및 작용 단계에 있는 도 1의 공구의 사시도.
<도 4>
도 4는 도 1의 공구의 분해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
도 5a 내지 도 5d는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제거하는 상이한 단계들의 도 1의 공구의 절결 상세 사시도.
<도 6>
도 6은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제거하는 과정 중의 도 1의 공구의 절결 상세 정면도.
<도 7>
도 7은 초기 단계에 있는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공구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그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이 참조된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서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고, 구조적 또는 논리적 변화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취해지지 않아야 하고,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공구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에서, 공구(2)는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 제거하는 과정 중에 있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6)는 리테이너(retainer) 또는 오거나이저 플레이트(organizer plate)(8), 커넥터 조립체 하우징 또는 어댑터(10), 및 복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6)는 헤더(도시되지 않음)와 정합하도록 구성되고, 전기 케이블(20)(이하에 상세히 기술됨)과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전기 접속을 형성하도록 인쇄 회로 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공구(2)가 전기 커넥터 조립체(6) 및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에 사용되는 것이 도시 및 기술되지만, 공구(2)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에 사용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전기 커넥터 조립체(6) 및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요소들은 공개 일자가 2007년 8월 23일인 미국 특허 공개 제2007/0197095 A1호, 공개 일자가 2008년 1월 24일인 미국 특허 공개 제2008/0020615 A1호, 및 2007년 10월 1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0/980,512호에서 교시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6)의 오거나이저 플레이트(8)는 복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수용, 고정 및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오거나이저 플레이트(8)는 오거나이저 플레이트(8)의 제1 측(14)으로부터 제2 측(16)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구멍(12)을 포함한다. 도시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단지 4개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만이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만, 오거나이저 플레이트(8)는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각각의 구멍(12) 내에서 수용하도록 의도된다. 커넥터 조립체 하우징 또는 어댑터(10)는 오거나이저 플레이트(8)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오거나이저 플레이트(8)의 특정 응용 또는 용도에 오거나이저 플레이트(8)를 적응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넥터 조립체 하우징 또는 어댑터(10)는 오거나이저 플레이트(8) 내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들이 핀 헤더(도시되지 않음)와 정합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거나이저 플레이트(8)는 상호 결합되는 슬롯(도시되지 않음)들을 갖는 복수의 횡방향으로 위치되고 상호연결되는 금속 플레이트(18a, 18b)(본 명세서에서 총칭하여 "플레이트(18)"로 지칭됨)로 형성되어, 조립된 때 복수의 금속 플레이트(18)가 복수의 구멍(12)을 형성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오거나이저 플레이트(8)는 예를 들어 중합체 재료의 성형 및/또는 기계가공, 금속의 성형 및/또는 기계가공, 또는 중합체 재료로 오버몰딩되는 금속 프레임의 구성과 같은 방법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는 전기 케이블(20)과 전기 케이블 종단접속부(22)를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단일 유형의 전기 케이블(20)에 사용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 및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및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신호, 전력 및/또는 접지 요소들을 갖는 다른 유형의 전기 케이블(20)을 가질 수 있다. 전기 케이블(20)은 단일 와이어 케이블(예를 들어, 단일 동축(coaxial) 케이블 및 단일 쌍축(twinaxial) 케이블) 및 다중 와이어 케이블(예를 들어, 다중 동축 케이블, 다중 쌍축 케이블, 및 꼬임 쌍선(twisted pair) 케이블)일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이한 유형 및 형태의 전기 케이블(20)과 전기 케이블 종단접속부(22)가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조립체 하우징 또는 어댑터(10)에 의해 보유되는 전기 케이블(20)들 및 전기 케이블 종단접속부(22)들 중 일부는 동축 케이블 및 종단접속부일 수 있지만, 커넥터 조립체 하우징 또는 어댑터(10)에 의해 보유되는 전기 케이블(20)들 및 전기 케이블 종단접속부(22)들 중 다른 일부는 쌍축(또는 다른) 케이블 및 종단접속부일 수 있다.
전기 케이블 종단접속부(22)는 종방향 전기 전도성 실드 요소(24), 절연체(26) 및 단일 전기 접촉자(28)를 포함한다.
전기 전도성 실드 요소(24)는 전방 단부(30), 후방 단부(32), 및 비-원형 횡단면을 한정하는 측부 표면(34a 내지 34d)(본 명세서에서 총칭하여 "측면(34)"으로 지칭됨)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의 횡단면을 한정하는 4개의 측면(34)을 포함하지만, 실드 요소(24)는 다른 대체로 직사각형 또는 비-원형의 횡단면을 한정하는 다른 개수의 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실드 요소(24)는 (예컨대, 원형과 같은) 대체로 곡선의 횡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실드 요소(24)는 대향하는 측부 표면(34a, 34c)들 상에 배치되는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탄성 접촉 요소(36)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실드 요소(24)는 단일 접촉 요소(36)만을 포함한다. 래치 부재(latch member, 38)가 측면(34)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된다. 래치 부재(38)는 복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수용, 고정 및 관리하도록 된 오거나이저 플레이트(8) 내에 전기 케이블 종단접속부(22)를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래치 부재(38)는 부착된 전기 케이블(20)을 파손시키는 데 필요한 힘보다 더 작은 힘에서 항복(즉, 변형)하도록 설계되어,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가 개별적인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교체 또는 보수할 목적으로 오거나이저 플레이트(8)로부터 당겨질 수 있다. 도 2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래치 부재(38)는 접촉 요소(36)들 중 하나로서 동일 측면(34a) 상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래치 부재(38)는 접촉 요소(36)를 포함하지 않는 실드 요소(24)의 측면(34) 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실드 요소(24)는 실드 요소(24)의 후방 단부(32)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탭(tab, 40)의 형태로 된 키잉(keying)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탭(40)은 전기 케이블 종단접속부(22)가 정확한 소정 배향으로 오거나이저 플레이트(8) 내로 삽입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전기 케이블 종단접속부(22)가 오거나이저 플레이트(8) 내에서 적절하게 배향되지 않은 경우, 전기 케이블 종단접속부(22)는 완전히 삽입될 수 없다. 일 실시예에서, 탭(40)은 (예컨대, 공구의 사용 또는 삽입 방향으로의 과도한 힘의 인가에 의해) 변형가능하며, 손상된 또는 결함이 있는 전기 케이블 종단접속부(22)가 오거나이저 플레이트(8)를 통해 완전히 밀릴 수 있도록 평평하게 될 수 있어서, 손상된 또는 결함이 있는 구성요소가 교체되거나 보수될 수 있게 한다. 도면은 실드 요소(24)가 접촉 요소(36)들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예컨대 헤르츠 범프(Hertzian bump)와 같은 다른 접촉 요소 형태가 접촉 요소(36)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절연체(26)는 하나 이상의 절연성 스페이서 바아(42)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바아(42)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접촉자(28)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되고 실드 요소(24) 내로 활주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하나 이상의 전기 접촉자(28)는 실드 요소(24)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인다.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바아(42)는 절연체(26) 내로의 하나 이상의 전기 접촉자(28)의 삽입 중에 그들을 안내 및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기 케이블 종단접속부(22)의 유효 유전 상수를 낮추고 그럼으로써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특성 임피던스를 예를 들어 50 옴(ohm)과 같은 원하는 목표 값에 보다 근접하게 낮추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전기 접촉자(28)를 둘러싸는 지배적인 유전체 재료가 공기이도록,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바아(42)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접촉자(28) 및 실드 요소(24)에 대해 형상화 및 위치된다. 절연체(26)는 전방 단부(30)에 인접하여 실드 요소(24) 내에 배치되는 제1 절연 부재(44), 및 후방 단부(32)에 인접하여 실드 요소(24) 내에 배치되는 제2 절연 부재(46)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절연 부재(44, 46)는 절연체(26)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절연체(26)의 스페이서 바아(42)는 절연체(26)를 실드 요소(24) 내에 적절하게 배치 및 보유하도록 실드 요소(24) 내의 정합 개구(50) 내로 스냅 체결되는 측방향으로 돌출한 위치설정 및 래칭 요소(48)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전기 접촉자(28)를 수용하는) 절연체(26)가 실드 요소(24) 내로 삽입됨에 따라, 위치설정 및 래칭 요소(48)를 갖는 스페이서 바아(42)는 실드 요소(24) 내의 정합 개구(50)와 맞물릴 때까지 (하나 이상의 전기 접촉자(28)를 향해) 내측으로 편향된다.
도 1, 도 3a, 도 3b 및 도 4를 참조하면, 공구(2)는 하우징(52)과 플런저(54)를 포함한다. 하우징(52)은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 래칭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2개의 타인(56)을 포함한다. 하우징(52)은 제1 하우징부(58) 및 제2 하우징부(60)를 포함한다. 타인(56)은 제1 하우징부(58)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 하우징부(60)의 일부이다. 효과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타인(56)이 하우징(52)으로부터 예를 들어 보수 또는 교체를 위해 용이하게 제거되는 것을 촉진시킨다. 제2 하우징부(60)는 스냅 끼워맞춤, 마찰 끼워맞춤, 억지 끼워맞춤, 기계적 클램핑, 및 접착제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구조물을 사용하여 제1 하우징부(58)에 조립될 수 있다. 도 3a, 도 3b 및 도 4의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부(60)는 제2 하우징부(60)로부터 연장된 포스트(62)와 제1 하우징부(58)의 개구(64) 사이의 억지 끼워맞춤을 사용하여 제1 하우징부(58)에 조립된다. 이러한 조립을 촉진시키기 위해, 개구(64)는 챔퍼 또는 반경(66)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타인(56)은 스냅 끼워맞춤, 마찰 끼워맞춤, 억지 끼워맞춤, 기계적 클램핑, 납땜, 용접 및 접착제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구조물을 사용하여 1-부품 하우징(52)에 영구적으로 또는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구(2)의 하우징(52)이 관형이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우징(52)은 부분적으로 관형 또는 비-관형이거나,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런저(54)는 하우징(52)에 의해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플런저(54)는 원통형이며 공구(2)의 작동 동안에 하우징(52)에 대하여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도3a,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런저(54)는 원통형이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플런저(54)는 부분적으로 원통형 또는 비-원통형이거나,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런저(54)는 플런저 본체(70), 플런저 연장부(72) 및 플런저 헤드(74)를 포함한다.
플런저 본체(70)는 하우징(52)에 활주가능하게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스프링 요소(80)(이하에 상세히 기술됨)와 같은 스프링 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런저 본체(70)는 하우징(52) 내로의 플런저(54)의 조립을 촉진하기 위한 반경 또는 챔퍼(76)를 갖는다.
플런저 연장부(72)는 플런저 본체(70)로부터 연장되며, 제1 연장부(72a) 및 제2 연장부(72b)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72a)는 플런저 본체(7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제2 연장부(72b)는 제1 연장부(72a)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2단 형태는 플런저 연장부(72)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 단일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에 대한 플런저(54)의 전방 단부(78)의 정확한 배치를 촉진시킨다. 도 3a, 도 3b 및 도 4의 실시예에서, 플런저(54)는 모놀리식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플런저 연장부(72)는 플런저 본체(70)에 영구적으로 또는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별개의 요소일 수 있다. 플런저 연장부(72)는 이어서 스냅 끼워맞춤, 마찰 끼워맞춤, 억지 끼워맞춤, 기계적 클램핑, 납땜, 용접 및 접착제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구조물을 사용하여 플런저 본체(70)에 조립될 수 있다. 효과적으로는, 플런저 연장부(72)가 플런저 본체(70)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성은 플런저 연장부(72)가 예를 들어 보수 또는 교체를 위해 플런저 본체(7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는 것을 촉진시킬 것이다.
플런저 헤드(74)는 공구(2)의 수동 작동을 위해 구성되며, 플런저(54)의 후방 단부(82)에 위치된다. 플런저 헤드(74)는 예를 들어 사람 손가락에 의한 수동 작동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플런저 본체(7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플런저 헤드(74)는 예를 들어 스프링 요소(80)(이하에 상세히 기술됨)와 같은 스프링 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a, 도 3b 및 도 4의 실시예에서, 플런저(54)는 모놀리식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플런저 헤드(74)는 플런저 본체(70)에 영구적으로 또는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별개의 요소일 수 있다. 플런저 헤드(74)는 이어서 스냅 끼워맞춤, 마찰 끼워맞춤, 억지 끼워맞춤, 기계적 클램핑, 납땜, 용접 및 접착제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구조물을 사용하여 플런저 본체(70)에 조립될 수 있다. 플런저 헤드(74)가 플런저 본체(70)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성은 예를 들어 상이한 형상 및/또는 크기의 플런저 헤드(74)가 용이하게 설치되는 것을 촉진할 것이다.
도 3a, 도 3b 및 도 4의 실시예에서, 하우징(52)은 슬롯(68a)을 포함하며, 플런저(54)는 멈춤 핀(stop pin, 68b)을 포함한다. 슬롯(68a) 및 멈춤 핀(68b)(총칭하여 본 명세서에서 "멈춤 요소(68)"로 지칭됨)은 하우징(52)에 대한 플런저(54)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하우징(52)에 대한 플런저(54)의 이동 제한은 하나 이상의 멈춤 요소(68)의 대안적인 설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3a, 도 3b 및 도 4의 실시예에서, 플런저 본체(70)는 스프링 요소(8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스프링 요소(80)는 공구(2)가 사용 중이 아닌 때 하우징(52)에 대한 초기 단계에 플런저(54)를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런저 연장부(72)의 제2 연장 부(72b)는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우징(52) 내에서 보호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스프링 요소(80)는 공구(2)의 작동 후에, 즉 플런저(54)를 가압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한 후에 하우징(52)에 대한 초기 단계로 플런저(54)를 복귀시키도록 구성된다. 스프링 요소(80)는 금속 스프링(예를 들어, 와이어 코일) 또는 압축 또는 연장된 후에 본래의 형상을 회복하는 임의의 탄성 장치일 수 있으며,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 및 도 6은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 제거하는 상이한 단계에 있는 공구(2)의 상세도이다. 도 5a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6)와 공구(2)가 제공된 초기 단계를 도시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6)는 복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포함한다.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2)는 하우징(52) 및 플런저(54)를 포함한다. 하우징(52)은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 래칭 해제하도록 구성된 2개의 타인(56)을 포함한다. 플런저(54)는 하우징(52)에 의해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인(56)들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6) 내로 삽입된다. 타인(56)들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제거 동안에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벌리도록 이격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6)의 커넥터 조립체 하우징 또는 어댑터(10)는 전방 외부벽(84)을 포함한다. 타인(56)은 전방 외부벽(84)을 통해 전기 커넥터 조립체(6)에 들어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 외부벽은 정합하는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의 접촉 블레이드(예를 들어, 접지 접촉 블레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블레이드 삽입 구멍(86)을 포함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인(56)은 블레이드 삽입 구멍(86)을 통해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 들어간다.
도 5b는 공구(2)의 타인(56)들이 전기 커넥터 조립체(6) 내로 더욱 삽입됨으로써,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접촉 요소(36)들을 편향시키는 단계를 도시한다.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접촉 요소(36)의 편향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제거를 촉진시킨다. 일 태양에서, 타인(56)들은 제거될 하나 이상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접촉 요소(36)들만을 편향시킬 수 있다. 다른 태양에서, 타인(56)들은, 대신하여 또는 이에 더하여, 인접한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접촉 요소(36')를 편향시킬 수 있다. 타인(56)들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제거 동안에 접촉 요소(36, 36')가 손상되거나 손상 또는 방해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인(56)과 오거나이저 플레이트(8)의 금속 플레이트(18a)는 대체로 동일 평면 상에 있음으로써,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제거 동안에 접촉 요소(36)가 금속 플레이트(18a)에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5c는 공구(2)의 타인(56)들이 전기 커넥터 조립체(6) 내에 완전히 삽입된 단계를 도시한다. 이러한 단계에서, 타인(56)들은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접촉 요소(36)들을 지속적으로 편향시키고, 게다가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래치 부재(38)를 편향시킴으로써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래칭 해제한다.
도 5d는 공구(2)의 플런저(54)가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절연체(26)에 대항하여 가압됨으로써,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타인(56)들은 접촉 요소(36)들이 손상되거나 손상 또는 방해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접촉 요소(36)들을 지속적으로 편향시킨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54)의 적어도 일부분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제거 동안에 타인(56)들 사이에 위치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6)의 커넥터 조립체 하우징 또는 어댑터(10)는 전방 외부벽(84)을 포함한다. 플런저(54)는 전방 외부벽(84)을 통해 전기 커넥터 조립체(6)에 들어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 외부벽은 정합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의 접촉 핀(예를 들어, 신호 접촉 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핀 삽입 구멍(88)을 포함한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54)는 핀 삽입 구멍(88)들 중 하나를 통해 전기 커넥터 조립체(6)에 들어간다. 공구(2)의 플런저(54)는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 부분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그 후에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는 예를 들어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전기 케이블(20)을 당김으로써 또는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실드 요소(24)의 후방 단부(32)를 잡고 당김으로써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 제거된다. 대안적으로, 공구(2)의 플런저(54)는 가압될 때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 완전히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부분적 또는 완전한 제거에 더하여, 공구(2)는 예를 들어 보수를 위해 제거된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교체하기 위해 또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6)의 초기 조립 공정에서, 하나 이상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6) 내로 조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초기 단계에서, 전기 커넥터 조립체(6) 및 공구(2)가 제공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6)는 하나 이상의 접촉 요소(36')를 각각 갖는 복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포함한다.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2)는 2개의 타인(56)들을 포함한다. 타인(56)들은 접촉 요소(36')들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제거하는 단계들과 유사하게, 타인(56)들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6) 내로 삽입됨으로써,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접촉 요소(36')들을 편향시킨다.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접촉 요소(36')들을 편향시키는 것은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와 인접하게 전기 커넥터 조립체(6) 내로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삽입하는 것을 촉진시킨다. 타인(56)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6) 내로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삽입 동안에 접촉 요소(36, 36')가 손상되거나 손상 또는 방해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일 태양에서, 타인(56)들은 또한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에 인접하게 전기 커넥터 조립체(6) 내로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삽입하는 것을 더욱 촉진시키도록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래치(38')(도 5b에도시됨)를 편향시키며, 전기 커넥터 조립체(6) 내로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삽입 동안에 래치(38')가 손상되거나 또는 손상 또는 방해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공구(2)의 타인(56)들이 전기 커넥터 조립체(6) 내에 삽입된 후에,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는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에 인접하게 전기 커넥터 조립체(6) 내로 삽입된다.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가 전기 커넥터 조립체(6) 내에 조립된 후에, 타인(56)들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 제거된다.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 제거하도록 공구(2)를 사용한 후에, 공구(2)의 타인(56)들은 교체 또는 보수된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후속 조립을 촉진시키도록 전기 커넥터 조립체(6) 내에 삽입된 채로 있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공구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공구(102)는 하우징(152) 및 플런저(154)를 포함한다. 하우징(152)은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 래칭 해제시키고 하우징(152)의 전방 단부(152a)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된 2개의 타인(156)을 포함한다. 하우징(152)은 하우징(152)의 측부(152b)로부터 연장되고 공구(102)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6)에 대하여 위치설정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된 2개의 플랜지(190)를 추가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공구(102)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6)의 블레이드 삽입 구멍(86) 내로 타인(156)을 삽입하는 것을 돕도록 플랜지(190)에서 사람의 손가락과 엄지 사이에서 파지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플랜지(190)는 하우징(152)의 주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플랜지(190)는 상이한 형상 및/또는 치수를 가질 수 있으며, 의도된 응용에 적합한 바대로 하우징(15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152)은 플런저(154)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2개의 플런저 지지부(192)를 추가로 포함한다. 플런저 지지부(192)는 플런저(154)가 하우징(152) 내에 조립된 후에 플런저(154)가 내부에 위치되는 플런저 지지 개구(194)를 포함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플런저 지지부(192)는 하우징(152)의 주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플런저 지지부(192)가 존재할 수 있고, 상이한 형상 및/또는 치수를 가질 수 있으며, 의도된 응용에 적합한 바대로 하우징(15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하우징(152)은 타인(156), 플랜지(190) 및 플런저 지지부(192)를 모놀리식 형태로 포함하는 1-부품 하우징이다. 이는 예를 들어 타인(156), 플랜지(190) 및 플런저 지지부(192)를 포함하는 하우징(152)을 시트 금속으로부터 종래의 시트 금속 스탬핑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비용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타인(156), 플랜지(190) 및 플런저 지지부(192)를 포함하는 하우징(152)이 제조될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타인(156), 플랜지(190) 및 플런저 지지부(192)는 하우징(152)에 영구적으로 또는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별개의 요소들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들 요소는 스냅 끼워맞춤, 마찰 끼워맞춤, 억지 끼워맞춤, 기계적 클램핑, 납땜, 용접 및 접착제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구조물을 사용하여 하우징(152)에 조립될 수 있다.
플런저(154)는 하우징(152)에 의해 지지되며,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플런저(154)는 원통형이며, 공구(102)의 작동 동안에 하우징(152)에 대하여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플런저(154)는 하우징(152)의 플런저 지지부(192)에 의해 지지되며, 플런저 지지 개구(194)를 통해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152)에 대한 플런저(154)의 지지 및 정확한 이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플런저 지지 개구(194)는 플런저(154)와 실질적으로 동심이며, 플런저(154)의 단면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런저(154)는 플런저 본체(170) 및 플런저 헤드(174)를 포함한다.
플런저 본체(170)는 하우징(152) 내에서 활주가능하게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되며, 스프링 요소(도시되지 않음)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런저 본체(170)는 원통형이며, 전기 커넥터 조립체(6)로부터의 단일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4)의 제거를 촉진시키기 위해 단일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에 대한 플런저(154)의 전방 단부(178)의 정확한 배치를 촉진시키도록 구성된 직경을 갖는다.
플런저 헤드(174)는 공구(102)의 수동 작동을 위해 구성되며, 플런저(154)의 후방 단부(182)에 위치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플런저 헤드(174)는 수동 작동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플런저 헤드(174)는 플런저(154)를 작동시키는 것을 돕도록 사람의 손가락과 엄지 사이에서 파지될 수 있다. 플런저 헤드(174)는 스프링 요소(도시되지 않음)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플런저(154)는 모놀리식이다. 이는 예를 들어 플런저 본체(170)와 플런저 헤드(174)를 포함하는 플런저(154)를 금속 와이어로부터 종래의 금속 형성법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플런저 본체(170)와 플런저 헤드(174)가 비용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플런저 헤드(174)는 플런저 본체(170)에 영구적으로 또는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별개의 요소일 수 있다. 플런저 헤드(174)는 이어서 스냅 끼워맞춤, 마찰 끼워맞춤, 억지 끼워맞춤, 기계적 클램핑, 납땜, 용접 및 접착제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구조물을 사용하여 플런저 본체(170)에 조립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154)는 하우징(152)에 대한 플런저(154)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2개의 멈춤 요소(168)를 포함한다. 멈춤 요소(168)는 플런저 본체(170)로부터 연장되며, 플런저(154)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플런저 지지부(192)들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과 상호 작용한다. 하우징(152)에 대한 플런저(154)의 이동량은 멈춤 요소(168)와 플런저 지지부(192)의 상대 위치들에 의해 결정된다. 멈춤 요소(168)는 플런저(154)를 하우징(152) 내에 위치시킨 후에 플런저(154)를 국부적으로 변형(즉, 플러저의 재료를 변위)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52)에 대한 플런저(154)의 이동 제한은 하나 이상의 멈춤 요소(168)의 대안적인 설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각각의 실시예들과 구현예들에서, 공구 및 그 요소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다. 재료는 의도된 응용에 따라 선택되며, 금속 및 비-금속(예컨대, 중합체, 유리, 및 세라믹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비-전도성 재료 중 임의의 재료 또는 조합)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부(58)와 플런저 헤드(74)는 사출성형, 압출, 주조, 기계가공 등과 같은 방법들에 의해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지만, 타인(56), 플런저 본체(70), 플런저 연장부(72), 멈춤 핀(68b) 및 스프링 요소(80)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부(60)는 성형, 주조, 스탬핑, 기계가공 등과 같은 방법들에 의해 금속으로 형성된다. 재료 선택은 몇 가지 예를 들면 화학적 노출 조건, 온도 및 습도 조건을 비롯한 환경적 노출 조건, 난연성(flame-retardancy) 요건, 재료 강도 및 강성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인자들에 좌우될 것이다.
특정 실시예가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매우 다양한 대안 및/또는 등가의 구현예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 실시예를 대신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기계, 전기-기계 및 전기 분야의 숙련자는 본 발명이 매우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임의의 적응 또는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및 그의 등가물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명백하게 의도된다.

Claims (20)

  1.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terminated) 케이블 조립체를 래칭 해제(unlatch)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타인(tine)을 갖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된 플런저(plunger)를 포함하는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플런저를 초기 단계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스프링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공구.
  3.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대한 플런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멈춤 핀(stop pin)을 추가로 포함하는 공구.
  4.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타인은 하우징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공구.
  5.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래칭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2개 이상의 타인을 포함하고, 2개 이상의 타인들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의 제거 동안에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벌리도록 이격되는 공구.
  6.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래칭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2개 이상의 타인을 포함하고, 플런저의 적어도 일부분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의 제거 동안에 2개 이상의 타인들 사이에 위치되는 공구.
  7. 제1항에 있어서, 플런저는 공구의 수동 작동을 위해 구성된 플런저 헤드를 포함하는 공구.
  8. 제1항에 있어서, 플런저는 플런저 연장부를 포함하는 공구.
  9. 제8항에 있어서, 플런저 연장부는 플런저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 공구.
  10.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대한 플런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멈춤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공구.
  11.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플런저 지지부를 포함하는 공구.
  1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2개 이상의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공구.
  13. 복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들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래칭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타인을 갖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된 플런저를 포함하는 공구를 제공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타인을 전기 커넥터 조립체 내로 삽입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래칭 해제시키는 단계;
    플런저를 가압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복수의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접촉 요소를 포함하고, 전기 커넥터 조립체 내로의 하나 이상의 타인의 삽입은 하나 이상의 접촉 요소의 편향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전방 외부벽을 갖는 커넥터 조립체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타인은 전방 외부벽을 통해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 들어가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전방 외부벽은 복수의 블레이드 삽입 구멍들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타인은 블레이드 삽입 구멍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 들어가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전방 외부벽을 갖는 커넥터 조립체 하우징을 포함하고, 플런저는 전방 외부벽을 통해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 들어가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전방 외부벽은 복수의 핀삽입 구멍들을 포함하고, 플런저는 복수의 핀 삽입 구멍들 중 하나를 통해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 들어가는 방법.
  19. 하나 이상의 접촉 요소들을 각각 갖는 복수의 제1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들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접촉 요소들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타인을 포함하는 공구를 제공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타인을 전기 커넥터 조립체 내로 삽입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제1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를 편향시키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1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에 인접하게 전기 커넥터 조립체 내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를 삽입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타인을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공구는 2개의 타인을 포함하고, 2개의 타인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 내로 삽입됨으로써 2개의 인접한 제1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의 접촉 요소를 편향시키는 방법.
KR1020107026883A 2008-05-08 2009-04-27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용 공구 KR201100155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16,978 US7941914B2 (en) 2008-05-08 2008-05-08 Tool for terminated cable assemblies
US12/116,978 2008-05-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578A true KR20110015578A (ko) 2011-02-16

Family

ID=4126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883A KR20110015578A (ko) 2008-05-08 2009-04-27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용 공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41914B2 (ko)
KR (1) KR20110015578A (ko)
CN (1) CN102077427A (ko)
WO (1) WO200913728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309A (ko) * 2017-10-16 2019-04-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용 리워크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50459A (zh) * 2011-08-29 2013-03-06 苏州艾尔克科技有限公司 基于整体旋转固定技术的自动化螺母装配系统
DE102012218231A1 (de) * 2012-10-05 2014-04-10 Robert Bosch Gmbh Kontakt für Steckverbindung mit Primärverriegelungslanze und positionierender Federanordnung
DE102013106921B3 (de) * 2013-07-02 2014-09-1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Einsetzen einer Kontaktlamelle in eine Buchse eines Steckverbinders
CN105119121A (zh) * 2015-07-09 2015-12-02 安庆市津海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线束生产的智能返工装置
US10907679B2 (en) * 2017-09-12 2021-02-02 The Boeing Company Fastening tool systems and methods
WO2019060877A1 (en) * 2017-09-25 2019-03-28 Johnstech International Corporation HIGH TEST PIN INSULATION SWITCH AND INTEGRATED CIRCUIT TEST HOUSING
US11518005B2 (en) * 2017-12-12 2022-12-06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Apparatus for engaging a guide pin
KR101966038B1 (ko) * 2018-08-27 2019-04-04 강호근 리페어 팁 교체형 리워크 툴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10832A (en) * 1964-04-24 1965-10-12 George H Kalen Insertion-removal tool
US3747047A (en) * 1971-12-01 1973-07-17 Hughes Aircraft Co Latchable integrally molded electrical connector
US3844013A (en) 1973-07-11 1974-10-29 Amp Inc Extraction tool
US4083101A (en) * 1976-12-27 1978-04-11 Amp Incorporated Tool for installing individual pins in printed circuit board
US4171565A (en) * 1978-06-26 1979-10-23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Contact insertion and removal tool
US4285123A (en) * 1979-12-21 1981-08-25 Western Electric Co., Inc. Pin removal tool
US4380118A (en) * 1981-08-13 1983-04-19 Amp Incorporated Terminal insertion tool
US4425704A (en) * 1981-12-03 1984-01-17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Extraction tool for electrical connector latch
US4494305A (en) * 1982-11-26 1985-01-22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Contact extraction tool
US4762507A (en) * 1987-04-24 1988-08-09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tact retention system, and tool for removal and method therefor
US5211582A (en) 1992-03-09 1993-05-18 Amphenol Corporation Repairable connector
US5263876A (en) * 1992-09-15 1993-11-23 Amphenol Corporation Modular EMI-EMP connector assembly
US5324213A (en) 1993-01-21 1994-06-28 The Whitaker Corporation Ballast connector
US5292260A (en) 1993-01-21 1994-03-08 The Whitaker Corporation Ballast connector for lighting fixture
JPH06243909A (ja) * 1993-01-21 1994-09-02 Whitaker Corp:The 電気コネクタ
US6047464A (en) * 1998-06-18 2000-04-11 Framatome Connectors Usa, Inc. Removal tool
US6363560B1 (en) * 2000-12-06 2002-04-02 Donald A. Kesinger Connector installation and removal tool
US6910267B1 (en) * 2001-07-27 2005-06-28 Ciena Corporation Apparatus for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US7257888B2 (en) 2004-04-19 2007-08-21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nnector removal tool
US7698810B2 (en) 2005-05-24 2010-04-20 Hon Hah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removal system
US7731528B2 (en) 2006-01-31 2010-06-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termination device
US7553187B2 (en) 2006-01-31 2009-06-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309A (ko) * 2017-10-16 2019-04-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용 리워크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77003A1 (en) 2009-11-12
CN102077427A (zh) 2011-05-25
WO2009137284A2 (en) 2009-11-12
WO2009137284A3 (en) 2010-02-18
US7941914B2 (en) 201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5578A (ko) 종단접속된 케이블 조립체용 공구
US7997933B2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792714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rlocking plates
US7731528B2 (en) Electrical termination device
JP4348400B2 (ja) 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及びオーガナイザー
US7722394B2 (en) Electrical termination device
US800730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719573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2004031006A (ja) 端子の取付け構造及び回路基板用コネクタ
CA1274593A (en) Communications connector
US7850489B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