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5316A -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및 이를 동작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및 이를 동작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5316A
KR20110015316A KR1020090072977A KR20090072977A KR20110015316A KR 20110015316 A KR20110015316 A KR 20110015316A KR 1020090072977 A KR1020090072977 A KR 1020090072977A KR 20090072977 A KR20090072977 A KR 20090072977A KR 20110015316 A KR20110015316 A KR 20110015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relay
base station
fixed
rela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0977B1 (ko
Inventor
이상훈
박종록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72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97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5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릴레이를 셀들의 경계 영역에 위치시켜 외곽 유저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제 1 셀 내에 위치하는 제 1 기지국, 제 2 셀 내에 위치하는 제 2 기지국 및 상기 제 1 셀과 상기 제 2 셀의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 릴레이(RS)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지국, 상기 제 2 기지국 및 상기 릴레이 중 적어도 하나는 다중 안테나로 구현된다.
고정 릴레이, FRS, Relay, 셀, 외곽 유저

Description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및 이를 동작시키는 방법{COMMUNICATION SYSTEM IN MULTI-CELL ENVIRONMEN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및 이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셀들의 경계 영역에 고정 릴레이를 설치하여 외곽 유저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을 향상시키는 통신 시스템 및 이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 셀 환경의 통신 시스템은 외곽 유저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하기 위하여 아래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내에 다수의 릴레이들(Relay stations)을 설치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셀들(100) 내에는 기지국(102), 릴레이(104) 및 유저들(106)이 존재한다.
이러한 멀티 셀 환경에서 외곽 유저(106b)의 QoS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릴레이(104)가 기지국(102)과 외곽 유저(106b) 사이를 중계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외곽 유저들(106b)을 서비스하기 위하여, 각 셀(100)에 는 4-6개의 릴레이들이 설치된다.
그러나, 릴레이들(104)이 상호간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에, 외곽 유저들(106b)의 QoS는 실제적으로 많이 향상되지 못하였다. 또한, 각 셀들(100)에다수의 릴레이들(104)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상기 통신 시스템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제적이면서도 외곽 유저의 서비스 품질(QoS)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및 이를 구동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은 제 1 셀 내에 위치하는 제 1 기지국; 제 2 셀 내에 위치하는 제 2 기지국; 및 상기 제 1 셀과 상기 제 2 셀의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 릴레이(RS)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지국, 상기 제 2 기지국 및 상기 릴레이 중 적어도 하나는 다중 안테나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의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 릴레이와 교신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기지국과 상기 고정 릴레이 사이의 제 1 채널 벡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채널 벡터를 기초로 상기 제 1 채널 벡터와 직교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저를 유저 그룹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셀들 사이의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 릴레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셀들 내의 기지국들의 간섭을 반영한 빔포밍 게인 지표(BG, 해당 기지국 외의 타기지국에 의한 간섭 요소에 반비례함)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빔포밍 게인 지표(BG)를 고려하여 상기 고정 릴레이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정 셀의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 릴레이들 중 제 1 고정 릴레이를 제 1 타임 슬롯에서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고정 릴레이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릴레이들 중 제 2 고정 릴레이를 상기 제 1 타임 슬롯에서 해당 유저로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송신 고정 릴레이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고정 릴레이와 상기 제 2 고정 릴레이는 상호 인접하지 않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 1 타임 슬롯에는 상기 고정 릴레이들 중 상기 제 1 고정 릴레이와 상기 제 2 고정 릴레이만이 통신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및 이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셀들의 경계 영역에 고정 릴레이를 설치하여 복수의 셀들 내의 외곽 유저들을 서비스하므로, 경제적이면서도 외곽 유저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기지국 및 다른 고정 릴레이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정 릴레이를 설치하고, 유저 그룹을 구성할 유저들을 해당 기지국과 상기 고정 릴레이 사이의 채널 벡터를 기초로 선택하며, 고정 릴레이들 사이의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고정 릴레이들을 적절하게 스케쥴링한다. 따라서, 다수의 고정 릴레이들을 설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외곽 유저에 대한 서비스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은 멀티 셀 환경에서 사용되며, 기지국들(Base Station, 202, BS), 적어도 하나의 고정 릴레이(Fixed Relay Station, 204, FRS) 및 복수의 유저들(Users, 206, MS)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통신 시스템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멀티 셀 환경에서 처리율(Throughput)을 유지하면서 외곽 유저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지국(202)은 각 셀(200) 내에 위치하며, 해당 고정 릴레이(204) 및 해당 유저들(206)에게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202)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가지며, 즉 다중 안테나로 구현된다.
고정 릴레이(20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들(200)의 경계 영역에 위치하며, 해당 기지국(202)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해당 유저(206)로 전송한다. 특히, 고정 릴레이(204)는 셀들(200)의 경계 영역에 위치하므로 복수의 셀들(200)의 외곽 유저들(206)을 서비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릴레이(204)는 다중 안테나로 구현되며, 해당 기지국(202)과 고정 릴레이(204)의 채널은 LOS(Line-of-sight) 채널이다.
유저들(206)은 예를 들어 휴대폰이며, 다중 안테나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하나의 안테나로 구현된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은 다중 안테나를 가지는 기지국(202) 및 고정 릴레이(204)를 포함하며, 고정 릴레이(204)는 셀들(200)의 경계 영역에 위치 하여 복수의 셀들(200)의 외곽 유저들(206)을 서비스한다. 따라서, 많은 릴레이들을 필요로 하는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 비하여 경제적이다. 다만, 상기 멀티 셀 환경에서 다른 고정 릴레이들(204)로부터의 간섭 및 기지국들(202)로부터의 간섭이 여전히 존재하므로, 상기 간섭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살펴보면, 고정 릴레이(204)를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셀들(200) 사이의 경계 영역에 적절하게 설치하고, 기지국(202)이 서비스할 유저들(206)을 선택하며, 그런 후 기지국(202), 고정 릴레이(204) 및 유저(206) 사이에 통신을 수행한다.
이하, 고정 릴레이(204)를 설치하는 방법, 유저 그룹을 선택하는 방법 및 고정 릴레이들(204)을 스케쥴링(Scheduling) 방법을 차례로 상술하겠다. 다만,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이 3개의 셀들(200a, 200b 및 200c)을 포함하고, 셀들(200a, 200b 및 200c) 내에는 각기 기지국들(202a, 202b 및 202c)이 배열되며, 고정 릴레이(204)가 셀들(200a, 200b 및 200c)의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기지국들(202a, 202b 및 202c)과 고정 릴레이(204) 사이의 채널은 LOS 채널이며, 고정 릴레이(204)는 ZFBF(Zero Forcing Beam-forming) 기술을 통하여 해당 유저들(206)로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기지국들(202a, 202b 및 202c) 및 고정 릴레이(204)는 서비스할 유저들(206)의 채널 상태 정보를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1. 고정 릴레이(204)를 설치하는 방법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릴레이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 릴레이(204)는 인접한 기지국들(202a, 202b 및 202c)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들을 유저들(206a, 206b 및 206c)로 전송한다. 즉, 고정 릴레이(204)는 기지국들(202a, 202b 및 202c)과 유저들(206a, 206b 및 206c) 사이를 중계한다.
일반적으로, 고정 릴레이(204)가 특정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복원하고자 하는 경우, 다른 기지국들 및 타고정 릴레이는 간섭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간섭을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상기 간섭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이하, 간섭을 제거하는 과정을 상술하겠다. 다만, 고정 릴레이(204)가 기지국(202a)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복원한다고 가정한다. 결과적으로, 기지국들(202b 및 202c)은 간섭으로서 작용한다.
우선, 유저 k가 기지국(202a)로부터 수신한 신호(yb k)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9048454648-PAT00001
여기서, hb k는 기지국(202a)과 유저 k 사이의 채널 벡터이고, xb는 기지국(202a)에서의 송신 신호이며, nb k는 잡음이고, Ib k는 다른 기지국들(202b 및 202c) 및 다른 고정 릴레이들(204)로부터의 간섭이다.
위 수학식 1에 표현된 채널 벡터(hb k)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9048454648-PAT00002
Figure 112009048454648-PAT00003
여기서, db k는 기지국(202a)과 유저 k 사이의 거리이고, ρ는 db k가 1㎞일 때의 평균 패스 이득(mean path gain)의 미디언(median)이며, γ는 패스 손실 성분(path loss exponent)이다. 또한, sb k,i는 로그-노멀 쉐도우 페이딩 랜덤 변수(log-normal fading random variable)이며, zb k,i는 Rayleigh fading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고정 릴레이(204)가 인접한 기지국들(202a, 202b 및 202c)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신호(yj)는 아래의 수학식 3과 같다. 여기서, 고정 릴레이(204)는 기 지국들(202a, 202b 및 202c)로부터 신호들을 동시에 수신한다.
Figure 112009048454648-PAT00004
여기서, nj는 잡음 성분이며, Ij는 다른 고정 릴레이들(204)로부터의 간섭 성분을 표시한다.
계속하여, 고정 릴레이(204)로부터 서비스받는 외곽 유저 k의 수신 신호는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9048454648-PAT00005
여기서, hj k는 고정 릴레이(204, j)와 유저 k 사이의 채널 벡터를 의미하고, xj는 고정 릴레이(204)로부터의 송신 신호이며, Ij k는 기지국들(202a, 202b 및 202c)로부터의 간섭 성분을 의미한다.
위에서, 기지국(202a)과 고정 릴레이(204) 사이의 채널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OS 채널로 가정하였으므로, 기지국(202a)과 고정 릴레이(204) 사이의 채널 매트릭스는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9048454648-PAT00006
Figure 112009048454648-PAT00007
여기서, NJ는 고정 릴레이(204)의 안테나 수이고, NT는 기지국(202a)의 안테나 수이며, abj는 패스 감쇄(path attenuation)이다. 또한, dbj는 기지국(202a)과 고정 릴레이(204) 사이의 거리이며, ΩR,bj 및 ΩT,bj는 기지국(202a)과 고정 릴레이(204) 사이의 방향 코사인(directional cosine)을 나타낸다.
고정 릴레이(204)가 기지국(202a)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 웨이트 벡터(receive weight vector), 즉 Hbj의 레프트 싱귤러 컬럼 벡터(left-singular column vector)를 이용하여 복원한다고 가정하면, 고정 릴레이(204)에서 복원된 신호(ybj)는 아래의 수학식 6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9048454648-PAT00008
여기서, ubj는 Hbj의 레프트 싱귤러 컬럼 벡터이고, wbj는 고정 릴레이(204)를 위한 전송 웨이트 벡터(transmit weight vector)이다. 또한, sbj k는 기지국(202a)에서 전송되는 유저 k에 대한 심볼이며, Ibj는 주변 기지국들(202b 및 202c)과 유저 k에 대한 신호 벡터(signal vector)를 제외한 기지국(202a)로부터의 신호 벡터의 합을 나타낸다.
Hbj를 특이치 분해(singular value decomposition, SVD)하면 아래의 수학식 7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9048454648-PAT00009
위 수학식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릴레이(204)와 기지국(202a)이 일렬 안테나 구조를 가지는 경우, 하나의 특이치(singular value)가 생성된다.
고정 릴레이(204)가 기지국(202a)로부터의 신호를 복원하기 위한 수신 웨이트 벡터는 상기 특이치에 대응하는 레프트 싱귤러 컬럼 벡터, 즉 ubj가 된다.
수학식 3으로부터 고정 릴레이(204)가 기지국(202a)의 신호를 복원했을 때의 SINR을 유도하면 아래의 수학식 8과 같다.
Figure 112009048454648-PAT00010
Figure 112009048454648-PAT00011
,
Figure 112009048454648-PAT00012
여기서, σN은 잡음 편차이고, Ij는 다른 고정 릴레이들(204)로부터의 간섭이며, Ibj는 인접한 기지국들(202b 및 202c)로부터의 간섭이다.
이하, 빔포밍 게인 요소 대 기지국들(202b 및 202c)에 의한 간섭 요소의 비율로 정의되는 아래의 수학식 9와 같은 빔포밍 게인 지표(beam-forming gain index, BGj)를 정의한다.
Figure 112009048454648-PAT00013
위 수학식 9를 살펴보면, 빔포밍 게인 지표(BGj)는 수신 웨이트 벡터(ubj)가 기지국(202a) 외의 다른 기지국들(202b 및 202c)과 고정 릴레이(204) 사이의 채널 매트릭스들과 상관값이 작을 수록 큰 값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기지국들(202b 및 202c)로부터의 간섭이 작을 수록 빔포밍 게인 지표(BGj)가 커진다.
따라서, 고정 릴레이(204)가 상기 수신 웨이트 벡터(ubj)를 이용하여 기지국(202a)로부터의 신호를 복원할 때, 빔포밍 게인 지표(BGj)가 큰 값을 가지도록 고정 릴레이(204)를 설치하면 기지국들(202b 및 202c)로부터 전송된 신호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릴레이(204)와 기지국(202a, 202b 및 202c) 사이의 각도(α)와 고정 릴레이(204)의 안테나들 사이의 거리(d)를 조정하면서 빔포밍 게인 지표(BGj)를 측정하고, 빔포밍 게인 지표(BGj)가 최대가 될때의 조건, 즉 α와 d로 고정 릴레이(204)를 설치한다. 여기서, 도 5(A)에서는 안테나들이 선형 배열(Linear array)을 가지며, 도 5(B)에서는 안테나들이 정방형 배열(Square array)을 가진다.
이하, α와 d를 조절하였을 때의 빔포밍 게인 지표(BGj)의 변화를 살펴보겠 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 릴레이(204)와 기지국(202a, 202b 및 202c) 사이의 각도(α)를 변화시킴에 따라 빔포밍 게인 지표(BGj)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NB 및 NJ를 각기 4로 설정하였고, 반송파 주파수(carrier frequency)를 2.5㎓로 설정하였으며, 고정 릴레이(204)와 기지국(202a, 202b 및 202c) 사이의 거리를 1㎞로 설정하였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형 배열 구조에서는 α가 약 30.7도일 때 빔포밍 게인 지표(BGj)가 최대로 됨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기지국(202a, 202b 및 202c)과 고정 릴레이(204) 사이의 각도(α)가 30.7도가 되도록 고정 릴레이(204)를 설치한다.
다른 예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방형 배열 구조에서는 α가 약 38.8도일 때 빔포밍 게인 지표(BGj)가 최대로 됨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기지국(202a, 202b 및 202c)과 고정 릴레이(204) 사이의 각도(α)가 38.8도가 되도록 고정 릴레이(204)를 설치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릴레이(204)의 안테나들 사이의 거리(d)를 변화시킴에 따라 빔포밍 게인 지표(BGj)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NB 및 NJ를 각기 4로 설정하였고, 반송파 주파수를 2.5㎓로 설정하였으며, 고정 릴레이(204)와 기지국(202a, 202b 및 202c) 사이의 거리를 1㎞로 설정하였다.
예를 들어, 선형 배열 구조에서는 d가 약 0.465m일 때 빔포밍 게인 지표(BGj)가 최대로 됨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정 릴레이(204)의 안테나들 사이의 거리(d)가 0.465m가 되도록 고정 릴레이(204)를 설치한다.
다른 예로, 정방형 배열 구조에서는 d가 약 0.93m일 때 빔포밍 게인 지표(BGj)가 최대로 됨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정 릴레이(204)의 안테나들 사이의 거리(d)가 0.93m가 되도록 고정 릴레이(204)를 설치한다.
요컨대,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빔포밍 게인 지표(BGj)가 최대가 되도록 고정 릴레이(204)를 설치하여 해당 기지국 외의 타기지국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기지국(202)으로부터 고정 릴레이(204)로 타신호들의 간섭없이 잘 전송되므로, 고정 릴레이(204)로부터 유저들(206)로의 신호 전달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하, 고정 릴레이(204)를 위에 상술한 방법으로 설치한 후 기지국(202)으로부터 서비스받을 유저 그룹을 선택하며, 선택 방법은 아래와 같다.
2. 유저 그룹 선택 방법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저 그룹을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202)은 그의 안테나 수만큼 유저들(206)을 하나의 그룹으로 선택하며, 유저 그룹 선택시 전체 링크 전송용량(total link capacity)을 고려하여 상호 직교(Orthogonal)하는 채널 벡터들을 가지는 유저들(206)을 선택한다. 이 경우, 상기 유저 그룹은 큰 합 전송율(sum-rate)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202)은 기지국(202)과 고정 릴레이(204) 사이의 채널 벡터를 기초로 하여 유저들(206)을 선택한다. 다만, 고정 릴레이(204)에서 기지국(202)으로부터의 신호를 복원하기 위한 수신 웨이트 벡터가 Hbj의 레프트 싱귤러 컬럼 벡터(ubj)이므로, 기지국(202)에서의 전송 웨이트 벡터가 라이트 싱귤러 컬럼 벡터(vbj)일 때 가장 큰 이득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202)은 라이트 싱귤러 컬럼 벡터(vbj)와 직교하는 채널 벡터들을 가지는 유저들(206)을 선택한다.
상세하게는, 기지국(20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202)과 고정 릴레이(204) 사이의 제 1 채널 벡터(vbj)를 기초로 하여 채널 벡터(vbj)와 직교하는 제 2 채널 벡터를 가지는 제 1 유저(900)를 선택한다.
이어서, 제 1 채널 벡터(vbj)와 기지국(202)과 제 1 유저(900) 사이의 제 2 채널 벡터 모두와 직교하는 제 3 채널 벡터를 가지는 제 3 유저(902)를 선택한다.
계속하여, 제 1 채널 벡터(vbj), 기지국(202)과 제 1 유저(900) 사이의 제 2 채널 벡터 및 기지국(202)과 제 2 유저(902) 사이의 제 3 채널 벡터 모두와 직교하는 제 4 채널 벡터를 가지는 제 4 유저(904)를 선택한다.
즉, 기지국(202)의 안테나가 4개인 경우, 기지국(202)은 고정 릴레이(204), 제 1 유저(900), 제 2 유저(902) 및 제 3 유저(904)를 하나의 유저 그룹으로 선택한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202)이 기지국(202)과 고정 릴레이(204) 사이의 채널 벡터(vbj)를 기초로 하여 서비스받을 유저들을 선택하므로, 기지국(202)으로부터 고정 릴레이(204)로의 신호 전송 특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 릴레이들(204)의 설치에 따른 간섭을 최소화하고 고정 릴레이(204)의 사용으로 인한 타임 효율(time efficiency)를 보장하기 위하여 고정 릴레이들(204)을 스케쥴링하는 방법을 살펴보겠다.
3. 고정 릴레이 스케쥴링 방법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릴레이들을 스케쥴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릴레이들을 스케쥴링했을 때의 멀티 셀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고정 릴레이들(204) 중 기지국(2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릴레이를 수신 고정 릴레이(RFRS)라 하고, 해당 유저로 신호를 송신하는 릴레이를 송신 고정 릴레이(TFRS)라 하겠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에서, 셀(200)은 육각형 형상을 가지며, 셀(200)의 모서리 모두에는 고정 릴레이들(204)이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타임 슬롯마다 6개의 고정 릴레이들(204) 중 하나는 수신 고정 릴레이(RFRS)로서 동작하고, 다른 하나는 송신 고정 릴레이(TFRS)로서 동작한다. 여기서, 다른 고정 릴레이들(204)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또한, 수신 고정 릴레이(RFRS)와 송신 고정 릴레이(TFRS)는 상호간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지 않도록 배열된다.
즉,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매타임 슬롯마다 하나의 수신 고정 릴레이(RFRS)와 하나의 송신 고정 릴레이(TFRS)를 선택하고, 선택된 고정 릴레이들(RFRS 및 TFRS)이 상호 인접하지 않도록 배열한다.
또한, 6번의 타임 슬롯이 경과한 경우 각 고정 릴레이들(204)은 한번은 수신 고정 릴레이(RFRS)로서 동작하고 한번은 송신 고정 릴레이(TFRS)로서 동작하도록 스케쥴링된다. 결과적으로, 각 고정 릴레이들(204)은 6번의 타임 슬롯동안 모두 2번만 동작하도록 스케쥴링된다. 즉,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라운드 로빈(Round-robin) 방법을 통하여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여 공정성을 확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타임 슬롯에서 수신 고정 릴레이(RFRS)로서 동작하는 고정 릴레이(204)는 다음 타임 슬롯에서 송신 고정 릴레이(TFRS)로서 동작하도록 고정 릴레이들(204)을 스케쥴링할 수 있다.
위 도 10에서는 하나의 셀(200)의 스케쥴링 과정만을 도시하였지만, 고정 릴레이(204)를 공유하는 인접 셀들(200)이 모두 동일한 스케쥴링 방법을 사용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고정 릴레이(RFRS)가 셀들(200)의 중앙에 위치하면, 제 1 셀(200a)을 위한 송신 고정 릴레이(TFRS)는 좌측 하단부에 위치되고, 제 2 셀(200b)을 위한 송신 고정 릴레이(TFRS)는 우측 상단부에 위치되며, 제 3 셀(200c)을 위한 송신 고정 릴레이(TRFS)는 우측 중앙에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송신 고정 릴레이들(TRFS) 사이의 간격이 상당히 멀어지며, 따라서 송신 고정 릴레이들(TRFS) 사이의 상호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 고정 릴레이(204)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과 다른 통신 시스템들을 비교하겠다.
도 12는 기지국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유저의 전송용량(capacity)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NB 및 NJ를 각기 4로 설정하였다.
종래의 통신 시스템들의 전송 용량 그래프들(RR-ZFBF, RUSBF, RR-ZFBF-SBF-OB, RR-ZFBF-SBF-OR)을 살펴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기지국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전송용량이 감소한다.
반면에,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의 전송용량 그래프(FCBF)를 참조하면, 유저(206)가 기지국(202)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전송용량이 감소하기도 하지만 0.7 이상에서는, 즉 외곽 영역에서는 경계 영역에 설치된 고정 릴레이(204)로 인하여 전송용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에서 외곽 유저에 대한 서비스 품질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기지국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신호 장애 가능성(outage probability)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NB 및 NJ를 각기 4로 설정 하였다.
종래의 통신 시스템들의 신호 장애 가능성 그래프들(RR-ZFBF, RUSBF, RR-ZFBF-SBF-OB, RR-ZFBF-SBF-OR)을 살펴보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기지국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신호 장애 가능성이 상당히 커진다.
반면에,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의 전송용량 그래프(FCBF)를 참조하면, 0.7의 거리까지는 유저(206)가 기지국(202)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신호 장애 가능성이 커지지만, 0.7 이상의 거리에서는, 즉 외곽 영역에서는 경계 영역에 설치된 고정 릴레이(204)로 인하여 신호 장애 가능성이 상당히 작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에서 외곽 유저에 대한 서비스 품질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유저수에 따른 평균 합 전송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들의 수가 많아질 수록 멀티 유저 다이버시티 이득(multi-user diversity gain)으로 인하여 해당 통신 시스템의 평균 합 전송률(average sum-rate)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에 대한 평균 합 전송률 그래프(1402)와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 대한 평균 합 전송률 그래프(1400)를 비교하면,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에 대한 평균 합 전송률이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 대한 평균 합 전송률보다 10% 이상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에서 외곽 유저에 대한 서비스 품질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는 유저수에 따른 평균 신호 장애 가능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들의 수가 많아질 수록 해당 통신 시스템의 평균 신호 장애 가능성(average outage probability)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에 대한 평균 신호 장애 가능성 그래프(1502)와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 대한 평균 신호 장애 가능성 그래프(1500)를 비교하면,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에 대한 평균 신호 장애 가능성이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 대한 평균 신호 장애 가능성보다 25% 이상 작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에서 외곽 유저에 대한 서비스 품질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릴레이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저 그룹을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릴레이들을 스케쥴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릴레이들을 스케쥴링했을 때의 멀티 셀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기지국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유저의 전송용량(capacity)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기지국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신호 장애 가능성(outage probability)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유저수에 따른 평균 합 전송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유저수에 따른 평균 신호 장애 가능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21)

  1. 제 1 셀 내에 위치하는 제 1 기지국;
    제 2 셀 내에 위치하는 제 2 기지국; 및
    상기 제 1 셀과 상기 제 2 셀의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 릴레이(RS)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지국, 상기 제 2 기지국 및 상기 릴레이 중 적어도 하나는 다중 안테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고정 릴레이(FRS)이며, 상기 고정 릴레이는 빔포밍 게인 지표(BG, 해당 기지국 외의 타기지국에 의한 간섭 요소에 반비례함)에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릴레이는 상기 빔포밍 게인 지표(BG)가 최대로 될 때의 조건에 따라 설치되되,
    상기 빔포밍 게인 지표(BG)는 해당 기지국의 안테나와 상기 고정 릴레이(FRS) 사이의 각도 또는 상기 고정 릴레이(FRS)의 안테나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지국들과 상기 고정 릴레이 사이의 채널은 LOS (Line-of-sight)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받는 복수의 유저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고정 릴레이(FRS) 사이의 채널 메트릭스의 라이트 싱귤러 컬러 벡터(right singular column vector)를 기초로 하여 상기 유저들 중 서비스받을 유저들을 선택하여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유저들은 상기 라이트 싱귤러 벡터와 직교하는 채널 벡터를 가지며, 상기 채널 메트릭스는 상기 라이트 싱귤러 컬럼 벡터(right singular column vec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셀은 육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셀의 각 모서리들에는 고정 릴레이들이 배열되되,
    상기 제 1 기지국이 상기 고정 릴레이들 중 제 1 고정 릴레이로 제 1 신호를 전송할 때 제 2 고정 릴레이는 제 2 신호를 자신의 관리하에 있는 유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릴레이와 상기 제 2 고정 릴레이는 인접하지 않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셀은 육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셀의 각 모서리들에는 고정 릴레이들이 배열되되,
    매타임 슬롯에서 상기 고정 릴레이들 중 하나는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고정 릴레이(RFRS)로서 동작하고, 다른 고정 릴레이는 해당 유저로 제 2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 고정 릴레이(TFRS)로서 동작하며, 나머지 고정 릴레이들(RFS)은 동작하지 않으며,
    연속적인 6번의 타임 슬롯들에서 하나의 고정 릴레이는 수신 고정 릴레이(RFRS)로서 한번 동작하고 송신 고정 릴레이(TFRS)로서 한번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10. 셀의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 릴레이와 교신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고정 릴레이 사이의 제 1 채널 벡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채널 벡터를 기초로 상기 제 1 채널 벡터와 직교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저를 유저 그룹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기지국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채널 벡터와 직교하는 제 2 채널 벡터를 가지는 제 1 유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채널 벡터 및 상기 제 2 채널 벡터와 직교하는 제 3 채널 벡터를 가지는 제 2 유저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기지국 동작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고정 릴레이 사이의 채널은 LOS (Line-of-sight)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기지국 동작 방법.
  13. 멀티 셀들 사이의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 릴레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셀들 내의 기지국들의 간섭을 반영한 빔포밍 게인 지표(BG, 해당 기지국 외의 타기지국에 의한 간섭 요소에 반비례함)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빔포밍 게인 지표(BG)를 고려하여 상기 고정 릴레이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게인 지표(BG)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각 기지국들의 안테나와 상기 고정 릴레이 사이의 각도를 조정하여 상기 빔포밍 게인 지표(BG)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릴레이의 안테나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상기 빔포밍 게인 지표(BG)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릴레이는 상기 빔포밍 게인 지표(BG)가 최대로 되는 조건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릴레이가 위치한 셀은 육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 릴레이는 연속적인 6번의 타임 슬롯동안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고정 릴레이(RFRS)로서 한번 동작하고 제 2 신호를 해당 유저로 전송하는 송신 고정 릴레이(TRFS)로서 한번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지국들과 상기 고정 릴레이 사이의 채널은 LOS (Line-of-sight)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은,
    특정 기지국과 상기 고정 릴레이 사이의 채널 벡터를 기초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받을 유저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저들의 채널 벡터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고정 릴레이 사이의 채널 벡터와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릴레이의 채널 벡터는 라이트 싱귤러 컬럼 벡터(right singular column vec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19. 특정 셀의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 릴레이들 중 제 1 고정 릴레이를 제 1 타임 슬롯에서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고정 릴레이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릴레이들 중 제 2 고정 릴레이를 상기 제 1 타임 슬롯에서 해당 유저로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송신 고정 릴레이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고정 릴레이와 상기 제 2 고정 릴레이는 상호 인접하지 않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 1 타임 슬롯에는 상기 고정 릴레이들 중 상기 제 1 고정 릴레이와 상기 제 2 고정 릴레이만이 통신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은,
    상기 제 1 고정 릴레이를 상기 제 1 타임 슬롯 후의 제 2 타임 슬롯에서의 수신 고정 릴레이로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릴레이들 중 제 3 고정 릴레이를 상기 제 2 타임 슬롯에서의 송신 고정 릴레이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고정 릴레이와 상기 제 3 고정 릴레이는 상호 인접하지 않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릴레이는 연속적인 6번의 타임 슬롯동안에 수신 고정 릴레이로서 한번 동작하고 송신 고정 릴레이로서 한번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KR1020090072977A 2009-08-07 2009-08-07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및 이를 동작시키는 방법 KR101040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977A KR101040977B1 (ko) 2009-08-07 2009-08-07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및 이를 동작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977A KR101040977B1 (ko) 2009-08-07 2009-08-07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및 이를 동작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316A true KR20110015316A (ko) 2011-02-15
KR101040977B1 KR101040977B1 (ko) 2011-06-16

Family

ID=4377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977A KR101040977B1 (ko) 2009-08-07 2009-08-07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및 이를 동작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9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71487A (zh) * 2014-07-01 2016-04-06 索尼公司 通信设备、基站和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833B1 (ko) * 2006-08-21 2007-08-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기지국/중계기 배치 방법, 이를 이용한 무선 자원 할당방법 및 자원 해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71487A (zh) * 2014-07-01 2016-04-06 索尼公司 通信设备、基站和通信方法
CN105471487B (zh) * 2014-07-01 2020-07-24 索尼公司 通信设备、基站和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0977B1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4116B1 (en) Method of joint resource allocation and clustering of base stations
US8320479B2 (en) Ranking and grouping of transmissions in communication system
US8805283B2 (en) Inter-cell interference relief method
US88620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precoding matrix in multiple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49353B2 (en) Method of grouping users to reduce interference in MIMO-based wireless network
US102249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823177B (zh) 用于操作从站的方法
EP1564906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multiuser mimo system
KR20150134520A (ko) Mu­mimo 간섭 채널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간섭정렬 송수신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US200801070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76653B2 (en) Antenna selection and pilot compression in MIMO systems
EP1876847A1 (en) A method for scheduling of user terminals in an SDMA capab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 base station and a network therefor
CN104885501A (zh) 用于跨子帧干扰协调的方法和装置
KR101040977B1 (ko) 멀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 및 이를 동작시키는 방법
KR20130084108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CN103716079B (zh) 用于两小区间的协作多点下行传输的方法和装置
Arai et al. Correlation-based user scheduling and multi-planar parallelogram array for massive antenna systems
KR101662316B1 (ko)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29454B1 (ko) 무선망 환경에서의 간섭정렬 및 다중안테나 신호처리 방법 및 장치
EP2337418A1 (en) Dynamically scheduling connections of mobile stations in neighbouring cell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US9232530B2 (en) Managing a radio transmission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user equipment
KR101542357B1 (ko) 안테나 어레이들을 포함하는 기지국들을 갖는 무선 시스템의 전력 할당
CN104205980A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干扰控制的方法和装置
Taniguchi et al. Base station cooperation in multiantenna cellular system with defect cells
US20220304004A1 (en) MU-MIMO Schedu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