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5179A -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 - Google Patents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5179A
KR20110015179A KR1020090072766A KR20090072766A KR20110015179A KR 20110015179 A KR20110015179 A KR 20110015179A KR 1020090072766 A KR1020090072766 A KR 1020090072766A KR 20090072766 A KR20090072766 A KR 20090072766A KR 20110015179 A KR20110015179 A KR 20110015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heel
high heels
support mean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건우
김기태
Original Assignee
강건우
김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건우, 김기태 filed Critical 강건우
Priority to KR1020090072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5179A/ko
Publication of KR20110015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2Resilient supports for the heel of the foot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에 관한 것으로서, 보행시 충격을 완화하고, 지면과 접촉되는 부분을 넓혀 하중을 분산함으로써 보행의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에 관한 것이다.
하이힐, 스프링, 완충, 접철

Description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High-heeled Footwear}
본 발명은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에 관한 것으로서, 보행시 충격을 완화하고, 지면과 접촉되는 부분을 넓혀 하중을 분산함으로써 보행의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에 관한 것이다.
하이힐은 굽이 높아 보행자의 발꿈치 부분이 높게 위치되는 여성용 신발을 지칭한다.
상기 하이힐을 착화하고 보행할 경우에, 굽의 높이가 높을 뿐만 아니라 굽과 지면과 맞닿는 영역이 한정되어 균형잡기가 어려우며, 지면에 형성된 다양한 틈에 굽이 삽입되어 보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하이힐을 신고 보행 중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발목이 꺽여 큰 부상을 당할 수 있으며, 보행자의 발, 발목, 무릎, 및 허리 등에 무리를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하중을 흡수할 수 있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보행에 따른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보행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며, 일정 하중 이상이 작용될 경우에는 평상시에는 상기 스프링을 감싸 굽을 형성하는 지지수단이 접철되어 굽 주변부를 지지할 수 있는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100)은 하이힐(100)에 있어서, 뒷굽(10)의 일정 영역을 형성하는 스프링(20); 및 상기 스프링(20)의 주변부에 복수개 형성되며, 상측 및 하측 지지부(32)가 외측으로 접철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수단(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이힐(100)은 상기 스프링(20)의 주변에 상기 스프링(20) 높이 변화를 수용가능하도록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지지수단(30)은 뒷굽(10)에 일정 하중 이상이 작용되는 경우에, 상기 상측 및 하측 지지부(32)의 접철된 부분(33)이 지면(g)에 맞닿도록 상기 상측 지지부(31)가 하측 지지부(32)보다 큰 높이(H1 > H2)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또, 상기 상측 지지부(31)는 하측의 일정 영역이 상기 하측 지지부(32) 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지지수단(30)은 뒷굽(10)에 일정 하중 이상이 작용되는 경우에, 상기 상측 지지부(31)의 연장된 최하측이 지면(g)에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면(g)과 맞닿는 상측 지지부(31)의 최하측은 보조뒤창(70)이 교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이힐(100)은 상기 스프링(20) 또는 지지수단(30)의 상측을 고정하며, 뒷굽(10)에 탈착가능한 상측 결합부(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이힐(100)은 상기 스프링(20) 또는 지지수단(30)의 하측을 고정하며, 뒤창(60)이 교체가능하도록 하측 결합부(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은 사용자의 하중을 흡수할 수 있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보행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고, 일정 하중 이상이 작용될 경우에는 평상시에는 상기 스프링을 감싸 굽을 형성하는 지지수단이 접철되어 굽 주변부를 지지함으로써 보행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며, 보행의 안정성을 높인 장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10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100)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100)의 작동을 설명하는 단면도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의 다른 사시도, 작동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100)은 스프링(20) 및 지지수단(30)이 뒷굽(10)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보행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20) 및 지지수단(30)의 높이는 뒷굽(10)의 하측 일정 영역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20)은 뒷굽(10)의 일정 영역을 형성하며, 보행 시, 적절하게 완충작용을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수단(30)은 상기 스프링(20)과 함께 뒷굽(10)의 일정 영역을 형성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스프링(20)의 주변부 전체 또는 일정 부분을 감싸 외측에서 보았을 때, 상측의 굽(10)과 연장되어 일반 구두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30)은 상측 지지부(31) 및 하측 지지부(32)가 접철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20)의 수축되면, 상기 지지수단(30)은 외측으로 접철되어 스프링(20)의 수축정도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20)과 지지수단(30)은 뒷굽(10)을 일정 영역을 형성하므로, 상측은 굽(10)에 연결되고 하측은 뒤창(60)과 연결된다.
이 때, 상기 뒤창(60)은 마모되어 교체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의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100)은 상기 스프링(20) 또는 지지수단(30)의 하측을 고정하며, 뒤창(60)이 교체가능하도록 하측 결합부(50)가 형성된다.
상기 하측 결합부(50)는 상측 면의 내측에서 상기 스프링(20)과, 그 외주에서 지지수단(30)과 고정되며, 하측에서 뒤창(60)과 고정된다.
상기 하측 결합부(50)는 상기 스프링(20) 및 지지수단(30)을 용이하게 고정하면서도, 일반적인 하이힐(100)의 뒤창(60)이 고정되는 뒤굽(10)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거나 유사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뒤창(60)을 이용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100)은 상기 지지수단(30)의 상측 지지부(31)와 하측 지지부(32)의 높이 및 스프링(20)의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일정 하중 이상이 작용되는 경우에 상기 지지수단(30)의 상측 지지부(31)와 하측 지지부(32)와 접철부위(33)가 뒤창(60)과 함께 지면(g)에 맞닿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30)의 상측 지지부(31)와 하측 지지부(32)와 접철부위(33)가 지반에 맞닿게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100)은 뒤창(60)에 집중되는 하중이 적절히 분산되어 하이힐(100)의 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줄일 수 있고, 보행자의 보행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지지수단(30)의 접철부위(33)는 지면(g)과 맞닿게 되는 경우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지지수단(30)은 상기 상측 지지부(31)와 하측 지지부(32)와 접철부위(33)가 지반에 용이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상측 지지부(31)가 하측 지지부(32)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1 〉 H2)
상기 지지수단(30)의 접철부위(33)가 지면(g)과 반복적으로 맞닿는 경우에, 상기 뒤창(60)과 마찬가지로 마모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하이힐(100)은 상기 지지수단(30) 또는 스프링(20)을 고정하며, 뒷굽(10)에 탈착가능하도록 상측 결합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결합부(40)는 상측에서 뒷굽(10)과 결합되고, 하측에서 상기 지지수단(30)과 스프링(20)을 고정하는 다양한 형태가 이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 상기 뒷굽(10)의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측 결합부(40)의 외주에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즉, 상기 상측 결합부(40)는 상기 스프링(20) 또는 지지수단(30)의 상측을 고정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프링(20), 지지수단(30), 및 뒤창(60)(하측 결합부(50)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하측 결합부(50)를 더 포함함)의 구성을 상기 뒷굽(10)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상측 결합부(40)는 상기 도면에 도시한 예 외에도 더욱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측 지지부(31)는 상기 상측 결합부(40)에 완벽히 고정되는 것 이 아니라, 상기 상측 결합부(40)를 중심으로 상기 상측 지지부(31)가 이동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측 결합부(50)는 상기 스프링(20) 또는 지지수단(30)의 하측을 고정하고, 상기 뒤창(60)을 교체가능하도록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100)은 상기 상ㆍ하측 결합부(40,50)를 통해 마모된 부품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측 결합부(50) 역시, 상기 하측 지지부(32)가 상기 하측 결합부(50)에 완벽히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하측 결합부(50)를 중심으로 상기 하측 지지부(32)가 이동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100)은 상기 상측 결합부(40)가 형성됨에 따라 다양한 높이 또는 형태를 갖는 구성을 결합할 수 있어 하나의 하이힐(100)에 다양한 굽 형태가 적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100)은 상기 지지수단(30)이 하이힐(100)의 좌ㆍ우 측을 지지하도록 양쪽에 형성되고, 내부에 슬라이딩부재(80)가 더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 때, 상기 지지수단(30)은 보행자의 발목 꺽임 문제점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이힐(100)의 좌ㆍ우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수단(30)이 상기 스프링(20)의 주변부의 일정 영역에만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하이힐(100)의 뒷굽(10)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수단(30)과 함께 사용자의 하중을 적절히 지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부재(8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슬라이딩부재(80)는 상기 스프링(20)의 주변에 상기 스프링(20) 높이 변화를 수용가능하도록 슬라이딩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슬라이딩부재(80)는 상기 지지수단(30)이 외측으로 접철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지지수단(30)이 형성되지 않은 측 또는 상기 지지수단(30)과 스프링(2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힐(100)은 상기 지지수단(30)의 접철된 영역(33)이 지면에 맞닿을 경우에, 쉽게 마모될 수 있으므로, 상기 상측 지지부(31) 하측의 일정 영역이 상기 하측 지지부(32) 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지지수단(30)은 뒷굽(10)에 일정 하중 이상이 작용되는 경우에, 상기 상측 지지부(31)의 연장된 최하측이 지면(g)에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면(g)과 맞닿는 상측 지지부(31)의 최하측은 보조뒤창(70)이 교체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지지수단(30)의 마모를 방지하면서도, 지면과 맞닿는 부분은 보조뒤창(70)이 구비되어 교체되어 내구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고,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보조뒤창(70)이 형성되는 부분은 상측 지지부(31)의 연장된 영역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뒤창(60)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100)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100)은 사용자의 하중을 흡수할 수 있는 스프링(20)이 구비되어 보행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고, 일정 하중 이상이 작용될 경우에는 평상시에는 상기 스프링(20)을 감싸 굽(10)을 형성하는 지지수단(30)이 접철되어 뒤창(60)의 주변부를 지지하고, 상기 스프링(20)에 의한 수축과 함께 상기 슬라이딩부재(80)가 슬라이딩되어 하중을 분산함으로써 보행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며, 보행의 안정성을 높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의 작동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의 다른 사시도, 작동을 설명하는 단면도(도 6 - 하중 작용하지 않을 때, 도 7 - 하중이 작용할 때)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이힐
10: 굽 20 : 스프링
30 : 지지수단 31 : 상측 지지부
32 : 하측 지지부 33 : 접철된 부분
H1 : 상측 지지부의 높이 H2 : 하측 지지부의 높이
40 : 상측 결합부 50 : 하측 결합부
60 : 뒤창
70 : 보조뒤창
80 : 슬라이딩부재

Claims (7)

  1. 하이힐(100)에 있어서,
    뒷굽(10)의 일정 영역을 형성하는 스프링(20); 및
    상기 스프링(20)의 주변부에 복수개 형성되며, 상측 및 하측 지지부(32)가 외측으로 접철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수단(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힐(100)은 상기 스프링(20)의 주변에 상기 스프링(20) 높이 변화를 수용가능하도록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30)은 뒷굽(10)에 일정 하중 이상이 작용되는 경우에, 상기 상측 및 하측 지지부(32)의 접철된 부분(33)이 지면(g)에 맞닿도록 상기 상측 지지부(31)가 하측 지지부(32)보다 큰 높이(H1 > H2)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지지부(31)는 하측의 일정 영역이 상기 하측 지지부(32) 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지지수단(30)은 뒷굽(10)에 일정 하중 이상이 작용되는 경우에, 상기 상측 지지부(31)의 연장된 최하측이 지면(g)에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g)과 맞닿는 상측 지지부(31)의 최하측은 보조뒤창(70)이 교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힐(100)은 상기 스프링(20) 또는 지지수단(30)의 상측을 고정하며, 뒷굽(10)에 탈착가능한 상측 결합부(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힐(100)은 상기 스프링(20) 또는 지지수단(30)의 하측을 고정하며, 뒤창(60)이 교체가능하도록 하측 결합부(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
KR1020090072766A 2009-08-07 2009-08-07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 KR20110015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766A KR20110015179A (ko) 2009-08-07 2009-08-07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766A KR20110015179A (ko) 2009-08-07 2009-08-07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179A true KR20110015179A (ko) 2011-02-15

Family

ID=4377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766A KR20110015179A (ko) 2009-08-07 2009-08-07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51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7324A (zh) * 2015-10-29 2015-12-23 浙江红蜻蜓鞋业股份有限公司 缓冲高跟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7324A (zh) * 2015-10-29 2015-12-23 浙江红蜻蜓鞋业股份有限公司 缓冲高跟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043Y1 (ko) 브리지 구조를 갖는 신발
US7793431B2 (en) Energy recycling footwear
EP2816925B1 (en) Shoe with instep elastic insertion and insole with depressions
WO2007132975A1 (en) Footwear for three-beat rhythm walking
JP2009101139A (ja) ハイヒール用の機能性中敷
US10362811B2 (en) Sock with support assemblage
US20160157551A1 (en) Ankle stability footwear
US11576441B2 (en) Sock with support assemblage
KR101205383B1 (ko) 교정신발용 밑창
KR20110015179A (ko) 안정성을 높인 하이힐
KR102013061B1 (ko) 족저근막염 보호대
US20120060394A1 (en) Human body-balancing footwear capable of preventing knock-knees and providing cushioning suitable for the weight of wearer
KR101098019B1 (ko) 교정용 보정신발
KR100910400B1 (ko) 신발 밑창
KR100890529B1 (ko)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KR20100000799U (ko) 사람의 발바닥 구조와 동일한 굴곡을 가진 신발 밑창
KR101116323B1 (ko) 보행 추진력 강화를 위한 바닥부 및 그 바닥부를 가지는 기능성 신발
KR20100043001A (ko) 보행 교정을 위한 신발용 바닥 창
KR101263208B1 (ko) 기능성 양말
KR102425738B1 (ko) 신발의 밑창 구조
KR200409798Y1 (ko) 다기능성 신발
KR102324811B1 (ko) 깁스용 신발
KR20120082220A (ko) 신발 밑창
KR102659993B1 (ko) 기능성 슬리퍼
KR102401500B1 (ko) 하이힐의 체중부하 구조물과 이를 이용한 하이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