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4835A - 관 이음 조인트 - Google Patents

관 이음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4835A
KR20110014835A KR1020090072398A KR20090072398A KR20110014835A KR 20110014835 A KR20110014835 A KR 20110014835A KR 1020090072398 A KR1020090072398 A KR 1020090072398A KR 20090072398 A KR20090072398 A KR 20090072398A KR 20110014835 A KR20110014835 A KR 20110014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pe
ring
joi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거희
정재원
정한기
박점옥
조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to KR1020090072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4835A/ko
Publication of KR20110014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25Rolling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이음시공에 사용되는 관 이음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 이음 조인트에 양 방향에서 관을 삽입하여 볼트 체결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링, 수밀링 등이 유기적 작용을 하여 수밀한 관 이음시공이 가능하고, 가이드링 및 발톱링의 작용으로 시공 후 발생하는 연약지반에서의 부등침하, 사하중,활하중에 의한 상재하중의 변화, 온도변화에 의한 열팽창 등에 의해 삽입된 관에 발생하는 인장력에 저항할 수 있는 관 이음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Figure P1020090072398
슬라이드관, 본체부, 수밀링, 가압부

Description

관 이음 조인트{A JOINT APPARATUS FOR PIPE}
본 발명은 관 이음시공에 사용되는 관 이음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 이음 조인트에 관을 삽입하여 볼트 체결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 관의 가압부, 본체부의 수밀링 등이 유기적 작용을 하여 수밀한 관 이음시공이 가능하여 시공 후 발생하는 연약지반에서의 부등침하, 사하중,활하중에 의한 상재하중의 변화, 온도변화에 의한 열팽창 등에 의해 삽입된 관에 발생하는 인장력에 저항할 수 있는 관 이음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시공에 사용하는 PVC관은 그 성형성이 양호하므로 자동공정에 의해 생산 및 제조되고 있으며, 통상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현장으로 공급되어진다.
이런 관의 통상적인 시공방법은 실제 배관공사의 현장에서 개별적으로 절단되어 있는 관을 순차적으로 매설해가면서, 각각의 관 하나 하나를 관 이음 조인트, 편수관 등으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연속적인 배관을 완성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의 이음 연결에 사용되는 이음관(관 이음 조인트)은 다수 존재하며, 그 일예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999년 등록실용신안 157456호 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삽입되는 관을 협지할 수 있도록 관 삽입구를 절개하고 이 절개부를 가압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된 이음관을 제공하고, 단순 나사결합에 의한 가압접속구조에 의거 조립 시공이 용이하고,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음관을 제공하고자, 관체를 내삽입할 수 있도록 적의의 직경을 갖으며 기밀 유지용 패킹을 갖는 이음관의 단부에 절개단부를 형성하여 이 절개단부를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관을 분기하거나 이을 수 있도록 된 이음관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이음관은 관 연결 시공 후 사후적으로 발생하는 연약지반에서의 부등침하, 열팽창에 의한 신축,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상재하중 등이 작용하는 경우 이러한 하중으로 인한 인장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내구성이 결여되어 결국 이음부분의 강성보다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이음관 또는 관 부분에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 이음시공 후에 발생하는 연약지반에서의 부등침하, 열팽창에 의한 신축, 사하중, 활하중에 의한 상재하중 등에 의한 인장력에 대해서도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이음관(관 이음 조인트)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관을 양방향에서 삽입하여 연결 하는 관 이음 조인트에 있어서, 양방향으로 관이 삽입되는 수용관과 상기 수용관의 양단에서 확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연에 제 1돌출리브가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체결관으로 구성되는 본체부와; 관이 그 내주연에 삽입되며 그 외주연에 상기 제 1돌출리브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 2돌출리브가 구성된 한 쌍의 슬라이드관과; 상기 체결관의 내주연에 위치하여 관의 외주연을 가압하는 수밀링과; 상기 슬라이드관의 상기 본체부에 방향의 내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수밀링을 측면에서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제 1돌출리브와 상기 제 2돌출리브를 관통하는 볼트로 구성되는 관 이음 조인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관은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수밀링이 상기 체결관과 관의 사이에 위치함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관의 일측 내주연에는 상기 수밀링을 측면에서 상기 본체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수밀링과 접하는 면이 하향으로 좁아드는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밀링은 상기 가압부와 접하는 면이 상향으로 좁아드는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관의 외주연에는 상기 제 2돌출리브와 상기 제 1돌출리브가 결합되도록 각 돌출리브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볼트 지지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슬라이드관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유격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드관이 상기 본체부와 일정 유격을 형성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슬라이드관의 테두리부는 탄성체로서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개방된 양끝단에“ㄱ" 자로 꺽인 조인트부가 구성되고 조인트부 사이에 유격구가 삽입되어 테두리부에 일정 유격을 형성함으로써 타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이 타당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가압부 및 수밀링의 작용으로 인해 관 이음에 있어 수밀체결이 가능하고, 관 이음시공 후 연약지반에서 부등침하, 상재하중(사하중, 활하중), 온도변화 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신축에 의한 삽입된 관의 이탈을 잡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격구와 볼트에 의해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며 시공 후 하자, 설계변경 등의 경우에 용이한 해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관 이음 조인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있어 구성요소인 수밀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관 이음 조인트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부(110), 한 쌍의 슬라이드관(120), 한 쌍의 수밀링(130), 및 볼트(160)로 구성되는 관 이음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부(110)는 양방향으로 관이 삽입되는 수용관(112)과 상기 수용관(112)의 양단에서 확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연에 제 1돌출리브(111a)가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체결관(111)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관(112)은 직관형상으로 양 방향에서 관(20) 이음 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관(112)의 내주연과 각각의 관(20)의 외주연이 접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관 이음시공 후 발생할 수 있는 하중 등에 의한 처짐 등을 수용하기 위해서 직경이 중심방향에서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성하여 이음시공 된 관의 외주연과 수용관(112)의 내주연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이음 시공 후에도 관이 연동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체결관(111)의 내주연으로 삽입된 관(20)이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들의 유기적 작용에 기해 체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관(111)의 내주연에는 삽입된 관(20)과의 사이에 이하에서 설명할 수밀링(130)이 안치된다. 또한, 상기 제 1돌출리브(111a)에는 관통공(111b)이 형성되어 이하에서 설명할 볼트(160)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할 슬라이드관(120)과 체결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관(111)의 내주연에는 수밀링(130)이 안치되는 바, 상기 수밀링(130)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관(120)이 상기 본체부(110) 즉 상기 체결관(111)에 체결되기 전에는 관(20)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부(110)의 내주연으로 삽입이 되고 상기 슬라이드관(120)이 상기 본체부(110)에 체결이 되면 이하에서 설명할 가압부(14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수밀링(130)은 삽입된 관(20)의 외주연을 가압하게 되어 관(20)이 본체부(110)의 내주연에서 수밀체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밀링(130)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140)와 접하는 면에서 상방향으로 좁아 지는 경사구배를 형성하여 슬라이드관(120)이 본체부(110)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관(120)의 상기 본체부(110)방향 내주연에 위치한 가압부(14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수밀링(130)은 하방향 즉 타관(20)의 외주연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가압력이 증가하게 되도록 구성됨이 타당하다.
상기 슬라이드관(120)의 외주연에는 상기 제 1돌출리브(111a)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 2돌출리브(121)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돌출리브(121)에는 관통공(121a)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16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140)가 상기 슬라이드관(120)의 내주연의 일측에 위치함에 있어, 상기 가압부(140)는 일측면이 상기 슬라이드관(120)의 내주연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관 내주연인 테두리홈(123)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관(120)이 상기 본체부(110) 방향으로 슬라이드 됨에 따라 상기 가압부(140)도 삽입된 관(20)의 외주연에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 한 슬라이드에 의해 상기 수밀링(130)의 측면을 상기 가압부(140)가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압부(14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밀링(130)과 접하는 면이 상방향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어 슬라이드관(120)이 상기 본체부(110)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 상기 가압부(140)가 상기 수밀링(130)을 가압하면서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되고 반대로 상기 수밀링(130)은 하방향으로 슬라이드 됨으로써 관(20)의 외주연을 가압하는 힘이 더욱 강력하게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볼트(16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도 2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T”자형으로 구성하여 상기 제 1돌출리브(111a)에 형성되는 관통공(111b)의 외측에 가로홈(111c)을 구성하여 상기 볼트(160)의 일단이 걸리도록 하고, 상기 볼트(160)의 타단은 상기 제 2돌출리브(121)에 형성된 관통공(121a) 및 볼트지지부(125)를 관통하도록 하며 너트(161)에 의해 제 2돌출리브(121)를 가압하고 이러한 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드관(120)이 본체부(110)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슬라이드관(12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유격구(18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드관(120)이 상기 본체부(110)와 일정 유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된 체결관(111)과 상기 슬라이드관(120)에 일정유격을 형성하도록 하여 가압부(140)가 수밀링(130)을 가압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관(120)의 일측이 개방된 테두리부(130)의 조인트부(127) 틈 사이에 유격구가 삽입되어 테두리부에 일정 유격을 형성함으로써 관(20)이 본체부(110)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며, 관(20)이 삽입이 완료 되면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유격구(180)를 이탈시켜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슬라이드관(120)을 볼트(160)에 의해 체결시키는 것이다.
상기 유격구(180)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도 2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2돌출리브(111a, 121) 사이 및 조인트부(127)사이에 게재가 되도록 하고 일단에 일측이 개방되고 그 내주연에 볼트(160)를 감싸는 착,탈단(181)이 형성되도록 하여 유격구(180)가 제 1, 2돌출리브(111, 121) 사이에 게재가 되도록 함에 있어 볼트(160)에 착, 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타단에는 손잡이(182)를 구성하여 용이하게 유격구(180)가 게재(착,탈)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선 이음시공할 각각의 관(20)에 본체부(110)에 삽입할 길이(p)를 표시한다. 이는 양 방향에서 삽입되는 관(20)에 삽입될 길이를 미리 표시하여 본체부(110) 특히 수용관(112)의 내부에서 양 방향에서 삽입된 관의 길이가 동등하도록 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 다음으로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20)을 본체부(110)의 내주연으로 삽입한다. 즉 양방향에서 각각 슬라이드관(120), 체결관(111), 수용관(112)의 내주연을 통과하도록 관(20)을 삽입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 와 상기 슬라이드관(120) 사이 및 상기 슬라이드관 일측 개방된 조인트부 사이에는각각 하나 이상의 유격구(180)가 삽입되는 바, 이러한 유격구(180)의 구성으로 인해 상기 슬라이드관(120)이 상기 본체부(110)와 일정 유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유격에 의해 가압부(140)가 수밀링(130)을 가압하지 않도록 하여 관(20)이 본체부(110)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그 다음으로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격구(180)를 이탈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7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너트(161)를 회전시킴으로써 각각의 슬라이드관(120)을 상기 본체부(110)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킴에 따라 상기 테두리홈(123)에 안치된 상기 가압부(140)가 상기 수밀링(130)을 가압하게 되며 이러한 수밀링(130)의 가압에 의해 관(20)은 체결관(111)의 내주연에서 수밀체결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음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관 이음 조인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있어 구성요소인 수밀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관 이음 조인트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관 110 : 본체부
120 : 슬라이드관 130 : 수밀링
140 : 가압링 150 : 가이드링
160 : 볼트

Claims (6)

  1. 관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관 이음 조인트에 있어서,
    양방향으로 관이 삽입되는 수용관과 상기 수용관의 양단에서 확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연에 제 1돌출리브가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체결관으로 구성되는 본체부와;
    관이 그 내주연에 삽입되며 그 외주연에 상기 제 1돌출리브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 2돌출리브가 구성된 한 쌍의 슬라이드관과;
    상기 체결관의 내주연에 위치하며 관의 외주연을 가압하는 수밀링과;
    상기 슬라이드관의 내주연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밀링을 측면에서 가압하는 가압링과;
    상기 슬라이드관의 내주연과 관의 외주연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링과;
    상기 제 1돌출리브와 상기 제 2돌출리브를 관통하는 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조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관의 내주연에는 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안치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링은 일측이 개방된 링 형상으로 그 외주연이 상기 안치테두리의 내주연과 대향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조인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의 내주연에는 거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홈에는 일측이 개방된 링 형상으로 삽입되는 타관의 외주연과 접하는 면에는 복수의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발톱링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조인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은 일측면이 상기 수밀링에 접하고, 타측면이 상기 슬라이드관의 내주연 끝단에 형성되는 테두리홈에 접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조인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링은 상기 가압링과 접하는 면이 상향으로 좁아드는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조인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슬라이드관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유격구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조인트.
KR1020090072398A 2009-08-06 2009-08-06 관 이음 조인트 KR20110014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398A KR20110014835A (ko) 2009-08-06 2009-08-06 관 이음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398A KR20110014835A (ko) 2009-08-06 2009-08-06 관 이음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835A true KR20110014835A (ko) 2011-02-14

Family

ID=4377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398A KR20110014835A (ko) 2009-08-06 2009-08-06 관 이음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48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215B1 (ko) * 2011-07-15 2013-06-28 강원구 떨어지는 우수의 수압에 의한 배관과 부속의 이탈방지를 위한 고정구
KR20230124154A (ko) 2022-02-17 2023-08-25 영풍전자(주) 투 스텝 폴딩 조인트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215B1 (ko) * 2011-07-15 2013-06-28 강원구 떨어지는 우수의 수압에 의한 배관과 부속의 이탈방지를 위한 고정구
KR20230124154A (ko) 2022-02-17 2023-08-25 영풍전자(주) 투 스텝 폴딩 조인트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32194B1 (ru) Раструбн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раструб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CN102563248A (zh) 管道连接结构
KR101103783B1 (ko) 클램프형 파이프 이음장치
KR20110014835A (ko) 관 이음 조인트
CN103115210A (zh) 管接头结构
KR101888168B1 (ko) 분기관 연결장치
KR20100067879A (ko) 관 이음 조인트
KR101008205B1 (ko) 편수관
KR20180085543A (ko) 파이프 고정 클램프
KR100868490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20080092533A (ko) 환봉지지 스텐밴드 분할형 연결구
KR101473770B1 (ko) 가구용 체결구
US20110297865A1 (en) Drain valve assembly
JP2007056587A (ja) 杭の連結構造
KR101070288B1 (ko)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
KR200379819Y1 (ko)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
JP7132833B2 (ja) 管継手、管継手セット、管継手の接続方法および蓋の使用方法
KR101116664B1 (ko) 회전작동구가 설치된 분기관 연결구
KR100736709B1 (ko) 분기관 연결구
KR102017890B1 (ko) 유동식 패스트 조인트
KR102351804B1 (ko)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CN211145708U (zh) 厨房卫浴用三通管
KR100821902B1 (ko) 배관 연결 소켓어셈블리
KR101147515B1 (ko) 상수도관의 이탈방지장치
KR200325869Y1 (ko) 원 터치 파이프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923

Effective date: 2011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