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819Y1 -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819Y1
KR200379819Y1 KR20-2005-0000228U KR20050000228U KR200379819Y1 KR 200379819 Y1 KR200379819 Y1 KR 200379819Y1 KR 20050000228 U KR20050000228 U KR 20050000228U KR 200379819 Y1 KR200379819 Y1 KR 2003798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double wall
watertight
wall pipe
coupl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희
Original Assignee
한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희 filed Critical 한승희
Priority to KR20-2005-0000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8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8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8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분형 클램프 결합타입으로서, 이중벽관용 수밀패킹 및 수밀판을 수납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턱을 일체형으로 구비함에 따라 압력이나 지반의 유동으로 인해 이중벽관이 분리 소켓 결합구조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설치 시공이 용이한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는 연결 대상물에 해당하는 이중벽관(10, 20)의 마주보는 각각의 단부를 감싸게 결합시키되, 상기 이중벽관(10, 20)의 골에 대응하여 클램프 날개부(103, 104)를 원주방향의 양측 끝단에 형성하고 'ㄷ'자 단면 형상을 갖게 양분된 클램프 본체(100)와; 상기 클램프 본체(100)의 클램프 날개부(103, 104)의 마주보는 표면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이중벽관(10, 20)의 골에 안착되어 수밀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밀 돌출부(210, 211)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수밀판(200)과; 상기 클램프 본체(100)의 'ㄷ'단면 형상에 의한 내측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이중벽관(10, 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밀판(200)의 일측 변에 각각 접촉하는 복수개의 수밀패킹(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CLAMP TYPE INSEPARABLE SOCKET ASSEMBLY STRUCTURE FOR DOUBLE WALLED PIPE}
본 고안은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되는 콜게이트관, 주름관, 이중벽관, 기타 주름형 파이프 등을 축방향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배관 연결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벽관으로 통칭되는 지하 매설 관부재는 주름형상의 요철표면을 가지고 있어서 내구성 및 구조적 강성이 그의 하중에 비해 매우 우수하고, 하수나 오수 또는 폐수 등의 유체를 집수장 또는 하천으로 방류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이중벽관은 그 성형성이 양호하므로 자동공정에 의해 생산 및 제조되고 있으며, 통상 소정 길이(약 6m 정도)로 절단되어 현장으로 공급되어진다.
이런 이중벽관의 통상적인 시공방법은 실제 배관공사의 현장에서 개별적으로 절단되어 있는 이중벽관을 순차적으로 매설해가면서, 각각의 이중벽관 하나 하나를 배관 연결구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연속적인 배관을 완성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산과 골(2)을 갖는 이중벽관(1)의 이음 연결에 사용되는 배관 연결구는 2004년 등록실용신안 제 0340910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일 원통형 접속구 또는 일체형 소켓 몸체(3)의 중심에 내측 함몰형 내측돌기(5)가 형성되어 있으며, 산과 골 형상의 요철표면을 갖는 상기 소켓 몸체(3)의 양측 끝단을 각각 상측방향 절곡 형성시켜 걸림턱(6)이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소켓 몸체(3)의 골 부분에 끼움 고정되도록 한 고정클립(7)을 상기 걸림턱(6)에 일체 형성되게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걸림턱에 체결되는 별도의 고정클립을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 및 결합이 어렵고, 배관 시공에 있어서, 소켓 몸체의 축심에 이중벽관의 축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각각 이중벽관을 소켓 몸체의 안쪽으로 수평 이동시켜야 하며, 또한 장선기 등을 이용하여 소켓 몸체의 내부에서 이중벽관이 서로 마주보게 상호 가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즉, 현장 시공에서는 주변 설치 공간의 마찰이 심한 자갈, 돌, 굳은 흙, 나무 뿌리, 토사의 여굴 곡면 내지 돌기 등에 의해 이중벽관을 소켓 몸체의 내부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고, 장선기 등과 같이 축방향으로 이중벽관을 가압시키는 별도의 장비를 소켓 몸체의 매회 연결 작업시마다 설치하고 해체하여야 하는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 연결구의 소켓 몸체는 이중벽관에 연결 후 압력이나 지반의 유동으로 인해 이중벽관에서 이탈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 연결구는 별도로 구비된 홀더를 별도의 장착 시공에 의해 결합시켜야 하는 시공상의 불편함이 있고 상대적으로 많은 설치 작업시간을 소모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양분형 클램프 결합타입으로서, 이중벽관용 수밀패킹 및 수밀판을 수납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턱을 일체형으로 구비함에 따라 압력이나 지반의 유동으로 인해 이중벽관이 분리 소켓 결합구조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설치 시공이 용이한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중벽관의 골에 대응한 수밀 돌출부를 양측 끝단에 각각 형성한 수밀판을 장착하되, 수밀판의 두께방향의 상면과 저면에 복수개의 격자상의 볼록형 수밀 돌기 라인부를 형성함에 따라 클램핑 되는 부위의 수밀을 유지하고 누수를 차단할 수 있는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들은 연결 대상물에 해당하는 이중벽관의 마주보는 각각의 단부를 감싸게 결합시키는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중벽관의 골에 대응하여 클램프 날개부를 원주방향의 양측 끝단에 형성하고 'ㄷ'자 단면 형상을 갖게 양분된 클램프 본체와; 상기 클램프 본체의 클램프 날개부의 마주보는 표면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이중벽관의 골에 안착되어 수밀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밀 돌출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수밀판과; 상기 클램프 본체의 'ㄷ'단면 형상에 의한 내측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이중벽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밀판의 일측 변에 각각 접촉하는 복수개의 수밀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용 클램프 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 도 2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분리 소켓 결합구조에 장착되는 수밀판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c는 분리형 클램프 본체의 외측면 및 내측면과 볼트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분리 소켓 결합구조에 해당하는 클램프 본체의 일측 몸체부가 분리된 상태로서 수밀패킹과 수밀판과 타측 몸체부 및 이중벽관들과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는 연결 대상물에 해당하는 이중벽관(10, 20)의 마주보는 각각의 단부를 감싸면서 수밀과 고정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된 클램프 본체(100)를 갖는다.
이중벽관(10, 20)을 비롯하여 기타 주름 파이프는 축방향으로 산과 골이 주기적으로 돌출 및 함몰 형성된 것으로서, 주름진 외벽과 평활 원주 내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이중벽관(10, 20)의 수밀에 사용되는 클램프 본체(100)는 1개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볼트, 너트 및 와셔 결합에 의해 장착 및 탈착되는 분리형으로 제작되어 있다. 예컨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상부에 해당하는 일측 몸체부(101)와, 하부에 해당하는 타측 몸체부(102)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몸체부(101, 102)의 마주보는 양측 원주 끝단에는 각각 수직하게 클램프 날개부(103, 104)가 돌출되어 상호 겹치게 되어 있으며, 이렇게 클램프 날개부(103, 104)가 겹친 부위의 사이에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수밀판(200, 예 : 고무판)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클램프 날개부(103, 104)에는 상기 수밀판(200)의 관통구멍에 일치되어서 두께방향으로 상호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트 체결 구멍(10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볼트 체결 구멍(105)은 단공, 장공, 일측이 개방된 슬릿 구멍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클램프 날개부(103, 104)와 각각의 본체부(101, 102)의 사이 코너부위에는 볼트 체결 구멍(105)이 형성된 곳을 피해서 복수개의 보강살(106)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판(20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클램프 날개부(103, 104)의 평면적에 대응한 크기를 갖는다. 또한, 수밀판(200)은 천연 또는 합성 고무 재질, 실리콘, 연질 PVC, 연질 우레탄, 통상의 수밀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다.
이런 수밀판(200)은 이중벽관의 외주연에 근접되는 장변의 양측 끝단에 일체형으로 각각 수밀 돌출부(210, 211)를 폭방향으로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수밀 돌출부(210, 211) 각각은 수밀판(200)의 두께와 대등한 두께를 갖는 것으로서, 이중벽관의 산 사이에 위치한 골에 기밀하게 밀착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밀 돌출부(210, 211)에 의해서 수밀판(200)은 'ㄷ'자 형상을 갖게 되며, 이런 형상에 의해 구분되는 내부쪽에 하기에서 설명할 복수개로서 링형상을 갖는 수밀패킹(300 : 도 5참조)과 기밀한 접촉이 가능케 되어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밀판(200)은 상술한 클램프 날개부(103, 104)의 볼트 체결 구멍의 축심에 각각 대응한 곳에 복수개의 관통구멍(201)들을 두께방향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밀판(200)은 그의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면과 저면에 각각 복수개의 격자상의 볼록형 수밀 돌기 라인부(220, 221, 222)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클램핑 되는 부위의 수밀을 유지하고 누수를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예컨대, 가로형 수밀 돌기 라인부(221)를 기준으로 세로형 수밀 돌기 라인부(220, 222)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런 복수개의 수밀 돌기 라인부(220, 221, 222)는 관통구멍(201)을 제외한 상면과 저면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세로형 수밀 돌기 라인부(220, 222)는 하기에서 설명할 수밀패킹(300 : 도 5참조)의 복수개의 립(lip) 형상을 갖는 수밀접촉부(302 : 도 5참조)의 형성 위치를 고려하여, 수밀 돌출부(210, 211) 주위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볼트, 너트 등으로 착탈 가능한 일측 몸체부(101)와 타측 몸체부(102)는 각각 앞서 설명한 클램프 날개부(103, 104) 및 보강살(106)을 구비한다.
또한, 일측 몸체부(101)와 타측 몸체부(102) 각각은 그의 길이방향의 양측 끝단 내주연에서 이중벽관의 골에 대응한 원주율을 갖도록 축심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턱(107, 108)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일체형으로 일측 및 타측 몸체부(101, 102)에 각각 이탈방지턱(107, 108)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소켓 장착 시공 절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으로 형성된 이탈방지턱(107, 108)의 크기와 형상은 앞서 설명한 수밀판의 수밀 돌출부와 대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이탈방지턱(107, 108)에 의해서 각각의 일측 몸체부(101) 및 타측 몸체부(102)는 'ㄷ'단면 형상을 갖게 되고, 그러한 'ㄷ'단면 형상의 내측 공간에 앞서 설명한 수밀판(200 : 도 5참조)과 수밀패킹(300 : 도 5참조)을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일측 몸체부(101)와 타측 몸체부(102)가 볼트, 너트 및 와셔에 의해 조여져서 결합될 때, 'ㄷ'단면 형상의 내측면(109)은 수밀패킹의 홈결합부(301 : 도 5참조)의 상부와 밀착되기 때문에 마주보는 이중벽관의 끝단 사이를 통해 빠져나온 유체(오수)가 더 이상 분리 소켓 결합구조의 클램프 본체 외부로 누수되지 않게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한 수밀패킹은 본 출원인의 등록 실용신안 제302818호에 개시된 이중벽관용 패킹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의 클램프 본체(100)에서 일측 몸체부가 분리된 상태로서, 타측 몸체부에서 대향적으로 형성된 각각의 클램프 날개부(103)에 각각 수밀판(200)이 적층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즉, 클램프 본체(100)는 보수 또는 신규로 연결되는 이중벽관(10, 20)의 마주보는 양측 끝단의 산 사이의 홈형상의 골에 장착되고, 이때, 수밀판(200) 및 그의 수밀 돌출부(210, 211)는 클램프 본체(100)의 일측 및 타측 몸체부의 클램프 날개부(103) 및 이탈방지턱(107, 108)의 위에 겹쳐진 상태이다.
한편, 각각의 이중벽관(10, 20)에서 상호 마주보는 끝단을 기준으로 첫 번째 골 각각에는 적어도 홈결합부(301) 및 수밀접촉부(302)를 갖는 수밀패킹(300)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두 번째 골 각각에는 클램프 본체(100)의 일측 및 타측 몸체부가 클램프 결합 방식으로 이중벽관(10, 20)의 끝단을 감싸듯이 장착될 때, 클램프 본체(100)의 일측 및 타측 몸체부의 이탈방지턱(107, 108)이 각각 안착됨에 따라, 지중 매설시에 발생 가능한 압력이나 지반의 유동으로 인해서 이중벽관(10, 20)이 클램프 본체(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제한된다.
또한, 두 번째 골 각각에는 수밀판(200)의 수밀 돌출부(210, 211)가 배열되며, 수밀판(200)의 내측변이 수밀패킹(300)의 홈결합부(301)에 밀착되게 된다.
그러한 수밀판(200)의 볼록형 수밀 돌기 라인부(220, 221, 222)는 일측 및 타측 몸체부의 클램프 날개부(103)의 내측면과 접촉된 상태이며, 이후 체결되는 볼트 및 너트의 조임력에 의해 완전 밀착된다.
이런 경우, 클램프 본체(100)에 의해 클램핑 되는 부위는 복수개의 수밀패킹(300)과 수밀판(200)에 의해 누수가 차단됨과 함께 이중벽관(10, 20)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는 상호 마주보는 이중벽관의 단부를 상기 분해 및 조립 가능한 클램프타입의 클램프 본체로 결합시키되, 클램프 본체에 해당하는 1개조의 일측 몸체부와 타측 몸체부의 안쪽에 수밀패킹과 수밀판을 수납시킬 수 있는 내측 공간을 구비함에 따라서, 누수 차단과 이중벽관 이탈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는 이탈방지턱이 일측 및 타측 몸체부의 양끝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설치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는 이중벽관의 골에 대응한 수밀 돌출부를 양측 끝단에 각각 형성한 수밀판과, 링형상의 수밀패킹을 동시에 사용하여 뛰어난 수밀 성능을 제공함은 물론, 수밀판 자체에 복수개의 볼록형 수밀 돌기 라인부를 형성하고 있어서, 완벽한 누수 차단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벽관용 배관 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분리 소켓 결합구조에 장착되는 수밀판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분리형 클램프 본체의 외측면 및 내측면과 볼트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분리 소켓 결합구조에 해당하는 클램프 본체의 일측 몸체부가 분리된 상태로서 수밀패킹과 수밀판과 타측 몸체부 및 이중벽관들과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이중벽관 100 : 클램프 본체
101, 102 : 몸체부 103, 104 : 클램프 날개부
106 : 보강살 107, 108 : 이탈방지턱
200 : 수밀판 210, 211 : 수밀 돌출부
220, 221, 222 : 수밀 돌기 라인부 300 : 수밀패킹

Claims (6)

  1. 연결 대상물에 해당하는 이중벽관(10, 20)의 마주보는 각각의 단부를 감싸게 결합시키는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중벽관(10, 20)의 골에 대응하여 클램프 날개부(103, 104)를 원주방향의 양측 끝단에 형성하고 'ㄷ'자 단면 형상을 갖게 양분된 클램프 본체(100)와;
    상기 클램프 본체(100)의 클램프 날개부(103, 104)의 마주보는 표면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이중벽관(10, 20)의 골에 안착되어 수밀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밀 돌출부(210, 211)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수밀판(200)과;
    상기 클램프 본체(100)의 'ㄷ'단면 형상에 의한 내측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이중벽관(10, 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밀판(200)의 일측 변에 각각 접촉하는 복수개의 수밀패킹(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용 클램프 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본체(100)는 일측 몸체부(101) 및 타측 몸체부(102)로 양분되는 것으로서, 상기 일측 몸체부(101) 및 상기 타측 몸체부(102)의 길이방향의 양측 끝단 내주연에서 상기 이중벽관(10, 20)의 골에 대응한 원주율을 갖도록 축심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턱(107, 108)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판(200)은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면과 저면에 각각 복수개의 볼록형 수밀 돌기 라인부(220, 221, 222)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판(200)은 상기 클램프 날개부(103, 104)의 볼트 체결 구멍(105)의 축심에 각각 대응한 곳에 복수개의 관통구멍(201)들을 두께방향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판(200)은 고무 재질, 실리콘, 연질 PVC, 연질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날개부(103, 104)는 상기 일측 몸체부(101) 및 상기 타측 몸체부(102)와의 코너부위에 볼트 체결 구멍(105)이 형성된 곳을 피해서 복수개의 보강살(106)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
KR20-2005-0000228U 2005-01-05 2005-01-05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 KR2003798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228U KR200379819Y1 (ko) 2005-01-05 2005-01-05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228U KR200379819Y1 (ko) 2005-01-05 2005-01-05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819Y1 true KR200379819Y1 (ko) 2005-03-25

Family

ID=43681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228U KR200379819Y1 (ko) 2005-01-05 2005-01-05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8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884B1 (ko) 2009-09-21 2010-06-30 브렌트유화산업(주) 휨기능이 향상된 환봉지지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884B1 (ko) 2009-09-21 2010-06-30 브렌트유화산업(주) 휨기능이 향상된 환봉지지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3055B (zh) 用於一公共設施箱之密封蓋總成及將一密封蓋總成固定在一公共設施箱上之方法
US8801049B2 (en) Pipe coupling system and method
KR200386472Y1 (ko) 합성수지관의 분기 소켓
KR200379819Y1 (ko)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
KR100532193B1 (ko) 분기관 접속용 소켓 결합 구조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100772683B1 (ko) 연결소켓 및 방향전환용 조립식 pc맨홀
KR200377139Y1 (ko) 이탈방지턱을 갖는 이중벽관 소켓 결합구조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100764873B1 (ko) 연결관의 결합이 용이한 맨홀
KR100732475B1 (ko) 관로의 방향변경이 가능한 맨홀의 관 결합구조
KR10039878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200403877Y1 (ko) 맨홀의 관접속장치
KR101179433B1 (ko) 분기관 접속 연결구
KR20030060561A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KR200393539Y1 (ko) 분기관 접속용 소켓 결합 구조
KR200479304Y1 (ko) 수밀성이 강화된 파이프 연결구용 고무밴드
KR102351804B1 (ko)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KR102177220B1 (ko) 보강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
KR100736709B1 (ko) 분기관 연결구
KR200374385Y1 (ko) 탄성힌지형 이중벽관 분기구
CN219773130U (zh) 一种具有防漏结构的排水管道
KR100772578B1 (ko) 절단된 주관에 체결되는 분기구
KR200359241Y1 (ko)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