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4487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4487A
KR20110014487A KR1020090072178A KR20090072178A KR20110014487A KR 20110014487 A KR20110014487 A KR 20110014487A KR 1020090072178 A KR1020090072178 A KR 1020090072178A KR 20090072178 A KR20090072178 A KR 20090072178A KR 20110014487 A KR20110014487 A KR 20110014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image
panel
display module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2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4487A/ko
Publication of KR20110014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6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 processing applications, e.g. CATV, tuner, antennas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배치되며,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 및 일측은 상기 전면 커버의 배면에 고정되며, 타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상기 전면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이 포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 테두리는 상기 전면 패널의 전면과 평행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지지 브라켓에 고정된다.
디스플레이 장치, 모듈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라 함은, 영상을 통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TV, 컴퓨터 모니터 등이 여기에 속한다.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과같이 고화질, 대형화 디스플레이 장치가 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상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을 보호하는 전면 패널 간의 간섭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성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정 구성이 보다 슬림화됨으로써, 전체적인 부피 및 무게가 감소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배치되며,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 및 일측은 상기 전면 커버의 배면에 고정되며, 타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상기 전면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이 포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 테두리는 상기 전면 패널의 전면과 평행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지지 브라켓에 고정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전면 패널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상 패널이 직접 접촉됨에 따른 간섭 무늬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 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지지 브라켓에 직접 고정 및 지지됨에 따라서, 상기 영상 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구조가 생략되며,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 폭, 즉 베젤 폭 및 전후방 폭 및 전체적인 무게가 감소될 수 있는 이점 있다.
또한, 지지 브라켓 의하여, 백라이트 유닛에 대한 영상 패널의 지지 및 전면 패널에 대한 영상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의 지지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지지 브라켓이 별도의 고정구조 없이, 단순하게 접착 방식에 의하여 전면 패널에 고정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조가 단순해지며, 그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도면을 통하여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시되는 각각의 실시예 뿐 아니라 각각의 실시예들의 조합에 의하여 구현되는 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 패널(31)과, 상기 영상 패널(31)에 대하여 광원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32)과, 외부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영상 패널(31) 및 상기 백 라이트 유닛(32)을 구동시키는 구동부(33)와, 상기 영상 패널(31), 상기 백라이트 유닛(32) 및 을 둘러싸는 전면 패널(10) 및 배면 커버(40)와, 상기 영상 패널(31)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을 상기 전면 패널(10)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2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패널(31)은 일례로 TFT-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crystal display)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은 일례로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을 광원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32)의 다수의 광원은 영상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영상 패널(31)의 영상의 명압비를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광원이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됨에 따라서, 상기 광원의 빛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여 확산시키는 도광판이 상기 광원에 따라서 별도의 세그먼트로 분리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영상 패널(31), 백라이트 유닛(32)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를 디스플레이 모듈(30)이라 칭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면 패널(31)은 일례로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 사출물 또는 강화 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면 패널(31)에 적용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서 일례로 폴리 카보네이트(PC:Poly Carbonate)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PMA:Poly Methyl Meta Acrylate)가 있다.
상기 전면 패널(10)은 네 테두리가 후방을 향하여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영상 패널(31)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0)의 배면에는 상기 영상 패널(31)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이 고정되어, 상기 전면 패널(10)에 대하여 지지되기 위한 지지 브라켓(20)이 접착 고정된다.
상기 지지 브라켓(20)은 상측 및 하측 지지 브라켓(21,22)과, 좌측 및 우측 지지 브라켓(23,24)를 포함하며, 일례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이 압출 성형되며, 일측이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브라켓(20)은 일례로 검은 색과 같은 유색 물질이 증착된 형상, 즉 일정한 색상을 가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측 및 하측 지지 브라켓(21,22)은 상기 영상 패널(31)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의 상측 및 하측 테두리의 길이에 대응되든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 브라켓(23,24)는 상기 영상 패널(31)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의 좌측 및 우측 테두리의 길이에 대응되든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다수의 지지 브라켓(21,22,23,24)은 상기 영상 패널(31)의 테두리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호 간에 단부가 치합된 상태로, 상기 전면 패널(10)의 배면에 접착 고정된다. 즉, 다수의 지지 브라켓(21,22,23,24)이 상기 전 면 패널(10)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 패널(31)이 구비되는 상기 지지 브라켓(21,22,23,24)의 내측 공간은 단일의 폐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 브라켓(20)이 다수의 브라켓 구조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단일의 브라켓 구조물로 형성되는 구성 또한 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후방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 커버(40)가 구비된다. 상기 배면 커버(4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후방에 둘러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을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배면 커버(4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서 발산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쉴드 부재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배면 커버(40) 자체가 상기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면 패널(10)에 상기 지지 브라켓(20)에 고정되는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전면 패널의 배면에 지지 브라켓이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A-A 선도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지지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 브라켓(2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전면 패널(10)의 배면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 외부를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브라켓(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지지 브라 켓(21,22,23,24)의 단부가 상호 간에 치합된 상태로 상기 전면 패널(10)의 배면에 접착 고정됨에 따라서, 단일의 폐곡선(loop1)을 형성한다.
상기 폐곡선(loop1)에는 상기 영상 패널(31)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이 위치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은, 상기 지지 브라켓(20)에 고정되어, 상기 전면 패널(10)에 대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상측 지지 브라켓(21)에는 상기 전면 패널(1)의 배면에 고정되며, 상기 영상 패널(31)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는 제1고정부(211)와, 상기 제1고정부(211)에 대하여 절곡 형성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이 고정되기 위한 제1절곡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211)외 양측 단부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브라켓(23,24)의 단부와 치합될 수 있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211)의 일면, 즉 상기 제1절곡부(212)가 절곡된 방향에 위치되는 면에는, 상기 영상 패널(31)의 테두리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쿠션 부재(213)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부(211)의 이면은 상기 전면 패널(10)의 배면에 접착 고정된다.
상기 제1절곡부(212)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의 측면 테두리를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부(21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제1절곡부(212)가 연장 형성된 길이는 상기 전면 패널(10)의 테두리부(12)가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로부터 절곡된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절곡부(212)에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을 고정시키기 위 한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홀(214)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214)은 상기 테두리부(12)의 단부 높이보다 더 이격된 위치에 위치된다.
한편, 하측 지지 브라켓(22)에도, 상측 지지 브라켓(22)와 마찬가지로, 제2고정부(221)와, 제2절곡부(222)가 형성된다. 또한, 좌측 및 우측 지지브라켓(23,24)에도 고정부(미도시) 및 절곡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 및 절곡부의 구성은 상기 상측 지지 브라켓(21)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상측 지지브라켓(21)과 상기 하측 지지브라켓(22)은, 각각 상기 제1절곡부(212) 및 제2절곡부(222)가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제1절곡부(212)는 상기 폐곡선(loop1)의 상측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기 제2절곡부(222)는 상기 폐곡선(loop1)의 하측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측 및 하측 지지브라켓(21,22)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제1고정부(211) 및 상기 제2고정부(221)는 상기 폐곡선(loop1)의 내측 공간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제2고정부(221)의 상하 너비(d2)는 상기 제1고정부(211)의 상하 너비(d1) 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고정부(221)로부터 절곡 형성된 제2절곡부(222)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의 하측 테두리가 고정 및 지지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의 자중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32)과의 체결력이 가해진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221)는 상기 자중 및 상기 체결력을 동시에 지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부(221)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의 자중이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는 제1고정부(211)에 비하여 더 큰 지지력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2고정부(221)의 상하 너비(d2) 즉, 상기 전면 패널(10)에 대한 접착 고정 면적은 상기 제1고정부(211)의 상하 너비(d1)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고정부(221) 및 상기 제2고정부(222)의 이면에는 접착 부재(218)가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부(221) 및 상기 제2고정부(222)가 상기 전면 패널(10)의 배면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접착부재(218)는 일례로 에폭시 수지와 같은 UV 경화성 수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218)가 UV 경화성 수지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접착부재(218)가 상기 제1고정부(221)의 이면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상측 지지 브라켓(21)을 상기 전면 패널(10)의 배면에 위치시킨 다음, 투명 재질로 형성된 상기 전면 패널(10)을 통하여 자외선을 투과시킴으로써, 상기 접착부재(218)를 간단하게 경화시킬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10)은 평면으로 형성된 전면 패널 몸체(11)와, 상기 전면 패널(10)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기 전면 패널(10)의 후방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테두리부(12)와,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와 상기 테두리부(12) 사이에 형성되는 광경로 변경부(13)와,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외면에 구비되는 필름층(18)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에는 영상 표시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영상 패널(31)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상기 영상 표시 영역을 투과하여, 외부로 보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층(18)은 상기 영상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긁힘 및 난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경로 변경부(13)에는 상기 전면 패널(10)의 배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진행하는 빛이 특정 방향으로 굴절되도록 하는 광학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광경로 변경부(13)에 의하여, 상기 전면 패널(10)의 배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진행하는 빛이 한 곳으로 모이도록 하거나 외측으로 확산되도록 빛의 이동 경로를 인위적으로 변경시키는 기능을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경로 변경부(13)는 그 후방에 위치되는 상기 테두리부(12)의 두께가 감소되어 전방으로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광경로 변경부(13)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오목 렌즈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볼록 렌즈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오목 렌즈(L1)의 전방에 대상 물체(M)가 놓여 있을 때 상이 어떻게 맺히는지 보여준다.
상세히, 상기 오목 렌즈(L1)로부터 초점까지의 거리를 f, 상기 오목 렌즈(L1)로부터 대상 물체(M)까지의 거리를 a, 상기 대상 물체(M)의 상(m)까지의 거리를 b라고 하면, 초점 거리 공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47996693-PAT00001
그리고, 상기 대상 물제(M)가 초점 거리(f) 내측에 놓이는 경우, 상기 대상 물체(M)와 오목 렌즈(L1) 사이의 어느 지점에 축소된 크기의 직립 허상(m)이 맺힌다. 즉, 관찰자의 눈에는 상기 축소된 크기의 직립 허상(m)이 인지되어, 대상 물체(M)가 실제 크기보다 작게 보인다. 예컨대, 상기 대상 물체(M)의 상단을 지나는 빛은 상기 오목 렌즈(L1)를 통과하면서 실선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상측으로 굴절된다. 그리고, 관찰자의 눈에는 상기 오목 렌즈(L1)가 없는 상태에서 점선으로 표시되는 광로를 가지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볼록 렌즈(L2)의 전방에 대상 물체(M)가 놓여 있을 때 상이 어떻게 맺히는지 보여준다.
상세히, 도 5와 마찬가지로, 상기 볼록 렌즈(L2)로부터 초점까지의 거리를 f, 상기 볼록 렌즈(L2)로부터 대상 물체(M)까지의 거리를 a, 상기 대상 물체(M)의 상(m)까지의 거리를 b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볼록 렌즈(L2)도 오목 렌즈(L1)와 마찬가지로 대상 물체(M)가 초점 내에 놓이는 경우 정립 허상이 맺히게 된다. 렌즈 별 대상 물체의 위치에 따라 상이 어떻게 맺히는지에 대해서는 렌즈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사상에 적용되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의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레넬 렌즈는 애초에 볼록 렌즈 또는 오목 렌즈와 같은 작용을 가지게 하면서 그 두께를 줄인 렌즈로부터 기인한다. 상세히, 볼록 프레넬 렌즈는 직립 상태의 볼록 렌즈를 횡방향(빛의 통과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자르고, 이들 조각을 하나의 평면에 수평 이동시켜 만들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조각에 형성되는 볼록 렌즈의 라운드진 굴절면을 평면화하여 프리즘 형태로 변형시킨다. 이와 같이 볼록 렌즈의 라운드진 굴절면이 평명화되면 색수차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으며, 렌즈 자체의 두께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볼록 프레넬 렌즈의 원리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오목 프레넬 렌즈를 만들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런트 패널에 적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영역(l)만큼에 해당하는 오목 렌즈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다수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한다. 그리고, 각각의 세그먼트에 형성되는 상기 오목 렌즈의 라운드진 굴절면을 평평하게 하여, 다수 개의 프리즘이 하나의 평면에 일렬로 배열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프리즘의 굴절면은 오목렌즈의 라운드진 굴절면을 그대로 가져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다수 개의 작은 프리즘이 하나의 평면에 일렬로 배열되는 형태를 프리즘 어레이(prism array)로 정의한다. 상기 프리즘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프리즘 조각의 굴절면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진다. 즉, 외측으로 갈수록 프리즘 조각의 굴절면 경사각이 커지고, 내측으로 갈수록 프 리즘 조각의 굴절면 경사각이 작아진다. 여기서 경사각이라 하면 도면 상에서, 수직면에 대하여 굴절면이 이루는 각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작업에 의하면, 오목 렌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면서 빛의 파장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색수차가 줄어들 뿐 아니라, 기존의 오목렌즈 가장자리 두께보다 얇은 형태의 오목 프레넬 렌즈가 만들어진다.
상기와 같은 프리즘 어레이 영역을 가지는 오목 프레넬 렌즈는 일반적인 오목 렌즈와 동일한 원리를 가진다. 즉, 상기 프리즘 어레이 영역을 통과하는 빛은 렌즈의 바깥쪽으로 굴절되어 확산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 프레넬 렌즈의 좌측에 물체가 놓인 경우, 관찰자에게는 실제 물체의 크기보다 작은 정립 허상이 인지된다. 상기 프리즘 어레이 영역을 지나는 빛의 실제 진행 경로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도 4의 B 부분의 광경로 변경부에 의하여 광학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같이 빛의 이동 경로를 인위적으로 변경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광경로 변경부(13)의 일 실시예로서, 도 8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프레넬 렌즈의 원리를 이용한 프리즘 어레이가 제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광경로 변경부(13)의 광학 패턴이 프리즘 어레이가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혼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광경로 변경부(13)는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로부터 상기 테두리부(12)를 향하여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돌출부(131) 및 홈부(132)를 포함하는 광학 패턴이 상기 경사지는 면을 따라 배치된다.
더욱 상세히, 직선 형태의 프리즘 어레이가 프런트 패널(11)의 가장자리 부분, 즉 상하좌우 가장자리 부분에 직선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프리즘 어레이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오목 렌즈의 곡률 중심을 지나는 축은 상기 전면 패널(10)의 전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곡률 중심은 상기 프리즘 어레이의 외측에 존재한다.
상기 테두리부(12)는 상기 상측 지지 브라켓(21)의 절곡부(212)와 일정 거리(W3)만큼 이격되며, 전면 패널(21)의 테두리측 두께(W1)는 상기 테두리부(12)와 상기 테두리부(12)의 단면두께와 상기 이격 거리(W3)를 더한 두께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광경로 변경부(13)의 광학 패턴에 의하여, 상기 테두리측 두께(W1)는 겉보기 두께(W2)만큼 감소되어, 상기 전면 패널(10)의 전방으로 보여지게 된다.
상기 광경로 변경부(13)는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상측 테두리뿐만 아니라, 측면 테두리 및 하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10)의 전체적인 테두리측 두께(W1)는 상기 전면 패널(10)의 중앙부를 향하여 축소된 겉보기 두께(W2) 만큼 감소되어 외부로 보여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경로 변경부(13)의 광학 패턴이 양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상기 광학 패턴이 음각으로 형성되는 구성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상기 광경로 변경부(13)의 광학 패턴이 광경로 변경부(13)의 외면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광경로 변경부(13)의 내면에 형 성되거나, 상기 광경로 변경부(13)의 외면 및 내면에 동시에 형성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광경로 변경부(13)가 별도의 필름으로 형성된 박형 시트(thin sheet)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상기 광학 패턴이 다수의 세그먼트로 나뉘어지는 프레넬 렌즈로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상기 광학 패턴이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포함하는 다수의 세그먼트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프리즘 구조물로 형성되는 구성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0은 도 1의 C-C 선도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백라이트 유닛(32)은 백라이트 유닛(32)의 몸체를 형성하는 바텀 커버(321)와, 상기 바텀 커버(321)에 수납되며 전방으로 빛을 발광하는 광학 어셈블리(322)와, 상기 광학 어셈블리(322)에서 발광되는 빛이 균일한 조도로 확산되도록 하는 다수의 광학 시트(323)과, 상기 영상 패널(31)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패널 가이드(324)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바텀 커버(321)는 일측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광학 어셈블리(322)가 수납되며, 개구된 일측에는 상기 광학 시트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321)의 배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33)가 고정되며, 상기 배면 커버(40)가 고정되기 위한 바텀 커버측 고정부(325)가 형성된다.
상기 바텀 커버측 고정부(325)는 상기 바텀 커버(32)의 배면에서 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부재가 상기 바텀 커버(32)에 고정된 형상 또는 상기 바텀 커버(32)의 일부가 융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학 어셈블리(322)는 일례로 LED와 같은 다수의 광원과, 상기 각각의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전방으로 확산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도광판이 구비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패널(31)은 일례로 사이에 액정이 주입되는 제1기판(311) 및 제2기판(3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기판(311) 및 제2기판(312)은 액정이 주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테두리측이 UV 경화성 수지와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하여 상호 간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기판(311)의 전면 테두리는 상기 지지 브라켓(21)의 쿠션 부재(213)에 안착되어 후방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2기판(312)의 배면 테두리는 상기 패널 가이드(324)에 의하여 전방으로 지지됨으로써, 상기 영상 패널(31)은 견고하게 그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조립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전면 패널(10)의 배면 테두리측에 상기 지지 브라켓(20)을 고정시킨다. 이 때, 각각의 지지 브라켓(21,22,23,24)은 경사지게 형성된 각각의 단부가 서로 치합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각각의 고정부의 이면에 접착 부재가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10)의 배면에 접착 고정된다.
그 다음, 상기 지지 브라켓(20)에 의하여 형성된 폐곡선(loop1) 내부에 상기 영상 패널(31) 및 상기 백 라이트 유닛(32)를 안착시킨다.
그 다음, 일례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51)를,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절곡부(212)를 관통시켜,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의 측면 테두리부에 고정시킨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이 상기 지지 브라켓(20)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 패널(31)의 전면 테두리측은 상기 지지 브라켓(20)에 의하여 지지되며, 배면 테두리측은 상기 패널 가이드(324)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영상 패널(31)에 대한 견고한 지지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영상 패널(31)의 전면은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배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이격 거리는 상기 지지 브라켓(20)의 단면 두께에 의하여 결정된다.
한편, 상기 절곡부(212)는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가 형성되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절곡부(212)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체결부재(51)가 관통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51)는 상기 절곡부(212)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즉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가 형성되는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체결력을 제공한다.
상기 체결부재(51)에 의한 체결력은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평면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장력(P1)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는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외측 테두리 방향으로 당겨지며,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평면 중심 측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휘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배면 커버(40)를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의 후방에 정렬시킨 다음,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에 대하여 고정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의 후방을 차폐한다.
이 때, 상기 배면 커버(40)에는, 상기 바텀 커버측 고정부(325)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는 배면 커버측 고정부(41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부재(52)가, 상기 백커버측 고정부(415)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바텀 커버측 고정부(325)에 고정되어, 상기 배면 커버(40)를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배면 커버(40)가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배면 커버(40)의 백커버측 테두리부(42)의 단부는 상기 전면 패널(32)의 테두리부(32)의 단부와 접하게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를 외부에 대하여 차폐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체결부재(51)와 같은 지지 브라켓(20)과 백라이트 유닛(32)의 체결 구조는 상기 백커버측 테두리부(42)의 내에 위치되어, 상기 체결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 구조를 제외한 지지 브라켓(20)의 나머지 부분 만이 상기 전면 패널(1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방에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 표시 영역(R1)과, 상기 영상 표시 영역(R2)의 테두리를 따라 둘러지는 비 표시 영역(R2), 즉 베젤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비 표시 영역(R2)은 상기 전면 패널(10)을 통하여, 외부로 보여지는 상기 지지 브라켓(20)에 의하여 정의되며, 상기 지지 브라켓(20)에 증착 형성된 색상에 의하여, 상기 비 표시 영역(R2)의 색상이 형성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패널(31)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이 상기 전면 패널(10)의 배면에 배치되는 지지 브라켓(20)에 직접 고정 및 지지됨에 따라서, 상기 영상 패널(31)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32)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구조가 생략되며,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테두리 폭, 즉 베젤 폭 및 전후방 폭 및 전체적인 무게가 감소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지 브라켓(20)에 의하여, 백라이트 유닛(32)에 대한 영상 패널(31)의 지지 및 전면 패널(10)에 대한 영상 패널(31) 및 백라이트 유닛(32)의 지지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지지 브라켓(20)이 별도의 고정구조 없이, 단순하게 접착 방식에 의하여 전면 패널(10)에 고정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부 구조가 단순해지며, 그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평면으로 형성된 전면 패널 몸체(11)과 영상 패널(31)이 지지 브라켓(20)의 단면 두께에 대응하는 미소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됨에 따라서, 전면 패널(10)과 영상 패널(31)이 거의 동일한 평면에 위치된 것처럼 시청자에게 보여짐에 따라서, 영상의 이질감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전면 패널(10)과 영상 패널(31)의 이격 거리가 최소화됨에 따라서, 전면 패널(10)의 배면에 상기 영상 패널(31)의 영상이 반사됨에 따라 발생되는 영 상의 이중상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면 패널(10)의 배면에 고정되는 지지 브라켓(20)과 백라이트 유닛(32)의 체결력이, 상기 전면 패널(10)의 중심에서 외곽 테두리 방향으로 작용됨에 따라서, 대형화에 따라 전면 패널(10)의 중심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패널(31)이 상기 지지 브라켓(20)에 대하여 밀착된 상태로 구비됨에 다라서, 상기 영상 패널(31)과 상기 전면 패널(10)의 배면 사이에 먼지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전면 패널과 배면 커버의 치합 관계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면 커버(40)의 배면 커버측 테두리부(42)의 적어도 일부는 테두리부(12)와 절곡부(212)가 이격된 공간에 삽입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배면커버측 테두리부(42)의 둘레는 전면 패널(10)의 테두리부(12)의 둘레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배면 커버측 테두리부(4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테두리부(12)의 내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배면 커버측 테두리부(4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테두리부(12)와 상기 절곡부(212)의 이격 공간에 삽입됨에 따라서, 상기 배면 커버(40)와 상기 전면 패널(10)은 상호 간에 맞물린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면 커버(40)의 테두리부(42)가 원래 위치에서 탈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내부가 외부에 대하여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배면 커버측 테두리부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면 커버측 테두리부(42)는 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된 라운딩부(421)를 더 포함한다.
상기 라운딩부(421)는 상기 배면 커버측 테두리부(42)의 단부 측에 구비된다.
상기 라운딩부(421)의 일측은 전면 패널(10)의 테두리부(42)의 내면과 접하며, 타측은 지지 브라켓(20)의 절곡부(212)에 접하여 지지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배면 커버측 테두리부(42)의 일부가 테두리부(12)와 지지 브라켓(20)이 이격된 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라운딩부(421)에 의하여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테두리부(12)의 긁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라운딩부(421)가 상기 테두리부(42) 및 상기 지지 브라켓(20)에 의하여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지지됨에 따라서, 안정적인 삽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패널 및 필름층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F-F 선도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도 13의 E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전면 패널의 전면에 구비되는 필름층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패널(10)은 필름층 몸체(181)와, 차광 패턴(182)이 구비된 필름층(18)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필름층 몸체(181)는 일례로 반사 방지 필름(Anti-reflection film)과 같은 다수의 기능성 필름이 적층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182)은 상기 필름층 몸체(181)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차광 패턴(182)이 형성된 위치는 지지 브라켓(20)이 상기 전면 패널(10)을 통하여 전방으로 투과되는 위치에 대응된다.
즉, 상기 차광 패턴(182)은 영상 표시 영역(R1)의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는 비 표시 영역(R2,R3)에 제공되어, 상기 비 표시 영역(R2,R3)의 후방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 브라켓(20)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에서 보여지지 않도록 한다.
이 때, 상측 비표시 영역(R2)과 하측 비표시 영역(R3)의 폭은 후방에 구비되는 지지 브라켓(20)의 폭에 따라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182)은 효과적으로 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일례로 검은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광 패턴(182)은 상기 필름층 몸체(181)의 배면에 검은색 안료의 인쇄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측에서 볼 때, 디 스플레이 장치의 비표시 영역(R2,R3)은 검은색을 띄게 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 표시 영역(R1)은 상기 비표시 영역(R2,R3)과 유사한 검은색을 띄게 된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광의 반사, 흡수 또는 산란 등에 의하여 상기 영상 표시 영역(R1)과 상기 비 표시 영역(R2,R3)의 채도 및 명도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 표시 영역(R2,R3)에서는 후방에 구비되는 영상 패널 등에 의하여 외광의 일부가 반사되고, 상기 차광 패턴(182)이 구비되는 상기 비표시 영역(R2,R3)에서는 대부분 흡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전원 오프시 상기 표시 영역(R1)과 상기 비표시 영역(R2,R3) 사이의 시각적인 이질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광 패턴(182)에는 일례로 금속 박막층(미도시)이 더 구비되어, 상기 영상 패널의 반사, 흡수 및 산란 레벨과 유사한 레벨로 빛이 반사, 흡수 또는 산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시각적 이질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광 패턴(182)은 그라데이션(Gradation)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차광 패턴(182)에 인쇄된 검은색의 농도가 일례로 테두리 내측(Q1)에서 테두리 외측(Q2)으로 갈수록 진해지도록, 상기 차광 패턴(18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광 패턴(182)은 전면 패널(10)의 전면에 구비되는 필름층(18)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상기 차광 패턴(182)이 상기 전면 패널(10)의 몸체의 전면 또는 배면에 직접 형성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패널(10)에서 영상 표시 영역(R1) 및 비표시 영역(R2,R3)의 이질감이 최소화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7은 도 16의 액정 패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영상 패널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영상 패널(31) 및 백라이트 유닛(32)에서 전면 패널(10) 측을 향하여 광원의 발광에 따른 열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전면 패널(10)의 평면 형상의 전면 패널 몸체(1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영상 패널(11) 측을 향하여 일정 크기만큼 휘어지게 된다.
이 때, 지지 브라켓(20)이 구비되는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테두리 측에서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중앙부로 갈수록 열에 의하여 휘어지는 정도는 커지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가 대형화되는 경우,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 중앙부의 열에 의한 변위는 더욱 커지게 되며,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일부가 휘어져 상기 영상 패널(31)과 접촉되는 경우, 접촉에 따른 간섭 무늬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영상 패널(31)의 전면 및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배면은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되며, 두 개의 매끄러운 표면이 접촉되는 경우, 접촉에 따라서 일례로 원호형과 같은 간섭무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패널(31)의 전면에는 상기 간섭 무늬를 방지하기 위한 간섭 방지 필름층(315)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간섭 방지 필름층(315)은, 일례로 안티 글레어 필름층(Anti glare film layer)과 같이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불규칙 또는 규칙적으로 형성된 필름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패널(31)의 영상 투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며,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변형 및 접촉에 따른 간섭 무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중앙부가 상기 영상 패널(31) 측으로 변형되어,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배면 일부가 상기 간섭 방지 필름층(315)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간섭 방지 필름층(315)에는 미세한 요철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간섭 무늬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섭 방지 필름층(315)이 상기 영상 패널(31)의 전면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상기 간섭 방지 필름층(315)이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배면에 구비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도 18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전면 패널 몸체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영상 패널(31)을 통하여 전면 패널 몸체(11)로 열이 전달 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 브라켓(20)이 구비되는 전면 패널 몸체(11)의 테두리측보다는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중앙부의 전후방 변위가 더 크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면 패널 몸체(11)는 중앙부가 테두리 측에 비하여 전방으로 더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중앙부는, 상기 테두리 측에 비하여 전방으로 더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이격 거리는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테두리 측이 상기 영상 패널(11)과 이격되는 거리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일례로 최초의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중앙부가 상기 영상 패널(11)과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테두리측이 상기 영상 패널(11)과 이격된 거리의 두 배에 해당되는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이격거리에 따른 화면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는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테두리측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경사지는 형상, 즉 일정 곡률로 미세하게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전면 패널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패널(10)은 만 곡 테두리부(18)를 더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만곡 테두리부(18)는 상기 전면 패널(10)의 상측 테두리 부분에 구비되며, 점진적으로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만곡 테두리부(18)가 상기 전면 패널(10)의 상측 테두리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상기 만곡 테두리부(18)가 상기 전면 패널(10)의 하측 및/또는 측면 테두리에 형성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전면 패널 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패널(10)의 테두리는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한다.
즉, 다른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면 패널(10)의 테두리는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와 연속되는 평면 상에 위치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지지 브라켓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브라켓은 전면 패널 몸체(11)의 배면에 대하여 수직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측 지지 브라켓(26) 및 하측 지지 브라켓(27)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측면 지지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브라켓은 일례로 액정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의 테두리를 감싸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배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브라켓의 일측에는 접착 부재(268,278)가 제공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을 상기 전면 패널 몸체(11)의 배면에 접착 고정시킨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4은 도 22의 D-D 선도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패널 지지부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전면 패널(71)은 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적어도 일측이 상기 전면 패널(71)의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 패널(71)의 배면에는 지지 브라켓(73,74)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지지 브라켓(73,74)는 상기 전면 패널(71)의 배면에 접착 부재(731)에 의하여 접착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73)과, 디스플레이 모듈(75)이 지지되기 위하여 내부가 개구된 사각틀 형상의 지지 프레임(74)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73)은 다수개로 구비되며, 다수개의 고정 브라켓(73)은 상호 간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단속적으로 상기 전면 패널(71)의 배면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73)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74)이 고정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74)에는 디스플레이 모듈(75)이 고정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측 외형을 형성하는 배면 커버(76)는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75) 및/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74)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75)은 영상 패널(753)과, 바텀 커버(752)와, 광학 어셈블리(755)와, 다수의 광학 시트(754)와, 패널 가이드(756)과, 상기 영상 패널(753)의 테두리를 감싸며, 상기 패널 가이드(756)에 대하여 상기 영상 패널(753)을 지지하는 탑 커버(75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74)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테두리 일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74)는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 몸체(740)와, 상기 프레임 몸체(740)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73)이 삽입되는 브라켓 삽입부(743)과, 삽입된 상기 브라켓(743)에 체결되기 위한 제1체결부재(781)가 상기 전면 패널(7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홀(742)과, 상기 프레임 몸체(740)에서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75)의 측면 테두리가 지지되는 측면 지지부(741)와, 상기 측면 지지부(742)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744)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2관통홀(744)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75)의 측면 테두리에 체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75)이 상기 지지 프레임(74)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제2체결부재(782)가 관통된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71)의 전면측에는 상기 전면 패널(71)을 보호하며, 상기 전면 패널(71)의 배면에 접착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73)이 외부로 보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름층(72)이 더 구비된다.
상기 필름층(72)은 일례로 PET(Polyethlylene terephtalte)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브라켓(73)을 전방에 대하여 차폐하기 위한 인쇄층(721)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층(721)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에 대하여 비표시 영역(R2) 즉 베젤(bezel) 영역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비표시 영역(R1)의 내측 영역에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 표시 영역(R2)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전면 패널(71)에 대하여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74)에는 전면 패널(71)이 형성된 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2체결 부재(782)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전면 패널(71)에 대하여 중앙부에서 테두리측 방향으로 일정 크기의 장력(P1)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력(P1)에 의하여 상기 전면 패널(71)의 중앙부가 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75)의 탑 커버(751)와 상기 전면 패널(71)의 배면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75)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액정 패널(753) 측으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쿠션 부재(7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75)의 측면 테두리가 지지 프레임(74)에 대하여 고정됨에 따라서 발생되는 장력에 의하여, 전면 패널(71)이 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75)의 측면 테두리가 고정됨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방 폭이 감소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면 패널의 배면에 지지 브라켓이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A-A 선도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지지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오목 렌즈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볼록 렌즈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사상에 적용되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의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4의 B 부분의 광경로 변경부에 의하여 광학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1의 C-C 선도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패널 및 필름층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F-F 선도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E 부분의 확대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7는 도 16의 영상 패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3는 도 2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4는 도 22의 D-D 선도에 따른 단면도.

Claims (15)

  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배치되며,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 및
    일측은 상기 전면 커버의 배면에 고정되며, 타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상기 전면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이 포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 테두리는 상기 전면 패널의 전면과 평행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지지 브라켓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상이 투과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의 일측은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접착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과 접하는 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 브라켓의 타측에는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후방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 테두리가 고정되는 절곡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테두리가 상기 고정부의 배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며,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 패널; 및
    상기 영상 패널의 배면을 지지하며, 측면 테두리가 상기 절곡부에 고정되는 백라이트 유닛;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영상 패널이 수용되기 위한 폐곡선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은 다수의 브라켓의 단부가 상호 간에 치합되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체결력은, 상기 전면 패널을 상기 전면 패널의 평면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당기는 장력으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접착 고정되며, 상호 간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 브라켓; 및
    일측은 상기 고정 브라켓에 고정되며, 타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 테두리가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 테두리에 둘러질 수 있도록, 내부가 개구된 사각틀로 형성되며, 측면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의 전면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이 상기 전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층이 형성된 필름층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영상이 표시되며, 상기 전면 패널의 영상 표시 영역과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는 영상 패널이 포함되며,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 또는 상기 영상 패널의 전면에는 미세한 요철이 불규칙 또는 규칙적으로 형성되는 간섭 방지 필름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에는 영상이 외부로 투과되기 위한 영상 표시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영상 표시 영역의 중심은 상기 영상 표시 영역의 테두리에 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상 패널과 더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이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고정되는 방향과,
    상기 지지 브라켓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 테두리가 고정되는 방향은 서로 직교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후방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072178A 2009-08-05 2009-08-05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14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178A KR20110014487A (ko) 2009-08-05 2009-08-05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178A KR20110014487A (ko) 2009-08-05 2009-08-05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487A true KR20110014487A (ko) 2011-02-11

Family

ID=4377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178A KR20110014487A (ko) 2009-08-05 2009-08-05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44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083B1 (ko) * 2012-04-26 2013-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083B1 (ko) * 2012-04-26 2013-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239480B2 (en) 2012-04-26 2016-01-19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2282B2 (en) Display apparatus
KR100730068B1 (ko) 액정표시모듈
KR101385474B1 (ko) 액정 표시장치
US20160054508A1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1841901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30235561A1 (en) Bezel-free display device using directional backlighting
JP2006011439A (ja) 光学フィルムと、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液晶表示装置
WO2009031728A1 (en) Light guide panel for lcd back light unit and lcd back light unit thereby
KR10256256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6194716A1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6735373B2 (en) Plane light source unit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CN115176197B (zh) 光学膜片、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20130051168A (ko) 액정패널조립체 및 그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EP3605214B1 (en) Display device
KR10168132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3439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68498A (ko) 도광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들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1001448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1582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64752A (ko) 백 라이트 유닛
KR1015906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090554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backlight
CN214540113U (zh) 一种导光结构及液晶模组
KR20180016684A (ko) 표시장치
KR20080001982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