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4249A - 카테고리별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카테고리별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4249A
KR20110014249A KR1020110006204A KR20110006204A KR20110014249A KR 20110014249 A KR20110014249 A KR 20110014249A KR 1020110006204 A KR1020110006204 A KR 1020110006204A KR 20110006204 A KR20110006204 A KR 20110006204A KR 20110014249 A KR20110014249 A KR 20110014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button
access
button image
touch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천
Original Assignee
김규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01212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00022509A/ko
Application filed by 김규천 filed Critical 김규천
Publication of KR20110014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상의 지정된 위치에 상호 식별 가능한 적어도 둘 이상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카테고리 분류에 따라 액세스 버튼 이미지별로 정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그룹 중에서 터치 상태로 인식된 액세스 버튼 이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고리별 액세스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카테고리별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장치{ACCESS CONTROL METHOD BY CATEGOR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에 대한 터치 상태를 인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과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플릿 PC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들은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터치스크린을 기본적으로 구비하며, 와이파이(Wi-Fi)나 3G망과 같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애플리케이션'이라 함)을 휴대용 전자 장치에 자유롭게 다운로드하여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한다.
휴대용 전자 장치에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활성화에 의해 실행된다.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파일은 홈스크린 상에 소정 이미지의 아이콘(Icon) 형태로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나 전자 장치의 각종 제어 관련 내부 시스템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휴대용 전자 장치에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이 누적됨에 따라 휴대용 전자 장치의 홈스크린에 배열되는 아이콘의 수가 점차 증가하게 되고, 결국에는 원하는 아이콘을 검색하기가 곤란한 상태에 이르게 되는 불편함도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 장치에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들은 모두 홈스크린 상에 배열되는 바, 이로 인해 업무용 애플리케이션과 개인용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그 카테고리(Category) 측면에서 동등한 취급이 곤란한 애플리케이션들의 관리가 불편한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한편, 사진과 같은 컨텐츠 파일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 내에 방대한 양이 누적되어 저장되기 마련이므로 컨텐츠 파일의 내용에 따라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신속히 원하는 파일에 액세스할 수 있는 솔루션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액세스(Access)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 체계를 가진 카테고리별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를 터치하여 사용자에 의해 미리 카테고리별로 정의된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 세트(또는 컨텐츠 세트)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체계를 가진 카테고리별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터치스크린 상의 지정된 위치에 상호 식별 가능한 적어도 둘 이상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c) 카테고리 분류에 따라 액세스 버튼 이미지별로 정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그룹 중에서 터치 상태로 인식된 액세스 버튼 이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고리별 액세스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그룹은 적어도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세트(또는 컨텐츠 세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계 (c)에서는, 터치 상태로 인식된 액세스 버튼 이미지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세트(또는 컨텐츠 세트)를 선택적으로 독출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는 서로 다른 색상, 형상 또는 텍스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터치 상태는 상기 액세스 버튼 이미지를 사전결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터치 제스처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터치 상태는 상기 액세스 버튼 이미지를 사전설정된 지속시간 또는 횟수만큼 터치하는 터치 제스처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상의 지정된 위치에 상호 식별 가능한 적어도 둘 이상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표시하는 그래픽 제어유닛과, 상기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스크린 제어유닛과, 카테고리 분류에 따라 액세스 버튼 이미지별로 정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그룹 중에서 터치 상태로 인식된 액세스 버튼 이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액세스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상의 지정된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통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애플리케이션 세트나 컨텐츠 세트에 선택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스 버튼 이미지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하나씩 표시되도록 구성될 경우에는 터치스크린 내에서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 점유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전자 장치의 잠금해제 프로세스에 적용할 경우에는 액세스 대상 홈스크린의 카테고리가 선택된 이후에 애플리케이션의 표시, 실행, 다운로드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애플리케이션의 검색과 관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사진 등과 같은 컨텐츠 파일의 관리에 적용할 경우에는 액세스 대상 컨텐츠 세트의 카테고리가 선택된 이후에 컨텐츠를 이용하게 되므로 컨텐츠의 검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컨텐츠의 공개를 방지할 수 있고 신속한 검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밖에,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대한 멀티 로그온(Multi Log-on)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전자 장치를 여러 사람이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동일 위치에서 서로 다른 슬라이드 타입 액세스 버튼 이미지들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GUI 도면,
도 5는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예를 도시한 GUI 도면,
도 6은 도 5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 홈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세트를 도시한 GUI 도면,
도 7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들 중 다른 어느 하나를 선택한 예를 도시한 GUI 도면,
도 8은 도 7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 홈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세트를 도시한 GUI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버튼 타입 액세스 버튼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 GUI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슬라이드 타입 액세스 버튼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 GUI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카테고리별 액세스 제어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본체(도 2의 100 참조)와, 본체(100)의 일면에 노출되도록 장착된 터치스크린(110)과, 본체(100)에 내장되어 그래픽 제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활성화 제어 등을 수행하는 제어수단(111)과, 운영체제(OS)를 비롯하여 애플리케이션 세트(Application Set)들의 그룹이 저장되는 메모리(112)와, 와이파이(Wi-Fi)나 3G망과 같은 무선 통신망에 대한 액세스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모듈(113)을 포함한다.
본체(100)로는 통상의 스마트폰, PDA, 태플릿 PC와 같은 휴대용 단말이나, 일반 PC와 같은 전자 장치의 본체(100)가 해당될 수 있다. 본체(100)의 세부 구성을 비롯하여, 터치스크린(110), 통신모듈(113) 등과 같은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수단(111)은 그래픽 제어유닛(111a), 터치스크린 제어유닛(111b) 및 액세스 제어유닛(111c)을 포함한다.
그래픽 제어유닛(111a)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잠금모드에서 사용자가 본체(100)에 구비된 기계적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스크린(110)의 임의의 지점을 터치 또는 실행 아이콘을 터치했을 때, 소정의 월페이퍼(Wallpaper)(120)를 표시하고 이와 더불어 터치스크린(110) 상의 일측에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를 표시한다.
그래픽 제어유닛(111a)은 터치스크린(110) 상의 지정된 위치에 상호 식별 가능한 적어도 둘 이상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표시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그래픽 제어유닛(111a)은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를 터치스크린(110) 상의 지정된 단일 영역에 순차적으로 하나씩 표시한다. 이 경우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가 순차적으로 하나씩 표시되므로 터치스크린(110)의 한정된 면적 내에서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의 점유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래픽 제어유닛(111a)에 의해 터치스크린(110) 상에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서로 다른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들이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표시되고, 이러한 동작은 루프 모드(Loop mode)를 이루면서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터치스크린(110)에 표현된 시간 정보를 주목하면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에 대한 순차 표시 동작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직관적인 구분이 용이하도록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들은 서로 다른 색상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들은 서로 다른 형상이나 텍스트(Text)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상호 식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비록 도 2 내지 도 4에는 3 종류의 서로 다른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가 1초마다 순차적으로 표시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의 개수나 시간 간격에는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그래픽 제어유닛(111a)은 빨,주,노,초,파,남,보의 7가지 색상으로 구분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들을 0.5초마다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카테고리 분류에 따라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들은 전자 장치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종류[예: 음악, 영화, 게임, 유틸리티 등]에 대응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들의 용도[예: 개인용, 업무용, 기본형(전자 장치의 출시 시점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들은 서로 다른 사용자별로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들에 대하여 비밀번호 인증 인터페이스를 연동시킬 경우 실질적으로 서로 다른 경로의 로그온(Log-On)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터치스크린 제어유닛(111b)은 터치스크린(110)에 대한 터치 상태를 검출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타입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에 대한 터치 상태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를 사전결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터치 제스처(Touch Gesture)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110)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접촉에 의한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슬라이드 타입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에 대한 터치 제스처를 유도하도록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는 수평 바(Bar) 형상의 이미지를 갖는 채널(131)의 한쪽 끝부분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는 채널(131)의 반대쪽까지 드래그(Drag)한 후 릴리즈(Release)하는 터치 제스처를 수행했을 때 터치 상태로 인식될 수 있다.
대안으로,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에 대한 터치 상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타입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를 단순히 터치하거나, 사전설정된 지속시간 또는 횟수만큼 터치하는 터치 제스처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비록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버튼 타입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의 경우에도 슬라이드 타입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와 마찬가지로 그래픽 제어유닛(111a)에 의해 적어도 둘 이상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가 지정된 위치에서 정해진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됨은 물론이다.
액세스 제어유닛(111c)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잠금모드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 상태가 인식된 경우,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세트들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상기 터치 상태로 인식된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세트만을 선택적으로 독출하여 홈스크린에 표시하는 액세스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어느 하나(적색)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를 선택하여 터치할 경우 액세스 제어유닛(111c)은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세트(#1~#16)를 홈스크린 상에 표시한다. 다른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다른 어느 하나(녹색)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를 선택하여 터치할 경우 액세스 제어유닛(111c)은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세트(#1~#13)를 홈스크린 상에 표시한다.
애플리케이션 세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집합을 의미한다. 홈스크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세트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형태로 표시된다. 도 6에는 모두 16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세트가 표시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모두 13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세트가 표시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추가로 다운로드될 경우,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은 다음 페이지에서 표시된다.
애플리케이션 세트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설정된다. 애플리케이션 세트를 이루는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다운로드 시 메모리(112)에 저장된다. 이를 위해 메모리(112) 내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카테고리별로 애플리케이션 세트의 DB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에는 메모리(112) 내에 N개의 애플리케이션 세트 DB가 생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잠금모드에서, 터치스크린(110) 상의 지정된 위치에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변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의 그래픽을 표시한다. 사용자의 정의에 따라 각각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는 그에 대응되는 카테고리가 미리 지정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3가지 색상으로 구분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에 대하여 각각 '개인용', '업무용', '기본형'으로 용도를 지정하여 전자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들 중에서 예컨대, '업무용'에 대응되는 색상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가 표시된 순간에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에 대하여 터치 제스처를 행함으로써 '업무용'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홈스크린에는 사용자의 관리에 의해 미리 메모리(112)에 저장되어 있던 업무용 애플리케이션 세트가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가 추가로 다운로드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은 모두 업무용 애플리케이션 세트에 포함되어 메모리(112)에 저장된다.
이상에서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의 선택에 응답하여 그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세트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의 잠금해제 기능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잠금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소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터치스크린 상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되는 컨텐츠 세트를 표시하는 카테고리별 액세스 제어 방법과 그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도 10을 참조할 때, 그래픽 제어유닛(111a)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잠금해제 모드에서, 소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10) 상에 소정의 월페이퍼(121)를 표시하고, 이와 더불어 터치스크린(110) 상의 일측에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를 표시한다.
액세스 제어유닛(111c)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 상태가 인식된 경우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해당 컨텐츠 세트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도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는 채널(131)의 반대쪽까지 드래그한 후 릴리즈하는 터치 제스처에 의해 터치 상태가 인식되는 슬라이드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는 단순 터치는 물론, 사전설정된 지속시간 또는 횟수만큼 터치하는 터치 제스처에 의해 터치 상태가 인식되는 버튼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메모리(112') 내에는 컨텐츠 세트의 DB가 마련된다. 도 10에는 메모리(112') 내에 N개의 컨텐츠 세트 DB가 생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컨텐츠 세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파일을 포함하는 컨텐츠 집합을 의미한다. 터치스크린 상에서 컨텐츠 세트는 컨텐츠 파일 아이콘 형태로 표시된다. 여기서, 컨텐츠 파일로는 예컨대, 사진이나 동영상, 문서, 음악 파일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컨텐츠 세트를 표시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정의에 따라 각각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는 그에 대응되는 카테고리가 미리 지정된다.
예를 들어, 컨텐츠 파일이 사진 파일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색상이나 형상, 텍스트 등으로 식별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들에 대하여 각각 '여행', '개인', '가족', '회사', '업무' 등으로 앨범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전자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들 중에서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행(TRAVEL)'에 대응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가 표시된 순간에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에 대하여 터치 제스처를 행하게 되면 '여행'에 대응되는 컨텐츠 세트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적으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 상에는 '여행' 관련 사진 파일들만이 표시된다.
부가적으로,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13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에 대하여 비밀번호 인증 인터페이스를 연동시킬 경우에는 사생활 보호가 요구되는 컨텐츠 세트를 선별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상의 일정한 위치에 액세스 버튼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표시하는 절차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절차와, 터치 상태로 인식된 액세스 버튼 이미지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세트(또는 컨텐츠 세트)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절차를 컴퓨터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예컨대, 자기기록매체, CD롬, 플래쉬 메모리 등)가 제공된다.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카테고리별 액세스 제어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환경설정 단계로서 액세스 버튼 이미지별로 애플리케이션 세트(또는 컨텐츠 세트)의 DB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00). 이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분류를 희망하는 카테고리별 DB 개수에 대응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의 개수 설정과, 각각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들에 대한 식별을 가능케 하는 색상이나 형상, 텍스트 등에 대한 설정과, 액세스 버튼 이미지의 표시 시간간격 설정, 월페이퍼 설정, 암호 설정 등이 이루어진다.
이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액세스 단계에서 액세스 버튼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표시하는 처리를 수행한다(S110). 이에 대하여 사용자는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들 중 자신이 액세스 하기를 희망하는 카테고리의 DB에 대응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를 터치하면 된다.
액세스 버튼 이미지에 대한 터치가 검출되면(S120), 검출된 터치가 미리 설정된 터치 제스처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절차가 진행된다(S130). 여기서, 터치 제스처는 예컨대, 액세스 버튼 이미지를 사전결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검출된 터치가 설정된 터치 제스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터치 상태로 인식된 액세스 버튼 이미지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세트(또는 컨텐츠 세트)를 독출하여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한다(S140). 반면에, 검출된 터치가 설정 터치 제스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새로운 터치 제스처를 입력받기 위하여 다시 액세스 버튼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본체 110: 터치스크린
111a: 그래픽 제어유닛 111b: 터치스크린 제어유닛
111c: 액세스 제어유닛 112,112': 메모리
130: 액세스 버튼 이미지

Claims (7)

  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 상의 지정된 위치에 상호 식별 가능한 적어도 둘 이상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c) 카테고리 분류에 따라 액세스 버튼 이미지별로 정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그룹 중에서 터치 상태로 인식된 액세스 버튼 이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고리별 액세스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그룹은 적어도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세트(또는 컨텐츠 세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계 (c)에서, 터치 상태로 인식된 액세스 버튼 이미지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세트(또는 컨텐츠 세트)를 선택적으로 독출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고리별 액세스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는 서로 다른 색상, 형상 또는 텍스트에 의해 상호 식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고리별 액세스 제어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5.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상의 지정된 위치에 상호 식별 가능한 적어도 둘 이상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표시하는 그래픽 제어유닛과,
    상기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액세스 버튼 이미지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스크린 제어유닛과,
    카테고리 분류에 따라 액세스 버튼 이미지별로 정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그룹 중에서 터치 상태로 인식된 액세스 버튼 이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액세스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그룹은 적어도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세트(또는 컨텐츠 세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세스 제어유닛은, 터치 상태로 인식된 액세스 버튼 이미지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세트(또는 컨텐츠 세트)를 선택적으로 독출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제어유닛은,
    서로 다른 색상, 형상 또는 텍스트를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액세스 버튼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10006204A 2010-02-09 2011-01-21 카테고리별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장치 KR201100142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122 2010-02-09
KR1020100012122A KR20100022509A (ko) 2010-02-09 2010-02-09 멀티 잠금해제 수단을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00034692 2010-04-15
KR20100034692 2010-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249A true KR20110014249A (ko) 2011-02-10

Family

ID=4377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204A KR20110014249A (ko) 2010-02-09 2011-01-21 카테고리별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42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061A (ko) * 2016-10-08 2019-06-04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애플리케이션에서 지원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N111352567A (zh) * 2020-02-28 2020-06-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和电子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061A (ko) * 2016-10-08 2019-06-04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애플리케이션에서 지원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N111352567A (zh) * 2020-02-28 2020-06-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和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940B1 (ko) 어플리케이션의 보안성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30039586A (ko) 터치 디바이스의 잠금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Schmidt et al. A cross-device interaction style for mobiles and surfaces
KR10183803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아이콘 관리 방법 및 장치
US9015584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2034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US20140237378A1 (en) System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ultiple personas on mobile technology platforms
US201301740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con in portable terminal
US98579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creens in a portable terminal
AU2014312481B2 (en) Display apparatus,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s thereof
US201400132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rranging icons displayed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40143555A (ko) 휴대 장치의 잠금 화면 상에서 빠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장치
BR102013030684A2 (pt) Método e aparelho para processamento de conteúdo
US20160334984A1 (en) Handwriting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30093043A (ko) 터치 및 스와이프 내비게이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CN104243749B (zh) 图像形成装置及图像形成装置的控制方法
US20160291836A1 (en) Smart terminal and associated method for displaying application icons
US201902201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group
KR20100022509A (ko) 멀티 잠금해제 수단을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102426A (zh) 一种带有智能屏的锁屏系统及其显示设备
KR20140124499A (ko) 터치 디바이스의 문서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00001017A (ko) 근접 터치 감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KR20110014249A (ko) 카테고리별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장치
US201302052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N106095279A (zh) 一种功能屏蔽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