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2830A -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2830A
KR20110012830A KR1020090070710A KR20090070710A KR20110012830A KR 20110012830 A KR20110012830 A KR 20110012830A KR 1020090070710 A KR1020090070710 A KR 1020090070710A KR 20090070710 A KR20090070710 A KR 20090070710A KR 20110012830 A KR20110012830 A KR 20110012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ommunication
mobile
information
network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090070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2830A/ko
Publication of KR20110012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은,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과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수의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서비스 중 특정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서비스를 선택/스위칭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서비스 내역을 포함하는 서비스정보를 통합접속서버로 전송하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 서비스서버; 회원의 조작에 따라 통신 서비스 선택조건을 통합접속서버로 전송하는 회원 단말기; 회원의 조작에 따라 통신 서비스 선택조건을 통합접속서버로 전송하고, 통합접속서버에서 결정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회원 이동통신 단말기; 복수의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서비스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회원 단말기 또는 회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선택조건을 수신하여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이동통신망사업자(MNO) 시스템으로부터 호접속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 선택조건과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비교하여 회원의 서비스 선택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통신서비스를 결정한 후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으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결정정보를 전송하는 통합접속서버; 및 호접속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분석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 우, 상기 통합접속서버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정보를 요청하여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결정정보를 수신하고,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결정정보에 따라 결정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과 연동되어 호접속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데이터통신을 서비스하는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이다.
Figure P1020090070710
이동통신망사업자,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MNO, MVNO

Description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Selecting/Swiching System for Communication Service Provier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이종통신, 동종통신, 가상통신사업자(MVNO) 간의 시간/공간별 강점(통화품질, 가격, 통화가능 여부, 기능의 유무 등)에 따라 가장 고객에게 유리한 통신서비스를 선택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이동통신서비스가 활성화됨에 따라 통신이 개인생활에 미치는 영향력이 대단히 증가되었으며, 과거에 비하여 통신서비스의 활용빈도가 대폭 증가됨에 따라 기존에 일률적으로 음성통화만을 제공하던 통신서비스의 내용이 점차 통신요금 차별화/통화품질 차별화/부가서비스 차별화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종래에는 IP전화, 유선전화, 이동통신 등 다양한 동종/이종 간의 통 신서비스(음성통신, 데이터통신, 영상통신, 통신을 이용한 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의 근간이 되는 서버, 기지국, 회선 등의 기본적인 인프라의 차이와 시간별, 공간별(지하, 지상, 건물 내외부), 지역별(도심, 외곽, 도서지역, 해안, 상공, 산악지역 등)로 여력 인프라 수준이 상이함에 따라 통신서비스 가입자는 특정시간/공간/지역별로 경쟁력(통화품질, 가격, 통화가능 여부, 기능의 유무 등)이 상이한 각각의 통신사로부터 개별 서비스를 신청하거나 경쟁력 있는 타 통신사의 서비스를 포기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객은 각각의 서비스에 가입해야하는 불편과 해당 단말기를 구비해야하는 불편 및 경제적 손실, 현재 시각, 공간상 가장 유리한 서비스가 무엇인지 찾기 어려운 불편함 등으로 인하여 가입된 서비스 사업자의 일방적인 거래조건에 응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통신사업자 간의 시간/공간별 강점(통화품질, 가격, 통화가능 여부, 기능의 유무 등)에 따라 가장 고객에게 유리한 통신서비스를 선택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방법에 있어서, (a) 복수의 통신사업자 서비스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회원 단말기 또는 회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선택조건을 수신하여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c)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접속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 선택조건과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비교하여 회원의 서비스 선택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통신서비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통신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호접속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전술한 복수의 통신사업자는 동일한 이동통신망사업자(MNO, Mobile Network Operators)의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를 이용하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s)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전술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는 완전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부분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ESP, Enhanced Service Provider), 서비스사업자(SP, Service Provide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a) 단계에서 수신되는 서비스정보는 통화요금정보, 통화품질정보, 통화가능지역정보, 부가기능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b) 단계에서 수신되는 서비스 선택조건은 통화요금조건, 통화품질조건, 통화가능지역조건, 부가기능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서비스 선택조건은 복수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선택조건에 포함된 각각의 조건은 고객의 선택에 따른 가중치가 부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b) 단계는 상기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 선택조건과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이용하여 스위칭테이블을 생성/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회원의 스위칭테이블을 참조하여 통신서비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전술한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방법은, (d) 회원의 통신요금정산일 도래시 통신서비스 이용내역에 따라 통신요금을 산출하여 과금하고, 납부된 통신요금을 이용내역에 따라 통신사업자별로 분배하여 정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c) 단계는, (c1) 이동통신망사업자(MNO) 시스템의 기지국이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호접속요청을 수신하여 이동교환기(MSC)로 송신하는 단계; (c2) 이동교환기가 회원의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3) 회원이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이동교환기가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 스위칭수단으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c4) MVNO 스위칭수단이 회원의 서비스 선택조건과 통신사업자의 서비스정보를 비교하여 회원의 서비스 선택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통신서비스를 결정한 후, 상기 이동교환기로 MVNO 결정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c5) 상기 이동교환기가 MVNO 결정정보를 수신하고, 결정된 MVNO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c5) 단계는 결정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이 독립적인 이동교환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의 이동교환기가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의 이동교환기로 호전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과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수의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서비스 중 특정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서비스를 선택/스위칭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서비스 내역을 포함하는 서비스정보를 통합접속서버로 전송하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 서비스서 버; 회원의 조작에 따라 통신 서비스 선택조건을 통합접속서버로 전송하는 회원 단말기; 회원의 조작에 따라 통신 서비스 선택조건을 통합접속서버로 전송하고, 통합접속서버에서 결정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회원 이동통신 단말기; 복수의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서비스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회원 단말기 또는 회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선택조건을 수신하여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이동통신망사업자(MNO) 시스템으로부터 호접속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 선택조건과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비교하여 회원의 서비스 선택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통신서비스를 결정한 후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으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결정정보를 전송하는 통합접속서버; 및 호접속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분석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통합접속서버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정보를 요청하여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결정정보를 수신하고,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결정정보에 따라 결정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과 연동되어 호접속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데이터통신을 서비스하는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때, 전술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는 완전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부분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ESP, Enhanced Service Provider), 서비스사업자(SP, Service Provide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서비스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정보는 통화요금정보, 통화품질정보, 통화가능지역정보, 부가기능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회원 단말기 또는 상기 회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선택조건은 통화요금조건, 통화품질조건, 통화가능지역조건, 부가기능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하고, 복수의 선택조건을 포함한 경우 각각의 조건은 고객의 선택에 따른 가중치가 부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전술한 통합접속서버는 회원의 통신요금정산일 도래시 통신서비스 이용내역에 따라 통신요금을 산출하여 과금하고, 납부된 통신요금을 이용내역에 따라 통신사업자별로 분배하여 정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따르면 고객이 등록한 서비스 선택조건에 따라 고객이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시점/지역에서의 가장 고객에게 적합한 통신서비스가 선택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의 경우 유선통신과 달리 국가소유의 주파수 대역을 특정 통신사업자 몇몇이 독점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세계적으로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망임대를 의무화하고 있는 추세로서, 다양한 구조와 독특한 서비스를 강점으로 하는 MVNO(가상 이동통신망 사업자)가 생겨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다양한 통신 서비스의 활성화와 소규모 통신사업자의 고객유치, 관리 등의 문제를 본 발명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요지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다수의 통신사업자가 자신들이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내용을 지역별/시간별 등의 일정한 기준에 따라 차등(예를 들어 새벽 2시에서 6시 사이에 30분 이상 영상통화를 하는 경우 10초에 5원에 제공, 7월1일에 지리산(행정구역 기준) 정상에서 음성통화 5분 이상 고객에게 할인쿠폰 제공 등)하여 등록하고, 회원(고객)이 단말기(102)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 선택조건을 등록한 상태에서, 회원이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음성통화 또는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자 할 때 회원이 등록한 서비스 선택조건에 따라 해당시간 해당공간의 조건에 따른 최적의 통신사업자가 선택되어 선택된 통신사업자의 시스템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역적 기준에 따라 통신사업자가 선택된 경우, 회원이 통신서비스 이용 중 해당 지역을 벗어나는 순간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안내메세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새로운 시/공간에서 최적의 통신사업자를 새롭게 선택해 통신사업자를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회원의 선택에 따라 통신사업자 전환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의 일부 구성블록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통신사업자의 서비스정보와 회원이 자신이 원하는 선택조건을 등록하고, 회원에게 가장 적합한 통신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에 대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은 회원 단말기(102), 회원 이동통신 단말기(100), 네트워크(110), 통합접속서버(120) 및 통신사업자 서비스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사업자 서비스서버(130)는 통신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로서 통신상품에 대한 정보가 구조화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통신상품에 대한 상세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를 통합접속서버(120)로 전송하여 등록하게 된다. 이때, 통신사업자는 유선통신사업자, 이동통신망사업자,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별정통신사업자일 수 있으며, 도 1에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를 기준으로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하에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유선통신사업자, 이동통신망사업자, 별정통신사업자 또는 이들이 조합된 통신사업자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용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는 동일한 이동통신망사업자(MNO, Mobile Network Operators)의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를 이용하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통신사업자는 동일한 이동통신망사업자의 유휴 주파수를 임대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로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에 대한 정의는 통일되어 있지 않으나, 이하에서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란 "고객에게 이동통신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주파수는 보유하고 있지 않은 조직"으로 최광의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SP ESP 완전 MVNO MNO
제공
서비스
서비스 가입권
호 재판매
서비스 가입권, 호서비스
단, 부분 MVNO는 음성서비스에 대해서는 MNO 의존함.
서비스 가입권
호서비스
가격
정책
한계있는 자체
요금설정
한계있는 자체
요금설정
자체 요금설정 자체요금설정
브랜드 망사업자 브랜드 다소 독립적 브랜드 독립적 브랜드 독립적 브랜드
보유
인프라
과금설비 매우 다양하며
없을 수도 있음
MSC, HLR, 전송장비 MSC, HLR, 전송장비
SIM
카드
SIM 카드 미보유 MNO의 SIM카드를 자사브랜드로 판매 자체 SIM 카드발급 자체 SIM 카드발급
표 1은 이동통신서비스 제공 유형별 특징을 비교한 표이다.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는 보유 인프라의 정도, 이동통신망사업자의 의존정도 등의 분류기준에 따라 완전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부분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ESP, Enhanced Service Provider), 서비스사업자(SP, Service Provider)로 분류될 수 있으다.
통신서비스 가입자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와 모든 서비스에 대해서 계약을 맺을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사업자와의 계약은 필요가 없다.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SP 제외)는 착/발신호 모두에 대한 완전한 지배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망사업자와 동등한 수준의 수입구조를 가지며, 지출부문에서 발신호와 착신호 모두에 대해 무선접속망 사용료를 이동통신망사업자에게 지불한다는 측면에서만 이동통신망사업자와 차이가 있다.
서비스사업자는 고객모집과 과금을 제외한 거의 모든 통신 인프라를 이동통신망사업자에게 의존하고 있으며 통화요금에 대한 과금도 이동통신망사업자의 통화데이터를 근거로 산출/과금하게 된다.
완전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는 MNC(Mobile Network Code)와 SIM 카드(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를 모두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음성 및 부가서비스 모두 자신들의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제공하는 사업자를 의미한다. 반면, 부분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는 호스트 이동통신망사업자의 MNC와 SIM 카드를 사용하지만 자체 브랜드 전략을 취하며, 음성서비스 부문은 이동통신망사업자에게 전적으로 의존하지만 부가서비스는 자체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제공하는 사업자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통신사업자에는 전술한 모든 분류의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서비스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정보는 서비스상품에 대한 통화요금정보, 통화품질정보, 통화가능지역정보, 부가기능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비스정보에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상품별로 가격, 통화품질, 가능지역, 할인정보, 부가서비스 제공여부 등의 관련정보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회원 단말기(102)는 통상적인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PDA 등의 개인용 전자통신장치로서, 입력수단과 통신수단을 구비하여 회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통신서비스 선택조건을 네트워크(110)를 통해 통합접속서버(12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회원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회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통신서비스 선택조건을 네트워크(110)를 통해 통합접속서버(120)로 전송하고, 회원의 조작에 따라 통합접속서버(120)에서 선택된 통신사업자의 시스템을 통하여 음성/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회원 단말기(102) 또는 회원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선택조건은 통화요금조건, 통화품질조건, 통화가능지역조건, 부가기능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선택조건 내에 복수의 선택조건이 포함된 경우 각각의 조건은 고객의 선택에 따른 가중치가 부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은 통신사업자 선택조건을 1순위 저렴한 통화요금, 2순위 통화품질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1순위 저렴한 통화요금(70%), 2순위 통화품질(20%)로 설정할 수도 있다. 가중치가 부여되지 않은 복수의 선택조건의 경우 1순위의 선택조건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 통신사업자가 선택되며 1순위에서 동일한 평가를 받은 복수의 통신사업자가 있는 경우에 2순위 선택조건이 고려되어 통신사업자가 선택된다. 반면, 가중치가 부여된 복수의 선택조건의 경우 일정한 알고리즘에 따라 각 순위에 따른 선택조건에 가중치가 부여되어 회원이 설정한 선택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통신사업자가 선택되게 된다. 이러한 통신사업자 선택알고리즘은 이미 공지된 다양한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알고리즘을 채택하고 있는 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기에 따라 통합접속서버(120)에서 회원이 등록한 서비스 선택조건과 통신사업자의 서비스정보를 비교하여 회원의 서비스 선택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통신서비스를 결정한 후 회원 단말기(102) 또는 회원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회원의 인증을 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전술한 회원 단말기(102)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통합접속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통신서비스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회원의 조작에 따른 인증결과를 통합접속서버(120)로 전송하게 된다.
통합접속서버(120)는 복수의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서비스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2)를 구축하고, 회원 단말기(102) 또는 회원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선택조건을 수신하여 회원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장된 통신사업자의 서비스정보와 회원의 서비스 선택조건은 회원의 선택조건에 최적화된 통신사업자를 결정함에 이용된다. 즉, 통합접속서버(120)는 이동통신망사업자(MNO) 시스템(200)으로부터 호접속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정보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현재 회원의 위치, 통화시각 등 현재상황과 회원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된 회원의 서비스 선택조건 및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통신사업자의 서비스정보를 이용하여 회원의 서비스 선택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통신사업자를 결정한 후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00)으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결정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접속서버(120)는 통신사업자 결정시 미리 생성/저장된 스위칭테이블을 참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칭테이블이란 각 회원별로 통신사업자 선택/스위칭에 참조되기 위하여 생성되는 정보로서 회원의 선택조건과 선택조건에 따라 선택된 통신사업자에 대한 정보 또는 회원의 선택조건 자체가 스위칭테이블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통신사업자가 "통화요금 : 10초에 10원"이라는 통신상품을 등록하고 B라는 통신사업자가 "통화요금 : 10초에 15원(오전 9시~오후12시)/10초에 5원(오후 12시~오전9시)"라는 통신상품을 등록한 상태에서, 회원이 서비스 선택조건으로서 최저요금을 설정한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하면,
통합접속서버(120)는 "선택조건 : 최저요금, 오전 9시~오후12시 : 통신사업자 A(10초당 10원), 오후 12시~오전9시 : 통신사업자 B(10초당 5원))"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의 스위칭테이블을 생성/저장하고,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시 생성/저장된 회원 스위칭테이블을 참조하여 통신사업자 스위칭 기준이 되는 통화접속시간을 판단하여 오전 9시~오후12시 사이의 접속인 경우 통신사업자 A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고, 오후 12시~오전9시 사이의 접속인 경우 통신사업자 B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C라는 통신사업자가 "통화요금 : 10초에 10원 / 통화품질 : 서울경기지역-최상, 그 외 지역-상"라는 내용의 통신상품을 등록하고 D라는 통신사업자가 "통화요금 : 10초에 15원 / 통화품질 : 서울경기지역-상, 그 외 지역-최상"이라는 내용의 통신상품을 등록한 상태에서, 회원이 서비스 선택조건으로서 통화품질을 설정한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하면,
통합접속서버(120)는 "선택조건 : 통화품질, 서울경기지역 : 통신사업자 C(통화품질 최상), 그 외 지역 : 통신사업자 D(통화품질 최상))"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의 스위칭테이블을 생성/저장하고,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시 생성/저장된 회원 스위칭테이블을 참조하여 통신사업자 스위칭 기준이 접속지역을 판단하여 서울경기지역에서의 접속인 경우 통신사업자 C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외 지역에서의 접속인 경우 통신사업자 D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통신서비스 내용(통신상품 상세내역), 서비스 선택조건, 통신사업자 스위칭 기준 등은 예시에 불과하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변용에 불구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접속서버(120)는 실시간 또는 일정한 주기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서비스서버(130)와의 데이터통신을 통하여 갱신되거나 또는 신규로 출시된 통신사업자의 통신상품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2)를 갱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2)가 갱신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회원 스위칭테이블은 갱신된 서비스내용을 반영하여 다시 생성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접속서버(120)는 통신사업자 스위칭 시점(예를 들어 통신사업자 스위칭 기준이 시각이면 해당 시각의 도래시점, 통신사업자 스위칭 기준이 지역이면 해당 지역의 진입시점 등)이 되면,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스위칭 될 통신사업자의 서비스 내용을 포함한 안내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발명을 구성하기에 따라 통합접속서버(120)는 콜백 메세지 등을 이용하여 회원의 조작에 따라 회원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통신사업자 스위칭 승인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 한하여 통신사업자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통신사업자 스위칭 안내/승인 서비스는 회원의 요청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또는 비활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접속서버(120)는 회원의 통신요금 정산일 도래시 회원의 통신서비스 이용내역에 따라 통신요금을 산출하여 과금하고, 납부된 통신요금을 이용내역에 따라 통신사업자별로 분배하여 정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의 서비스 개요도이다. 도 2에는 독립적인 이동교환기(MSC)(250)이 구비된 부분 또는 완전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00),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00),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스위칭수단(230) 및 복수의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0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40)의 근간이 되는 호스트 시스템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00)은 호접속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식별정보를 분석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통합접속서버(120)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정보를 요청하여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결정정보를 수신하며,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결정정보에 따라 결정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40)과 연동되어 호접속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음성/데이터통신을 서비스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00)은 기지국(212), 제어국(214), EIR(222), AUC(224), 홈위치등록기(226), VLR(228), 이동교환기(2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BTS,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212)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무선구간으로 연결되어 이동전화를 제어하고 통화채널을 연결시켜주는 시스템을 의미하며, 제어국(BSC, Base Station Controller)(214)은 여러대의 기지국(BTS)들을 관리하면서 이동교환기(MSC)와 연동되어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AUC(Authentication Center)(224)는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에 대한 인증 및 무선통화 구간에 대한 암호화기능을 지원(인증키 관리)하며, 인증 및 암호화를 위하여, 자체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입자에 대한 전화번호, 단말기 일련번호, 인증키 등을 관리하여, 정의된 인증 알고리즘을 수행하게 된다.
EIR(Equipment Identification Resister)(222)은 이동통신망에서 단말에 대한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fy)를 저장하고 관리하여, 부적절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검출하고, 이들 단말에 대한 목록을 관리함으로써 부적절한 단말에 대한 사용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홈위치등록기(HLR, Home Location Resister)(226)는 이동전화가입자에 대한 정보(이동성-현재위치-정보, 인증 및 부가 서비스 정보 등)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교환기는 HLR에게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입수하여 이동통신 가입자에 대한 착신이 가능하게 되며, 내부 데이터베이스에는 가입자에 대한 전화번호, 단말기 일련번호, 호처리 루틴정보, 권한정보, 각종 부가서비스 정보 등을 관리하게 된다.
VLR(Visitor Location Resister)(228)은 방문 가입자에 대한 호처리를 위한 위치레지스터 시스템이다.
이동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220)는 이동통신망의 핵심망요소로서, 음성통화 및 각종 부가서비스를 제어하고, 통화로를 설정하며, 여러 다른 장비들 및 외부망과의 연결기능을 제공(즉,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회선교환 서비스 및 통화채널 전환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00)의 구성요소 자체는 이미 공지되어 이용되고 있는 기술을 채택하고 있는 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40)은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00)과 연동되어 가입자에게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교환기단을 구성하는 EIR(252), AUC(254), 홈위치등록기(256), VLR(258), 이동교환기(250)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완전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부분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ESP, Enhanced Service Provider), 서비스사업자(SP, Service Provider)에 따라 전술한 교환기단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보유한다. 이러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4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00)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상적인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서비스가 수행되는 과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이동통신단말기가 유선망으로 호를 걸 경우, 그 이동통신단말기는 호를 발신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사업자의 기지국에 접속을 요청하게 되고, 기지국은 채널을 할당하여 이동통신망사업자의 MSC로 호를 라우팅한다. MSC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속하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의 MSC로 호를 전환하고 전환된 호는 PSTN으로 라우팅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스위칭수단(230)은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00)과 복수의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40) 사이에서의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기 된다.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스위칭수단(230)은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00)으로부터 호접속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정보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현재 회원의 위치, 통화시각 등 현재상황과 회원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된 회원의 서비스 선택조건 및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통신사업자의 서비스정보를 이용하여 회원의 서비스 선택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통신사업자를 결정한 후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00)으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결정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즉, 스위칭수단(230)은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00)으로부터 호접속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정보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현재 회원의 위치, 통화시각 등 현재상황과 회원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된 회원의 서비스 선택조건 및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통신사업자의 서비스정보를 이용하여 회원의 서비스 선택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통신사업자를 결정한 후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00)으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결정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수단(230)은 전술한 통합접속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접속서버(120)를 운영하는 운영주체가 자체적인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로서도 기능하는 경우 스위칭수단(230)은 통합접속서버(120)를 포함하는 동시에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을 구성하는 EIR(252), AUC(254), 홈위치등록기(256), VLR(258), 이동교환기(250)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서비스 선택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서비스 선택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통합접속서버(120)는 복수의 통신사업자 서비스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2)를 구축하고(S300, S302), 이와 동시 또는 이시에 회원 단말기(102) 또는 회원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선택조건을 수신하여 회원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한다(S304).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사업자 서비스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정보는 통화요금정보, 통화품질정보, 통화가능지역정보, 부가기능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회원 단말기(102) 또는 회원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선택조건은 통화요금조건, 통화품질조건, 통화가능지역조건, 부가기능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300 단계 내지 S304 단계를 수행한 후, 통합접속서버(120)는 회원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된 서비스 선택조건과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비교하여 회원이 등록한 서비스 선택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통신사업자를 선택하고,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여 도출되는 선택정보를 해당 회원의 스위칭테이블로서 생성한다(S306, S308).
스위칭테이블이 생성된 후, 통합접속서버(120)는 회원 단말기(102) 또는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선택된 통신사업자의 서비스정보를 포함하는 승인요청을 전송하고(S310), 회원 단말기(102) 또는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승인정보를 수신한다(S312).
승인정보를 분석한 결과, 회원이 생성된 스위칭테이블을 이용하는 것을 승인하는 경우 통합접속서버(120)는 생성된 스위칭테이블을 저장하고(S314), 이러한 계약내용을 스위칭테이블에 포함된 통신사업자 서비스서버(130)로 전송한다(S316).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서비스 스위칭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수의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가 회원의 선택조건에 따라 스위칭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호 발신(호 접속요청)을 위하여 회원이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조작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호 접속요청을 이동통신사업자 시스템의 기지국(212)으로 전송하고(S400), 기지국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채널을 할당하여 이동통신사업자 시스템의 이동교환기(220)로 호를 라우팅한다.
이동통신사업자 시스템의 이동교환기(220)는 AUC(224) 등을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식별정보를 분석하고,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02). 이 과정에서 이용되는 식별정보는 SIM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MNC(Mobiel Network Code)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기기 자체의 식별정보,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별도의 식별정보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요청 전화번호에 포함된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AUC(224)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식별정보에 일대일로 매칭된 통신서비스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동교환기(220)는 수신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AUC(224)로 가입자 인증을 요청하고, AUC(224)로부터 전송되는 가입자 인증결과에 따라 다음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판단한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이동통신사업자 시스템의 이동교환기(220)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 스위칭수단(230)으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정보를 요청한다(S404).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 스위칭수단(230)은 이동통신사업자 시스템의 이동교환기(220)로부터 전송되는 가상이동통신사업자 정보요청을 수신하고, 회원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회원의 서비스 선택조건과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사업자의 서비스정보를 비교하여 회원의 서비스 선택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통신사업자를 결정한 후, 이동통신사업자 시스템의 이동교환기(220)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결정정보를 전송한다(S406, S408, S410). 물론 이때, 스위칭수단(230)은 전술한 바와 같은 회원의 스위칭테이블을 참조하여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회원과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스위칭수단(230)에서 결정된 통신사업자는 일대일로 통신서비스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의 AUC(254)에는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40)은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부적격 이동통신 단말기로 판단하여 접속을 거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터넷 중개거래 등에 이용되는 다양한 기술 중 필요에 따라 채택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수단(230)을 운용하는 주체와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의 업무협약에 따라 스위칭수단(230)을 운용하는 주체에 대한 식별정보를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의 AUC(254)와 스위칭수단(230)에 저장하고, 스위칭수단(230)이 통신서비스를 결정한 후 이동교환기(220)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결정정보를 전송함에 있어 결정정보에 이러한 스위칭수단(230)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써,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40)이 스위칭수단(230)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일례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수단(230)이 통신서비스를 결정한 후 이동교환기(220)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결정정보를 전송함에 있어 결정정보에 일정한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된 임시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써, 결정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240)이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임시 식별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이외의 다양한 해결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의 이동교환기(220)는 스위칭수단(230)으로부터 전송되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결정정보를 수신하고,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과 연동되어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만약 이때, 결정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가 별도의 이동교환기를 구비하고 있는 사업자인 경우,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의 이동교환기(220)와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의 이동교환기(250) 사이에서 호전환이 수행되며(S412, S414),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의 이동교환기(250)는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호접속을 요청한 상대방측 단말기(전화기, 이동통신 단말기 등) 사이의 통화로를 설정함으로써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S416).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의 일부 구성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의 서비스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서비스 선택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서비스 스위칭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02 : 회원 단말기
110 : 네트워크 120 : 통합접속서버
130 : MVNO 서비스서버 200 : MNO 시스템
210 : BBS 220 : MNO 시스템의 MSC
230 : MVNO 스위칭수단 240 : MVNO 시스템
250 : MVNO 시스템의 MSC

Claims (15)

  1.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방법에 있어서,
    (a) 복수의 통신사업자 서비스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회원 단말기 또는 회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선택조건을 수신하여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c)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접속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 선택조건과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비교하여 회원의 서비스 선택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통신서비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통신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호접속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사업자는 동일한 이동통신망사업자(MNO, Mobile Network Operators)의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를 이용하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는 완전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부분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ESP, Enhanced Service Provider), 서비스사업자(SP, Service Provider)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되는 서비스정보는 통화요금정보, 통화품질정보, 통화가능지역정보, 부가기능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수신되는 서비스 선택조건은 통화요금조건, 통화품질조건, 통화가능지역조건, 부가기능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선택조건은 복수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선택조건에 포함된 각각의 조건은 고객의 선택에 따른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 선택조건과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이용하여 스위칭테이블을 생성/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회원의 스위칭테이블을 참조하여 통신서비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방법은,
    (d) 회원의 통신요금정산일 도래시 통신서비스 이용내역에 따라 통신요금을 산출하여 과금하고, 납부된 통신요금을 이용내역에 따라 통신사업자별로 분배하여 정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이동통신망사업자(MNO) 시스템의 기지국이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호접속요청을 수신하여 이동교환기(MSC)로 송신하는 단계;
    (c2) 이동교환기가 회원의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3) 회원이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이동교환기가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 스위칭수단으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c4) MVNO 스위칭수단이 회원의 서비스 선택조건과 통신사업자의 서비스정보를 비교하여 회원의 서비스 선택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통신서비스를 결정한 후, 상기 이동교환기로 MVNO 결정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c5) 상기 이동교환기가 MVNO 결정정보를 수신하고, 결정된 MVNO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5) 단계는 결정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이 독립적인 이동교환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의 이동교환기가 가상이동통신망 사업자 시스템의 이동교환기로 호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방법.
  11.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과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수의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서비스 중 특정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서비스를 선택/스위칭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서비스 내역을 포함하는 서비스정보를 통합접속서버로 전송하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 서비스서버;
    회원의 조작에 따라 통신 서비스 선택조건을 통합접속서버로 전송하는 회원 단말기;
    회원의 조작에 따라 통신 서비스 선택조건을 통합접속서버로 전송하고, 통합접속서버에서 결정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회원 이동통신 단말기;
    복수의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서비스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회원 단말기 또는 회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선택조건을 수신하여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이동통신망사업자(MNO) 시스템으로부터 호접속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 선택조건과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비교하여 회원의 서비스 선택조 건에 가장 부합되는 통신서비스를 결정한 후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으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결정정보를 전송하는 통합접속서버; 및
    호접속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분석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통합접속서버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정보를 요청하여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결정정보를 수신하고,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결정정보에 따라 결정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과 연동되어 호접속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데이터통신을 서비스하는 이동통신망사업자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는 완전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부분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ESP, Enhanced Service Provider), 서비스사업자(SP, Service Provider)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서비스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정보는 통화요금정보, 통화품질정보, 통화가능지역정보, 부가기능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 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단말기 또는 상기 회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선택조건은 통화요금조건, 통화품질조건, 통화가능지역조건, 부가기능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하고, 복수의 선택조건을 포함한 경우 각각의 조건은 고객의 선택에 따른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접속서버는 회원의 통신요금정산일 도래시 통신서비스 이용내역에 따라 통신요금을 산출하여 과금하고, 납부된 통신요금을 이용내역에 따라 통신사업자별로 분배하여 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
KR1020090070710A 2009-07-31 2009-07-31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10012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710A KR20110012830A (ko) 2009-07-31 2009-07-31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710A KR20110012830A (ko) 2009-07-31 2009-07-31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830A true KR20110012830A (ko) 2011-02-09

Family

ID=43772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710A KR20110012830A (ko) 2009-07-31 2009-07-31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283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797B1 (ko) * 2011-08-03 2013-07-29 최한웅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금 조성방법
WO2015016594A1 (ko) * 2013-08-01 2015-02-05 (주)오픈벡스 휴대단말기의 원터치 통화모드 제어방법
US9524521B2 (en) 2012-11-29 2016-12-20 Eba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a retail location
WO2018070715A1 (ko) * 2016-10-10 2018-04-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링크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10032063A (ko) * 2019-09-16 2021-03-24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메모 데이터를 외부 메신저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WO2021201620A1 (en) * 2020-04-01 2021-10-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edge computing service and method for the sam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797B1 (ko) * 2011-08-03 2013-07-29 최한웅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금 조성방법
US9524521B2 (en) 2012-11-29 2016-12-20 Eba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a retail location
WO2015016594A1 (ko) * 2013-08-01 2015-02-05 (주)오픈벡스 휴대단말기의 원터치 통화모드 제어방법
US10291769B2 (en) 2013-08-01 2019-05-14 Young Min JEOUNG Method for controlling one-touch call mode of mobile terminal
WO2018070715A1 (ko) * 2016-10-10 2018-04-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링크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880157B2 (en) 2016-10-10 2020-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over a selected link in multilink environment
KR20210032063A (ko) * 2019-09-16 2021-03-24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메모 데이터를 외부 메신저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WO2021201620A1 (en) * 2020-04-01 2021-10-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edge computing service and method for the same
US11770442B2 (en) 2020-04-01 202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edge computing service and method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6593B1 (en) Method for providing differing service levels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406738B2 (en) Mobile terminal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US85384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exploiting location-dependent services in a cellular radio system
US7266366B2 (en) Services on demand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N1894985B (zh) 通信系统中的控制决策
US7388854B2 (en) System for interconnecting wired and wireless phone services and method for processing call
JP2002540675A (ja) セルラー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加入者に対する異なる課金料率の適用方法及び移動端末機の位置表示方法
CN101540980A (zh) 业务优先级更新指示方法、业务优先级更新方法及装置
KR20110012830A (ko) 통신서비스 선택/스위칭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7103358B2 (en) Overlay calling plan for wireless telephone
US9374700B2 (en) Global local SIM
WO2009040761A2 (en) Cellular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simultaneous access to multiple service providers
CN102017594B (zh) 基于移动设备的移动对于预付费会话的费率改变
US201202317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SIM Card Reregistration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6909719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quality of service classes to subscribers in a network
KR100932248B1 (ko) 인바운드 로밍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로밍 부가 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8532639B2 (en) Call correcting relay system for optimizing call relaying between different telecommunication networks
KR20110012832A (ko) 통신서비스 역경매/스위칭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087557B1 (ko) 호출 대화형 고속 패킷 데이터 활성화
US20210105591A1 (en) Dynamic subscriber profile management
US200701909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wireless intelligent services
KR100924111B1 (ko) 아웃바운드 해외 로밍 서비스에서의 음성호 과금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18481A (ko) 사용자단말기가 가입된 과금서비스의 종류에 따른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100569030B1 (ko) 데이터 서비스의 패키지별 선택 및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00314605A1 (en) Assistance to mobile operators in the provision of data services in the visited mobile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