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2546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2546A
KR20110012546A KR1020090070299A KR20090070299A KR20110012546A KR 20110012546 A KR20110012546 A KR 20110012546A KR 1020090070299 A KR1020090070299 A KR 1020090070299A KR 20090070299 A KR20090070299 A KR 20090070299A KR 20110012546 A KR20110012546 A KR 20110012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hannel
broadcast signal
setting value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0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2546A/ko
Publication of KR20110012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 개의 방송 수신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유휴 방송 수신부를 이용하여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특정 채널에 대한 방송신호의 품질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방송 신호의 품질에 따라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한 유휴 수신부의 설정 값을 변경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드 환경에 맞추어 실시간으로 각 채널의 최적 수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에는 텔레비전이 대표적으로 포함되며, 최근 들어 텔레비전은 방송기술이 발전하여 방송신호를 전송하는 방식도 발전하고 그에 따라 디지털 전송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텔레비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텔레비전은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전송하기 때문에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원래 영상의 재현을 용이하게 한다.
최근에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공중파 채널만을 수신할 수 있었던 과거와는 달리 케이블 또는 위성방송을 통한 다양한 방송채널을 수신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적게는 50여 개 많게는 100여 개 이상의 채널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처음 설치되거나 신호 환경의 변화 등으로 채널 탐색이 필요할 경우에 자동 채널 탐색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자동 채널 탐색은 시작 채널번호부터 마지막 채널 번호까지 순차적으로 채널 유효 여부를 판단하며, 이에 따라 유효한 채널 정보를 기준으로 채널맵을 구성하는 기술을 말한다.
여기에서, 상기 채널맵을 구성할 때 상기 유효 신호가 존재하는 각 채널에 대해 최적의 수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설정 값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채널별로 상기 확인된 설정 값을 상기 채널맵상에 저장시킨다.
그러나, 상기 설정 값은 상기와 같은 자동 채널 탐색시에만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다양한 필드 환경에 따라 각 채널의 최적 수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설정 값이 최적 상태로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각 채널의 수신 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방송 수신부의 설정 값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각 채널에 대응되는 방송 수신부의 설정 값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최적 품질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 개의 방송 수신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유휴 방송 수신부를 이용하여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특정 채널에 대한 방송신호의 품질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방송 신호의 품질에 따라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한 유휴 수신부의 설정 값을 변경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방송 수신부;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방송 수신부; 상기 제 1 및 제 2 방송 수신부 중 유휴 방송 수신부를 통해 특정 채널에 대한 방송신호가 수신되도록 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의 품질에 의거하여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한 방송 수신부의 설정 값을 변경하는 제어부; 및 상기 채널에 대한 설정 값을 상기 변경된 설정 값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저장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양한 필드의 신호 환경에 따른 대응이 가능해지므로, 항상 사용자에게 최적 품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열악한 신호 환경에 의한 필드 클레임을 줄일 수 있어 소비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 기술하여 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 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제 1 방송 수신부(100), 제 2 방송 수신부(110), 방송신호 처리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지털 방송 신호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 및 부가 데이터를 시분할 다중화하여 패킷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형태로 전송된다.
제 1 방송 수신부(100) 및 제 2 방송 수신부(110)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방송 수신부(100)는 제 1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제 2 방송 수신부(110)는 제 2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방송신호는 상기 출력부(130)의 주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송신호이고, 상기 제 2 방송신호는 상기 출력부(130)의 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송신호일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상기 제 1 방송신호가 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 2 방송신호가 주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당연한 사항일 것이다.
상기 제 1 방송 수신부(100)는 제 1 튜너(102) 및 제 1 복조부(10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2 방송 수신부(110)는 제 2 튜너(112) 및 제 2 복조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 방송 수신부(100)는 후술할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제 1 튜너(102)와, 상기 제 1 튜너(102)를 통해 튜닝된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VSB(Vestigial Sideband) 복조과정 및 오류 정정 과정 등을 거쳐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하는 제 1 복조부(1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방송 수신부(110)는 후술할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제 2 튜너(112)와, 상기 제 2 튜너(112)를 통해 튜닝된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VSB(Vestigial Sideband) 복조과정 및 오류 정정 과정 등을 거쳐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하는 제 2 복조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신된 제 1 방송신호 및 제 2 방송신호는 별도의 역다중화부(미도시)에 의해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 및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정보로 정의되는 각종 부가 데이터로 분리되어 비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된다.
상기 역다중화부에 의해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는 방송신호 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어 출력부(130)에 표시된다. 즉, 상기 방송신호 처리부(120)는 비디오 처리부 및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출력부(130)는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디오 처리부는 MPEG-2 디코더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 러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처리부에 의해 처리되어 스피커로 출력되는데, 오디오 처리부(40)는 AC-3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나 부가정보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으로써, 이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이나 대용량 저장매체인 HDD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 지시에 따라 선택된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가 상기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동시 화면 기능 수행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제 1 채널의 방송신호가 상기 제 1 방송 수신부(100)를 통해 수신되어 상기 출력부(130)의 주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제 2 채널의 방송신호가 상기 제 2 방송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어 상기 출력부(130)의 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방송 수신부(100)가 제 2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거나, 제 2 방송 수신부(110)가 제 1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상기 수신된 제 1 채널의 방송신호가 상기 출력부(130)의 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수신된 제 2 채널의 방송 신호가 상기 출력부(130)의 주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150)는 상기 동시 화면 기능이 해제되어 유휴 방송 수신부가 존재하게 되면,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를 통해 특정 채널의 수신 상태를 최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상기 방송 수신부의 설정 값을 업데이트한다.
여기에서, 상기 업데이트되는 특정 채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상기 특정 채널은 전환이 예상되는 채널을 예측하여 확인된 채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맵상에 2번, 4번, 5번, 6번, 7번....과 같이 유효 채널이 존재하고, 현재 사용자가 시청중인 채널이 5번인 경우, 상기 전환이 예상되는 채널은 4번이나 6번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5번을 시청하기 이전에 7번을 시청중이었다면, 상기 예상 채널에는 상기 7번 채널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상기와는 다르게 상기 예상 채널은 기 설정된 선호 채널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채널은 채널맵상에 존재하는 모든 채널이 될 수 있다. 즉 채널맵상에 존재하는 채널 중 현재 사용자가 시청중인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채널이 상기 특정 채널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채널들에 대한 설정 값이 업데이트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설정 값은 상기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 수신부의 설정 값이다.
즉, 상기 방송 수신부에는 튜너 및 복조부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설정 값은 상기 튜너의 설정 값일 수도 있고, 상기 복조부의 설정 값일 수도 있으며, 상기 튜너 및 복조부를 조합한 설정 값일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튜너의 설정 값에는 LNA on/off, 감쇄 회로 on/off, Charge pump value, filter setting, TOP(Take Over Point) 등의 값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LNA On/Off 값은 튜너의 RF Path(RF 인입부부터 PLL 전까지)에 Low Noise Amplifier를 바이패스(Bypass) 시키거나, 특정한 게인(Gain)을 주기 위한 값으로써, 이는 1dB, 2dB, 3dB과 같이 다양한 게인(Gain) 값을 줄 수도 있다.
상기 감쇄회로 on/off 값은 역시 상기 튜너의 RF Path에 감쇄회로를 구성하여 바이패스(Bypass) 시키거나, 또는 신호를 감쇄시키기 위한 값이다. 여기에서, 상기 감쇄시키는 레벨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PLL Charge Pump 값은 PLL 내부의 Charge Pump 값을 조절하기 위한 값으로써, 상기 설정된 값에 따라 RF 특성이 틀려지기 때문에 좋은 품질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상기 값을 최적 값으로 설정해야 한다.
또한, 보통 RF Path, IF Path에는 필터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의 밴드 위드스(Band Width)를 넓히면, 방해 신호가 없는 경우 좋은 특성을 나타내지만, 방해신호가 큰 경우 신호 특성이 나빠지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의 밴드 위드스를 좁힐수록 방해신호 제거 특성은 좋아 지나 Target 신호에 감쇄가 생길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 값을 최적 값으로 설정해야만 좋은 품질의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TOP(Take Over Point) 값은 RF Amp 와 IF Amp의 동작 조절을 위한 레지스터 값이다.
또한, 상기 복조부의 설정 값에는 AGC controller, 등화기 tap수, NTSC trap 계수 등이 존재한다.
상기 AGC controller 값은 IF 앰프의 경우 게인을 상기 복조부에서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적용되는 IF Amp 제어 값을 의미한다.
상기 등화기 Tap 수는 미리 알고 있는 신호에 대해 분석해서, 채널의 전달 특성을 파악하고 보상하기 위한 값이다. 이때, 상기 Tap 수에 따라 수신 신호의 성능이 달라지며, 고스트(Ghost)와 같은 RF 특성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된다.
상기 NTSC Trap 계수는 ATSC 신호와 NTSC 신호가 혼재되어 들어오는 채널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 NTSC를 제거하기 위한 값이다.
이와 같이, 각 채널별로 상기 기재된 설정 값들이 최적 값으로 설정되어야만 수신 채널의 방송신호가 최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값들은 채널마다 다르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150)는 채널별로 설정된 설정 값을 구분하여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에 의한 설정 값 업데이트 과정은 하기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먼저 상기 제어부(150)는 유휴 방송 수신부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200단계). 즉, 상기와 같이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는 제 1 방송 수신부(100)와 제 2 방송 수신 부(110)가 존재하며, 상기 두 방송 수신부(110)가 현재 모두 방송신호 수신 작업을 수행중인지, 아니면 둘 중 하나만이 방송신호 수신작업을 수행중인지, 아니면 모두 방송 수신 작업을 수행중이지 않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방송 수신부 중 상기 방송신호 수신작업을 수행중이지 않는 어느 하나의 수신부가 존재하면, 상기 수신부를 유휴 방송 수신부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방송 수신부(100) 및 제 2 방송 수신부(110) 모두 방송신호 수신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 상기 두 방송 수신부 중 어느 하나의 수신부를 유휴 방송 수신부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확인 결과 유휴 방송 수신부가 존재하면, 전환이 예상되는 채널을 예측한다(210단계). 즉, 상기 제어부(150)는 채널맵상에서 현재 시청중인 채널의 이전 채널이나 다음 채널을 상기 전환 예상 채널로 예측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시청중인 채널의 바로 이전 시점에 시청중이었던 채널이나 기설정된 선호 채널을 상기 전환 예상 채널로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를 통해 예측된 전환 예상 채널은 하나의 특정 채널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채널들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에서 예측한 전환 예상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의 세팅 값을 설정한다(상기에서는 설정 값)(220단계).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에 포함된 튜너의 세팅 값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에 포함된 복조부의 세팅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튜너와 복조부의 세팅 값을 조합하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는 상기 제어부(150)를 통해 설정된 세팅 값을 적용하여 상기 예측한 전환 예상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한다(230단계).
상기와 같이 유휴 방송 수신부를 통해 전환 예상 채널의 방송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품질을 체크한다(240단계). 여기에서, 상기 방송신호 품질 체크는 SNR(Signal to Noise Ratio) 및 Packet Error Ratio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에 의해 수행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체크한 방송 신호 품질이 양호한지 여부를 확인한다(250단계). 즉, 상기 제어부(150)는 품질이 양호한 SNR(Signal to Noise Ratio) 및 Packet Error Ratio의 기준 값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신호의 품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체크한 방송신호의 품질이 양호하지 않으면, 상기 설정된 유휴 방송 수신부의 세팅 값을 변경(260단계)하며,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의 세팅 값이 변경되면, 상기 단계(230단계)로 복귀하여 상기 수행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체크한 방송신호의 품질이 양호하면,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에 설정되어 있는 세팅 값을 상기 수신한 채널의 세팅 값으로 업데이트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세팅 값은 상기 저장부(140)의 채널맵상에 저장된다(270단계).
여기에서, 상기 예측된 전환 예상 채널이 복수 개이면, 상기 단계(220단계) 로 복귀하여, 다음 예상 채널에 대한 세팅 값 업데이트 과정을 계속적으로 수행한다.
이때, 상기에서는 유휴 방송 수신부에 특정 세팅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세팅 값에 의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품질을 체크하여 업데이트 과정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에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세팅 값을 순차적으로 적용하고,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는 상기 순차적으로 적용되는 세팅 값에 의거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품질을 모두 체크하고, 상기 체크한 품질 중 가장 양호한 품질을 가진 방송신호에 따른 세팅 값을 상기 채널의 세팅 값으로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먼저 상기 제어부(150)는 유휴 방송 수신부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300단계). 즉, 상기와 같이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는 제 1 방송 수신부(100)와 제 2 방송 수신부(110)가 존재하며, 상기 두 방송 수신부(110)가 현재 모두 방송신호 수신 작업을 수행중인지, 아니면 둘 중 하나만이 방송신호 수신작업을 수행중인지, 아니면 모두 방송 수신 작업을 수행중이지 않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방송 수신부 중 상기 방송신호 수신작업 을 수행중이지 않는 어느 하나의 수신부가 존재하면, 상기 수신부를 유휴 방송 수신부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방송 수신부(100) 및 제 2 방송 수신부(110) 모두 방송신호 수신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 상기 두 방송 수신부 중 어느 하나의 수신부를 유휴 방송 수신부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확인 결과 유휴 방송 수신부가 존재하면,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에 의해 수신될 채널을 설정한다(310단계). 즉, 상기 제어부(150)는 채널맵상에서 존재하는 모든 채널 중 가장 첫 번째 위치한 채널을 상기 수신 채널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전에 수신된 채널이 존재하면, 상기 이전 수신 채널의 다음 채널을 상기 수신 채널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설정된 수신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의 세팅 값을 설정한다(상기에서는 설정 값)(320단계).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에 포함된 튜너의 세팅 값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에 포함된 복조부의 세팅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튜너와 복조부의 세팅 값을 조합하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는 상기 제어부(150)를 통해 설정된 세팅 값을 적용하여 상기 설정된 수신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한다(330단계).
상기와 같이 유휴 방송 수신부를 통해 수신 채널의 방송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품질을 체크한다(340단계). 여기에서, 상기 방송신호 품질 체크는 SNR(Signal to Noise Ratio) 및 Packet Error Ratio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에 의해 수행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체크한 방송 신호 품질이 양호한지 여부를 확인한다(350단계). 즉, 상기 제어부(150)는 품질이 양호한 SNR(Signal to Noise Ratio) 및 Packet Error Ratio의 기준 값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신호의 품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체크한 방송신호의 품질이 양호하지 않으면, 상기 설정된 유휴 방송 수신부의 세팅 값을 변경(360단계)하며,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의 세팅 값이 변경되면, 상기 단계(330단계)로 복귀하여 상기 설정된 수신 채널에 대한 세팅 값 업데이트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체크한 방송신호의 품질이 양호하면,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에 설정되어 있는 세팅 값을 상기 설정된 수신 채널의 세팅 값으로 업데이트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세팅 값은 상기 저장부(140)의 채널맵상에 저장된다(370단계).
이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채널맵상에 존재하는 모든 채널에 대해 상기와 같은 업데이트 과정을 수행하였으면 종료하고, 아니면 상기 단계(310단계)로 복귀하여 다음 채널에 대한 업데이트 과정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한다(380단계).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와 같이 세팅 값이 업데이트되면, 상기 업데이트된 세팅 값을 기준으로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의 세팅 값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에서는 유휴 방송 수신부에 특정 세팅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 된 세팅 값에 의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품질을 체크하여 업데이트 과정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에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세팅 값을 순차적으로 적용하고,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는 상기 순차적으로 적용되는 세팅 값에 의거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품질을 모두 체크하고, 상기 체크한 품질 중 가장 양호한 품질을 가진 방송신호에 설정된 세팅 값을 상기 채널의 세팅 값으로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도 4는 설정 값 업데이트 중 업데이트 중지 요건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제어부(150)는 동시 화면 기능 수행 요청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400단계). 즉,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PIP(Picture In Picture)나 POP(Picture Out Picture) 기능 실행 명령이나,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가 사용될 특정 조건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에서 상기 동시 화면 기능 수행 요청 명령이 입력되었으면, 현재 상기 설정 값 업데이트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410단계).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동시 화면 기능 수행 요청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유휴 방송 수신부가 존재하는지, 아니면 유휴 방송 수신부를 통해 설정 값 업데이트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를 통해 설정 값 업데이트 기능을 수행중이면, 상기 동시 화면 기능 수행 요청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상기 설정 값 업데이트 기능이 수행중이었던 채널 번호를 확인한다(420단계).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동시 화면 기능 수행 요청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채널의 번호를 확인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확인된 채널 번호를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시킨다(430단계).
상기와 같이 상기 채널 번호가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를 통해 수행중이었던 설정 값 업데이트 기능을 종료하고, 사용자 요청 명령에 따른 동시 화면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440단계).
이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동시 화면 기능 수행 중 상기 동시 화면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요청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450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동시 화면 기능 해제를 위한 요청 명령이 입력되었다면, 상기 저장한 채널 번호를 추출하며(460단계), 상기 추출한 채널번호부터 상기 설정 값 업데이트 동작이 계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470단계).
한편,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유휴 방송 수신부를 통해 설정 값 업데이트 기능을 수행중이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요청 명령에 따른 동시 화면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양한 필드의 신호 환경에 따른 대응이 가능해지므로, 항상 사용자에게 최적 품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열악한 신호 환경에 의한 필드 클레임을 줄일 수 있어 소비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설정 값 업데이트 중 업데이트 중지 요건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14)

  1. 복수 개의 방송 수신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유휴 방송 수신부를 이용하여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특정 채널에 대한 방송신호의 품질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방송 신호의 품질에 따라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한 유휴 수신부의 설정 값을 변경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는 전환이 예측되는 채널의 방송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는 채널 맵에 존재하는 채널의 방송 채널이며,
    상기 설정 값 업데이트는 상기 채널 맵에 존재하는 모든 채널에 대해 수행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값 업데이트 도중 동시 화면 기능이 수행되면, 상기 설정 값 업데이트 과정을 중단하고, 상기 업데이트 과정이 중단된 시점의 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화면이 해제되면, 상기 저장된 채널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업데이트 과정이 중단된 시점의 채널에서부터 상기 설정 값 업데이트를 계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수신부는 튜너 및 복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휴 수신부의 설정 값은 상기 튜너의 설정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수신부는 튜너 및 복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휴 수신부의 설정 값은 상기 복조부의 설정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품질은 SNR(Signal to Noise Ratio) 및 Packet Error Ratio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유휴 수신부에 설정될 수 있는 설정 값들을 조합하여 순차적으로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순차적으로 적용되는 설정 값들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 채널에 대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값을 변경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방송신호의 품질 중 가장 높은 품질을 가진 방송신호에 대응되는 설정 값으로 상기 채널에 대한 설정 값을 업데이트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1.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방송 수신부;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방송 수신부;
    상기 제 1 및 제 2 방송 수신부 중 유휴 방송 수신부를 통해 특정 채널에 대한 방송신호가 수신되도록 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의 품질에 의거하여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한 방송 수신부의 설정 값을 변경하는 제어부; 및
    상기 채널에 대한 설정 값을 상기 변경된 설정 값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저장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송 수신부는 제 1 튜너 및 제 1 복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방송 수신부는 제 2 튜너 및 제 2 복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 값은 상기 제 1 튜너 및 제 2 튜너에 적용되는 설정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송 수신부는 제 1 튜너 및 제 1 복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방송 수신부는 제 2 튜너 및 제 2 복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 값은 상기 제 1 복조부 및 제 2 복조부에 적용되는 설정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채널 절환 시, 상기 업데이트된 설정 값이 적용되어 해당 채 널의 방송신호가 수신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90070299A 2009-07-30 2009-07-3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10012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299A KR20110012546A (ko) 2009-07-30 2009-07-3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299A KR20110012546A (ko) 2009-07-30 2009-07-3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546A true KR20110012546A (ko) 2011-02-09

Family

ID=4377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299A KR20110012546A (ko) 2009-07-30 2009-07-3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25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466A (ko) * 2017-11-24 2019-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466A (ko) * 2017-11-24 2019-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43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channel
KR100499039B1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설정방법
US8739196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e-tuning a second tuner in anticipation of a channel surfing activity
EP1675264A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hannel setting method
US20110234915A1 (en) Digital broadcast reproducer and digital broadcast reproducing method
US7907221B2 (en) Television device
US201100300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ini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2011001254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80046887A (ko) 디지털 티브의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103143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채널 설정 방법
KR20000044771A (ko) 디지털 티브이의 이피지 정보 갱신 방법
KR100662395B1 (ko) 영상기기 및 그의 채널 전환 방법
KR100716948B1 (ko) 텔레비젼 프로그램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100971097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서비스 전환방법
KR10167102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채널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1442244B1 (ko) 디지털 방송에서의 광고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03139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채널 설정 방법
KR100863835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별 시청환경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85994B1 (ko) 영상기기 및 그 국가별 채널 운용 방법
KR100789836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이피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디지털티브이
KR101162209B1 (ko) 방송수신단말기 및 그 채널변경방법
KR100727150B1 (ko) 채널 설정 과정에서 채널 출력을 위한 텔레비젼 수상기 및방법
KR10158805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채널 탐색 방법
KR100662871B1 (ko)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JPH11355675A (ja)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