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2495A - Flocking carp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Flocking carp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2495A
KR20110012495A KR1020090070232A KR20090070232A KR20110012495A KR 20110012495 A KR20110012495 A KR 20110012495A KR 1020090070232 A KR1020090070232 A KR 1020090070232A KR 20090070232 A KR20090070232 A KR 20090070232A KR 20110012495 A KR20110012495 A KR 20110012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bers
flocking
bubbl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2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49650B1 (en
Inventor
방희동
최연호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0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650B1/en
Publication of KR20110012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4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6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Landscapes

  • Carpe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PURPOSE: A flocking carpe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which can provided shape stability of the same level as a flocking carpet which uses glass cloth as a bubble layer. CONSTITUTION: A flocking carpet manufacturing method comprises: a step of coating the upper side of a bubble layer(110) consisting of polyester non-woven fabric or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with adhesive; a step of forming a first layer(120) by transplanting one fiber on the upper side of the bubble layer coated with the adhesive; and a step of forming a support layer(160) in which a first polymer pad layer(130), a glass fiber layer(140), a second polymer pad layer(150) are lamin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ubble layer in order.

Description

플록킹 카페트와 그의 제조방법{Flocking carp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Flocking carpet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플록킹 카페트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포층이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cking carpet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cking carpet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froth, characterized in that the bubble layer is made of a polyester nonwoven fabric or a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카페트(Carpet)는 오래전부터 실내 바닥재로 사용되어오고 있는데, 카페트의 파일층을 수직(手織) 또는 제직(製織) 한 경우 카페트의 파일층을 구성하는 섬유들이 루프(Loop)형이거나 경사진 직립형으로 되어 있고 섬유의 밀도가 높지 않아 섬유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고, 이러한 카펫은 먼지나 진드기가 은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인체에 이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Carpet has been used for indoor flooring for a long time. When the pile layer of the carpet is vertical or wove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carpet layer are looped or inclined upright. The density of the fibers is not high and there is a space between the fibers, such a carpet has a problem that is not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to provide a space for hiding dust or tick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플록킹 카페트(Flocking Carpet)가 등장하였는데, 플록킹 카페트(Flocking Carpet)는 정전기를 이용해 원사(原絲)를 수직으로 세우는 플로킹(Flocking) 공법을 사용해 파일층의 섬유가 일반 카펫의 10배 이상인 8000만/m²개의 고밀도 구조인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고밀도 구조로 인해 플록킹 카페트(Flocking Carpet)는 조직이 치밀해 오염 물질의 침투와 진드기, 박테 리아의 번식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물청소도 가능해 카펫의 위생성에 대한 우려를 해결하였고, 또한 원사가 독립된 수직구조로 돼 있어 일반 카펫처럼 올이 쉽게 풀리지 않아 항상 새것 같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locking Carpet has appeared, and Flocking Carpet has a flocking method in which yarns are erected vertically using static electricity. It features a high density structure of 80 million / m², more than ten times the carpet. This high density structure prevents the Flocking Carpet's compact structure from blocking contaminants, penetration of mites and bacteria, as well as cleaning of the carpet, thus solving concerns about hygiene of carpets. Its vertical structure makes it easy to loosen all like a regular carpet so you can always have new durability.

플록킹 카페트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785632호에는 유리섬유 직물을 기포층으로 이용하여 플록킹 카페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플록킹 카페트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플록킹 카페트(100)는 유리섬유 직물로 이루어진 기포층(10)과, 나일론 섬유를 플록가공(Flocking)에 의해 기포층의 상부면에 식모시켜 형성한 파일층(20), 및 기포층의 하부면에 제 1 고분자 패드층(30), 유리섬유층(40),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50)이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는 지지층(160)의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미 공지되어 있는 일반적인 플록킹 카페트(Flocking Carpet)를 바닥에 시공하는 경우, 유리섬유 직물로 이루어진 기포층이 외부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비록 유리섬유 직물로 이루어진 기포층을 사용하는 플록킹 카페트는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은 뛰어나나 유리섬유 직물의 높은 가격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지고 작업시 간지럼움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진다.Regarding the flocking carpe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785632 discl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locking carpet using a glass fiber fabric as a bubble layer, and FIG. 1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flocking carpet that is generally used. It is shown. As shown in FIG. 1, the general flocking carpet 100 includes a bubble layer 10 made of glass fiber fabric, and a pile layer 20 formed by planting nylon fiber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bble layer by flocking. ), And a support layer 160 having a form in which the first polymer pad layer 30, the glass fiber layer 40, and the second polymer pad layer 50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bble layer. However, when a conventional flocking carpet is already known on the floor,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bubble layer made of fiberglass fabric will be exposed to the outside, although flocking using the bubble layer made of fiberglass fabric Carpet is excellent in form stability (dimension stability) but due to the high price of the glass fiber fabrics have a problem such as economical and causing tickling during work.

유리섬유 직물(Fiberglass Fabric)에 대해 좀더 살펴보면, 유리섬유가 호흡기에 흡입되거나 피부와 접촉되는 경우 자극, 피부장애, 호흡곤란을 유발할 수 있고, 섭취되는 경우 구역, 구토,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한국산업안전공단, 유리섬유 직물에 관한 물질안전보건자료(Material Safety Data Sheet)]). 특히, 플록킹 카페트가 주로 상업시설, 관공서, 병원, 유아시설, 복지시설 등에 사용되는 점을 고려해 볼 때 기포층의 유리섬유 직물을 좀더 안전한 소재로 바꿀 필요성이 있다.A closer look at the fiberglass fabric may show irritation, skin disorders and difficulty breathing if the fiber is inhaled or in contact with the respiratory tract, and may cause nausea, vomiting and diarrhea if ingested [Korea]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Material Safety Data Sheet on fiberglass fabrics]).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flocking carpets are mainly used in commercial facilities, government offices, hospitals, infant facilities, welfare facilities, etc.,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fiberglass fabric of the bubble layer to a safer material.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포층이 유리섬유 직물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인 소재로 이루어지고, 유리섬유 직물을 기포층으로 사용하는 플록킹 카페트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을 가진 플록킹 카페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oam layer is made of a safer and more economical material than the glass fiber fabric, the shape stability of the same level as the flocking carpet using the glass fiber fabric as the bubble lay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cking carpet having a (dimension stability)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포층; 플록가공(Flocking)에 의해 기포층의 상부면에 식모된 섬유로 이루어진 파일층; 및 기포층의 하부면에 제 1 고분자 패드층, 유리섬유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는 지지층;을 포함하는 플록킹 카페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bble layer consisting of a polyester nonwoven fabric or a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A pile layer made of fibers pla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bble layer by flocking; And a supporting layer having a form in which the first polymer pad layer, the glass fiber layer, and the second polymer pad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ubble lay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포층의 상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b) 접착제가 도포된 기포층의 상부면에 나일론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레이온 섬유, 및 이들의 혼합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섬유를 플록가공(Flocking)으로 식모하여 파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섬유가 식모된 기포층의 하부면에 제 1 고분자, 유리섬유 직물, 및 제 2고분자를 순서대로 코팅시켜 제 1 고분자 패드층, 유리섬유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는 지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의 제 1 고분자 및 제 2 고분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천연고무,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applying an adhesiv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ubble layer consisting of a polyester nonwoven or polypropylene nonwoven; (b) Flocking of any one of the fib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ylon fibers, polyethylene fibers, rayon fibers, and mixed fibers thereof on the top surface of the bubble-coated bubble layer to form a pile layer Making; And a first polymer pad layer, a glass fiber layer, and a second polymer pad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by coating the first polymer, the glass fiber fabric, and the second polym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ubble layer in which the fibers are implanted. Forming a support layer; wherein the first polymer and the second polymer of step (c) are made of polyvinyl chloride resin, styrene-butadiene rubber (SBR), natural rubber, polypropylene resin, and polyurethane resin.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method for producing a flocking carpet,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기포층을 형성하는 부직포의 상부면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아이소부틸렌 수지, 및 이들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올레핀 수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forming the bubble layer is coated with any one olefin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resins, polypropylene resins, polyisobutylene resins, and mixed resins thereof. It is done.

본 발명에 따른 플록킹 카페트는 기포층이 종래의 유리섬유 직물 대신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리섬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자극, 피부장애, 호흡곤란, 구역, 구토, 설사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유리섬유 직물을 기포층으로 사용하는 플록킹 카페트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을 가진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가격이 유리섬유 직물 가격의 2/5 수준임을 감안할때 제조단가가 낮아 종래의 플록킹 카페트보다 더 뛰어난 가격 경쟁력을 가진다.Flocking carp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bubble layer is made of polyester nonwoven fabric or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instead of conventional glass fiber fabrics, irritation, skin disorders, dyspnea, nausea, vomiting, diarrhea, etc. can be caused by the glass fiber I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at the same time, has almost the same form stability (dimension stability) as the flocking carpet using the fiberglass fabric as the bubble layer.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price of the polyester nonwoven fabric is about 2/5 of the price of the glass fiber fabric,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thus it has a superior price competitiveness than the conventional flocking carpe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기포층이 유리섬유 직물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인 소재로 이루어지고, 유리섬유 직물을 기포층으로 사용하는 플록킹 카페트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을 가진 플록킹 카페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록킹 카페트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cking carpet having a foam layer made of a material safer and more economical than a glass fiber fabric, and having almost the same level of form stability (dimension stability) as a flocking carpet using a fiberglass fabric as a bubble layer. It is about. Hereinafter, the flocking carp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록킹 카페트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플록킹 카페트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포층(110); 플록가공(Flocking)에 의해 기포층의 상부면에 식모된 섬유로 이루어진 파일층(120); 및 기포층의 하부면에 제 1 고분자 패드층(130), 유리섬유층(140),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150)이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는 지지층(160);을 포함한다.According to Figure 2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flocking car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cking carp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bble layer 110 made of a polyester nonwoven fabric or a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Pile layer 120 made of fibers pla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bble layer by the flocking (Flocking); And a support layer 160 having a form in which the first polymer pad layer 130, the glass fiber layer 140, and the second polymer pad layer 150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bble layer.

기포층Bubble layer

기포층을 형성하는 부직포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들이 스펀본드 방식, 멜트브라운 방식, 니들펀칭 방식 및 수분사교락방식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방식으로 웹(Web) 형태로 접합된 구조인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가 사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스펀본드 방식으로 제조되어 강도가 뛰어난 PET(Polyethylene terphethalate) 부직포가 사용된다. 기포층을 구성하는 부직포의 평량은 60 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평량이 60 g/㎡ 미만인 경우 부직포가 너무 얇아 상부면에 올레핀을 코팅(후술하는 내용 참조)하는 것이 어렵게 되고 파일층을 형성하는 섬유(예를 들어 나일론 섬유)를 플록가공(Flocking)에 의해 식모 하는데 있어서 작업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부직포 평량의 상한에는 제한이 없으나, 부직포의 원료 및 제조방법 등에 의해 제한될 것이다.The nonwoven fabric forming the bubble layer is a structure in which polyester fibers or polypropylene fibers are bonded in a web form by one metho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punbond method, a melt brown method, a needle punching method, and a water interlocking method. Phosphorous polyester nonwoven fabric or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is used. Preferably, PET (Polyethylene terphethalate) nonwoven fabric is used which is manufactured by spunbond method and has excellent strength. The basis weight of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bubble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more than 60 g / ㎡, more preferably more than 80 g / ㎡, if the basis weight is less than 60 g / ㎡ the nonwoven fabric is too thin to coat the olefin on the top surface It becomes difficult to work,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orkability | operativity may be inferior in flocking the fiber (for example, nylon fiber) which forms a pile layer by flocking. The upper limit of the nonwoven basis weight is not limited, but will be limited by the raw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nonwoven fabric.

본 발명에 따른 기포층을 형성하는 부직포는 바람직하게는 상부면이 올레핀 수지로 코팅된다. 부직포 상부면에 섬유(예를 들어 나일론 섬유)를 플록가공(Flocking)에 의해 식모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부직포의 상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섬유(예를 들어 나일론 섬유)를 부착시킨 후 정전기장을 이용하여 섬유를 세워 고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올레핀 코팅되지 않은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가 부직포 표면을 투과하여 아래로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해 접착제의 사용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부직포의 상부면을 코팅하는데 사용되는 올레핀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아이소부틸렌 수지, 및 이들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작업성이 편리한 폴리에틸렌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The nonwoven fabric forming the bubble lay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preferably coated on its upper surface with an olefin resin. The process of planting fibers (eg nylon fibers) on the top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by flocking generally involves applying an adhesive to the top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and then attaching the fibers (eg nylon fibers) on top of the static electricity. It consists of the process of fixing the fiber by using the chapter, when using the non-olefin coated nonwoven fabric, the adhesive flows down through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which may cause a problem of increasing the amount of adhesive used. The olefin resin used to coat the upper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resins, polypropylene resins, polyisobutylene resins, and mixed resins thereof, and is preferably convenient in workability. Polyethylene resins can be used.

파일층Pile

파일층은 접착제가 도포된 기포층의 상부면에 섬유를 플록가공(Flocking)으로 식모하여 형성되며, 카페트 원단의 표면을 구성하고, 카페트 제품에 쿠션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파일층을 구성하는 섬유는 나일론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레이온 섬유, 및 이들의 혼합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일론 섬유는 화재 발생시 스스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자기소화성(Self-extinguishing property)을 가지므로, 파일층을 구성하는 섬유로 나일론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플록킹 카페트의 내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ile layer is formed by flocking fiber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bble-coated layer coated with an adhesive, and forms a surface of the carpet fabric and provides a cushioning effect to the carpet product. The fibers constituting the pile layer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ylon fibers, polyethylene fibers, rayon fibers, and mixed fibers thereof, and are preferably nylon fibers. Nylon fiber has a self-extinguishing property that can generate carbon dioxide by itself in the event of a fire, and when nylon fiber is used as the fiber constituting the pile layer, the flame resistance of the flocking carpet can be improved.

파일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길이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하게는 1~5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4 ㎜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섬유의 길이가 1 ㎜ 미만이면 플록킹 카페트의 쿠션감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섬유의 길이가 5 ㎜를 초과하면 플록가공(Flocking)에 의한 식모 과정에서 섬유간의 간섭 현상이 일어나 파일층의 섬유를 일정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거나 수직으로 세우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pil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 to 5 mm, more preferably 2 to 4 mm. If the length of the fiber is less than 1 mm, the cushioning of the flocking carpet may be impaired. If the length of the fiber exceeds 5 mm, interference between the fibers may occur during the planting process due to flocking, and the fibers of the pile layer may be removed. Inclining in a direction or standing vertically may not be smooth.

파일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5~50 데니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 데니어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섬유의 섬도가 5 데니어 미만이면 너무 가늘어 플록가공(Flocking)에 의한 식모가 어려워질 수 있고, 섬유의 섬도가 50 데니어를 초과하면 기포층의 단위면적당 식모 할 수 있는 섬유수가 제한되고 파일층의 섬유수 밀도가 낮아지게 되어 플록킹 카페트로부터 발현되는 특성(오염물질의 침투 차단, 진드기, 박테리아의 번식 차단, 물청소 가능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fineness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pil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5 to 50 denier, more preferably 10 to 20 denier. If the fineness of the fiber is less than 5 denier, it may be too thin for flocking, and when the fineness of the fiber exceeds 50 denier, the number of fibers that can be planted per unit area of the bubble layer is limited, and the fiber of the pile layer is limi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ater density is lowered and the characteristics expressed from the flocking carpet (blocking penetration of contaminants, ticks, blocking of breeding of bacteria, cleaning of water, etc.) may be lowered.

파일층의 식모 섬유수는 기포층의 제곱미터 면적당 6 천만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8천만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식모 섬유수가 기포층의 제곱미터 면적당 6천만개 미만이면 파일층을 형성하는 섬유 사이의 공간이 커져서(즉, 섬유수 밀도가 낮아져서), 플록킹 카페트로부터 발현되는 특성(오염물질의 침투 차단, 진드기, 박테리아의 번식 차단, 물청소 가능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기포층의 제곱미터 면적당 식모 섬유수의 상한에는 제한이 없으나, 파일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 길이 및 플록가공(Flocking)의 공정조건들에 의해 제한될 것이다.The number of flocked fibers in the pile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more than 60 million, preferably more than 80 million per square meter area of the bubble layer, if the number of flocked fibers less than 60 million per square meter area of the bubble layer, the space between the fibers forming the pile layer increases (I.e., the density of fibers is lowered), the characteristics expressed from the flocking carpet (blocking penetration of contaminants, mites, blocking of breeding of bacteria, possible cleaning of water, etc.) may be deteriorated. There is no upper limit to the number of flocked fibers per square meter area of the bubble layer, but will be limited by the fineness, length and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flocking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pile layer.

지지층Support layer

지지층은 섬유가 식모된 기포층의 하부면에 제 1 고분자, 유리섬유 직물, 및 제 2 고분자를 순서대로 코팅시켜 형성되며, 제 1 고분자 패드층(130), 유리섬유층(140),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150)이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진다. 이중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은 플록킹 카페트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유리섬유층은 플록킹 카페트에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을 부여한다.The support layer is formed by coating the first polymer, the glass fiber fabric, and the second polymer in ord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ubble layer into which the fibers are implanted, and the first polymer pad layer 130, the glass fiber layer 140, and the second polymer. The polymer pad layer 150 is stacked in order. The first polymer pad layer and the second polymer pad layer serv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flocking carpet, and the glass fiber layer imparts morphological stability (dimension stability) to the flocking carpet.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제 1 고분자 및 제 2 고분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천연고무,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작업성, 경제성, 및 범용성을 고려할 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은 발포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은 유리섬유층에 의해 구현되는 플록킹 카페트의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바닥에 시공된 플록킹 카페트를 사용자가 밟았을 때 탄성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감각을 편안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플록킹 카페트가 실제 바닥에 적용되는 경우 크게 타일 타입(Tile type)과 롤 타입(Roll type)으로 나뉘는데,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이 비발포체 형태인 경우 주로 타일 타입(Tile type)으로 가공되고, 이 경우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 사이에 유리섬유층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이 비발포체 형태인 경우 주로 롤 타입(Roll type)으로 가공되고, 이 경우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의 중요도가 떨어져서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 사이에 유리섬유층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도 지지층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polymer and the second polymer used to form the first polymer pad layer and the second polymer pad layer are polyvinyl chloride resin, styrene-butadiene rubber (SBR), natural rubber, polypropylene resin, and polyurethane resin.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polyvinyl chloride resin in view of workability, economy, and versatility. In particular, the first polymer pad layer and the second polymer pad layer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foam, in which case the first polymer pad layer and the second polymer pad layer may be formed of a flocking carpet formed of glass fiber layers. Stability) and give elasticity when the user steps on the flocking carpet installed on the floor, thereby serving to keep the user's sense of comfort. When the flocking carpet is actually applied to the floor, it is divided into a tile type and a roll type. When the first polymer pad layer and the second polymer pad layer are non-foamed, the tile type is mainly a tile type. ), And in this case, the shape stability (dimension stability) is important, so a glass fiber layer should be formed between the first polymer pad layer and the second polymer pad layer. However, when the first polymer pad layer and the second polymer pad layer are in the form of a non-foaming body, the first polymer pad layer and the second polymer pad layer are mainly processed into a roll type. Even if the glass fiber layer is not formed between the polymer pad layer can serve as a support layer.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포층을 가지는 플록킹 카페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직포의 강도(평균 평량이 약 80 g/㎡ 임)가 유리섬유 직물의 강도(평균 평량이 약 170 g/㎡ 임)보다 작기 때문에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지층은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 사이에 유리섬유 직물이 함침되어 있는 형태의 유리섬유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층은 유리섬유 직물로 형성된 기포층과 달리 두개의 고분자 패드층에 갇혀 있어서 플록킹 카페트(Flocking Carpet)를 바닥에 시공하는 경우 외부에 거의 노출되지 않으므로, 유리섬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자극, 피부장애, 호흡곤란, 구역, 구토, 설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층에 사용되는 유리섬유 직물은 평량에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종래 플록킹 카페트에서 기포층으로 사용되는 유리섬유 직물보다 단위면적당 위사 및 경사의 수가 더 작은 느슨한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다. 종래 플록킹 카페트에서 기포층으로 사용되는 유리섬유 직물의 평량은 약 170 g/㎡ 인데, 본 발명에 의하면 이보다 더 작은 평량을 가진 유리섬유 직물로 유리섬유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유리섬유 직물을 기포층으로 사용하는 플록킹 카페트와 거의 동일한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을 가진다.For flocked carpets having a bubble layer of polyester nonwoven or polypropylene nonwoven, the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average basis weight is about 80 g / m2) is usually the strength of the glass fiber fabric (average basis weight is about 170 g / m2). Shape stability (dimension stability) may decreas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 support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lass fiber layer in which a glass fiber fabric is impregnated between the first polymer pad layer and the second polymer pad layer. Unlike the bubble layer formed of the glass fiber fabric, the glass fiber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apped in two polymer pad layers, and thus, when the flocking carpet is applied to the floor, the glass fiber layer is hardly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us may be generated by the glass fiber. May prevent irritation, skin disorders, shortness of breath, nausea, vomiting and diarrhea. The glass fiber fabric used for the glass fiber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basis weight, and may have a loose structure having a smaller number of wefts and warps per unit area than the glass fiber fabric used as a bubble layer in a conventional flocking carpet. . The basis weight of the glass fiber fabric used as the bubble layer in the conventional flocking carpet is about 170 g /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glass fiber layer is formed of a glass fiber fabric having a smaller basis weight than the bubble layer It has almost the same form stability (dimension stability) as the flocking carpet us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플록킹 카페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앞에서 기술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은 일부 생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flocking carpet, and the same parts a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플록킹 카페트의 제조방법은 (a)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포층(110)의 상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b) 접착제가 도포된 기포층의 상부면에 나일론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레이온 섬유, 및 이들의 혼합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섬유를 플록가공(Flocking)으로 식모하여 파일층(120)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섬유가 식모된 기포층의 하부면에 제 1 고분자, 유리섬유 직물, 및 제 2 고분자를 순서대로 코팅시켜 제 1 고분자 패드층(130), 유리섬유층(140),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150)이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는 지지층(16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thod for producing a flocking carp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applying an adhesiv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ubble layer 110 made of a polyester nonwoven fabric or a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b) The pile layer 120 is formed by flocking one of the fib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ylon fibers, polyethylene fibers, rayon fibers, and mixed fibers thereof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bble-coated bubble layer. Forming); And (c) coating the first polymer, the glass fiber fabric, and the second polym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ubble layer in which the fibers are implanted in order, so that the first polymer pad layer 130, the glass fiber layer 140, and the second polymer It includes; forming a support layer 160 having a form in which the pad layer 150 is stacked in order.

상기 (c) 단계의 제 1 고분자 및 제 2 고분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천연고무,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a) 단계의 기포층을 형성하는 부직포는 상부면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아이소부틸렌 수지 및 이들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올레핀 수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polymer and the second polymer of step (c)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 chloride resin, styrene-butadiene rubber (SBR), natural rubber, polypropylene resin, and polyurethane resin The nonwoven fabric forming the bubble layer of step (a) may be coated with any one olefin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resin, polypropylene resin, polyisobutylene resin, and a mixed resin thereof. It features.

(a) 단계에서 사용되는 접착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아크릴계 접작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b) 단계에서 파일층을 형성하는 섬유는 염색(침염)된 섬유인 것이 바람직한데 기포층의 상부면에 식모되는 경우 색깔을 나타내어 플록킹 카페트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The type of adhesive used in step (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preferably, polyurethane adhesives and acrylic adhesives may be used. In addition, the fiber forming the pile layer in step (b) is preferably a dyed (impregnated) fiber, but when it is plan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ubble layer can exhibit a color to increase the commerciality of the flocking carpet.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기포층의 상부면에 식모된 섬유로 이루어진 파일층(120)을 날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원하는 문양을 파일층에 프린트 함으로써 플록킹 카페트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printing a pile layer 120 made of fibers pla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bble layer between the step (b) and (c), the desired pattern pile lay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erchandise of the flocking carpet by printing on.

본 발명의 (c) 단계에서 섬유가 식모된 기포층의 하부면에 제 1 고분자, 유리섬유 직물, 및 제 2 고분자를 순서대로 코팅시키는 공정은 다이 코터, 콤마 코터, 블레이드 코터, 그라비아 코터 등에서 선책되는 코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이중, 콤마 코터(comma coater)는 높은 점도를 가진 용액 또는 페이스트를 코팅하는데 특히 유리하다.In the step (c)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coating the first polymer, the glass fiber fabric, and the second polym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ubble layer into which the fibers are planted is performed in a die coater, comma coater, blade coater, gravure coater, etc. And a comma coater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for coating solutions or pastes with high viscosity.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intended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 One. 플록킹Flocking 카페트의Carpet 제조 Produce

실시예 1.Example 1.

스펀본드 PET 부직포(평량 : 80 g/㎡)의 상부면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라미네이트 방법으로 코팅시켜 기포층을 제조하였다. 기포층의 상부면에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도포시키고, 여기에 나일론 섬유(길이 : 2~4 ㎜, 섬도 : 10~20 데니어)를 접착시킨 후 고전압의 정전기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접착된 섬유를 수직으로 식모하여 파일층을 형성하였다. 파일층을 로터리 스크린 프린터(프린트 속도 : 12 m/min) 로 염색(날염)하고, 콤타코터(코팅 속도 : 3 m/min)를 이용하여 기포층의 하부면에 PVC 수지, 유리섬유 직물(평량 : 150 g/㎡), PVC 수지를 차례로 코팅하여 지지층을 형성하여 플록킹 카페트를 제조하였다.A foam layer was prepared by coating a polyethylene resi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punbond PET nonwoven fabric (Basic weight: 80 g / m 2) by a laminating method. Polyurethane adhesive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ubble layer, and nylon fibers (length: 2-4 mm, fineness: 10-20 denier) are attached thereto, and then the bonded fibers are vertically oriented using a high voltage electrostatic generator. It was planted and the pile layer was formed. The pile layer is dyed (printed) with a rotary screen printer (printing speed: 12 m / min), and a PVC resin and glass fiber fabric (PVC) i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ubble layer using a comta coater (coating speed: 3 m / min). Basis weight: 150 g / ㎡), and then coated with a PVC resin to form a support layer to prepare a flocking carpet.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상부면에 폴리에틸렌 수지가 코팅되지 않은 유리섬유 직물(평량 : 170 g/㎡)을 기포층으로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플록킹 카페트를 제조하였다.Flocking carpet was prepa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glass fiber fabric (a basis weight: 170 g / m 2) not coated with a polyethylene resin on the upper surface was used as a bubble layer.

2. 2. 플록킹Flocking 카페트의Carpet 물성 측정 Property measurement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플록킹 카페트의 기포층 단위 면적당 식모수, 치수 안정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치수 안정성의 측정은 KSK 2621 7.8항의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구체적으로 가로 50㎝, 세로 50㎝의 샘플을 일정시간 물속에 방치한 후 꺼내어 건조기에서 건조하고, 아래의 식으로 치수 변화량을 계산하였다.Formulation number, dimensional stability per unit area of the bubble layer of the flocking carpet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The measurement of the dimensional stability was performed by the method of KSK 2621 7.8. Specifically, the samples 50 cm long and 50 cm long were left in water for some time, taken out, dried in a drier, and the dimensional change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치수변화량(%) = (I-Io)의 절대값*100/IoDimensional change (%) = absolute value of (I-Io) * 100 / Io

여기서, Io는 최초 샘플의 길이이고, I는 건조 후 샘플 길이이다.Where Io is the length of the original sample and I is the sample length after drying.

구분division 기포층 단위 면적당 식모수(개수/㎡)Number of plantings per unit area of bubble layer (number / ㎡) 치수 변화량(%)Dimensional change amount (%) 실시예 1Example 1 8천만80 million 0.150.15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8천만80 million 0.10.1

표 1의 결과와 같이 실시예 1의 플록킹 카페트는 비교예 1의 플록킹 카페트와 마찬가지로 뛰어난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을 나타내었다.As shown in Table 1, the flocking carpet of Example 1 exhibited excellent morphological stability (dimension stability) as in the flocking carpet of Comparative Example 1.

도 1은 유리섬유 직물로 이루어진 기포층을 가진 일반적인 플록킹 카페트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록킹 카페트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1 show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general flocking carpet having a bubble layer made of a glass fiber fabric, Figure 2 show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flocking car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포층(110);Bubble layer 110 made of polyester nonwoven or polypropylene nonwoven; 플록가공(Flocking)에 의해 기포층의 상부면에 식모된 섬유로 이루어진 파일층(120); 및Pile layer 120 made of fibers pla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bble layer by the flocking (Flocking); And 기포층의 하부면에 제 1 고분자 패드층(130), 유리섬유층(140),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150)이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는 지지층(160);을 포함하는 플록킹 카페트.And a support layer (160) having a form in which the first polymer pad layer (130), the glass fiber layer (140), and the second polymer pad layer (150)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bble lay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층을 형성하는 부직포는 상부면이 올레핀 수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The flocking carp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nwoven fabric forming the bubble layer is coated with an olefin resin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아이소부틸렌 수지, 및 이들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3. The flocking carpe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olefin resin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resin, polypropylene resin, polyisobutylene resin, and mixed resins thereof.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층을 구성하는 섬유 는 나일론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레이온 섬유, 및 이들의 혼합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The floc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pile layer ar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ylon fibers, polyethylene fibers, rayon fibers, and mixed fibers thereof. King carpe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길이는 1~5 ㎜ 이고, 섬도는 5~50 데니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The flocking carpe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pile layer have a length of 1 to 5 mm and a fineness of 5 to 50 deni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층의 식모 섬유수는 기포층의 제곱미터 면적당 6 천만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 플록킹 카페트.The lower flocking carpe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number of flocked fibers in the pile layer is 60 million or more per square meter area of the bubble layer.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층을 구성하는 부직포의 평량은 60 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The flocking carp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basis weight of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bubble layer is 60 g / m 2 or mor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천연고무,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고분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polymer pad layer and the second polymer pad layer comprise polyvinylchloride resin, styrene-butadiene rubber (SBR), natural rubber, polypropylene resin, and polyurethane. Flocking carpet,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resin.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은 발포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10. The flocking carpet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first polymer pad layer and the second polymer pad layer are in the form of a foam. (a)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포층(110)의 상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a) applying an adhesive to the top surface of the bubble layer (110) consisting of a polyester nonwoven or a polypropylene nonwoven; (b) 접착제가 도포된 기포층의 상부면에 나일론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레이온 섬유, 및 이들의 혼합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섬유를 플록가공(Flocking)으로 식모하여 파일층(120)을 형성하는 단계; 및(b) The pile layer 120 is formed by flocking one of the fib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ylon fibers, polyethylene fibers, rayon fibers, and mixed fibers thereof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bble-coated bubble layer. Forming); And (c) 섬유가 식모된 기포층의 하부면에 제 1 고분자, 유리섬유 직물, 및 제 2 고분자를 순서대로 코팅시켜 제 1 고분자 패드층(130), 유리섬유층(140),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150)이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는 지지층(16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c) coating the first polymer, the glass fiber fabric, and the second polym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ubble layer into which the fibers are implanted, in order, so that the first polymer pad layer 130, the glass fiber layer 140, and the second polymer pad Forming a support layer 160 having a form in which the layers 150 are stacked in order; 상기 (c) 단계의 제 1 고분자 및 제 2 고분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천연고무,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의 제조방법.The first polymer and the second polymer of step (c)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 chloride resin, styrene-butadiene rubber (SBR), natural rubber, polypropylene resin, and polyurethane resin Method for producing a flocked carpet.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기포층을 형성하는 부직포는 상부면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아이소부틸렌 수지 및 이들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올레핀 수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의 제조방법.The non-woven fabric of claim 10, wherein the nonwoven fabric forming the bubble layer of step (a) has any one olefin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resins, polypropylene resins, polyisobutylene resins, and mixed resins thereof. Method for producing a flocking carpet, characterized in that coated with. 제 10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기포층의 상부면에 식모된 섬유로 이루어진 파일층(120)을 날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inting a pile layer (120) made of fibers pla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bble layer between the steps (b) and (c). Method for producing a flocking carpet,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90070232A 2009-07-30 2009-07-30 Flocking carp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496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232A KR101549650B1 (en) 2009-07-30 2009-07-30 Flocking carp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232A KR101549650B1 (en) 2009-07-30 2009-07-30 Flocking carp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495A true KR20110012495A (en) 2011-02-09
KR101549650B1 KR101549650B1 (en) 2015-09-03

Family

ID=43772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232A KR101549650B1 (en) 2009-07-30 2009-07-30 Flocking carp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65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71619A (en) * 2013-05-31 2013-09-04 杭州墨阳科技有限公司 Production method for bamboo charcoal foot pad
KR101329730B1 (en) * 2012-09-28 2013-11-14 주식회사 피앤씨 Eco-frendly low weight carpet tile
KR20170014030A (en) 2015-07-28 2017-02-08 권남섭 Carpet fabric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572B1 (en) * 2019-06-28 2021-07-15 주식회사 금진 Flocking Carpet Ti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1775B2 (en) * 2004-01-27 2009-10-07 住江織物株式会社 Cushioning tile carpet with excellent combustion safe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818180B2 (en) * 2007-03-29 2011-11-16 株式会社サニクリーン Rental tile carp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730B1 (en) * 2012-09-28 2013-11-14 주식회사 피앤씨 Eco-frendly low weight carpet tile
CN103271619A (en) * 2013-05-31 2013-09-04 杭州墨阳科技有限公司 Production method for bamboo charcoal foot pad
KR20170014030A (en) 2015-07-28 2017-02-08 권남섭 Carpet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650B1 (en)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9595B2 (en) Decorative composite floor coverings
US8282877B2 (en) Process of making a hydroentangled product from cellulose fibers
EP2212456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hydroentangled product comprising cellulose fibers
EP2839064B1 (en) Fabric-faced floor coverings with micro-spring face structures
EP3607125B1 (en) Nonwoven cellulose fiber fabric with fiber diameter distribution
JP2000505845A (en) Decorative composite floor covering
SE413070B (en) TEXTILE SITTING AND BACKGROUND
BRPI0714536B1 (en) allergic barrier fabrics, mattress, pillow, bedding material, and lining for an allergen susceptible article
WO2011090510A1 (en) Cushioned absorbent mat
KR20110012495A (en) Flocking carp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00164616A1 (en) Optically transparent wet nonwoven cellulose fiber fabric
TW415983B (en) Modified secondary backing fabric,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nd carpet containing the same
KR102194249B1 (en) Composite fabric as well as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KR20140003667U (en) Non woven fabric flooring
WO1997001665A1 (en) Decorative composite floor coverings
JP5356268B2 (en) Tile carpet with cushioning
CN205322021U (en) Elasticity carpet
KR200463802Y1 (en) Wallpaper including woven fabric using coating yarn
JP2017042390A (en) carpet
CN109355809A (en) Spun lacing woven fabric compound nonwoven cloth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635537B1 (en) Artificial leather for vehicle interior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10155633A (en) Carpet
JP2001161541A (en) Tufted product
PL226186B1 (en) Elastic mat and method for producing elastic mat
ITTO980070U1 (en) CUTTED AND / OR PULLED FUR RUG WITH ANTI-FLYING FEATURES, PARTICULARLY BATH M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