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2265A - 입체 봉제를 이용한 경추 베개 - Google Patents

입체 봉제를 이용한 경추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2265A
KR20110012265A KR1020090069913A KR20090069913A KR20110012265A KR 20110012265 A KR20110012265 A KR 20110012265A KR 1020090069913 A KR1020090069913 A KR 1020090069913A KR 20090069913 A KR20090069913 A KR 20090069913A KR 20110012265 A KR20110012265 A KR 20110012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support part
cervical spine
suppor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4724B1 (ko
Inventor
김일한
김지한
김원태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텍스랜드앤넥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텍스랜드앤넥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텍스랜드앤넥스코
Priority to KR1020090069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72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봉제를 이용한 다분할 구조의 기능성 경추 베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면시 경추를 받쳐주는 경추받침부와 머리를 받쳐 주는 머리받침부로 이루어진 베개와, 머리받침부를 세분하여 후두부상단받침부와 후두부하단받침부로 분할시킴으로써 입체적으로 인체의 머리 및 경추를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는 베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베개는 경추받침부, 분리막에 의해 경추받침부와 분리된 후두부상단받침부 및 후두부상단받침부 내부에 형성되고 경추받침부와 시접이 연결되어 재봉되어 있는 원통형 후두부하단받침부로 이루어지고, 각 경추받침부, 후두부상단받침부 및 후두부하단받침부에 충전재가 충전되어 있는 일체형 봉제 베개이다.
기능성, 경추받침부, 머리받침부, 후두부받침부, 일체형, 입체 봉제

Description

입체 봉제를 이용한 경추 베개{Cervical Vertebrae Pillow Fabricated by Three Dimensional Sewing}
본 발명은 최적의 건강 수면을 얻을 수 있는 기능성 경추 베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체형 다분할 구조로 인체의 목과 머리 부분 및 그 경계선을 인체의 특성에 맞추어 받치도록 함으로써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잘못된 수면 자세로 생길 수 있는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어깨결림 등을 예방하며 경추를 지나는 신경, 혈관의 압박을 해소하여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함으로써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인간의 수면은 일상의 1/3 정도를 차지하므로 편안한 수면은 인체 건강, 활동 에너지 충전 등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또한, 인체의 단위 자세로는 수면시의 자세가 가장 많은 시간을 유지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잠자리에서의 바른자세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디스크 등의 질환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바른자세 유지 및 숙면을 위한 중요 요소 중의 하나가 바로 베개이다. 한편, 사람의 경추(목뼈)는 머리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탱하고 걷거나 달릴 때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기 위해 C자형 굴곡을 가지고 있는 것이 정상이며, 경추가 일자 로 서게 되면 충격 흡수 능력이 떨어져 목뼈 사이에 쿠션 역할을 해주던 디스크 역시 지속적인 압박을 받아 납작하게 찌그러들어 결국은 목디스크 질환을 유발하거나 목의 퇴행화를 촉진한다. 따라서, 수면시 바닥과 머리, 그리고 바닥과 목사이에 생기는 공간을 없애는 베개의 기본 역할 뿐만 아니라 경추가 C자형 굴곡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경추받침목 및 머리받침목 등으로 구성된 여러 베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전통적인 솜베개는 경추를 받쳐 주기 어려우므로 저탄성 폴리우레탄 또는 라텍스로 이루어진 메모리폼(memory foam) 베개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메모리폼을 이용한 베개의 경우에는 재질 특성상 압착 변형 및 탄성 복원력은 우수하지만 일정한 압착 강도로 유지되기 어렵기 때문에 실질적인 경추 보호가 어렵고, 수면 중 자세 변경, 특히 옆으로 누워 자는 형태에서는 안락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특허 10-0675262 에서는 베개의 모양을 목지지부, 뒷머리받침홈, 귀받침홈 등의 구조를 만들어 사용하였으나 그 제조방법이 복잡하고 수면중 뒤척일 경우 각 받침홈에 안착된 신체 부위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메모리폼 베개는 탄성 복원력이라는 기능성을 주로 추구하는 관계로 심미적인 측면에서는 다소 열등한 것이 사실이다. 즉, 최근의 경향인 침구의 고급화 및 다양화 등에는 따라가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또한 세탁이 어려운 관계로 세균 번식의 우려와 더불어 폴리우레탄 및 라텍스 특유의 수지 또는 고무 냄새가 문제시된다.
한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6914호에서는 절개형 메모리폼 외통 내부에 작은 내통을 다수 적재시킨 통형의 베개를 고안했으나, 전체적인 모양이 통형으로 형성되어 경추의 적절한 지지가 어렵다는 문제점과 더불어 그 제조방법이 너무 복잡하게 되었다. 그리고, 메모리폼 베개는 고탄성 소재 특성상 반발탄성이 너무 좋은 관계로 고탄성 베개를 베고 있는 머리무게와 베개의 반발탄성이 작용하여 심장 박동에 동조하는 미세한 흔들림에 의한 베개 멀미의 발생 가능성도 있다. 메모리폼 베개의 형태 변형 또는 소재 변형 등을 통해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많은 시도가 있었으나, 그 단점을 완벽하게는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단점들을 극복하고 메모리폼 베개의 장점을 살리고자 형태적인 모양을 응용하여, 전통적인 솜베개의 형태를 경추를 받쳐 줄 수 있는 모양으로 변경시킨 베개 또한 많이 시도되었다. 메모리폼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솜 또는 각종 충전재(한약재, 곡물피 등)를 함유한 베개의 형태를 경추를 받치도록 그 모양을 조합한 것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5719호에서는 목받침부와 머리받침부를 연결 봉제하거나 보통의 침대형 베개를 봉제선 또는 봉제띠를 넣어 각각의 받침부가 구분되게 만든 베개를 제안하고 있지만, 각각의 받침부를 별도로 만들어 조립 또는 하나의 공간 내부에 수용하는 방법으로 그 제조방법이 복잡하고 각 부재간의 중첩 부위가 사용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34868호에서는 보통의 침대형 베개를 머리받침부와 목받침부가 일부 구분될 수 있도록 구획 봉제띠를 형성하거나, 봉제선을 넣어주는 방법이 고안되었는데, 그 제조방법은 간단하나 일부의 봉제선만으로 구획을 나눈 관계로 정확한 목받침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사용중 구획간의 충전물 이동이 발생될 수 있어서 경추 베개의 주된 목적인 목받침과 머리받침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불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인체의 목부분 및 머리부분, 보다 세부적으로는 후두부상단, 후두부하단을 그 굴곡진 특성에 맞게 보다 편안히 괴는 것이 가능하여, 건강에 도움이 되고 심미적으로도 아름다운 기능성 경추 베개의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그 제조방법이 간단하여 산업적으로 이용 가능해야 됨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발명은, 베개 사용시 건강적인 기능과 사용자가 편안한 휴식, 수면을 취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상기의 종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도출된 것이다. 따라서 인체 특성을 최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는 경추(목)받침부, 머리받침부가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면서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경추 및 척추 굴곡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베개 및 다양한 경추의 길이 및 머리의 크기에 구애 받지 않고 그 받침 기능을 적절히 하여 경추, 척추, 머리각도 등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도록 머리받침부를 보다 세분화하여 경추받침부, 후두부상단받침부, 후두부하단받침부 등으로 그 구조를 형성하고 각각의 받침부는 독립된 다분할 일체형 구조로 형태안정성이 우수하고 사용의 편리성, 침구의 심미적인 아름다움이 뛰어난 베개를 제조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경추받침부, 분리막에 의해 경추받침부와 분리된 후두부상단받침부 및 후두부상단받침부 내부에 형성되고 경추받침부와 시접이 연결되어 재봉되어 있는 원통형 후두부하단받침부로 이루어지고, 각 경추받침부, 후두부상단받침부 및 후두부하단받침부에 충전재가 충전되어 있는 일체형 봉제 베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경추받침부의 체적이 후두부하단받침부보다 크고, 후두부상단받침부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봉 제 베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베개 사용시에 인체의 하중에 의해 상기 후두부하단받침부가 경추받침부보다 낮고, 후두부상단받침부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봉제 베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충전재로 채워진 경추받침부 및 머리받침부로 이루어지며, 분리막에 의해 경추받침부와 머리받침부가 분리되어 있는 일체형 봉제 베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경추받침부가 머리받침부보다 높고, 경추받침부의 체적이 머리받침부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봉제 베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나의 원단을 봉제하여 상기 베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체형 기능성 경추 베개는 제조방법이 간단하면서도 경추와 머리를 적절히 받치는 기능이 우수하여 인체의 경추, 척추의 굴곡선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편안한 숙면을 취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잘못된 자세로 인해 유발되는 여러 질환을 사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머리받침부를 보다 세분화시켜서 경추받침부와 후두부상단받침부, 후두부하단받침부가 일체형 다분할 구조이면서 3개의 받침부가 인접하여 위치함으로써 베개 본연의 받치는 기능에 있어 독립된 받침부가 인체의 해당 부위를 받쳐줌은 물론 인접한 일체형의 복층 구조의 특징으로 각 받침부가 연동하여 움직여 그 높이와 쿠션력이 변형 작용한다. 즉 인체 체형의 대소 및 경중에 따라 경추받침부 또는 후두부상단받침부가 과대한 하중 또는 과소의 하중을 받을 때 구조의 특성상 하나의 받침부에 적용된 하중이 인접한 후두부하단받침부에 그 힘이 연동 작용하여 적절히 분배 가능하여 인체 굴곡선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인체 체형에 관계없이 사용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다분할 일체형 기능성 경추 베개는 그 제조방법이 간단하면서 형태 안정성, 내구성, 사용 적합성 등의 이점과 외피 소재에 구애받지 않고 충전물 또한 여러 응용법이 가능하므로 사용 목적 및 사이즈에 맞도록 변형 적용함이 용이하다. 또한 기존의 메모리폼 베개의 단점과 종래의 침대형 베개 및 원통형 베개의 단점을 완벽히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베개(1)의 사시단면도이고, 도 2는 우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베개(1)는 인체의 경추굴곡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분리막에 의해 경추받침부(10)와 머리받침부(20)가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다분할 구조이면서 일체형이다. 경추받침부(10)와 머리받침부(20)는 독립된 구조이나 그 본래의 받치는 기능을 수행할 때에는 받침부 각각의 성능을 발휘함은 물론 상호 보완적인 작용이 가능하도록 일체형으로 봉제하여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여 위치한다.
베개(1)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의 사시단면도와 도 2의 우측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추받침부(10)는 인체의 경추를 적절히 지지할 수 있 도록 곡선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베개를 사용할 때 인체의 하중에 의해 경추받침부(10)가 머리받침부(20)보다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각 받침부의 체적 공간은 경추받침부(10)보다 머리받침부(20)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 베개를 바로 누워 사용할 때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체의 하중과 각 받침부의 체적과 높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충전재의 쿠션력이 차등 발휘되어 그 높이가 머리받침부(20)보다 경추받침부(10)가 높아지게 되어 경추굴곡선이 C자형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자세를 옆으로 하여 사용시에도 상기 각 받침부 체적과 높이의 상호작용으로 인체의 하중을 적절히 차등 지지해 줌으로써 경추와 척추가 일자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베개(1)는 각 받침부의 체적비는 경추받침부(10) : 머리받침부(20) = 1:3 내지 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충전재의 종류에 따라 받침부 상호간의 체적 비율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추받침부(10)와 머리받침부(20)가 인접하여 분리막에 의해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쿠션재로 투입된 충전재는 각 받침부로의 이동이 철저하게 제한되므로 인체의 부위별 받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체의 머리 부위의 큰 하중에 의한 내부 부재의 밀림 등의 형태 변형을 독립된 구조이면서 경추받침부(10)와 머리받침부(20)의 분리막이 일체형으로 봉제되어 있기 때문에 형태 안정성이 우수하다.
도 6은 베개(1)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a에서 한 장의 원단을 제 조하고자 하는 체적 비율이 나올 수 있도록 그림과 같이 구분하여 D선을 A선에 맞추고 접어 C선에 봉제하면 도 6b의 형태가 된다. 그리고 도 6c의 예시와 같이 도 6b의 B선을 A, D선에 만나게 접은 다음, 접힌 선에 봉제하면 도 6d의 구조로 2개의 독립된 공간이 형성된다. 즉 경추받침부(10)와 머리받침부(20)가 형성된다. 2개의 받침부가 형성된 도 6d를 도 6e와 같이 뒤집어서 원단의 하단 E(베개의 세로면중 한쪽)선을 봉제한다(도 6f). 이 때 방진드기, 먼지비산 방지, 고강도, 내구성 등을 위하여 봉제법은 E의 선에 1차 봉제, 보다 상세하게는 오버로크 봉제를 하고 2차 폴더(folder) 봉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2개의 독립된 받침부의 빈 공간에 적정량의 충전재를 넣는다. 이 때 충전재는 베개의 충전재로 알려진 것은 무엇이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천연솜, 마이크로파이버(microfiber), 한약재, 곡물피 등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그 충전재의 종류 및 적정 충전량에 대해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하나인 마이크로파이버(microfiber)의 경우, 경추받침부(10)와 머리받침부(20)의 충전 내용물 중량비는 1 : 0.8~1.2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적절하다. 그러나 충전재의 종류에 따라 그 충전량은 변경될 수 있다. 충전재를 투입한 후 도 6g의 미봉제된 F선에 상기 도 6f의 E선 봉제법과 동일하게 봉제한다. 그리하면 도 6h의 평면도 형태로 베개(1)가 완성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공정으로 완성된 베개는 단독으로 또는 별도의 외피를 씌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세탁 편의성, 사용감 개선 등의 측면에서는 별도의 외피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많은 이점이 있다. 외피 사용 여부 및 소재의 변경은 사용 자의 기호,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쉽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의 입체 봉제에 의한 일체형 기능성 베개(1)를 보다 세분화하여, 인체의 경추, 후두부상단, 후두부하단을 적절히 받치며 상호 작용을 하게 하여 어른이나 아이 모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분할 구조의 베개(2)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분할 구조의 베개(2)는 아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분할 구조 베개(2)는 인체의 경추굴곡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경추받침부(10)와, 분리막에 의해 경추받침부와 분리된 구획을 형성하는 후두부상단받침부(21), 및 후두부상단받침부(21) 내부에 형성된 원통형 후두부하단받침부(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개(2)는 하나의 원단을 일체형 봉제하여 제조한 일체형 베개로서, 후두부하단받침부(22)는 후두부상단받침부(21)의 내부에서 독립된 구조를 형성하고 있고, 후두부하단받침부(22)의 시접이 경추받침부(10)의 시접과 함께 재봉되어 있어서, 후두부하단받침부(22)는 경추받침부(10)와 연결되어 위치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베개(2)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베개의 사시단면도이고 도 8은 베개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을 보면, 경추받침부(10)는 인체의 경추를 적절히 지지할 수 있도록 곡선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베개를 사용할 때, 인체의 하중에 의해 받침부 각각의 높이가 경추받침부(10), 후두부하단받침부(22), 후두부상단받침부(21)의 순으로 높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체적 공간은 후두부하단받침부(22), 경추받침부(10), 후두부상단받침부(21)의 순으로 크게 형성한다. 즉 베개를 베는 경우에 인체의 하중과 상기의 높 이와 체적의 관계에서 인체의 경추굴곡선이 C자형이 되도록 인체의 하중에 의한 쿠션 높이가 경추받침부(10) > 후두부하단받침부(22) ≥ 후두부상단받침부(21)를 형성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사용시에는 경추받침부(10)가 가장 높고 인체 머리 하중에 의해 후두부상단받침부(21)가 가장 낮아지도록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다(도10, 도11 참조). 이때 체적에 의해 베개의 각 부분의 높이가 형성되는 것이므로 경추받침부(10) : 후두부상단받침부(21) : 후두부하단받침부(22)의 체적비는 2 : 8 : 1 내지 4 : 30 : 1 이며 보다 바람직한 체적비는 3 : 15 : 1 이 사용시 가장 안락하고 최적의 기능성을 발휘한다. 그러나, 체적비는 충전재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경추받침부(10)와 후두부상단받침부(21) 그리고 후두부상단받침부(21) 내부에 위치하면서 경추받침부(10)와 인접한 후두부하단받침부(22) 등의 3개 받침부가 형태적으로 안정화를 이루면서 각각의 받침부가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받침부 상호간의 충전재 이동이 전혀 불가능하다. 따라서 사용 초기는 물론 장기간 사용후에도 인체 부위별 받침 기능을 완벽히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시 충전된 내용물이 밀리는 것에 의해 베개의 형태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면중 자세 변환, 경추 굴곡선 유지, 사용중 변형 방지 등이 가능해진다. 베개의 모양 또한 도 9의 평면도와 같이 전통적인 침대형 베개의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심미적인 우수성도 가지고 있다.
도 12는 다분할 구조 베개(2)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받침부 체적 비율에 맞추어 입체 봉제를 도 12a에서 도 12h의 순서대로 실시한다.
먼저, 도 12a에서 체적비에 맞게 원단에 구획선을 그은 다음, D선을 A선에 맞추고 접어 C선에 봉제한다. 그러면 도 12b형태가 만들어지는데, 도 12c의 예시처럼 B선을 A, D선에 만나게 접어 접힌 선에 봉제한다. 이 작업으로 경추받침부(10)와 후두부상단받침부(21)가 형성된다(도 12d). 도 12d처럼 E선을 A, D, B선과 만나도록 접은 후 만나는 지점에 봉제한다. 그 형태는 도 12e의 모양이 된다. 이 작업으로 후두부하단받침부(22)가 형성된다. 3개의 받침부가 형성된 도 12e를 뒤집어서 그 하단(F. 베개의 세로면중 한쪽)을 봉제한다(도 12f). 이 때 방진드기, 먼지비산 방지, 고강도, 내구성 등의 측면에서 그 봉제법은 F의 선에 1차 봉제, 보다 상세하게는 오버로크 봉제를 하고 2차 폴더(folder) 봉제를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3개의 독립된 받침부의 빈 공간에 적정량의 충전재를 넣는다. 이 때 충전재는 기지의 사실이지만 천연솜, 마이크로파이버(microfiber), 한약재, 곡물피 등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충전재의 종류 및 적정 충전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 중 하나로서, 마이크로파이버(microfiber)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추받침부(10)와 후두부상단 받침부(21)의 충전 내용물 중량비는 1 : 1~2, 경추받침부(10)와 후두부하단받침부(22) 충전 중량비는 1 : 0.25~0.4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충전 내용물의 소재 특성에 따라 충전재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충전재 투입 후, 투입면의 미봉제된 세로면 G를 상기 F선 봉제법으로 봉제한다(도 12g, 도 12h 참조). 상술한 공정으로 완성된 베개를 단독으로 사용 또는 별도의 외피를 씌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세탁 편의성, 사용감 개선 등의 측면에 서 봤을 때 외피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많은 이점이 있다. 외피 사용 여부 및 충전물의 소재 선택은 사용자의 기호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다분할 베개(2)의 사용예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경추받침부(10), 후두부하단받침부(22), 후두부상단받침부(21)의 높이 및 쿠션감이 각 받침부의 체적 및 높이에 의해 인체 경추의 굴곡선을 최적의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머리 각도에 의해 기도 확보가 양호하여 원활한 호흡 및 신진대사가 이루어진다. 또한 경추받침부(10)와 후두부상단받침부(21)에 인접하여 후두부하단받침부(22)가 위치하면서 일체형인 구조적인 특성으로 각 받침부의 하중 지지 작용시 연동하여 그 높낮이가 변하게 되고, 적절한 반발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호 보완 작용을 한다. 그리고 독립된 받침부에 의해 형태 안정성이 있기 때문에, 바르게 누웠을 경우는 경추를 C자형 굴곡으로 유지시켜 주며, 수면 및 휴식중에 자세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독립된 받침부에 의해 적절한 지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경우에는 도 11과 같이 경추와 척추를 일자형으로 배열시켜 준다. 그러므로 어느 자세에서나 편안한 휴식 및 수면을 가능케 한다.
상기 기술과 같이 하나의 소재(천, 부직포 등)로 입체적인 다분할 구조의 경추 베개를 추가적인 부착 및 삽입이 필요없이 간단한 입체 봉제법으로 우수한 기능성 경추 베개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발명과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예시적인 실시예를 다양하게 부가, 한정하거나 크기 변경 등을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 범위는 이러한 변경과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경추받침부(10)의 체적 공간을 2,700cm3, 머리받침부(20)의 체적 공간을 11,600cm3 이 되게 55cm x 90cm 크기의 원단을 이용해서 접고 경추받침부(10) : 머리받침부(20)의 접힌 크기는 13 : 27 로 일체형 입체 봉제한다. 베개의 크기는 (50±2cm) x (40±2cm)이고, 쿠션 충전재로서 마이크로파이버를 경추받침부(10)에 200±10g, 머리받침부(20)에 180±10g 을 채워 넣는다. 추가로 적절한 크기의 면 또는 천연섬유 소재로 외피를 제작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제조한 베개를 사용 실험한 결과, 그 기능적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2
경추받침부(10)의 체적 공간을 2,700cm3, 후두부하단받침부(22)의 체적 공간을 1,020cm3, 후두부상단받침부(21)의 체적 공간을 10,600cm3 이 되도록 54cm x 107cm 크기의 원단을 이용해서 접고 경추받침부(10), 후두부상단받침부(21), 후두부하단받침부(22)의 접힌 크기는 13 : 27 : 8 로 일체형 입체 봉제한다. 제조된 베개의 크기는 (50±2cm) x (40±2cm)이고, 쿠션 충전물인 마이크로파이버를 경추받침부(10)에 200±10g, 후두부상단받침부(21)에 200±10g, 후두부하단받침부(22)에 50±10g을 채워 넣고 봉제하여 완성한다. 추가로 적절한 크기로 면 또는 천연섬유 소재로 외피를 제작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제조한 베개를 사용 실험한 결과, 그 기능적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 되었다.
실시예 3
경추받침부(10)의 체적 공간을 3,200cm3, 후두부하단받침부(22)의 체적 공간을 1,230cm3, 후두부상단받침부(21)의 체적 공간을 12,700cm3 이 되도록 64cm x 107cm 크기의 원단을 이용해서 접고 경추받침부(10) : 후두부상단받침부(21) : 후두부하단받침부(22)의 접힌 크기는 13 : 27 : 8 로 일체형 입체 봉제한다. 제조된 베개의 크기는 (60±2cm) x (40±2cm)이고, 쿠션 충전물인 마이크로파이버를 경추받침부(10)에 230±10g, 후두부상단받침부(21)에 270±10g, 후두부하단받침부(22)에 60±10g 채워 넣고 봉제하여 완성한다. 추가로 적절한 크기로 면 또는 천연섬유 소재로 외피를 제작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제조한 베개를 사용 실험한 결과 그 기능적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며 심미적인 면에서도 보다 우수하며 사용자의 기호 및 공간 크기에 맞게 변형 적용하는 것이 간단한 작업으로도 가능했다.
실시예 4
경추받침부(10)의 체적 공간을 3,770cm3, 후두부하단받침부(22)의 체적 공간을 1,430cm3, 후두부상단받침부(21)의 체적 공간을 29,100cm3 이 되도록 74cm x 127cm 크기의 원단을 이용해서 접고 경추받침부(10) : 후두부상단받침부(21) : 후두부하단 받침부(22)의 접힌 크기는 13 : 37 : 8 로 일체형 입체 봉제한다. 제조된 베개의 크기는 (70±2cm) x (50±2cm)이고, 쿠션 충전물로서 마이크로파이버를 경추받침부(10)에 280±10g, 후두부상단받침부(21)에 430±10g, 후두부하단받침부(22)에 70±10g을 채워 넣고 봉제하여 완성한다. 추가로 적절한 크기로 면 또는 천연섬유 소재로 외피를 제작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제조한 베개를 사용 실험한 결과 기능적으로 본 발명의 지향점을 충족시키며 침대 및 침구 크기와 사용자의 기호성에 따라 변경 적용이 가능했다.
도 1은 본 발명 베개(1)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2는 베개(1)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베개(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베개(1)의 사용예이다.
도 5는 베개(1)의 사용예이다.
도 6a ~ 6h는 베개(1)의 제조 방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베개(2)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8은 베개(2)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베개(2)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베개(2)의 사용예이다.
도 11은 베개(2)의 사용예이다.
도 12a~ 12h는 베개(2)의 제조 방법도이다.

Claims (7)

  1. 경추받침부, 분리막에 의해 경추받침부와 분리된 후두부상단받침부 및 후두부상단받침부 내부에 형성되고 경추받침부와 시접이 연결되어 재봉되어 있는 원통형 후두부하단받침부로 이루어지고, 각 경추받침부, 후두부상단받침부 및 후두부하단받침부에 충전재가 충전되어 있는 일체형 봉제 베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추받침부의 체적이 후두부하단받침부보다 크고, 후두부상단받침부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봉제 베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베개 사용시에 인체의 하중에 의해 상기 후두부하단받침부가 경추받침부보다 낮고, 후두부상단받침부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봉제 베개.
  4. 하나의 원단을 봉제하여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베개를 제조하는 방법.
  5. 충전재로 채워진 경추받침부 및 머리받침부로 이루어지며, 분리막에 의해 경추받침부와 머리받침부가 분리되어 있는 일체형 봉제 베개.
  6. 청구항 5에 있어서, 경추받침부가 머리받침부보다 높고, 경추받침부의 체적이 머리받침부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봉제 베개.
  7. 하나의 원단을 봉제하여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의 베개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90069913A 2009-07-30 2009-07-30 입체 봉제를 이용한 경추 베개 KR101104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913A KR101104724B1 (ko) 2009-07-30 2009-07-30 입체 봉제를 이용한 경추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913A KR101104724B1 (ko) 2009-07-30 2009-07-30 입체 봉제를 이용한 경추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265A true KR20110012265A (ko) 2011-02-09
KR101104724B1 KR101104724B1 (ko) 2012-01-10

Family

ID=43772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913A KR101104724B1 (ko) 2009-07-30 2009-07-30 입체 봉제를 이용한 경추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7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9230B2 (en) 2011-05-31 2015-07-28 Venygood Co., Ltd. Pillow having a plurality of polygonal units
KR101635472B1 (ko) 2015-01-22 2016-07-01 (주)아이에이치파트너스 기능성 베개
KR20220097011A (ko) 2020-12-31 2022-07-07 오세일 쿠션베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567B1 (ko) 2014-08-05 2016-09-09 김춘임 바로잠베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746A (ko) * 2001-06-13 2002-12-18 김택열 경추지지구조를 갖는 건강베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9230B2 (en) 2011-05-31 2015-07-28 Venygood Co., Ltd. Pillow having a plurality of polygonal units
KR101635472B1 (ko) 2015-01-22 2016-07-01 (주)아이에이치파트너스 기능성 베개
KR20220097011A (ko) 2020-12-31 2022-07-07 오세일 쿠션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724B1 (ko) 201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694Y1 (ko)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WO2017076245A1 (zh) 一种符合脊椎医学理论的睡枕
KR101104724B1 (ko) 입체 봉제를 이용한 경추 베개
KR20150000054U (ko) 경추 지지 베개
KR101656567B1 (ko) 바로잠베개
KR200469838Y1 (ko) 기능성 베개
CN100484441C (zh) 一种护颈睡枕
KR101353497B1 (ko) 베개
CN200987555Y (zh) 一种护颈睡枕
KR101787439B1 (ko) 기능성 베개
KR20100092302A (ko) 메모리폼 건강베개
KR102010447B1 (ko) 기능성 양면 베개 및 그 베개의 제조방법
KR101649980B1 (ko) 목 베개부가 장착된 기능성 베개
JP3137030U (ja) 高さと硬さの調整可能な快眠枕
KR200491545Y1 (ko) 맞춤형 기능성 베개
KR102099331B1 (ko) 기능성 베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매트
KR102169005B1 (ko) 기능성 베개
KR20150007398A (ko) 기능성 베개
CN212036998U (zh) 一种颈椎枕
CN102302301A (zh) 保健枕头
KR200233455Y1 (ko) 베개
CN217447291U (zh) 一种护颈枕芯
KR200329440Y1 (ko)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
CN202312473U (zh) 保健枕头
KR20210001000U (ko) 맞춤형 기능성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