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2204A -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2204A
KR20110012204A KR1020090069813A KR20090069813A KR20110012204A KR 20110012204 A KR20110012204 A KR 20110012204A KR 1020090069813 A KR1020090069813 A KR 1020090069813A KR 20090069813 A KR20090069813 A KR 20090069813A KR 20110012204 A KR20110012204 A KR 20110012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language
location
mobile terminal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억
한상국
Original Assignee
(주)라이브에이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이브에이비씨 filed Critical (주)라이브에이비씨
Priority to KR1020090069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2204A/ko
Publication of KR20110012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하여 어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방법 으로서, 어학 학습용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의 위치가 설정된 위치에 해당되면 학습관리 DB에서 상기 위치에 대한 학습완료 횟수를 검색하는 제2 단계; 상기 설정위치에 대하여 어학 학습데이터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제3 단계; 상기 어학학습 데이터의 성공적인 재생이 확인되면, 해당위치에 대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학습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제4 단계; 상기 학습완료신호가 수신되면 해당위치에 대하여 학습완료횟수를 추가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위치, 어학, 강제학습

Description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ANGUAGE STUDY SERVICE USED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하여 어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은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기술분야 중 하나로써, 이동 통신망 기술발전을 위해서 반드시 병행 개발되어야할 기술 분야 중 하나이다. 앞으로 진행될 차세대 이동 통신 분야(4세대 ; LTE)에서는 무선통신이 이용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표준화를 진행 중이다. 현재 이동 통신 환경에서의 무선통신은, 차량에 대한 위치정보나 선박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와,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근간 기술이다.
특히 현재 이동 통신에서의 위치 추적 서비스는, 기존에 휴대 단말기의 위치 추적 범위가 수백 미터 반경 내에 불과했던 것에서, 수십 내지 수 미터 반경 내의 범위까지 위치 추적이 가능하게 되었다. 현재 일반적으로 위치 추적 서비스에 이 용되는 무선측위 기술로는, 범지구 위치 파악 시스템(GPS : global positionin g system) 기술 내지 차동 범지구 위치 파악 시스템(DGPS :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이 가장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위치 파악 시스템(GPS 내지 DGPS) 기술은 여러 단점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 구축비용이 저렴하고 또한 위치 추적의 정확도가 높은 무선통신 기술로써,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상기에서 언급한 무선통신 기술들은 하나의 일 예들이며, 상기한 것들 이외에도 다양한 여러 무선통신 기술들이 있다. 그리고 앞으로도 차세대 이동 통신 기술과 더불어 보다 고도의 무선통신 기술이 제안될 것이다.
또한 최근 통신업계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접속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이동 통신과 인터넷의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차세대 이동 통신서비스로 이어지면서 본격적인 무선 인터넷 시대의 시발점이 되고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은, 이동 통신의 가장 큰 장점인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킨다는 점에서, 그 성장이 급진전될 전망이다.
무선 인터넷 기술에 기반한 인터넷서비스가 원활히 제공되기 위해서는,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 및 운영체계 등의 무선 인터넷 관련 표준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 이하, WAP 라 약칭함) 기술이 무선 인터넷 기술의 표준화를 선도하고 있다. WAP 기술은 이동 통신망 가입자들이 보다 쉽고 간편한 방식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표준 규격으로, 대부분의 이동 통신망 서비스업체들은 상기한 WAP 기술을 이용하여 기존 유선 인터넷에서 제공되던 다양한 서비스를 이동 통신망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점점 그 서비스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결국 앞으로 차세대 이동 통신서비스가 전개되면, 무선통신 기술에 기반한 위치 추적 서비스는 필수적인 서비스가 될 것이며, 그 위치 추적 서비스를 이용한 여러 다양한 무선 인터넷 정보 서비스가 제공될 것이다. 그리고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유선 인터넷 서비스도 무선 인터넷 서비스로 보편화될 것이다.
특히 종래의 유선 인터넷을 통해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여러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추적을 기반으로 하여, 추적된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적합한 컨텐츠를 쌍방향 데이터 교환방식으로 제공해 주는 서비스는 없다. 특히 위치 추적을 기반으로 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에 적합한 어학 학습 관련 정보들을 제공해 주는 서비스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기반으로 하여, 추적된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따라 파악되는 지형지물이나 시설(식당, 호텔, 공항, 정류장, 병원, 공원 등등)에 따라 연관된 어학 서비스용 데이터를 재생하는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방법 으로서, 어학 학습용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의 위치가 설정된 위치에 해당되면 학습관리 DB에서 상기 위치에 대한 학습완료 횟수를 검색하는 제2 단계; 상기 설정위치에 대하여 어학 학습데이터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제3 단계; 상기 어학학습 데이터의 성공적인 재생이 확인되면, 해당위치에 대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학습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제4 단계; 상기 학습완료신호가 수신되면 해당위치에 대하여 학습완료횟수를 추가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상기 학습완료 횟수가 기준횟수에 도달된 경우, 상기 위치에 대한 테스트 질문이 재생되도록 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어학 학습용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수신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가 어학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설정위치에 해당되면, 학습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설정위치에 대한 학습레벨를 검색하는 제2 단계; 상기 설정위치에 대하여 상기 제2 단계에서 판단된 학습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신호를 발생하는 제3 단계; 상기 어학학습 데이터의 성공적인 재생이 확인 되면, 해당 위치에서의 학습완료횟수를 증가시키는 제4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상기 학습완료횟수가 기준횟수에 도달될 경우, 상기 위치의 해당 레벨에 대한 테스트 질문이 재생되도록 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상기 해당위치에서의 학습완료횟수는, 해당 위치에서의 학습완료 통지 주기에 따라 가감 조정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상기 어학 학습 데이터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어학 학습용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감시하고, 감시된 위치값을 출력하는 위치감시 서버와; 가입자별로 설정위치에 따른 학습완료횟수를 저장하는 학습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감시 서버의 출력 위치값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위치인지 판단하여 휴대 단말기가 설정된 위치일 경우, 상기 설정위치에 대하여 학습완료 횟수를 검색하며 어학 학습 테이터가 상기 해당 휴대 단말기에 재생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학습완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학습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중앙제어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어학 학습용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중앙제어서버의 학습관리 데이터베이스에는 가입자별로 설정위치에 따른 학습레벨이 더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제어서버는 상기 학습레벨에 따른 어학학습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어학 학습용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외부와 통신을 위한 유무선 통신모듈;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어학 학습 데이터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어학 학습용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중앙제어서버는, 상기 학습레벨에 따른 설정위치별로 어학 학습 데이터가 저장된 어학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제어 서버는 상기 어학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레벨 학습 데이터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어학 학습용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학습관리 데이터 베이스의 학습완료횟수는, 해당 위치에서의 학습완료 통지 주기에 따라 가감 조정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어학 학습용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중앙제어서버는, 상기 위치별로 미리 설정된 기준횟수에 도달하는 학습완료통지가 수신될 때에는, 해당 휴대 단말기에 테스트 질문이 재생되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특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망의 위치 추적을 기반으로 하여, 추적된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따라 파악되는 지형지물 또는 시설(식당, 호텔, 공항, 정류장, 병원, 공원 등등)별로 서로 다른 어학 학습용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하기 때문에 현장감 있는 어학 교육을 제공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위치한 주변환경 및 지리적 특징과 학습 내용을 연관 지음으로써 유사한 주변환경에 처했을 때 자동적으로 학습한 내용이 연상되도록 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에 정합되는 어학 학습용 컨텐츠를 제공하기 때문에 기억효과를 현저히 향상시켜 학습능률을 증가시킴은 물론, 외국인을 만났을 때나 외국어로 특정 일을 해야 할 경우에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레벨별로 난이도가 상이한 컨텐츠를 마련하여 해당 위치에의 도달 횟수 및 도달 주기에 따라 레벨에 따른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하여 강제 학습 및 자동학습 관리에 의한 학습효과가 배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제어 서버측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학습관리D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어학컨텐츠 D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측 화면을 보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휴대 단말기(10), 예를 들면 이동전화 단말기, PDA, PMP, 전자사전, UMPC 등이 어학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앙제어서버(30)와 네트웍(2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중앙제어서버(30)는 어학 학습 서비스에 가입된 회원의 신상정보가 저장된 회원DB(31)와, 상기 회원DB(31)에 기록된 회원의 어학학습 관리를 위한 학습관리DB(32)와, 어학 학습 서비스용 동영상, 텍스트, 음성 등의 컨텐츠가 레벨에 맞게 기록된 어학컨텐츠 DB(3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서버(30)는 휴대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수신받기 위해 휴대 단말기(10)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위치감시서버(40)와, 상기 휴대 단말기가(10)가 이동전화 단말기 또는 그 기능을 포함하는 기기일 경우 SMS를 송수신 하기 위한 SMS 서버(5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중앙제어서버(30)는 어학 학습 서비스의 이용을 신청하여 회원 가입 및 일정한 비용지불을 완료한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단말기(10) 또는 본 어학 서비스 전용 단말기(10)의 위치를 위치감시 서버(40)를 통해 모니터링 한다(S111). 상기 단말기(10)의 위치를 모니터링 하는 것은 상기 단말기(10)내 GPS 모듈이 있는 경우에는 GPS 시스템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동전화 단말기일 경우 기지국의 위치를 이용한 삼각측정법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음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추적에 관한 기술사상은 당업자에게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사상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모니터링 중인 휴대 단말기(10)의 위치가 설정위치에 도달 또는 있는지 판단하여(S112), 상기 단말기(10)의 학습 서비스를 위한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S113). 상기 단계 S112에서 설정위치는 GPS 또는 이동전화 기지국에서 측정하는 위치의 어느 지점(Point)일 수 있고 또는 일정한 반경을 갖는 영역일 수도 있다. 상기 학습 서비스를 위한 상태라고 하는 것은 사용자가 원치 않는 상황일 경우 상기 학습 서비스를 기능을 OFF로 설정하면 상기 설정위치에 도달하더라도 학습 서비스의 이용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서비스 기능이 ON 이라 하더라도 역시 상황에 따라 이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오늘의 학습 서비스를 이용할 것이냐라는 질의를 한 뒤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토록 한다(S114). 도 6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해당 위치를 나타내어 주는 텍스트와 함께 학습 서비스 참가여부를 타진하도록 하고, 이동전화 단말기인 경우 키패드(미도시)를 이용하여 참가여부를 타진할 수 있도록 함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학습 서비스 참가여부의 타진은 이동전화 단말기일 경우 SMS(Short Message Service) 서버(50)를 이용해 달성하거나, 이동전화 단말기 내 VM(Virtual Machine) 또는 JM(Java Machine)을 이용해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서비스 전용 단말기일 경우 해당 단말기에서 구동 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의사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며 Wifi 나 Wibro를 통해 상기 의사선택 신호를 전송받도록 함이 가능하다.
상기 단계(S114)에서 사용자로부터 어학 학습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중앙제어서버(30)는 학습관리DB(32)를 검색하여 해당 단말기(10)의 사용자의 해당 위치에서의 학습 레벨을 파악하여 레벨에 따른 상기 학습 컨텐츠가 상기 휴대 단말기(10)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학습관리 DB(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위치별로 어학 학습 레벨 및 해당 레벨의 완료횟수, 해당 위치의 도달 주기, 레벨업을 위한 테스트의 Fail 횟수등이 기록된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가 이동전화 단말기와 같은 기기이면, 상기 학습 컨텐츠가 저장된 어학컨텐츠 DB(33)의 컨텐츠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에 전송하여 재생이 되도록 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10)가 본 실시예의 어학 학습 서비스를 위한 전용 단말기로서 상기 컨텐츠가 단말기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해당 레벨의 컨텐츠가 전용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해당 레벨의 어학 학습을 위한 컨텐츠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텍스트, 음성 데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어학 학습을 위한 컨텐츠는 상기 어학컨텐츠 DB(33) 또는 휴대 단말기(1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기(10)에 저장되는 경우, 상기 어학컨텐츠 DB(33)는 갱신용 어학 학습 컨텐츠가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기록된 어학 학습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위치에 따라 레벨이 구분되어 있고, 구분된 레벨에 따라 컨텐츠, 즉 동영상, 음성, 텍스트등의 컨텐츠가 기록되어 있다. 각 레벨별로 컨텐츠 학습이 완료되면 각 레벨의 합격여부를 판별하는 테스트 컨텐츠가 더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어학컨텐츠 DB(33) 또는 휴대 단말기(10)에 동일하게 기록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위치는 편의상 시설물로 하여 도면에 표시하였으나, 위도 및 경도 또는 GPS 좌표 등으로 기재되어 있음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컨텐츠의 러닝타임이 경과된 때, 사용자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완료 버튼이 조작됨으로서 성공적 학습수행이 확인되면, 중앙제어서버(30)는 휴대 단말기(10)로부터 학습완료 신호를 수신한다(S118).
상기와 같은 학습완료 신호가 설정 시간범위내 수신되지 않으면(S119), 학습 미완료 통보를 해당 휴대 단말기(S120)에 전송하고, 학습완료 신호가 설정시간 범위내에 수신되면 레벨 변동 대상인가를 판단하게 된다(S121).
상기 레벨 변동 대상인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학습관리DB(32)의 학습 완료횟수로 판단한다. 즉, 해당 위치에서 해당 레벨의 어학 학습 컨텐츠가 설정횟수 이상 학습완료 되었으면 레벨업 대상으로 판단하고, 중앙제어서버(30)는 레벨업을 위한 테스트 질문을 해당 휴대 단말기(10)에 전송하게 되며, 상기 단계(S121)에서 레벨 변동 대상이 아니면, 해당 휴대 단말기(10)에 도 8과 같은 메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학습관리DB(32)의 학습 완료횟수가 1회 증가된 사실을 통보 한다.
또한, 상기 학습완료횟수는 도 4에 도시된 학습완료통지 주기에 의해 적절하게 가감 조정됨도 가능하다. 일예를 들어, 중앙제어서버(30)에 총 10회의 학습완 료통지가 입력되면 해당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레벨업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기준횟수가 설정된 경우, 10일간 총 10회의 학습완료횟수가 발생한 제1 휴대 단말기에 레벨업 테스트 질의를 송신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레벨업에 응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제2 휴대 단말기는 5일간 총 8회의 학습완료횟수가 발생했다면, 총 10회의 기준횟수가 달성되지는 않았지만, 해당 주기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 보다 짧게 이루어졌으므로 강도높은 학습을 수행하였다고 판단, 상기 8회를 가중치로 환산하여 기준횟수 10에 도달한 것으로 보아 레벨업 테스트에 응하게 하도록 설정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13일간 10회의 학습완료 횟수가 통지된 제3 단말기의 경우 경우, 실제로 총 10회의 학습완료횟수가 발생하였어도 학습 강도가 제1 및 제2 단말기의 사용자 보다 빈약하므로 기준횟수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조정하여 추가된 학습에 대한 완료 통지가 발생된 후 레벨업 테스트에 응하게 함이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 학습완료통지 주기는 학습완료횟수를 적절히 가감조정하는 가중치로서, 학습강도를 반영하여 레벨 변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학습 집중도에 따라 조정된 진도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기준횟수는 설정위치 및 학습 레벨에 따라 적절이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레벨업을 위한 테스트 질문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휴대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 또는 재생되고, 질문에 맞는 답변을 직접 음성으로 답하거나 단문 메시지 등을 통한 텍스트 입력으로 답변을 전송받도록 함도 가능하다. 상기 중앙제어서버(30)는 해당 휴대 단말기로(10)부터 음성 또는 텍스트로 답변이 입력 되는지 판단하여(S124), 설정 시간내 답변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학습관리DB(32)의 Fail 횟수를 1회 증가하도록 하고 답변이 입력되면 입력된 답변이 맞는지 틀리는지 판단하게 된다(S126). 상기 Fail의 횟수기록은 해당 레벨에서 Fail 횟수가 설정횟수 이상이면 레벨업 대상에서 제외시키도록 하여 다시 해당 레벨을 학습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레벨은 어느 설정위치에 대해서는 단일 레벨만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단계(S126)에서 입력된 답변이 맞는 답변이면, 상기 어학관리 DB(32)에 해당 단말기(10)의 사용자의 학습 레벨을 1단계 상승시켜, 이후에 동일장소 방문시에는 1단계 레벨이 상승된 학습 컨텐츠를 제공받아 학습 서비스를 이용함이 가능해 진다. 통상 하위레벨 컨텐츠는 간단한 문형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위레벨의 컨텐츠는 하위레벨의 컨텐츠의 내용을 포함하되 좀 더 복잡하고 고급스런 문형이 추가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학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10)는 어학 컨텐츠가 내장되는 경우, 상기 어학 컨텐츠가 기록되는 메모리 수단(미도시)과, 외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미도시)이 구비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메모리 수단은 상기 휴대 단말기(10)내 마련되는 하드 디스크 또는 플래시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모리 커넥터를 통한 메모리 카드군으로 구현됨도 당업자에게는 당연하다.
상기 휴대 단말기(10)의 통신모듈은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이동 전화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모듈일 수 있으며, 블루투스(Blue-tooth), Wifi, Wibro, RFID, USB, Ethernet, GPS 등 다양한 통신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제어 서버측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학습관리D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어학컨텐츠 D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측 화면을 보이는 도면

Claims (12)

  1. 어학 학습용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의 위치가 설정된 위치에 해당되면 학습관리 DB에서 상기 위치에 대한 학습완료 횟수를 검색하는 제2 단계;
    상기 설정위치에 대하여 어학 학습데이터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제3 단계;
    상기 어학학습 데이터의 성공적인 재생이 확인되면, 해당위치에 대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학습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제4 단계;
    상기 학습완료신호가 수신되면 해당위치에 대하여 학습완료횟수를 추가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완료 횟수가 기준횟수에 도달된 경우, 상기 위치에 대한 테스트 질문이 재생되도록 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방법.
  3. 어학 학습용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수신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가 어학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설정위치에 해당되면, 학습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설정위치에 대한 학습레벨를 검색하는 제2 단계;
    상기 설정위치에 대하여 상기 제2 단계에서 판단된 학습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신호를 발생하는 제3 단계;
    상기 어학학습 데이터의 성공적인 재생이 확인 되면, 해당 위치에서의 학습완료횟수를 증가시키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완료횟수가 기준횟수에 도달될 경우, 상기 위치의 해당 레벨에 대한 테스트 질문이 재생되도록 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위치에서의 학습완료횟수는,
    해당 위치에서의 학습완료 통지 주기에 따라 가감 조정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 학습 데이터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 비스 제공방법.
  7. 어학 학습용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감시하고, 감시된 위치값을 출력하는 위치감시 서버와;
    가입자별로 설정위치에 따른 학습완료횟수를 저장하는 학습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감시 서버의 출력 위치값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위치인지 판단하여 휴대 단말기가 설정된 위치일 경우, 상기 설정위치에 대하여 학습완료 횟수를 검색하며 어학 학습 테이터가 상기 해당 휴대 단말기에 재생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학습완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학습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중앙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서버의 학습관리 데이터베이스에는 가입자별로 설정위치에 따른 학습레벨이 더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제어서버는 상기 학습레벨에 따른 어학학습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외부와 통신을 위한 유무선 통신모듈;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어학 학습 데이터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서버는,
    상기 학습레벨에 따른 설정위치별로 어학 학습 데이터가 저장된 어학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제어 서버는 상기 어학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레벨 학습 데이터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관리 데이터 베이스의 학습완료횟수는,
    해당 위치에서의 학습완료 통지 주기에 따라 가감 조정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서버는,
    상기 위치별로 미리 설정된 기준횟수에 도달하는 학습완료통지가 수신될 때에는, 해당 휴대 단말기에 테스트 질문이 재생되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특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90069813A 2009-07-30 2009-07-30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12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813A KR20110012204A (ko) 2009-07-30 2009-07-30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813A KR20110012204A (ko) 2009-07-30 2009-07-30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204A true KR20110012204A (ko) 2011-02-09

Family

ID=43772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813A KR20110012204A (ko) 2009-07-30 2009-07-30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22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6611A3 (ko) * 2017-04-04 2019-01-1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88982A (ko) * 2019-01-16 2020-07-24 김종득 외국어 학습이 가능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6611A3 (ko) * 2017-04-04 2019-01-1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88982A (ko) * 2019-01-16 2020-07-24 김종득 외국어 학습이 가능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1780B2 (en) Surveying wireless device users by location
CN1779682B (zh) 用于知晓位置的应用程序的系统和方法
US110374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ed individual violation instruction
KR101659649B1 (ko) 구조화된 통신을 이용하기 위한 관측 플랫폼
US200502028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e of geographic location and user profiles over a wireless network
CN103516768A (zh) 互动系统
BRPI0713162A2 (pt) sistema de análise do uso de aplicaçações de serviço com base em localização para um dispositivo móvel, servidor analìtico para análise do uso de aplicações de serviço com base local em uma rede móvel e método de fornecimento de análise com base em localização do uso de uma aplicação com base em localização por um dispositivo móvel ao longo de uma rede móvel
CN106815345A (zh) 一种实时数据的显示方法及一种移动终端
US11954310B2 (en) Customized interactive computing environment
WO2019205398A1 (zh) 用户行为激励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110012204A (ko) 지리적 연상작용을 이용한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1821588A (zh) 位置服务
JP4659844B2 (ja) 情報送信システム
CN109313827A (zh) 课堂签到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WO2021136378A1 (zh) 处理导航信息的方法及装置
KR20040012289A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골프장관리방법
CN109785198A (zh) 基于数据分析的纪律约束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Wang et al. Helping campaign initiators create mobile crowd sensing apps: a supporting framework
CN107682809A (zh) 一种计算机可读存储介质、移动终端及计算机系统
CN107750049A (zh) 一种基于iBeacon和GPS的高校跑步管理系统与方法
Lee Child tracking system
TWI431545B (zh) 行動學習導航系統與方法
KR20040033527A (ko) 지피에스 기능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 및이를 구현한 이동통신 전화기
Rafael UCAT: Ubiquitous Context Awareness Tools for The Blind
WO Travel Assistant Device (TAD) to Aid Transit Riders with Special Nee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