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952A -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952A
KR20110011952A KR1020090069444A KR20090069444A KR20110011952A KR 20110011952 A KR20110011952 A KR 20110011952A KR 1020090069444 A KR1020090069444 A KR 1020090069444A KR 20090069444 A KR20090069444 A KR 20090069444A KR 20110011952 A KR20110011952 A KR 20110011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secondary battery
charge
switch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7327B1 (ko
Inventor
천창열
Original Assignee
(주)미섬시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섬시스텍 filed Critical (주)미섬시스텍
Priority to KR1020090069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32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1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9/025Current limitation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reverse polarity correcting or protec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 보호회로에서 충전차단용 트랜지스터(FET)를 이용하여 충전전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배터리 팩(Pack) 출력단자(P+, P-)에 연결된 제너전류제한 저항(R1)과, 제너다이오드(ZD1); 상기 제너다이오드(ZD1)의 캐소드와 애노드단에 상기 제너다이오드(ZD1)와 병렬 연결된 이차전지 충전전류값 설정용 제 1, 제 2 제너전압 분압저항(R2, R3); 상기 충전전류값 설정용 제 1, 제 2 제너전압 분압저항(R2, R3) 사이에 일단이 연결된 적분회로용 저항(R7); 상기 배터리 팩(Pack) 출력단자 중 - 출력단(P-)과, 리튬이차전지(Cell) 연결단자 중 -연결단자(B-) 사이에 연결된 전류검출저항(R6); -입력단은 상기 적분회로용 저항(R7)에 연결되고, +입력단은 상기 전류검출저항(R6)과, 이차전지 -측 연결 단자(B-)에 연결되며, 출력단은 상기 충전차단용 스위치(Q1)의 게이트에 캐소드가 연결된 다이오드(D1)의 애노드에 연결된 연산증폭기(U2); 및, 상기 연산증폭기(U2)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C1)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제어회로를 제공한다.
이차전지, 보호회로

Description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 제어회로{battery charging current control circuit of protection circuit fo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이차전지 보호회로에서 충전차단용 트랜지스터(FET : Field Effect Transistor)를 이용하여 충전전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은 리튬이온 배터리 셀과, 배터리의 온도/전류/전압 등을 측정하여 잔존용량 등을 계산하기 위한 컨트롤러와,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컨트롤러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충/방전회로를 차단시키는 보호회로 IC와, 팩 단자(또는 충방전단자) 등이 배치된 보호회로로 이루어진다.
배터리 팩의 종류에 따라서 보호회로 IC와 컨트롤러가 일체로 형성되기도 한다.
배터리 보호회로는, 과충전방지, 과방전방지, 단락방지, 과전류 및 과온도 방지를 위한 다양한 스위치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종래 휴대용 기기에 사용되는 1~4개 정도의 배터리 셀을 사용하는 소용량의 배터리 팩의 경우에는 배터리 셀의 단자 음극(陰極)과 팩 단자 음극 사이에 과충전/과방전시 회로를 차단시킬 수 있는 트랜지스터(FET)를 각각 배치하며 배터리 셀의 단자 양극(陽極)과 팩 단자 양극이 서로 직접 연결되도록 한다.
그러나, 전기 자동차/스쿠터/골프카트와 같이 대용량의 전압/전류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통상 5개 이상의 배터리 셀을 직결로 연결하며 배터리 셀의 단자 음극(陰極)과 팩 단자 음극를 직접 연결한다. 그리고, 배터리 셀의 단자 양극(陽極)과 팩 단자 양극사이에 제어가 용이한 P채널 트랜지스터(FET)를 병렬로 연결하여 과충전/과방전시 전원공급회로를 차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이차전지 보호회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차전지 보호회로도이다.
종래 기술의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 제어 회로는 이차전지 보호회로(U1), 연산증폭기(U2), 충전전류제한저항(R1), 트랜지스터(Q4) 베이스 전류제어 저항(R2),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제어 저항(R3),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분압 저항(R4),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분압 저항(R5), 전류검출저항(R6), 충전차단스위치(Q1), 방전차단스위치(Q2), 충전전류제어용 스위치(Q3),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제어용 트랜지스터(Q4)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차전지 보호회로(U1)는 배터리 팩(Pack) 출력단자(P+, P-)와, 리 튬이차전지(Cell) 연결단자(B+, B-) 사이에 구성되어, 이차전지를 보호하기 위한 충전차단용 스위치(Q1)를 제어하거나, 방전차단용 스위치(Q2)를 제어한다.
이때, 충전차단용 스위치(Q1)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출력단(CHG)은 충전차단용 스위치(Q1)의 게이트에 연결되고, 방전차단용 스위치(Q2)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출력단(DCH)은 방전차단용 스위치(Q2)의 게이트에 연결된다.
한편, 방전차단용 스위치(Q2)의 드레인은 리튬이차전지 연결단자 중 + 단자(B+)에 연결되고, 방전차단용 스위치(Q2)의 소오스는 충전차단용 스위치(Q1)의 소오스와 연결된다.
충전차단용 스위치(Q1)의 드레인은 충전전류제어용 스위치(Q3)의 소오스와 연결된다.
충전전류제어용 스위치(Q3)의 드레인은 배터리 팩(Pack) 출력단자 중 + 단자(P+)와 연결되고, 충전전류제어용 스위치(Q3)의 게이트는 연산증폭기(U2)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연산증폭기(U2)의 -입력단은 배터리 팩(Pack) 출력단자 중 - 단자(P-)에 연결되고, +입력단은 리튬이차전지 연결단자 중 - 단자(B-)에 연결된다. 이때, 연산증폭기(U2)의 -입력단과 +입력단 사이에는 전류검출저항(R6)이 연결된다.
한편,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제어용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는 충전차단스위치(Q1)의 게이트에 연결되고, 에미터는 배터리 팩(Pack) 출력단자 중 + 단자(P+)와 충전전류제어용 스위치(Q3)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되며, 베이스는 충전차단스위치(Q1)의 소오스 및 충전전류제어용 스위치(Q3)의 소오스측 사이에 연결된 다.
이때, 트랜지스터(Q4) 에미터단과 충전차단스위치(Q1)의 드레인 사이에는 충전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충전전류제한저항(R1)이 연결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와 충전차단스위치(Q1)의 드레인 사이에는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 전류를 제어하는 베이스전류제어 저항(R2)이 연결된다.
또한,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와 충전차단스위치(Q1)의 게이트사이에는 충전차단스위치(Q1)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제어 저항(R3)이 연결된다.
한편,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와 충전차단스위치(Q1)의 드레인사이에는,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을 분압하기 위한 게이트전압분압 저항(R4)이 연결되고, 충전차단용 스위치(Q1)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출력단(CHG)과 충전차단스위치(Q1)의 게이트 사이에는 게이트 전압분압 저항(R5)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보호회로에서는, 방전시에는 배터리 출력단자 중 - 출력단(P-)과 리튬이차전지 연결단자 중 - 단자(B-)로 전류가 흐르면, 전류검출저항(R6)에 생성된 전압에 의해 연산증폭기(U2) 출력이 로우(LOW)가 된다.
그에 따라 충전전류제어용 스위치(Q3)는 턴-온(ON)되어 리튬이차전지(Cell)의 출력을 높인다.
그리고, 충전시는 그와는 반대방향으로 전류가 흘러 연산증폭기(U2) 출력이 하이(HIGH)가 되므로 충전전류제어용 스위치(Q3)가 턴 오프(OFF) 되어 충전전류제한저항(R1)에 전류가 흐르게 되며, 그에 따라 생성된 전압이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제어용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 전압에 도달하면 트랜지스터(Q4)가 턴-온(ON) 되어 충전차단용 스위치(Q1)를 턴-오프(OFF)하게 되므로 적절한 충전전류제한저항(R1)값의 선택에 의해 충전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P채널 트랜지스터(FET)로 구성되는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제어용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 전압은 약 0.7V로 고정되어 사용되므로, 있으므로 원하는 충전전류를 얻기 위해서는 비교적 고가이며 큰 용량의 충전전류제한 저항(R1) 저항을 선정하여야 하는데, 그와 같이 고가이며 큰 용량의 충전전류제한저항을 다양하게 선정하기에 어려웠다.
둘째, P채널 FET는 N채널 FET와 비교하여 그 가격이 2-3배 정도 비싼데, 충전전류제어용 스위치(Q3)로써 고가의 P채널 FET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고, 이는 곧 소비자에게 전달될 수 있어 소비자가가 올라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셋째, 방전시 충전전류제어용 스위치(Q3)의 턴-온(ON) 저항값에 의한 전체 전지팩의 출력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차전지 보호회로에서 충전전류 제어를 위한 별도의 스위치없이, 충전차단용 트랜지스터(FET)를 이용하여 충전전류까지 제어할 수 있는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 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 팩 출력단자(P+, P-)와 이차전지 연결단자(B+, B-) 사이에서 이차전지를 보호하기 위한 충전차단용 스위치(Q1)와, 방전차단용 스위치(Q2) 및 상기 충전차단용 스위치(Q1)와, 방전차단용 스위치(Q2)를 제어하는 이차전지 보호회로를 포함하는 충전전류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Pack) 출력단자(P+, P-)에 연결된 제너전류제한 저항(R1)과, 제너다이오드(ZD1); 상기 제너다이오드(ZD1)의 캐소드와 애노드단에 상기 제너다이오드(ZD1)와 병렬 연결된 이차전지 충전전류값 설정용 제 1, 제 2 제너전압 분압저항(R2, R3); 상기 충전전류값 설정용 제 1, 제 2 제너전압 분압저항(R2, R3) 사이에 일단이 연결된 적분회로용 저항(R7); 상기 배터리 팩(Pack) 출력단자 중 - 출력단(P-)과, 리튬이차전지(Cell) 연결단자 중 -연결단자(B-) 사이에 연결된 전류검출저항(R6); -입력단은 상기 적분회로용 저항(R7)에 연결되고, +입력단은 상기 전류검출저항(R6)과, 이차전지 -측 연결 단자(B-)에 연결되며, 출력단은 상기 충전차단용 스위치(Q1)의 게이트에 캐소드가 연결된 다이오드(D1)의 애노드에 연결된 연산 증폭기(U2); 및, 상기 연산증폭기(U2)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C1)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제어회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류검출저항(R6)에 역방향 전류가 흘러 상기 연산증폭기(U2)의 - 입력단에 연결된 적분회로용 저항(R7)과, 상기 연산증폭기(U2)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C1)에 의한 적분값이 출력되어 상기 충전차단스위치(Q1)의 게이트를 턴-오프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너전류제한 저항(R1)의 일단은 배터리 팩(Pack) 출력단자 중 + 출력단자(P+)에 연결되고, 제너전류제한 저항(R1)의 타단은 제너다이오드(ZD1)의 캐소드에 연결되며, 제너다이오드(ZD1)의 애노드는 배터리 팩(Pack) 출력단자 중 - 출력단자(P-)에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차단용 스위치(Q1)의 드레인과 게이트에는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분압을 위한 게이트 전압분압 제 1 저항(R4)의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분압 제 1 저항(R4)과 상기 이차전지 보호회로 사이에는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분압 제 2 저항(R5)이 직렬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분압 제 1 저항(R4)과 제 2 저항(R5)이 접점되는 위치에 상기 다이오드(D1)의 캐소드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별도의 충전차단스위치 게이트 전압제어용 트랜지스터(Q4)가 없이도 충전차단스위치(Q1)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충전전류제한 저항(R1) 저항을 선정하여야 할 필요가 없다.
둘째, 충전전류제어용 스위치(Q3)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경제성이 향상되고 이는 곧 소비자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어 저렴한 제품의 공급이 가능하다.
셋째, 방전 시 충전전류제어용 스위치(Q3)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체 전지 팩(Pack)의 출력특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 제어회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여,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 제어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 제어회로는, 이차전지 보호회로(U1), 연산증폭기(U2), 제너다이오드(ZD1)의 제너전류제한 저항(R1), 충전전류값 설정용 제 1 제너전압 분압저항(R2), 충전전류값 설정용 제 2 제너전압 분압저항(R3),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분압 제 1 저항(R4),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분압 제 2 저항(R5), 전류검출저항(R6), 연산증폭기(U2)의 적분회로용 저항(R7), 연산증폭기(U2)의 적분회로용 커패시터(C1), 충전차단스위치(Q1), 방전차단스위치(Q2), 다이오드(D1), 제너다이오드(ZD1)로 구성된다.
우선, 이차전지 보호회로(U1)는 배터리 팩(Pack) 출력단자(P+, P-)와, 리튬이차전지(Cell) 연결단자(B+, B-) 사이에 구성되어, 이차전지를 보호하기 위한 충전차단용 스위치(Q1)를 제어하거나, 방전차단용 스위치(Q2)를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이차전지 보호회로(U1)에서 충전차단용 스위치(Q1)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출력단(CHG)은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분압 제 2 저항(R5)을 통해 충전차단용 스위치(Q1)의 게이트에 연결되고, 방전차단용 스위치(Q2)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출력단(DCH)은 방전차단용 스위치(Q2)의 게이트에 연결된다.
그리고, 방전차단용 스위치(Q2)의 드레인은 리튬이차전지 연결단자 중 + 단 자(B+)에 연결되고, 방전차단용 스위치(Q2)의 소오스는 충전차단용 스위치(Q1)의 소오스와 연결된다.
한편, 충전차단용 스위치(Q1)의 드레인은 배터리 팩(Pack) 출력단자 중 + 단자(P+)와 연결된다. 그리고 충전차단용 스위치(Q1)의 드레인과 게이트는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분압 제 1 저항(R4)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되고,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분압 제 1 저항(R4)과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분압 제 2 저항(R5)은 직렬연결된다.
그리고, 배터리 팩(Pack) 출력단자(P+, P-)에는 제너다이오드(ZD1)가 연결된다. 이때 배터리 팩 출력단자의 -단자(P-)에는 제너다이오드(ZD1)의 애노드가 연결되고, 제너다이오드(ZD1)의 캐소드는 배터리 팩(Pack) 출력단자의 + 단자(P+)와 연결되는데, 제너다이오드(ZD1)의 캐소드와 배터리 팩 출력단자의 + 단자(P+)사이에는 제너다이오드(ZD1)의 제너전류제한 저항(R1)이 연결된다.
또한 제너다이오드(ZD1)와는 병렬로 제너다이오드(ZD1)의 캐소드와 애노드단에 충전전류값 설정용 제 1, 제 2 제너전압 분압저항(R2, R3)이 연결되며, 충전전류값 설정용 제 1, 제 2 제너전압 분압저항(R2, R3)은 서로 간에는 직렬연결된다.
또한 충전전류값 설정용 제 1, 제 2 제너전압 분압저항(R2, R3) 사이에는 연산증폭기(U2)의 적분회로용 저항(R7)의 일단이 연결되고, 연산증폭기(U2) 적분회로용 저항(R7)의 타단은 연산증폭기(U2)의 -단과 연결된다.
한편, 배터리 팩(Pack) 출력단자 중 - 출력단(P-)과, 리튬이차전지(Cell) 연결단자 중 -연결단자(B-) 사이에는 전류검출저항(R6)이 구성된다.
연산증폭기(U2)의 +단은 리튬이차전지(Cell)의 -연결단자(B-)에 연결된 전류검출저항(R6)에 연결된다.
그리고 연산증폭기(U2)의 출력단과 연산증폭기(U2)의 - 입력단 사이에는 연산증폭기(U2) 적분회로용 커패시터(C1)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연산증폭기(U2)의 출력단과 충전차단스위치(Q1)의 게이트 사이에는 다이오드(D1)가 연결되며 이때, 다이오드(D1)의 애노드는 연산증폭기(U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충전차단스위치(Q1)의 게이트에는 다이오드(D1)의 캐소드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충전전류의 기준전압은 제너다이오드(ZD1)와 제너전류제한 저항(R1)에 의해 1차로 정해지며, 이를 제 1, 제 2 제너전압 분압저항(R2, R3)에 의해 필요한 전압으로 재분압된다.
우선, 기본적으로 충전 시에는 배터리 팩(P+, P-)에서 리튬이차전지(B+, B-)로 충전되고, 방전시에는 리튬이차전지에서 배터리 팩으로 방전된다.
한편, 방전 시에는 배터리 팩(Pack) - 출력단자(P-)와, 리튬이차전지(Cell)의 - 연결단자(B-)로 흐르는 전류를 전류검출저항(R6)에 의해 생성된 전압이 연산증폭기(U2)의 +단에 입력되고, 그에 따라 연산증폭기(U2) 출력이 로우(LOW)로 유지된다. 이때, 다이오드(D1)에 의해 충전차단스위치(Q1)에는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그리고, 충전 시에는 전류검출저항(R6)에 역방향의 전류가 흘러 연산증폭 기(U2)에 연산증폭기(U2) 적분회로용 저항(R7)과 연산증폭기(U2)의 적분회로용 커패시터(C1)에 의한 (+)적분값이 출력되고, 이는 다이오드(D1)를 통해 충전차단스위치(Q1)로 전달된다. 이때, 충전차단스위치(Q1)로 이용되는 P 채널(P-channel) FET(Q1)의 게이트가 턴-오프 시킬 수 있는 조건이 되므로 원하는 충전전류제한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차전지 보호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 제어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U1 : 이차전지 보호회로
U2 : 연산증폭기
R1 : 제너다이오드(ZD1)의 제너전류제한 저항
R2, R3 : 충전전류값 설정용 제 1, 제 2 제너전압 분압저항
R4, R5 :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분압 제 1, 제 2 저항
R6 : 전류검출저항
R7 : 연산증폭기(U2)의 적분회로용 저항
C1 : 연산증폭기(U2)의 적분회로용 커패시터
Q1 : 충전차단스위치
Q2 : 방전차단스위치
D1 : 다이오드
ZD1 : 제너다이오드

Claims (5)

  1. 배터리 팩 출력단자(P+, P-)와 이차전지 연결단자(B+, B-) 사이에서 이차전지를 보호하기 위한 충전차단용 스위치(Q1)와, 방전차단용 스위치(Q2) 및 상기 충전차단용 스위치(Q1)와, 방전차단용 스위치(Q2)를 제어하는 이차전지 보호회로를 포함하는 충전전류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Pack) 출력단자(P+, P-)에 연결된 제너전류제한 저항(R1)과, 제너다이오드(ZD1);
    상기 제너다이오드(ZD1)의 캐소드와 애노드단에 상기 제너다이오드(ZD1)와 병렬 연결된 이차전지 충전전류값 설정용 제 1, 제 2 제너전압 분압저항(R2, R3);
    상기 충전전류값 설정용 제 1, 제 2 제너전압 분압저항(R2, R3) 사이에 일단이 연결된 적분회로용 저항(R7);
    상기 배터리 팩(Pack) 출력단자 중 - 출력단(P-)과, 리튬이차전지(Cell) 연결단자 중 -연결단자(B-) 사이에 연결된 전류검출저항(R6);
    -입력단은 상기 적분회로용 저항(R7)에 연결되고, +입력단은 상기 전류검출저항(R6)과, 이차전지 -측 연결 단자(B-)에 연결되며, 출력단은 상기 충전차단용 스위치(Q1)의 게이트에 캐소드가 연결된 다이오드(D1)의 애노드에 연결된 연산증폭기(U2); 및,
    상기 연산증폭기(U2)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C1)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검출저항(R6)에 역방향 전류가 흘러 상기 연산증폭기(U2)의 - 입력단에 연결된 적분회로용 저항(R7)과, 상기 연산증폭기(U2)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C1)에 의한 적분값이 출력되어 상기 충전차단스위치(Q1)의 게이트를 턴-오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제어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너전류제한 저항(R1)의 일단은 배터리 팩(Pack) 출력단자 중 + 출력단자(P+)에 연결되고, 제너전류제한 저항(R1)의 타단은 제너다이오드(ZD1)의 캐소드에 연결되며, 제너다이오드(ZD1)의 애노드는 배터리 팩(Pack) 출력단자 중 - 출력단자(P-)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제어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차단용 스위치(Q1)의 드레인과 게이트에는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분압을 위한 게이트 전압분압 제 1 저항(R4)의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분압 제 1 저항(R4)과 상기 이차전지 보호회로 사이에는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분압 제 2 저항(R5)이 직렬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제어회로.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분압 제 1 저항(R4)과 제 2 저항(R5)이 접점되는 위치에 상기 다이오드(D1)의 캐소드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제어회로.
KR1020090069444A 2009-07-29 2009-07-29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 제어회로 KR101017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444A KR101017327B1 (ko) 2009-07-29 2009-07-29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444A KR101017327B1 (ko) 2009-07-29 2009-07-29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952A true KR20110011952A (ko) 2011-02-09
KR101017327B1 KR101017327B1 (ko) 2011-02-28

Family

ID=43771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444A KR101017327B1 (ko) 2009-07-29 2009-07-29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3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305B1 (ko) * 2011-02-10 2014-10-21 주식회사 만도 배터리 충전 장치
US10340708B2 (en) 2015-04-22 2019-07-02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608B1 (ko) 2012-09-07 2013-03-15 이수원 지장수를 이용한 새싹 재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재배된 새싹을 포함하는 새싹 콩나물 비빔밥 메뉴
KR101457986B1 (ko) * 2013-08-09 2014-11-10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배터리팩 과충전 방지회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325B1 (ko) 2005-11-23 2006-1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배터리 보호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305B1 (ko) * 2011-02-10 2014-10-21 주식회사 만도 배터리 충전 장치
US10340708B2 (en) 2015-04-22 2019-07-02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7327B1 (ko) 201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2994B2 (en) Lithium starter battery and solid state switch therefor
CN101145686B (zh) 电动工具
KR101975395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 방법
US9643506B2 (en) Portable backup charger
KR101905075B1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내부 전원 생성 회로
KR101030885B1 (ko) 이차전지
EP2317597B1 (en) Battery pack
CN104022542A (zh) 充放电控制电路以及充放电控制方法
JP2007273241A (ja) リチウム電池パック
KR20090126098A (ko) 배터리 팩 및 그 충전 방법
KR20090113027A (ko) 이차전지 전류차단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US9077189B2 (en) Battery protection circuit module device
KR20070090498A (ko) 배터리 팩
JP2003174720A (ja) 二次電池の保護回路及び保護回路用ic
KR101808742B1 (ko) 이차전지의 개선된 충전전류 제한회로
KR101017327B1 (ko)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 제어회로
CN102668308B (zh) 用于平衡串联连接的电池单元的充电的电路
KR20160037098A (ko) 2차 전지 보호 회로 및 배터리 장치
JP2006210026A5 (ko)
CN201113506Y (zh) 可对低电压电池组充电的电路
CN203151082U (zh) 一种电动车用铅酸电池组充放电智能保护器
CN202333775U (zh) 一种动力锂电池组的电池保护电路
CN202353191U (zh) 一种多mos管的保护装置
CN115954987B (zh) 一种锂电池充电二次保护电路
CN220291664U (zh) 电动工具bms保护板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