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848A -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848A
KR20110011848A KR1020090069281A KR20090069281A KR20110011848A KR 20110011848 A KR20110011848 A KR 20110011848A KR 1020090069281 A KR1020090069281 A KR 1020090069281A KR 20090069281 A KR20090069281 A KR 20090069281A KR 20110011848 A KR20110011848 A KR 20110011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filter
unit
vibration damping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장근
정일두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9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1848A/ko
Priority to EP20177763.8A priority patent/EP3730021B1/en
Priority to US13/386,305 priority patent/US8870988B2/en
Priority to PCT/KR2010/002114 priority patent/WO2011010786A1/ko
Priority to EP10802379.7A priority patent/EP2457483B1/en
Publication of KR2011001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집진장치는 먼지통; 상기 먼지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심분리부; 상기 원심분리부의 배기 측에 형성되는 배기부의 배기구에 결합되는 필터유닛; 및 저면에 제진돌기들이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진부재와 상기 제진부재의 구동부 측으로 돌출되는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필터유닛에 설치되는 필터부재와의 접촉면에서 왕복 운동하여 상기 필터부재의 먼지를 떨어내는 제진부와, 상기 연결부재와 접촉하는 회전캠을 구비하여 상기 제진부의 왕복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제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집진장치의 크기의 증가를 최소화하고, 필터부재 전체로 충격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필터부재 전체 영역에 누적된 먼지를 고르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집진장치, 진공청소기, 제진장치, 제진부재, 제진돌기, 제진부, 회전캠, 구동부

Description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DUST FROM FILTER}
본 발명은 집진장치에 장착된 필터의 먼지를 떨어내는 제진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지 봉투 교체의 번거로움 및 비용 부담을 해소하기 위하여 부압에 의해 유입된 먼지를 분리하는 원심분리기(사이클론, cyclone)와 원심분리기에서 분리된 먼지를 수납하는 먼지통 및 먼지가 분리된 공기에 포함되는 미세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2차 필터라 함)를 포함하는 집진장치를 구비한 원심분리형(사이클론형) 진공청소기가 널리 보급되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의 집진장치의 경우 2차 필터에 미세 먼지가 누적되면 흡입력이 떨어져 청소면의 이물질의 흡입 및 원심분리기 내부에서의 먼지 분리가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2차 필터에 누적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종래기술이 개시되 어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들의 예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272112호의 '연결기구'(종래기술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154800호의 '전기소제기(진공청소기)'(종래기술2)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1은 모터와 회전완 및 편심핀을 구비한 구동측 유닛과, 회전완과 편심핀에 의해 구동측 유닛의 회전에 따라 2차 필터부재의 상부면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동측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개시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기술 1은 구동부에 의해 피동측 유닛이 가이드부재를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피동부재에 형성된 돌기가 필터에 충격을 가하여 필터에 누적된 먼지를 떨어내도록 한다.
상기 종래기술2는 기어의 회전에 따라 탄성부재가 왕복 이동하면서 필터에 충격을 가해 필터에 누적된 먼지를 떨어내도록 하는 것을 개시한다.
상기 종래기술들은 상술한 구성에 의해 진공청소기의 구동 중에 자체적으로 집진장치에 설치되는 필터(2차 필터)에 누적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1의 경우에는 구동측 유닛이 피동측 유닛과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것에 의해 결합 구조의 폭을 크게 한다. 이에 따라 수직 구조를 가지는 집진장치의 경우 전체적인 집진장치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 1 및 종래기술 2의 경우 피동측 유닛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돌기(종래기술 1) 또는 격자 구조의 탄성부재(종래기술 2)를 이용하여 필터에 충격을 가한다. 따라서 먼지를 떨어내기 위한 피동측 유닛의 돌기 또는 탄성부재와 필터와의 접촉면적이 작기 때문에 필터 전체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아 필터에 누적된 먼지가 효율적으로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피동측 유닛의 돌기 또는 탄성부재와 필터와의 접촉면적이 작아 돌기 또는 탄성부재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되는 필터영역에서는 필터에 누적된 미세먼지가 잘 제거되지 않아 필터의 전체 영역에서 고르게 먼지가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피가 커지지 않으면서도 필터에 누적된 먼지 제거 효율이 개선된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진장치의 설치, 수리 및 교체 등의 관리가 용이한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의 전체 영역에서의 먼지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재의 먼지 분리 효율이 향상시키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진된 먼지와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분리된 먼지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집진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압력손실의 발생을 최소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는, 먼지통; 상기 먼지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심분리부; 상기 원심분리부의 배기 측에 형성되는 배기부의 배기구에 결합되는 필터유닛; 및 저면에 제진돌기들이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진부재와 상기 제진부재의 구동부 측으로 돌출되는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필터유닛에 설치되는 필터부재와의 접촉면에서 왕복 운동하여 상기 필터부재의 먼지를 떨어내는 제진부와, 상기 연결부재와 접촉하는 회전캠을 구비하여 상기 제진부의 왕복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제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진 기능을 구비한 집진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는, 본체; 흡입구체; 상기 흡입구체를 본체에 연결하는 호스; 및 배기구에 결합된 필터부재에 누적된 먼지를 제거하는 제진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장치는, 먼지통; 상기 먼지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심분리부; 상기 원심분리부의 배기 측에 형성되는 배기부의 배기구에 결합되는 필터유닛; 및 저면에 제진돌기들이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진부재와 상기 제진부재의 구동부 측으로 돌출되는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필터유닛에 설치되는 필터부재와의 접촉면에서 왕복 운동하여 상기 필터부재의 먼지를 떨어내는 제진부와, 상기 연결부재와 접촉하는 회전캠을 구비하여 상기 제진부의 왕복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제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진부는 상기 필터유닛에 설치되는 필터부재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상 기 구동부는 상기 필터유닛의 외부에서 상기 제진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진부는, 또한, 하나 이상의 제진부재; 상기 구동부와 먼 거리에 위치되는 상기 제진부재들의 단부들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제 1 고정부재; 및, 상기 필터유닛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진부재들의 단부를 서로 연결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진부재의 왕복 운동을 위해 단면이 곡면 형상이며, 상기 곡면이 상기 구동부의 회전캠과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진돌기는 상기 제진부재의 저면 전체 영역에서 일정 간격을 가지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진부재는 저면에 형성된 상기 제진돌기들이 모두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제 2 고정부재의 왕복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은, 또한, 상기 원심분리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배기부의 일측면에서 일정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회전캠축; 상기 회전캠축의 외주연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접촉하는 회전캠; 및 상기 회전캠의 일 단부로 노출되는 상기 회전캠축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심분리부는 상기 먼지통의 내부를 집진영역과 필터먼지집진영역 및 상기 배기부로 분할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원심분리부는 또한 상기 먼지통의 내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원심분리부의 주변을 집진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필터유닛의 하부 공간을 필터먼지집진공간으로 분할하여, 상기 집진장치의 전체 높이를 낮추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부는, 상기 배기구가 상기 필터먼지집진영역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원심분리부는, 또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반전 없이 상기 배기부 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유입구, 원심분리관 및 배기관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진공청소기의 압력손실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배기부는 상기 배기구가 상기 필터먼지집진영역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원심분리부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제진부와 구동부를 동일 평면상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먼지떨이 기능을 구비한 집진장치의 크기의 증가를 최소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제진부와 구동부가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겹치지 않게 배치되므로 제진부 또는 구동부의 조립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이에 따라 집진장치의 조립 및 관리 또한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진부와 구동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제진장치의 설치, 수리 및 교체 등의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진부와 필터부재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필터 전체로 충격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필터 전체 영역에 누적된 먼지를 고르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집진장치(100)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집진장치(100)의 부분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제 1 제진부재(160) 및 제 2 제진부재(170)의 왕복 운동을 나타내기 위한 도 1의 III 부분을 따라 절단한 집진장치(100)의 절개 사시도이다.
상기 집진장치(100)(도 1 참조)는 먼지통(101), 원심분리부(130)(도 2 참조), 필터유닛(180) 및 제진장치(10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먼지통(101)(도 2 참조)은 외부에 손잡이(10)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집진영역(120)을 구획하는 원심분리부(130)가 설치된다. 상기 원심분리부(130)의 상부는 제 1 분리벽(109)에 의해 배기부(140)로 형성된다. 상기 원심분리부(130)의 측부 중 필터유닛(180)의 하부 영역은 제 2 분리벽(109a)에 의해 필터먼지집진영역(120a)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기부(140)는 배기구(140a)(도 2 참조)가 배기관(107)으로부터 벗어나는 위치에서 상기 필터먼지집진영역(120a)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원심분리부(130)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배기구(140a) 또한 원심분리부(130)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필터부재(182)에서 떨어진 먼지가 배기관(107)(도 2 참조)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필터먼지집진영역(120a)은 상부가 배기부(140)의 필터유닛(180) 하부 영역과 연통되어 필터부재(182)에서 떨어진 먼지를 수집한다.
상기 집진영역(120)과 상기 필터먼지집진영역(120a)의 저면을 포함하는 먼지통(101)의 저면은 개방된다. 상기 먼지통(101)의 저면에는 상기 집진영역(120)과 상기 필터먼지집진영역(120a)에 수집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먼지통커버(102)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먼지통커버(102)에는 집진장치(100)로 청소면의 이물질을 포함하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먼지통커버유입구(101b)가 형성된다.
상술한 구조의 먼지통커버(102)는 먼지통(101)을 개방하는 경우 집진영역(120) 및 필터먼지집진영역(120a)에 수집된 먼지를 동시에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집진영역(120)에 수집된 먼지와 필터먼지집진영역(120a)에 수집된 먼지를 동시에 비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진공청소기(10)의 사용을 편 리하게 한다.
상기 원심분리부(130)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심분리관(131), 안정기(105), 유로가이드(106), 배기관(10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심분리관(131)은 먼지통(101)의 내부면과 함께 원심분리부(130)에서 분리된 먼지를 수집하는 집진영역(120)을 형성한다. 상기 원심분리관(131)은 상부가 제 1 분리벽(109)(도 2 참조)의 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높이로 상기 먼지통(101)의 내부 저면에서 상 방향으로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 1 분리벽(109)의 저면과 상기 원심분리관(131)의 상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원심분리부(130)의 내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집진영역(120)으로 배출된다.
상기 안정기(105)는 상기 원심분리관(13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회전 및 상 방향으로 이동을 유도하도록 원심분리관(131)의 내부 저면에서 수직 상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유로가이드(106)는 내주면은 상기 안정기(105)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외주면은 상기 원심분리관(131)의 내주면에 부착되고, 상기 유로가이드(106)의 하부가 상기 먼지통커버유입구(101b)와 연통하는 유입구(101a)를 형성하며 안정기(105)를 중심으로 나선을 이루며 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구조의 유로가이드(106)는 유입구(101a)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를 안정기(10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배기관(107)은 하단부에 그릴(108)이 형성되어 상하로 관통된 관형 구 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의 배기관(107)은 상단부가 상기 배기부(140)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 1 분리벽(109)의 저면에서 원심분리관(131)의 내부 하 방향으로 연장설치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원심분리부(130)는 상기 먼지통(101)의 내측에 설치되면서 원심분리부(130)의 주변을 집진영역(120)으로 구획하고, 필터유닛(180)의 하부 공간을 필터먼지집진영역(120a)으로 분할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먼지통(101)의 전체 높이가 축소되어 집진장치(100)의 소형화 및 콤팩트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집진장치(100)의 소형화 및 콤팩트화는 원심분리부(130)가 필터부재(182)의 하부에 인접 위치되면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또한, 상술한 원심분리부(130)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에 의해 유입구(101a)된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방향의 반전 없이 상부 방향의 배기구(140a)를 공기흐름 방향의 반전없이 배기관(107)과 필터유닛(180)이 장착된 배기구(140a)로 반전 없이 이동된다. 따라서 압력손실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상기 필터유닛(180)은 배기구(140a)에 결합되는 필터가스켓(181), 필터가스켓(181)에 내장되는 필터부재(1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가스켓(181)은 내부에 필터부재(182)가 고정된 상태로 먼지통(101)의 배기구(140a)에 결합된다. 상기 필터부재(182)의 제 1 제진부재(160) 및 제 2 제진부재(170)에 의해 마찰 충격을 받는 마루의 절곡 부분은 플라스틱으로 인서트 사출하여 마찰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필터가스켓(181)의 내부면 중 하기에 설명될 제 1 제진부재(160) 및 제 2 제진부재(170)와 평행을 이루는 내부 면에는 제진부(150)(도 1 참조)의 왕복 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부재(181a)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필터가스켓(181)의 가이드부재(181a)가 형성된 면에 수직을 이루는 면 중 구동부(110)와 인접한 면에는 상기 제 1 제진부재(160)와 제 2 제진부재(170)가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제진부재유동공(181b)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상기 필터유닛(180)은 원심분리부(130)의 상부에서 일정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필터부재(182)에서 분리된 필터먼지가 필터먼지집진영역(120a)으로부터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최소로 한다. 그리고 필터부재(182)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과 달리 분리된 먼지의 자유낙하를 용이하게 하여 먼지가 필터부재(18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제진장치(100a)는 구동부(110)와 제진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110)는 제진부(150)로 왕복 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먼지통(101)의 상부 외 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진부(150)는 상기 필터부재(182)의 상부에서 상기 구동부(110)에 의해 왕복 이동하여 필터부재(182)에 포집된 먼지를 떨어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110)는 도 1과 같이 모터(111), 회전캠축(112), 회전캠(113) 및 지지부재(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111)는 모터축(111a)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캠축(112)의 일단부는 동일 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모터축(111a)과 축결합된다. 상기 회전캠(113)은 원기둥 형상으로 축이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회전캠축(112)의 외측면에 편심을 이루도록 삽입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재(114)는 집진장치(100)의 외 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전캠(113)의 타 단부에서 돌출된 상기 모터축(111a)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제진부(150)는 도 1과 같이, 탄성부재(155), 제 1 제진부재(160), 제 2 제진부재(170), 제 1 고정부재(151), 제 2 고정부재(151a), 연결부재(L)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제진부재(160)와 제 2 제진부재(170)는 필터가스켓(181)의 내부에서 좌우로 왕복 운동할 수 있는 구조의 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제진부재(160)와 제 2 제진부재(170)의 저면에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제진돌기(P)가 형성된다. 상기 제진돌기(P)는 필터부재(182)가 플리츠 필터인 경우 플리츠 필터의 골과 마루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골과 마루가 형성되는 등으로 필터부재(182)를 파손하지 않으면서도 필터부재(182)로 큰 충격을 가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제진부재(160)와 제 2 제진부재(170)는 본 발명의 제진부재가 되며, 상기 제 1 제진부재(160)와 제 2 제진부재(170)는 필터부재(182) 전체로 고른 충격력을 전달하여 필터부재(182)에 포집된 먼지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 자에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다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55)는 일단부는 필터가스켓(181)의 제진부(150)와 대향하는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재(151)의 필터가스켓(181)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면에 결합되어 제진부(150)로 왕복 운동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155)는 코일 스프링, 헬리컬 스프링, 쇼크 업소버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부재(151) 및 제 2 고정부재(151a)의 측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81a)를 따라 좌우 왕복 이동이 유도될 수 있도록 상하 양단부 각각에 가이드부재(181a)(도 1 참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5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고정부재(151) 및 제 2 고정부재(151a)의 측부에는 가이드부재(181a)(도 1 참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52)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81a)를 따라 좌우 왕복 이동이 유도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181a)와 결합된다.
상기 제 1 고정부재(151)는 상기 가이드홈(152)에 가이드부재(181a)가 삽입되도록 필터가스켓(181)에 결합된 후 구동부(110)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제진부재(160)와 제 2 제진부재(170)의 인접된 단부를 서로 연결 고정한다.
상기 제 2 고정부재(151a) 또한 상기 가이드홈(152)에 가이드부재(181a)가 삽입되도록 필터가스켓(181)에 결합되고, 구동부(110)와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 1 제진부재(160)와 제 2 제진부재(170)의 단부 영역을 필터가스켓(181)의 내측에서 서로 연결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 2 고정부재(151a)는 제 1 제진부재(160)와 제 2 제진부재(170)가 관통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될 수도 있으며, 도 1 내지 도 4에서는 고정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제 1 제진부재(160)와 제 2 제진부재(170)의 상기 구동부(110)와 인접된 단부는 상기 제진부재유동공(181b)을 통해 상기 구동부(110)가 위치되는 필터가스켓(181)의 외부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노출된다.
상기 연결부재(L)는 상기 구동부(110) 측으로 노출된 상기 제 1 제진부재(160)와 상기 제 2 제진부재(170)의 인접된 단부를 서로 연결 고정한다. 상기 연결부재(L)는 단면이 반원호 형상인 반원형 기둥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L)의 반원호 형상의 단면 중 평면측은 상기 제 1 제진부재(160)와 제 2 제진부재(170)의 일 단부가 결합되고, 원호형 측은 상기 회전캠(113)과 접촉한다.
도 5는 도 1의 집진장치(100)가 장착된 진공청소기(1)의 사시도이다.
상기 진공청소기(1)의 본체(200)는 호스결합공(201), 집진장치(100)를 고정하는 본체커버(210), 진공청소기(1)의 이동을 위한 바퀴(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호스결합공(201)은 본체(200)의 하부에 형성되어 노즐의 호스(도면에 미 도시)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커버(210)는 일측 단부가 힌지에 의해 본체(200)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본체(200)는 진공청소기(1)의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유닛(도면에 미 도시) 등을 포함하며 이는 종래기술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그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의 구성을 가지는 상기 집진장치(100)는 배기구(140a)가 팬모터유닛의 유입구(미 도시)와 연통하도록 도 5와 같이 진공청소기(1)에 장착된 후 본체커버(210)에 의해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된 집진장치(100)는 진공청소기(1)가 구동하는 경우 팬모터유닛(미 도시)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유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여 집진영역(120)에 포집한 후 먼지가 분리된 공기를 배기구(140a)를 통해 배출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필터부재(182)는 원심분리부(130)에서 분리되지 않고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걸러낸다. 상기 제진장치(100a)는 상기 필터부재(182)에 누적되는 먼지를 제거하여 진공청소기(1)의 지속적인 사용에도 상기 필터부재(182)가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진장치(100a)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제진장치(100a)는 진공청소기(1)의 전원코드(미 도시)를 외부 콘센트(미 도시)에 접속시킨 후 전원을 켜기 전 대기 시간과 전원을 끄고 전원코드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기 전의 대기 시간 중에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진장치(100a)는 진공청소기(1)에 구비된 스위치(미 도시)에 의 해 사용자가 임의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진장치(100a)가 구동하면, 상기 모터축(111a)의 회전에 따라 회전캠축(112)이 회전한다. 상기 회전캠축(112)이 회전하면 회전캠(113)은 회전캠축(112)을 중심으로 하여 자신의 축 중심과 상기 회전캠축(112)의 축 중심 사이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리며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캠(113)의 회전은 연결부재(L)에 대하여 좌우 왕복운동으로 작용하여 연결부재(L)가 회전캠(113)에 접촉한 상태로 좌우 왕복 운동한다. 이때 연결부재(L)의 왕복거리는 상기 회전캠(113)의 축중심과 회전캠축(112)의 축 중심 사이의 거리에 연결부재(L)의 반원호형 면과 회전캠(113)이 접촉하는 정점 및 상하의 저점 사이의 거리를 더한 왕복 거리가 된다.
상기 연결부재(L)가 상기 회전캠(113)의 회전에 의해 왕복 운동을 하면, 상기 상기 제 1 제진부(160)와 제 2 제진부(170)가 도 3 및 도 4와 같이 연결부의 왕복거리에 대응하여 필터부재(182)의 상부 면에 접촉한 상태로 좌우 왕복 운동한다.
상기 제 1 제진부재(160)와 제 2 제진부재(170)가 왕복 운동하면, 상기 제 1 제진부재(160)와 제 2 제진부재(170)의 하부에 형성된 제진돌기(P)가 상기 필터부재(182)의 상부면과 충돌하면서 필터부재(182)에 누적된 먼지(필터먼지)를 떨어낸다. 이 경우 상기 제진돌기(P)가 상기 제 1 제진부재(160)와 제 2 제진부재(170)의 하부 전체 영역에 돌출 형성되므로, 필터부재(182)의 전체 영역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진돌기(P)에 의한 충격력이 상기 필터부재(182)의 전체 영역으로 전달됨은 물론, 전달되는 충격력 또한 접촉면적에 비례하여 커지므로 필터부재(182)에 누적된 먼지가 효율적으로 제거된다.
이렇게 필터부재(182)로부터 분리된 필터먼지는 필터먼지집진영역(120a)에 포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집진영역(120)과 필터먼지집진영역(120a)에 포집된 먼지들은 차후에 집진장치(100)를 진공청소기(1)로부터 분리한 후 먼지통커버(102)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동시에 비워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에서 상기 집진장치(100)가 수직으로 형성되는 안정기(105) 및 배기관(107)을 구비한 수직형 원심분리부(130)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원심분리부(130)는 누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심분리부(130)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원심분리부(130)는 크고 무거운 먼지를 분리하는 주 원심분리부와 주 원심분리부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에 포함되는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보조원심분리부(미 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에서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직립형 진공청소기, 배낭형 진공청소기, 핸디형 진공청소기 등의 모든 진공청소기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산업용, 가정용, 업소용 청소기 등의 청소용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집진장치(100)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집진장치(100)의 부분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제 1 제진부재(160) 및 제 2 제진부재(170)의 왕복 운동을 나타내기 위한 도 1의 III 부분을 절단한 집진장치(100)의 부분 절개사시도,
도 5는 도 1의 집진장치(100)가 장착된 진공청소기(1)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a: 제진장치 101b: 먼지통커버유입구
101: 먼지통 110: 구동부
111: 모터 111a: 모터축
112: 회전캠축 113: 회전캠
140: 배기부 140a: 배기구
150: 제진부 151: 제 1 고정부재
151a: 제 2 고정부재 152: 가이드홈
160: 제 1 제진부재 170: 제 2 제진부재
P: 제진돌기 L: 연결부재
180: 필터유닛 182: 필터부재

Claims (12)

  1. 먼지통;
    상기 먼지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심분리부;
    상기 원심분리부의 배기 측에 형성되는 배기부의 배기구에 결합되는 필터유닛; 및,
    저면에 제진돌기들이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진부재와 상기 제진부재의 구동부 측으로 돌출되는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필터유닛에 설치되는 필터부재와의 접촉면에서 왕복 운동하여 상기 필터부재의 먼지를 떨어내는 제진부와, 상기 연결부재와 접촉하는 회전캠을 구비하여 상기 제진부의 왕복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제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부는 상기 필터유닛에 설치되는 필터부재의 상부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필터유닛의 외부에서 상기 제진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부재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부는,
    상기 구동부와 먼 거리에 위치되는 상기 제진부재들의 단부들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제 1 고정부재; 및,
    상기 필터유닛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진부재들의 단부를 서로 연결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제 1 고정부재 또는 상기 제 2 고정부재의 왕복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원심분리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배기부의 일측면에서 일정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회전캠축;
    상기 회전캠축의 외주연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접촉하는 회전캠; 및,
    상기 회전캠의 일 단부로 노출되는 상기 회전캠축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단면의 상기 회전캠과 대향하는 측이 곡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부는,
    상기 먼지통의 내부를 집진영역과 필터먼지집진영역 및 상기 배기부로 분할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배기구가 상기 필터먼지집진영역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부는,
    상기 먼지통의 내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원심분리부의 주변을 집진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필터유닛의 하부 공간을 필터먼지집진공간으로 분할하여, 상기 집 진장치의 전체 높이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부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반전 없이 상기 배기부 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유입구, 원심분리관 및 배기관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20090069281A 2009-07-24 2009-07-29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20110011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281A KR20110011848A (ko) 2009-07-29 2009-07-29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EP20177763.8A EP3730021B1 (en) 2009-07-24 2010-04-07 Dust collector for a vacuum cleaner having a dust removal function
US13/386,305 US8870988B2 (en) 2009-07-24 2010-04-07 Dust collector for a vacuum cleaner having a dust removal function
PCT/KR2010/002114 WO2011010786A1 (ko) 2009-07-24 2010-04-07 제진 기능을 가진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EP10802379.7A EP2457483B1 (en) 2009-07-24 2010-04-07 Dust collector for a vacuum cleaner having a dust removal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281A KR20110011848A (ko) 2009-07-29 2009-07-29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848A true KR20110011848A (ko) 2011-02-09

Family

ID=43771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281A KR20110011848A (ko) 2009-07-24 2009-07-29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18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0988B2 (en) Dust collector for a vacuum cleaner having a dust removal function
RU2230477C2 (ru) Циклонный пылесборник пылесоса
KR100390608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RU2260367C1 (ru) Пылесборник для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RU221097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фильтра в пылесосе
EP1987753B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RU225334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фильтра циклонного пылесоса
RU2228704C2 (ru) Пылесборник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пылесосе и основной корпус пылесоса с таким пылесборником
KR101578463B1 (ko) 제진된 먼지 제거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RU2374977C2 (ru) Пылесб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RU2423066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фильтра пылесоса
JP5013425B2 (ja) 電気掃除機
KR20160073820A (ko) 진공 청소기용 집진장치
AU2017423524B2 (en) Vacuum cleaner
KR101306738B1 (ko) 진공청소기
US10376116B2 (en) Vacuum cleaner
KR20110011848A (ko)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20110010219A (ko) 제진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RU2447825C1 (ru) Пылесос
EP4356804A1 (en) Vacuum cleaner station
RU2463946C1 (ru) Пылесос
KR20020034299A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CN1951286A (zh) 真空吸尘器集尘装置
KR100577279B1 (ko) 진공 청소기
KR100809748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