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836A -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게 홍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게 홍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836A
KR20110011836A KR1020090069262A KR20090069262A KR20110011836A KR 20110011836 A KR20110011836 A KR 20110011836A KR 1020090069262 A KR1020090069262 A KR 1020090069262A KR 20090069262 A KR20090069262 A KR 20090069262A KR 20110011836 A KR20110011836 A KR 20110011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hopping mall
sales
online shopping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명섭
Original Assignee
오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명섭 filed Critical 오명섭
Priority to KR1020090069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1836A/ko
Publication of KR20110011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8Targeted advertisements at point-of-sale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라인 개별 가맹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1개의 상품을 가맹점 분류 기준으로 정함으로써, 상기 분류 기준이 된 상품의 원재료 또는 중간재료를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신용카드 결제망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가맹점에게 홍보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 홍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신용카드 결제대행사의 시스템에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1개의 상품을 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하는 주요판매상품등록단계(S100)와,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자가 영업대상이 되는 오프라인 구매자의 가맹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1개의 상품을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으로 선택하고 온라인 판매상품정보를 등록하는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등록단계(S200)와, 임의의 주요판매상품과 상기 상품을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연결하는 상품연결단계(S300)와, 결제대행사의 서버가 임의의 주요판매상품과 연결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신용카드 결제망을 이용하여 상기 주요판매상품을 등록한 오프라인 가맹점의 결제단말기에 통보하는 상품정보통보단계(S400)와, 이전 단계에서 통보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오프라인 가맹점의 구매자가 볼 수 있도록 가맹점결제단말기에서 홍보하는 상품정보홍보단계(S500)와, 홍보된 상품에 대해 구매 의사가 있는 구매자의 오프라인 가맹점 연락처 정보를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판매자에게 통보하는 구매자정보통보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온라인쇼핑몰, 가맹점홍보, 신용카드결제, VAN, 상품홍보, 신용카드조회기, POS

Description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게 홍보하는 방법 {METHOD THAT PUBLICIZE SALE GOODS OF ON-LINE SHOPPING MALL TO OFF-LINE MERCHANT}
도 1은 실시 예에 대한 통신망 환경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실시 예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가맹점결제단말기와 결제대행사서버와 신용카드회사서버를 연결하는 통신망 환경을 도시한 구성도.
도 4은 주요판매상품을 등록하는 흐름도.
도 5은 온라인 쇼핑몰서버의 통신망 환경을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온라인 쇼핑몰서버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표.
도 7은 결제대행사서버와 온라인쇼핑몰서버를 연결하는 통신망 환경을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상품연결서버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표.
도 9은 가맹점결제단말기와 결제대행사서버를 연결하는 통신망 환경을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가맹점관리서버와 상품연결서버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표.
도 11은 가맹점결제단말기와 결제대행사서버와 온라인쇼핑몰서버를 연결하는 통신망 환경을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은 오프라인 개별 가맹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1개의 상품을 가맹점의 분류기준으로 정함으로써, 상기 분류 기준이 된 상품의 원재료 또는 중간 재료를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신용카드 결제망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가맹점에게 홍보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 홍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쇼핑몰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판매자와 구매자에게 여러 가지 편리성과 유용성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 이는 판매자와 구매자들에게 시간적 내지 공간적인 제약을 없애주는 도구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판매자는 자신의 판매상품을 가상공간에 거의 제한 없이 소개하고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손쉽게 알릴 수 있다.
또한, 구매자는 실제 상점에 가보지 않고서도 상품을 주문하여 배달 받을 수 있으므로, 상품구매에 들이는 노력을 줄일 수 있는 효용성으로 인해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한 구매자와 판매자의 상품 매매인 전자상거래는 계속 확대되고 있다.
최근의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구매자가 직접 작성한 구매상품에 대한 구매 후기와 쇼핑몰 운영자가 쇼핑몰의 판매상품에 대한 온라인판매수량의 표시방법 등을 이용하여 판매되는 상품의 품질을 간접적인 방법으로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준은 상품의 크기와 색감과 질감 등의 품질을 직접 확인하고자 하는 구매자들에게 상품의 품질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게 간접 적인 수단을 제공하고 있어, 직접 확인하지 못하고 구매할 때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제거할 수 있어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매매는 계속 발전되고 있다.
또한, 판매되는 상품의 종류는 최종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상품뿐만 아니라 다른 상품을 제조하기 위한 원재료 또는 중간재료로 사용되는 상품으로도 확대되고 있어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거래되는 상품의 종류도 매우 다양해 지고 있다.
한편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구매를 원하는 오프라인 구매자는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를 사용하고, 인터넷을 접속해야만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정보를 확인하고 구매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오프라인 구매자가 컴퓨터를 다루지 못하거나, 인터넷을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을 구매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오프라인 구매자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품질이 좋고 가격이 저렴한 상품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수많은 온라인 쇼핑몰을 직접 접속하여 판매자의 상품을 확인하거나,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가 제공하는 온라인판매수량과 이전 구매자들이 작성한 구매 후기 등을 직접 확인해야만 판매자의 상품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어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오프라인 구매자들은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현재의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자는 오프라인 구매자에게 판매상품의 카탈로그를 우편으로 발송하거나 직접 전화를 걸어서 상품을 안내하는 텔레마케팅 등 다양한 홍보 방법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구매자에게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홍보하고 있지만,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이 필요한 오프라인 구매자가 정확하게 누구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홍보를 하지 않아도 될 오프라인 구매자에게도 홍보를 하기 때문에 홍보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오프라인 개별 가맹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1개의 상품을 가맹점의 분류 기준으로 정함으로써, 상기 분류 기준이 된 상품의 원재료 또는 중간재료를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신용카드결제망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가맹점에게 홍보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를 오프라인 가맹점에 홍보하는 방법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프라인 구매자가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지 않아도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가 오프라인 구매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프라인 구매자가 많은 시간을 들여서 수많은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검색하지 않아도, 오프라인 구매자의 가맹점에 관련된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 상품 판매자에게 판매상품에 대한 홍보를 집중할 수 있도록 영업대상이 될 수 있는 오프라인 가맹점의 기준을 제공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홍보된 상품에 구매 의사가 있는 구매자의 오프라인 가맹점 연락처 정보를 별도로 입력하지 않고 간편하게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오프라인 개별 가맹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1개의 상품을 가맹점 분류 기준으로 운영함으로써 상기 상품의 원재료 또는 중간 재료를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신용카드 결제망을 이용하여 구매가능성이 있는 오프라인 가맹점에게 홍보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게 홍보하는 방법으로,
신용카드 결제대행사의 시스템에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1개의 상품을 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하는 주요판매상품등록단계(S100)와,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자가 영업대상이 되는 오프라인 구매자의 가맹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1개의 상품을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으로 선택하고 온라인 판매상품에 대한 추가정보를 입력하는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등록단계(S200)와,
임의의 주요판매상품과 상기 상품을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연결하는 상품연결단계(S300)와,
결제대행사의 서버가 임의의 주요판매상품과 연결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신용카드 결제망을 이용하여 상기 주요판매상품을 등록한 오프라인 가맹점의 가맹점결제단말기에 통보하는 상품정보통보단계(S400)와,
이전 단계에 통보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오프라인 구매자가 볼 수 있도록 가맹점결제단말기에서 홍보하는 상품정보홍보단계(S500)와,
홍보된 상품에 대해 구매 의사가 있는 구매자의 오프라인 가맹점 연락처 정보를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자에게 통보하는 구매자정보통보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1의 구성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 예를 구성하기 위해서 도1에서 도시되어 있듯이 카드리더기(14)와 입력부(16)와 디스플레이(12)와 프린터(13)와 저장부(15)와 통신부(18)와 제어부(17)로 구성된 가맹점결제단말기(10)와, 상기 가맹점결제단말기(10)와 정보통신망(100)을 통해 연결되며 승인서버(31)와 가맹점관리서버(40)와 상품연결서버(50)로 구성된 결제대행사서버(30)와 상기 결제대행사서버(30)와 정보통신망(100)을 통행 연결된 신용카드회사서버(90)와, 상기 결제대행사서버(30)와 정보통신망(100)을 통해 연결되며 쇼핑몰운영서버(61)와 판매상품관리서버(70)로 구성된 온라인쇼핑몰서버(60)를 포함하는 통신망 환경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보통신망(100)은 여러 가지 통신정보를 디지털 신호화함으로써 다양한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통신망을 말하며, 유무선 통신망과 인터넷 망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은 정보통신망은 별도의 통신망을 구축하여야 하는 것이 아니며 기 구축된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결제대행사서버(30)는 가맹점결제단말기(10)와 신용카드회사서버(90)와 온라인쇼핑몰서버(60)와 모두 상기 정보통신망에 상호 정보 신호를 교환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맹점결제단말기(10)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단말기로서 오프라인 가맹점에 공급되어 신용카드정보를 읽고 결제승인신청을 하거나 현금영수증 승인신청을 위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하며 상기 정보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 한다. 상기 가맹점결제단말기는 결제대행사의 전용 단말기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개별적인 POS(POINT OF SALE, 판매 시점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단말기라도 VAN사와 통신하는 전문을 수정함에 의해 본 실시 예에서 사용 가능하다. 상기 가맹점결제단말기(10)는 신용카드회원의 카드에 등록된 카드정보를 읽는 카드리더기(14)와 가맹점에서 필요한 결제금액을 입력하는 입력부(16)와 결제 승인에 대한 승인 결과와 결제대행사의 공지사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2)와 신용카드 조회결과를 출력하는 프린터(13)와 통신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15)와 결제대행사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8)와 각 부분을 통제하는 제어부(1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제대행사서버(30)는 부가가치통신(VAN, VALUE ADD NETWORK)사업자의 서버를 말하며, 가맹점결제단말기(10)와 신용카드사서버(90)와 온라인쇼핑몰서버(60)와 통신과 중개를 담당하는 승인서버(31)와 개별 가맹점의 상세한 정보를 관리 하는 가맹점관리서버(40)와 주요판매상품별로 등록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관리하는 상품연결서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인서버(31)와 가맹점관리서버(40)와 상품연결서버(50)는 결제대행사서버(30)에 연결되거나 일체로 된 서버를 지칭한다.
상기 신용카드회사서버(90)는 결제대행사서버(30)와 정보통신망(100)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결제대행사서버(30)가 요청하는 신용카드회원의 결제승인요청에 대한 응답결과를 통보하는 신용카드회사의 서버를 지칭한다.
상기 온라인쇼핑몰서버(60)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가 쇼핑몰을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 및 기본정보를 포함하는 쇼핑몰운영서버(61)와 쇼핑몰의 상품판매자가 개별 판매상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판매상품관리서버(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쇼핑몰 운영서버(61)와 판매상품관리서버(70)는 온라인쇼핑몰서버(60)에 연결되거나 일체로 된 서버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통신망과 시스템 환경에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방법은 상기와 같이 구축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도2에서 도시되어 있듯이 주요판매상품등록단계(S100)와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등록단계(S200)와 상품연결단계(S300)와 상품정보통보단계(S400)와 상품정보홍보단계(S500)와 구매자정보통보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요판매상품등록단계(S100)는 결제대행사서버(30)에 개별 가맹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1개의 상품을 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함으로써 개별 가맹점을 주요판매상품으로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을 입력하는 단계를 말한다.
또한, 상기 주요판매상품을 등록함으로써 상기 상품의 원재료 또는 중간 재료를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판매자에게 개별 가맹점이 상기 원재료 또는 중간 재료가 필요한 영업대상자인지의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결제대행사는 가맹점의 기준정보로 사업자등록번호를 사용하고 가맹점을 분류하는 기준은 사업자등록증에 표시된 업태와 종목을 사용한다. 하지만, 상기 업태와 종목의 분류 기준은 상기 가맹점이 어떤 상품을 판매하고 어떤 상품을 원자재 또는 중간 재료로 사용하는지 판단하는데 명확한 기준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개별 가맹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1개의 상품인 주요판매상품을 개별 가맹점의 분류 기준으로 사용함으로써 주요판매상품만으로도 상기 상품의 원재료 또는 중간재료를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판매자에게 임의의 가맹점이 상품을 판매 할 수 있는 상품 구매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주요판매상품의 종류는 매우 다양해질 수 있으나, 이전에 등록한 주요판매상품을 공유함으로써 주요판매상품의 종류를 DB(DATA BASE)화할 수 있어, 주요판매상품의 종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문제를 막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예를 들어 A라는 가맹점의 가장 많이 팔리는 상품은 B이고, C라는 가맹점의 가장 많이 팔리는 상품은 B이고, D라는 가맹점의 가장 많이 팔리는 상품은 E라고 가정한다.
도3의 구성도와 도4의 순서도를 이용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결제대행사는 주요판매상품DB(44)에 A라는 가맹점의 주요판매상품을 등록하기 위해서, 가장 많이 팔리는 상품 B를 입력하면(S101), 상품 B가 이전에 등록되어 있는지 비교(S102)하여 등록된 적이 없는 경우(S106)는 주요판매상품 DB에 추가 등록해서(S107) 다시 이전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비교(S102)하여 등록된 적이 있는 경우(S103)는 주요판매상품DB(44)에서 B를 선택(S104)하게하여 B라는 상품을 A가맹점의 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S105)하게 된다.
또한, 결제대행사는 주요판매상품DB(44)에 C라는 가맹점의 주요판매상품을 등록하기 위해 가장 많이 팔리는 상품 B를 입력하고(S101), 상품 B가 이전에 등록되어 있는지 비교(S102)하여 등록된 적이 있는 경우(S103)는 주요판매상품DB(44)에서 B를 선택(S104)하게하여 B라는 상품을 C가맹점의 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S105)하게 된다.
또한, 결제대행사는 주요판매상품DB(44)에 D라는 가맹점의 주요판매상품을 등록하기 위해 가장 많이 팔리는 상품 E를 입력하고(S101), 상품 E가 이전에 등록되어 있는지 비교(S102)하여 등록된 적이 없는 경우(S106)는 주요판매상품DB(44)에 E를 추가 등록해서(S107) 다시 이전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비교(S102)하여 등록된 적이 있는 경우(S103)는 주요판매상품DB(44)에서 E를 선택(S104)하게하여 D라는 상품을 E가맹점의 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S105)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절차와 방법으로 개별가맹점의 가장 많이 팔리는 1개의 상품을 주요판매상품으로 결제대행사서버(30)에 등록하게 함으로써 개별 가맹점의 분류기 준을 주요판매상품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등록단계(S200)는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자가 영업대상이 되는 오프라인 구매자의 가맹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1개의 상품을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으로 선택하고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에 대한 추가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추가정보에는 홍보수수료율과 직거래가능지역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되는 상품의 종류는 이전 단계인 주요판매상품등록단계(S100)에서 등록된 상품의 종류와 동일한 분류 기준을 이용한다. 이는 향후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판매자가 선택하는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의 종류가 오프라인 구매자의 주요판매상품 종류의 범위 내에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쇼핑몰은 쇼핑몰 운영자와 쇼핑몰 상품 판매자로 구성된다. 과거에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와 상품 판매자가 대부분 동일했지만, 최근에는 지명도와 신용도가 높은 온라인 쇼핑몰이 등장함에 따라 중소 규모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는 본인의 쇼핑몰에서도 상품을 판매하지만, 지명도와 신용도가 높은 온라인 쇼핑몰에도 상품 판매자로 등록하여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자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 온라인 쇼핑몰에 상품홍보문구와 상품판매가격과 상품이미지와 배송방법 등 상품판매를 위한 여러 정보를 직접 등록한다.
또한, 쇼핑몰 운영자는 상품판매자의 상품이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서 홍보되 고 매매가 될 수 있도록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 및 관리하며 온라인 쇼핑몰 상품 판매자와 온라인 쇼핑몰 이용에 대한 수수료 정산을 위해서 상품별 판매수량과 상품판매가격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과 서버를 운영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 쇼핑몰 상품 판매자가 온라인 쇼핑몰에 판매상품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때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과 홍보수수료율과 직거래가능지역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은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자가 영업대상이 되는 오프라인 구매자가 운영하는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하는 1개의 상품이다. 이때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자는 2개 이상의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홍보수수료율은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자가 영업대상이 되는 오프라인 구매자에게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신용카드 결제망을 이용해서 홍보할 때 결제대행사에게 지급하는 수수료율을 나타내는 숫자이다. 상기 수수료율이 높을수록 상품이 홍보되어 매매가 이루어지는 경우 온라인 쇼핑몰 상품 판매자가 결제대행사에게 지급하는 수수료의 금액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직거래가능지역은 오프라인 구매자가 거래를 원하는 경우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자가 구매자와 직접 만날 수 있는 지역을 의미한다. 이때 온라인 쇼핑몰 상품 판매자는 판매자의 영업범위를 고려하여 직거래가능지역을 복수로 선택할 수 있고, 전국적인 오프라인 지점망을 갖춘 온라인 쇼핑몰 상품 판매자는 전국을 직거래가능지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예를 들어 F라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판매자가 G라는 상품을 등록하고 상품홍보문구는 좋은G이고 상품판매가격은 1000이고 홍보수수료율은 0.05이고 직거래가능지역은 서울과 부산이고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은 B라고 등록했고, 상기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된 수량이 1000라고 가정한다.
또한, F라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판매자가 H라는 상품을 등록하고 상품홍보문구는 저렴한H이고 상품판매가격은 500이고 홍보수수료율은 0.01이고 직거래가능지역은 부산이고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은 B와 E라고 등록했고 상기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된 수량이 500라고 가정한다.
도5과 구성도와 도6의 표를 이용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자는 판매자PC(81)을 이용하여 F라는 온라인쇼핑몰서버(60)의 판매상품관리서버(70)접속하여 자신의 판매상품인 G를 온라인상품기준DB(71)입력하고, 좋은 G를 상품홍보문구DB(72)에 입력하고, 1000을 상품판매가격DB(73)에 입력하고, 0.05를 홍보수수료율DB(74)에 입력하고, 서울과 부산을 직거래가능지역DB(75)에 입력하고, B를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DB(76)에서 선택하게 된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 상품 판매자는 판매자PC(81)을 이용하여 F라는 온라인쇼핑몰서버(60)의 판매상품관리서버(70)접속하여 자신의 판매상품인 H를 온라인상품기준DB(71)입력하고, 저렴한 H를 상품홍보문구DB(72)에 입력하고, 500을 상품판매가격DB(73)에 입력하고, 0.01를 홍보수수료율DB에 입력하고, 부산을 직거래가능지역DB(75)에 입력하고, B와E를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DB(76) 선택하게 된다.
상기 F라는 온라인쇼핑몰을 운영하는 쇼핑몰 운영자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PC(82)를 이용하여 F온라인쇼핑몰서버(60)의 쇼핑몰운영서버(61)에 접속하여 G라는 판매상품의 판매수량이 1000이고 H라는 판매상품의 판매수량이 500을 확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절차와 방법으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자가 영업대상이 되는 오프라인 구매자의 가맹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1개의 상품을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으로 선택하고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에 대한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품연결단계(S300)는 임의의 주요판매상품과 상기 상품을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연결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주요판매상품은 이전 단계인 주요판매상품등록단계(S100)에서 결제대행사서버에 개별 가맹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1개의 상품을 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해서 만들어진 가맹점의 분류기준이다.
또한, 상기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은 이전 단계인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등록단계(S200)에서 온라인 쇼핑몰 상품 판매자가 온라인쇼핑몰서버에 오프라인 구매자가 운영하는 가맹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하는 1개의 상품이다.
또한, 상기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의 분류 기준은 주요판매상품의 분류기준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주요판매상품을 기준으로 동일한 상품을 선택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연결 할 수 있다.
또한, 결제대행사는 가맹점의 분류기준으로 등록된 주요판매상품에 대한 분 류 종류가 추가되거나 변경되는 경우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에제 추가 또는 변경된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결제대행사의 주요판매상품 분류 종류가 추가되었을 경우 온라인 쇼핑몰의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 분류 종류를 변경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결제대행사의서버가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에 대한 추가정보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가정보는 직거래가능지역과 온라인판매수량과 홍보수수료율과 상품판매가격과 상품홍보문구와 온라인상품기준과 온라인쇼핑몰이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예를 들어 F라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판매자가 G라는 상품을 등록하고 상품홍보문구는 좋은G이고 상품판매가격은 1000이고 홍보수수료율은 0.05이고 직거래가능지역은 서울과 부산이고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은 B라고 등록했고, 상기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에게 등록된 온라인판매수량은 1000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F라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판매자가 H라는 상품을 등록하고 상품홍보문구는 저렴한H이고 상품판매가격은 500이고 홍보수수료율은 0.01이고 직거래가능지역은 부산이고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은 B와 E라고 등록을 했고, 상기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에게 등록된 온라인판매수량은 500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상기 F라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운영하는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의 분류한 종류는 결제대행사에서 제공한 주요판매상품의 분류 기준과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도7과 구성도와 도8의 표를 이용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결제대행사서버(30)는 온라인쇼핑몰서버(60)와 정보를 송수신하여 주요판매상품B를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한 온라인상품 G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연결서버(50)에 주요판매상품DB(51)는 B이고 직거래가능지역DB(52)는 서울과 부산이고 온라인판매수량DB(53)는 1000이고 홍보수수료율DB(54)는 0.05이고 상품판매가격DB(55)는 1000이고 상품홍보문구DB(56)는 좋은G이고 온라인상품기준DB(57)는 G이고 온라인쇼핑몰이름DB(58)는 F를 등록하게 된다.
또한, 주요판매상품B를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한 온라인상품 H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연결서버(50)에 주요판매상품DB(51)은 B이고 직거래가능지역DB(52)는 부산이고 온라인판매수량DB(53)는 500이고 홍보수수료율DB(54)는 0.01이고 상품판매가격DB(55)는 500이고 상품홍보문구DB(56)는 저렴한H이고 온라인상품기준DB(57)는 H이고 온라인쇼핑몰이름DB(58)는 F를 등록하게 된다.
또한, 주요판매상품E를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한 온라인상품 H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연결서버(50)에 주요판매상품DB(51)은 E이고 직거래가능지역DB(52)는 부산이고 온라인판매수량DB(53)는 500이고 홍보수수료율DB(54)는 0.01이고 상품판매가격DB(55)는 500이고 상품홍보문구DB(56)는 저렴한H이고 온라인상품기준DB(57)는 H이고 온라인쇼핑몰이름DB(58)는 F를 등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절차와 방법으로 임의의 주요판매상품과 상기 상품을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품정보통보단계(S400)는 결제대행사의 서버가 임의의 주요판매상품과 연결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신용카드결제망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한 오프라인 가맹점의 가맹점결제단말기에 통보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신용카드결제망은 오프라인 개별가맹점이 사용하는 단말기 또는 POS와 연결된 결제대행사의 시스템과 연결된 통신망을 지칭한다.
일반적인 신용카드결제는 가맹점을 방문한 고객이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고 결제의 수단으로 신용카드를 제시하면 가맹점주는 가맹점결제단말기를 이용하여 신용카드정보와 결제가 필요한 금액을 포함하여 결제대행사에 승인을 요청하고 결제대행사는 해당 신용카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신용카드를 발급한 신용카드회사에 승인요청을 하게 되고, 상기 신용카드회사는 상기 신용카드회원의 신용에 문제가 없으면 승인번호를 포함하여 결제대행사에 통보하고, 결제대행사는 상기 요청한 가맹점결제단말기에 상기 승인번호를 통보하고, 상기 가맹점의 가맹점결제단말기가 통보 받은 승인번호를 포함한 응답결과를 가맹점결제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프린터로 응답결과를 출력함으로 신용카드결제 절차가 완료된다.
본 발명에서는 결제대행사가 가맹점결제단말기에 승인번호를 통보 할 때 상기 가맹점의 주요판매상품에 연결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포함하여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는 직거래가능지역과 온라인판매수량과 상품판매가격과 상품홍보문구와 온라인상품이름과 온라인쇼핑몰이름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요판매상품에 연결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가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온라인판매수량과 홍보수수료율과 직거래가능지역을 비교 하여 결제대행사의 정책에 따라 1개의 온라인 쇼핑몰 판매상품만을 연결하여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제대행사의 정책은 결제대행사가 정하는 온라인판매수량과 홍보수수율과 직거래가능지역의 적용 기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결제대행사의 첫 번째 적용 기준은 온라인 쇼핑몰 판매상품의 온라인판매수량이다. 상기 온라인판매수량이 많은 순서부터 우선 연결된다. 상기 온라인판매수량은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가 아니라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로부터 통보 받은 자료이므로 상품판매자가 상기 온라인판매수량을 임의로 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 온라인 쇼핑몰 판매상품의 품질을 추정하는 자료로 활용 할 수 있도록 오프라인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제대행사의 두 번째 적용기준은 온라인 쇼핑몰 판매상품의 홍보수수료율이다. 상기 홍보수수료율이 높은 순서부터 우선 연결된다. 상기 홍보수수료율은 상품매매가 이루어지는 경우 온라인 쇼핑몰 상품 판매자가 결제대행사에게 지급하는 수수료를 상품판매가격에 비교하여 나타낸 백분율이다. 상기 적용 기준은 결제대행사가 홍보수수료를 수익을 포기하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홍보수수료율은 오프라인 가맹점의 구매자에게는 통보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제대행사의 세 번째 적용기준은 상기 직거래가능지역과 결제대행사에 등록된 가맹점결제단말기의 주소와 거리이다. 상기 직거래가능지역과 가맹점결제단말기의 주소가 가까운 지역부터 우선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예를 들어 D라는 가맹점은 부산지역이고 가장 많이 팔리는 상품은 E이고 A라는 가맹점은 서울지역에 있고 가장 많이 팔리는 상품은 B이고 라고 가정한다.
또한, 상기 결제대행사의 정책의 첫 번째 적용 기준은 온라인판매수량이고 두 번째 적용기준은 홍보수수료율이고 세 번째 적용기준은 직거래가능지역이라고 가정한다.
또한,상품연결서버(50)에 주요판매상품DB(51)는 B이고 직거래가능지역DB(52)는 서울과 부산이고 온라인판매수량DB(53)는 1000이고 홍보수수료율DB(54)는 0.05이고 상품판매가격DB(55)는 1000이고 상품홍보문구DB(56)는 좋은G이고 온라인상품기준DB(57)는 G이고 온라인쇼핑몰이름DB(58)은 F를 등록했다고 가정한다.
또한, 상품연결서버(50)에 주요판매상품DB(51)는 B이고 직거래가능지역DB(52)는 부산이고 온라인판매수량DB(53)는 500이고 홍보수수료율DB(54)는 0.01이고 상품판매가격DB(55)은500이고 상품홍보문구DB(56)는 저렴한H이고 온라인상품기준DB(57)은 H이고 온라인쇼핑몰이름DB(58)는 F를 등록했다고 가정한다.
또한, 상품연결서버(50)에 주요판매상품DB(51)는 E이고 직거래가능지역DB(52)는 부산이고 온라인판매수량DB(53)는 500이고 홍보수수료율DB(54)는 0.01이고 상품판매가격DB(55)은500이고 상품홍보문구DB(56)는 저렴한H이고 온라인상품기준DB(57)는 H이고 온라인쇼핑몰이름DB(58)은 F를 등록했다고 가정한다.
도9의 구성도와 도10의 표를 이용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결제대행사서버(30)는 D의 가맹점결제단말기(10)로부터 신용카드에 대한 승 인요청을 받게 되면 신용카드회사서버(90)에 상기 신용카드정보와 금액에 대한 승인요청을 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결과를 받게 되면, 가맹점관리서버(40)의 가맹점기준정보DB(41)에서 D의 기준정보를 조회하여 주소정보DB(42)에서 부산을 확인하고 주요판매상품DB(44)에서 E을 확인한다. 이에 따라 상품연결서버(50)의 주요판매상품DB(51)에서 E로 조회하여 직거래가능지역DB(52)는 부산이고 온라인판매수량DB(53)은 500이고 홍보수수료율DB(54)는 0.01이고 상품판매가격DB(55)은500이고 상품홍보문구DB(56)는 저렴한H이고 온라인상품기준DB(57)은 H이고 온라인쇼핑몰이름DB(58)은 F를 정보를 조회한다. 이에 따라 결제대행사서버(30)는 카드사로부터 통보 받은 승인번호를 가맹점D의 가맹점결제단말기(10)에 응답결과를 제공 할 때 부산과 500과 500과 저렴한H와 H와 F를 포함하여 통보한다.
결제대행사서버(30)는 A의 가맹점결제단말기(10)로부터 임의의 신용카드회원이 제시한 신용카드정보와 금액에 대해서 승인요청을 받게 되면, 신용카드회사서버(90)에 상기 신용카드정보와 금액에 대한 승인요청을 하고, 상기 승인요청에 대한 응답결과를 받게 되면, 가맹점관리서버(40)의 가맹점 기준정보DB(41)에서 A의 기준정보를 조회하여 주소정보DB(42)에서 서울을 확인하고 주요판매상품DB(44)에서 B을 확인한다. 이에 따라 상품연결서버(50)에 주요판매상품DB(51)에서 B를 조회하고, B를 등록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이 2개 이상이므로 첫 번째 적용기준인 온라인판매수량이 1000으로 제일 많은 G를 1순위로 확정한다. 이에 따라 온라인판매상품의 G 판매상품정보를 조회하여, 직거래가능지역DB(52)는 서울과 부산이고 온라인판매수량DB(53)은 1000이고 홍보수수료율DB(54)는 0.05이고 상품판매가격DB(55)은 1000이고 상품홍보문구DB(56)는 좋은G이고 온라인상품기준DB(57)은 G이고 온라인쇼핑몰이름DB(58)은 F를 조회한다. 이에 따라 결제대행사서버(30)는 카드사로부터 통보 받은 승인번호를 가맹점결제단말기(10)에 제공할 때 서울과 부산과 1000과 1000과 좋은G와 G와 F를 포함하여 통보한다.
상기와 같은 절차와 방법으로 결제대행사의 서버가 임의의 주요판매상품과 연결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신용카드결제망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한 오프라인 가맹점에게 통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품정보홍보단계(S500)는 오프라인 가맹점의 구매자가 이전 단계에서 통보된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볼 수 있도록 가맹점결제단말기에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홍보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가맹점결제단말기는 결제대행사의 전용단말기를 포함할 뿐 아니라, 기존의 개별적인 POS시스템에 사용되는 단말기도 VAN사의 통신전문을 수정함에 본 실시 예에서 사용 가능하다.
일반적인 가맹점결제단말기는 입력된 신용카드정보와 승인결과를 상기 가맹점결제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내용은 신용카드 결제를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결제대행사의 회사로고 또는 시간 또는 A/S 전화번호 등이 표시된다. 하지만, 신용카드 결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결제요청에 대한 응답결과를 승인번호와 함께 표시하여 가맹점주가 승인을 요청한 신용카드에 대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신용카드결제를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가맹점결제단말기 가 기존에 표시정보 외에 상기 가맹점의 주요판매상품을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한 온라인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오프라인 가맹점의 구매자에게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홍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신용카드 결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결제요청에 대한 응답결과를 가맹점결제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 할 때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추가로 표시되어 오프라인 가맹점의 구매자에게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이 홍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예를 들어 결제대행사서버가 가맹점결제단말기에 카드사로부터 통보 받은 응답결과를 제공할 때 부산과 500과 500과 저렴한H와 H와 F를 포함하여 통보하였다고 가정한다.
도1의 구성도를 이용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가맹점결제단말기기(10)는 결제대행사서버(30)에게 요청한 임의의 신용카드에 대한 응답결과를 받으면서 해당 가맹점에 연결된 부산과 500과 500과 저렴한H와 H와 F를 통보 받았다. 상기 부산은 직거래가능지역을 의미하고 상기 500은 온라인판매수량을 의미하고 상기 500은 상품판매가격을 의미하고 상기 저렴한H는 상품홍보문구를 의미하고 상기 H는 판매상품을 의미하고 상기 F는 온라인쇼핑몰의 이름을 의미한다. 상기 가맹점결제단말기(10)의 제어부(17)는 신용카드 응답결과를 디스플레이(12)로 표시할 때 승인번호를 표시하고 추가로 [F에서 500개 팔린 H, 저렴한 H를 부산에서 500원에 거래가능]라고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결제단말기(10)의 제어부(17)는 신용카드 응답결과를 디스플레 이(12)로 표시를 완료 한 후 신용카드 결제를 사용하지 않는 시점에는 가장 최근에 통보 받은 홍보문구[F에서 500개 팔린 H, 저렴한H를 부산에서 500원에 거래가능]를 디스플레이(12)로 계속 표시하여 홍보한다.
상기와 같은 절차와 방법으로 오프라인 가맹점의 구매자가 이전 단계에서 통보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가맹점결제단말기에서 불 수 있도록 홍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매자정보통보단계(S600)는 가맹점결제단말기에서 홍보된 온라인 판매상품에 대해 구매의사가 있는 구매자의 오프라인 가맹점의 연락처 정보를 온라인 쇼핑몰 판매자와 상담을 할 수 있도록 온라인 쇼핑몰 상품 판매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가맹점의 연락처 정보는 가맹점주인 구매자가 가맹점결제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결제대행사와 계약 시 결제대행사에 등록한 구매자의 핸드폰 번호 또는 가맹점의 전화번호이다.
일반적으로 결제대행사는 오프라인 가맹점과 신용카드 결제와 관련하여 가맹점결제단말기를 설치를 하면서 상기 가맹점의 전화번호와 가맹점점주의 핸드폰번호를 통보 받아 저장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맹점주인 구매자의 연락처 정보를 온라인 쇼핑몰 상품 판매자에게 통보할 때 가맹점주가 매번 연락처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가맹점결제단말기를 설치할 때 결제대행사에 등록된 연락처정보를 사용하게 하여 추가적인 연락처 정보 등록 없이 간편하게 연락처 정보를 통보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맹점주가 상담을 위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선택할 때 가맹점결제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품을 선택하게 하므로 추가로 구매의사가 있는 판매상품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이 간편하게 상품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예를 들어 연락처가 J로 등록된 D가맹점가 가맹점결제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서 [F에서 500 개 팔린 H, 저렴한H를 부산에서 500원에 거래가능상담신청 I버튼을 눌러주세요]라는 홍보문구를 보고 H를 판매하는 상품 판매자에게 구매상담을 신청한다고 가정한다.
도11의 구성도를 이용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가맹점결제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12)의 홍보문구를 본 D가맹점의 가맹점주는 가맹점결제단말기(10)의 입력부(16)에서 I버튼을 누르면 제어부(17)는 가장 최근에 통보 받은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정보 "부산, 500, 500, 저렴한H, H, F"을 통신부(18)를 이용하여 결제대행사서버(30)로 전송한다. 상기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정보를 전송 받은 결제대행사서버(30)는 상기 가맹점결제단말기(10)가 D라는 가맹점 정보를 갖고 있으므로 가맹점관리서버(40)의 가맹점기준정보DB(41)에서 D에 연결된 연락처정보DB(43)에서 J를 추출한다. 결제대행사서버(30)는 가맹점결제단말기(10)에서 전송 받은 "부산, 500, 500, 저렴한H, H, F"와 가맹점관리서버(40)에서 추출한 "D, J"를 F온라인쇼핑몰서버(60)로 전송한다. F온라인쇼핑몰서버(60)는 H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에게 D가맹점의 J연락처정보를 제공한다. F온라인 쇼핑몰에서 H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판매자는 판매자PC(81)를 통해 온라인쇼핑몰서버(60)을 접속하여 H상품에 대한 구매상담을 신청한 가맹점D의 연락처정보 J를 확인한다. 이에 온라인 쇼핑몰의 H상품 판매자는 연락처정보J를 이용하여 오프라인가맹점D의 가맹점주에게 연락하여 H상품의 매매를 위한 상담을 진행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절차와 방법으로 가맹점결제단말기에서 홍보된 온라인 판매상품에 대해 구매 의사가 있는 구매자의 오프라인 가맹점의 연락처 정보를 온라인 쇼핑몰 판매자와 상담을 할 수 있도록 온라인 쇼핑몰 상품 판매자에게 통보할 수 있게 된다.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판매자가 오프라인 구매자에게 연락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절차와 방법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하고 있어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주요판매상품등록단계(S100)와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등록단계(S200)와 상품연결단계(S300)와 상품정보통보단계(S400)와 상품정보홍보단계(S500)와 구매자정보통보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 홍보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 완료되었다고 하겠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 홍보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적 사상을 기술한 것으로써, 이는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그 외에도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 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상기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 예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오프라인 개별 가맹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1개의 상품을 가맹점의 분류기준으로 정함으로써, 상기 분류 기준으로 구분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신용카드 결제망을 통하여 오프라인 가맹점의 구매자에게 홍보하여 오프라인 가맹점의 구매자가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구매할 수 기회를 가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오프라인 구매자는 별도의 컴퓨터를 이용하지 않아도 개별 가맹점에서 신용카드결제망을 통해 연결된 가맹점결제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오프라인 구매자에게 구매자가 운영하는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원재료 또는 중간재료와 관련 있는 온라인 판매상품 정보만을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많은 시간을 들여 수많은 온라인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조회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 상품 판매자는 개별 가맹점의 구매자가 영업대상이 되는지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있으므로 해당 영업대상이 되는 가맹점에게 홍보를 집중함으로써 홍보 비용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오프라인 가맹점의 구매자가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자에게 상담신청을 하기 위해서 별도의 연락처정보를 등록하지 않고, 기존에 등록된 결제대행사의 연락처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오프라인 가맹점의 구매자는 온라인 판매자에게 편리하고 쉽게 연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온라인 쇼핑몰 상품 판매자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 구매가 익숙하지 않거나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지 않는 오프라인 가맹점의 구매자와 연결됨으로써 판매시장을 오프라인시장까지 확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오프라인 가맹점의 구매자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가격이 저렴하고 검증된 품질의 원재료 또는 중간재료를 구매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오프라인 가맹점의 판매상품의 원가절감을 통해 수익증가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8)

  1. 오프라인 개별 가맹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1개의 상품을 가맹점 분류 기준으로 정함으로써 상기 상품의 원재료 또는 중간재료를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신용카드 결제망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가맹점에게 홍보하는 방식에서,
    신용카드 결제대행사의 시스템에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1개의 상품을 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하는 주요판매상품등록단계와,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자가 영업대상이 되는 오프라인 구매자의 가맹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1개의 상품을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으로 선택하고 온라인 판매상품에 대한 추가 정보를 입력하는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등록단계와,
    임의의 주요판매상품과 상기 상품을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연결하는 상품연결단계와,
    결제대행사의 서버가 임의의 주요판매상품과 연결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신용카드 결제망을 이용하여 상기 주요판매상품을 등록한 오프라인 가맹점의 가맹점결제단말기에 통보하는 상품정보통보단계와,
    이전 단계에서 통보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오프라인 구매자가 볼 수 있도록 가맹점결제단말기에서 홍보하는 상품정보홍보단계와,
    홍보된 상품에 대해 구매 의사가 있는 구매자의 오프라인 가맹점 연락처 정보를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자에게 통보하는 구매자정보통보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게 홍보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결제대행사의 가맹점 분류기준인 주요판매상품의 종류와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에 등록하는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의 종료를 동일하게 운영하여, 신용카드결제대행사에 임의의 주요판매상품을 등록한 가맹점과 상기 상품을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자를 연결 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게 홍보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자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때 직거래가능지역과 매매가 성사되었을 경우 결제대행사에게 지급 하는 홍보수수료율을 포함하여 입력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게 홍보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임의의 주요판매상품과 상기 상품을 영업대상자주요판매상품으로 등록한 온라인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연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판매상품의 온라인판매수량을 상품 판매자가 입력한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온라인쇼핑몰의 운영자로부터 제공 받아 온라인판매수량을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게 홍보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임의의 주요판매상품과 연결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신용카드 결제망을 이용하여 상기 주요판매상품을 등록한 오프라인 가맹점의 가맹점결제단말기에 통보하는 단계에서 결제대행사가 가맹점결제단말기에 승인결과를 통보 할 때 상기 가맹점의 주요판매상품에 연결된 온라인 쇼핑몰 판매 상품의 직거래가능지역과 온라인판매수량과 상품판매가격과 상품홍보문구와 온라인상품이름과 온라인쇼핑몰이름을 추가하여 통보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 홍보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임의의 주요판매상품과 연결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신용카드결제망을 이용하여 상기 주요판매상품을 등록한 오프라인 가맹점의 결제가맹점에 통보하는 단계에서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가 연결되는 경우 온라인판매수량과 홍보수수료율과 직거래가능지역을 결제대행사의 기준으로 비교하여 1개의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선정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 홍보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전 단계에서 통보된 온라인 쇼핑몰 판매상품정보를 오프라인 구매자가 볼 수 있도록 가맹점결제단말기에서 홍보하는 단계에서 가맹점결제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온라인 쇼핑몰 판매상품의 온라인판매수량과 상품판매가격과 상품홍보문구와 온라인상품이름과 온라인쇼핑몰이름과 직거래가능지역을 표시방법을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게 홍보하는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홍보된 상품에 대해 구매 의사가 있는 구매자의 오프라인 가맹점 연락처 정보를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자에게 통보하는 단계에서 가맹점결제단말기가 가장 최근에 통보 받은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정보를 결제대행사로 전송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 홍보하는 방법.
KR1020090069262A 2009-07-29 2009-07-29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게 홍보하는 방법 KR20110011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262A KR20110011836A (ko) 2009-07-29 2009-07-29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게 홍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262A KR20110011836A (ko) 2009-07-29 2009-07-29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게 홍보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836A true KR20110011836A (ko) 2011-02-09

Family

ID=43771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262A KR20110011836A (ko) 2009-07-29 2009-07-29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게 홍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18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9396A (zh) * 2019-03-11 2019-07-12 江苏通彩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线上商城商品供应方法及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9396A (zh) * 2019-03-11 2019-07-12 江苏通彩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线上商城商品供应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496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electronic commerce in the metals industry
JP5232074B2 (ja) 電子商取引方法及び前記電子商取引方法をオンラインマーケットサーバーに行わ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オンラインマーケットサーバー
KR101384769B1 (ko) 판매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238220A (ja) ターゲット顧客にオンラインで発給した認証キーに基づいてメンバーシップオフライン売場を介して商品サンプルを配布するためのインターネット広告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665035B1 (ko)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방법
KR20160127915A (ko) 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2006510969A (ja) 電子決済情報を用いた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603009B1 (ko) 배송업체 중심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101870938B1 (ko) 사업자 전용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KR20010036579A (ko) 인터넷 중고 매매 시스템
KR20200073934A (ko) 원자재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방법
KR101791961B1 (ko) 전자상거래 플랫폼 운영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10000091A (ko) 인터넷 철강자재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71933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KR102008969B1 (ko) 수산물 및 축산물 창업 서비스 시스템
KR20110011836A (ko)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을 오프라인 가맹점에게 홍보하는 방법
KR20170030913A (ko) 티켓 기반 온라인 상품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43144A (ko)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머천다이징 시스템
KR20200091272A (ko) 상품공유가 가능한 독립형 프랜차이즈 쇼핑몰의 운영방법및 운영시스템
KR20030044528A (ko) 피씨방을 이용한 네트워크 쇼핑몰 구축시스템 및 이를통한 전자상거래방법
KR20120080716A (ko) 오프라인 지역 판매점을 연계한 전자 상거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TWI830052B (zh) 電子商務系統及其運作方法
KR20180088977A (ko) 공동구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180130694A (ko) 핸즈프리 쇼핑을 위한 상품픽업 및 배송지원 시스템
KR20180027956A (ko) 한류문화 상품정보컨텐츠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장치와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