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789A - 진동파스 - Google Patents

진동파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789A
KR20110011789A KR1020090069197A KR20090069197A KR20110011789A KR 20110011789 A KR20110011789 A KR 20110011789A KR 1020090069197 A KR1020090069197 A KR 1020090069197A KR 20090069197 A KR20090069197 A KR 20090069197A KR 20110011789 A KR20110011789 A KR 20110011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on module
module
poultic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정
Original Assignee
김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정 filed Critical 김규정
Priority to KR1020090069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1789A/ko
Publication of KR20110011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61H23/0263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using rotating unbalanced ma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45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ultrasonic transducers, e.g. piezo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드에 진동소자를 분산 배치하여 수 시간 동안 환부에 부착하여 파스요법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발명에 관한 것으로 환부에 부착하고 생활할 수 있어 시간적, 비용적으로 경제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진동, 파스

Description

진동파스{A Vibrated Poultice}
본 발명은 신체 표피에 진통, 소염 등의 효과를 위해 붙이는 민간요법에 사용되는 파스에 관한 것임
우리 몸속 어느 곳에 질병이 생기면 해당 부위뿐만 아니라 연관되어 있는 표피에 반응이 나타난다. 파스요법은 이 반응점에 파스를 붙여 적당한 자극을 줌으로써 질병을 완화시키고 나아가 건강을 회복시키는 요법이다. 침이나 뜸 그리고 부황 등의 요법은 강자극을 주어 차후에는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는 반면 파스요법은 아무 통증 없이 침이나 뜸보다 오랜 시간 지속적이고 무리하지 않는 자극을 주어 소기의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는 파스를 붙이는 위치도 정확한 경혈(파스를 붙이는 곳)점에 붙이지 않아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누구나 자택에서 스스로 할 수 있는 가정요법으로 시간적이나 경제적으로 큰 도움이 된다.
안마와 마사지 효과를 주는 가정용 기구 등도 해당 신체부위에 자극을 가할 수 있지만 교류전원을 공급받아야 동작하는 구조이므로 일이나 생활에 종사하면서 시술할 수는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파스에 진동모듈을 분산 배치하여 저자극을 장시간 주어 파스요법의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파스 패드에 배치될 수 있고 수 시간 동안 동작할 수 있는 직류전원을 사용하여 동작스위치가 작동되는 동안 일정한 강도로 진동모듈이 해당 신체부위에 저자극을 가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스의 베이스 역할을 하면서 시원하거나(Cool) 뜨거운(Hot) 찜질 자극을 주는 패드, 일정한 진동 저자극을 주기 위한 패드에 일정 간격으로 분산하여 배치한 진동모듈, 진동모듈을 내부에 포함하면서 진동을 잘 전달하기 위한 재료로 충진된 진동모듈 하우징부, 진동모듈 하우징부에서 생성된 진동을 환부표피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돌기부, 진동모듈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회로부 및 진동모듈과 구동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동파스를 제공한다.
침이나 뜸 등의 요법이 강자극을 정확한 지점에 시술하는 전문 치료법임에 비해 파스 요법은 장시간에 걸쳐 미약한 저자극을 가함으로써 효과를 볼 수 있어 일반인도 손 쉽게 할 수 있다. 시간적, 경제적으로 매우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 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진동모듈은, 편심 모터 또는 압전 필름(Piezo Film) 등의 진동소자를 사용하여 진동을 발생한다. 압전필름이란, 전기선호를 기계신호로 변환하는 압전 센서를 필름 형태로 제작한 것이다. 압전 필름은 공진현상에 의해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 현상을 이용한다. 상기 압전 현상은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면 그 힘에 따라 양전, 음전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상기 압전 필름은 상기와 같은 압전 현상에 의해 진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기에너지를 기계적인 진동에너지로 상호 변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파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패드(400)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진동모듈(300)을 분산 배치하여 패드 전체적으로 진동 기능을 갖도록 한다. 진동모듈(300)은 진동의 기능을 전달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지름 수 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편심 모터를 분산 배치하는 것이다. 모터에 전기를 가하면 편심이 되도록 배치된 축이 회전하면서 진동을 일으키는 것으로 휴대폰 등에 적용되는 기술이다. 진동파스는 신체에 부착되므로 유연하고 두께가 일정 수준 이하로 제 한되는 면을 충족해야만 한다. 최근에는 1mm 정도의 지름의 편심 모터를 만들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해 있으므로 구현이 가능하며 편심 모터를 이용하면 강한 자극을 발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진동을 발생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 압전 필름을 이용하는 것으로 압전필름에 전기 에너지를 가하면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하는 특징을 이용하는 것이다. 압전 필름은 여러 겹을 적층하여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압전 필름을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방법은 얇은 두께를 유지할 수 있고 유연하게 휘어질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휘어진 부분에 위치한 진동모듈의 진동 힘은 감소하게 된다.
진동모듈(300)은 구동회로부(100)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구동된다. 사용하는 시점에서 스위치를 도통(On)하면 수 시간 동안 진동모듈이 진동을 생성하며 동작하게 된다. 본 발명의 진동모듈에 대한 에너지는 전원부(200)에서 공급받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원부(200)는 파스에 부착되는 형태이므로 두께, 넓이, 무게 등의 제한을 받는다. 초박형 전원의 종류인 페이퍼 배터리(Paper Battery)는 0.6 mm의 두께를 가지며 그 넓이는 전류에 비례하여 자유롭게 생산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전원부(200)에 사용된다. 진동파스의 전원부(200)는 진동파스가 수 시간(최소 1시간 이상) 동안 작동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한다.
도 2는 진동모듈(300)의 세부구성을 나타낸다. 진동소자(330)는 파스에 탑재 가능한 제한 사항을 만족시키며 압전소자, 편심모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진동소자가 압전소자일 경우 바이모프 필름 등이 사용되어 기계적인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바이모프 필름의 말단에 무게 추를 두어 진동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진동소자(300)를 감싸고 있는 진동모듈 하우징(320)은 진동을 잘 전달할 수 있는 재질로 충진되어 있다. 진동모듈 하우징(320)의 말단에는 돌기부(330)가 부착되어 있다. 돌기부(330)는 환부와 직접 밀착되는 곳으로 진동의 효과를 환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하며 진동모듈(300) 단위당 수 개의 돌기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100: 구동회로부
200: 전원부
300: 진동모듈부
310: 돌기부
320: 진동모듈 하우징
330: 진동소자
400: 패드

Claims (5)

  1. 파스의 베이스 역할을 하면서 시원하거나(Cool) 뜨거운(Hot) 찜질 자극을 주는 패드;
    일정한 진동 저자극을 주기 위한 패드에 일정 간격으로 분산하여 배치한 진동모듈;
    진동모듈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회로부; 및
    상기 진동모듈과 구동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동파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듈은 편심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파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듈은 바이모프 또는 유니모프 타입의 압전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파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듈이 안전하게 보호되고 진동을 잘 전달할 수 있는 재료로 충진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파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듈에서 발생한 진동을 환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파스.
KR1020090069197A 2009-07-29 2009-07-29 진동파스 KR20110011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197A KR20110011789A (ko) 2009-07-29 2009-07-29 진동파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197A KR20110011789A (ko) 2009-07-29 2009-07-29 진동파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789A true KR20110011789A (ko) 2011-02-09

Family

ID=43771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197A KR20110011789A (ko) 2009-07-29 2009-07-29 진동파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17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913Y1 (ko) * 2011-11-17 2013-01-31 (주)센트로닉스 진동 자극 패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913Y1 (ko) * 2011-11-17 2013-01-31 (주)센트로닉스 진동 자극 패드
WO2013073808A1 (ko) * 2011-11-17 2013-05-23 (주)아모레퍼시픽 진동 자극 패드
US10034815B2 (en) 2011-11-17 2018-07-31 Amorepacific Corporation Vibrating stimulus pa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6258B2 (ja) 顔面マッサージ器
US10172763B2 (en) Skin and scalp massaging apparatus using acoustic pressure
US20150313993A1 (en) Ultrasonic Method and Device for Cosmetic Applications
KR100752432B1 (ko) 복합기능 피부 마사지기
KR101468058B1 (ko) 피부 마사지기
CN103893004A (zh) 一种胸部按摩器
KR20160078162A (ko) 서브모터가 구비한 휴대용 안마기
WO2007046081A3 (en) Bandage
KR20110011789A (ko) 진동파스
JP2005118527A (ja) 美顔マスク、美容器具
KR20110117476A (ko) 초음파 및 고주파 겸용 비만치료기기
TWI468156B (zh) 用於皮膚按摩的振動模組
KR20010083578A (ko) 휴대용 다기능 물리 치료기
JP2011200309A (ja) 美容装置
KR200183579Y1 (ko) 피부미용 맛사지기
KR101482173B1 (ko) 고주파출력 손잡이유닛용 도자
CN103813832B (zh) 电动皮肤刺激模块
KR100836885B1 (ko) 발모촉진용 초음파 진동 브러쉬
JP2000167009A (ja) 超音波美容器
JP2009247811A (ja) 超音波を用いた経皮浸透具
JPH0349754A (ja) 超音波治療器
KR200328971Y1 (ko) 손바닥을 저주파 펄스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봉
KR101205959B1 (ko) 스페로이드 파장을 이용한 피부 마사지기
CN215460037U (zh) 一种太赫兹理疗仪器
GB2451349A (en) A vibrating device for the treatment of epicondylit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