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497U - 오거나이저 및 오거나이저시스템 - Google Patents

오거나이저 및 오거나이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497U
KR20110011497U KR2020100005921U KR20100005921U KR20110011497U KR 20110011497 U KR20110011497 U KR 20110011497U KR 2020100005921 U KR2020100005921 U KR 2020100005921U KR 20100005921 U KR20100005921 U KR 20100005921U KR 20110011497 U KR20110011497 U KR 201100114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management
weekly
week
prog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이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호 filed Critical 이승호
Priority to KR2020100005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1497U/ko
Publication of KR201100114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4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2Diaries; Memorandum calend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66Timetables, lists or forms for shooter enlistment, e.g. for use at competi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상생활과 업무 시 사용하는 다이어리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삶을 진보시킬 수 있는 오거나이저에 대한 고안으로써,
오거나이저 사용자(이하 사용자)의 좌우명, 인생목표, 해당년도의 목표 및 결과, 사용자의 장점과 단점을 기재 관리하는 사용자인성관리부와 연간 고정적으로 순환되는 일자, 일정 및 기념일을 기재 관리하는 연간순환일정 / 기념일 관리부와 월간 고정적으로 순환되는 일자 및 일정을 주간별, 일자별로 기재 관리하는 월간순환일정관리부, 주간 고정적으로 순환되는 일자 및 일정을 시간별로 기재 관리하는 주간순환일정관리부와 일년의 일정을 관리 계획하는 연간계획, 월간일정을 관리하는 월간관리부, 주간목록과 일정을 관리하는 주간관리부, 오늘의 일정과 오늘의 기록을 관리하는 일간관리부 및 사용자 인맥의 정보를 기재 관리하는 주요인맥관리부, 인맥 목록을 기재 관리하는 인맥목록부, 명함을 부착 관리하는 명함관리부 및 진행사항의 정보를 기재 관리하는 진행관리부와 기재사항을 6하원칙에 따라 주제 연관성을 유지한 채 기재 관리하는 일반기재부, 그리고 명함이나 메모 스크랩 등을 부착할 수 있는 양면테이프부, 메모사항을 직접 기재하여 부착할 수 있는 포스트잇부와 책갈피로 사용할 수 있는 센티미터단위용 투명자와 인치 단위용 투명자로 구성된 오거나이저에 관한 고안이다.
Figure 112010501967508-UTM00032
오거나이저, 오거나이저시스템

Description

오거나이저 및 오거나이저시스템{Organizer}
일반적으로 통신기술이 발전할수록 정보의 신속한 기록과 정리는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으며 전기 동력과 스위치 조작 등의 부가 작업이 없는 펜과 종이의 기록과 정리의 중요성은 더욱 가치가 있고 일상의 모든 정보를 통합하여 수시로 기록 정리하는 다이어리는 단순한 기록의 도구를 넘어서 사용자의 삶을 발전시키는 오거나이저로써 중요한 도구이다.
다이어리는 연간, 월간, 주간, 일간 등의 일정관리부와 일상이나 업무의 내용을 기록하는 메모노트와 만난 사람들의 연락처를 기재하는 주소록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지만 일반 시판중이거나 홍보용으로 제작되어 유포되는 대부분의 다이어리의 경우
일정의 연간, 월간, 주간, 일간 관리의 용도별 체계가 구체적이지 않아서 월력을 중심으로 하는 월간관리부와 2쪽에 한 주간을 배분하여 펼쳐 관리하는 주간관리부 형태가 대부분의 일정을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바, 이 경우 일상의 세세한 관리가 불편하여 삶의 발전을 도모하는 오거나이저로써의 역할을 기대할 수 없고
메모 노트에 상황 발생 기록 순서에 따른 메모 나열 방식으로써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여러 주제들의 경우 동일 주제에 대한 이전 혹은 이후 관련 기록과 연관성을 상실할 염려가 있다.
주소록의 경우 휴대용 전화기를 이용한 연락처 관리로 인하여 효용이 크게 줄어들었고
상기 서술한 사항을 보완하고자 다양한 사용자의 다양성 요구를 반영한 나머지 다이어리 관리가 필요 이상의 항목에 대한 과중한 기록과 관리를 유도하는 부작용이 있다.
일반 다이어리에 대한 배경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사용자 인생 목표와 인성에 관한 사항은 자주 상기되지 않아서 사용자가 이에 대한 별도의 관심을 기울이기 전에는 일상기록과 함께 수시로 점검하기에 불편하다.
일정관리부에 있어서 연간, 월간, 주간별 정기적으로 순환되는 일정과 비정기적 일정의 구분이 혼재되어 있고, 각 주기의 일정에 맞는 용도별 관리 사항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서 일상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사건의 세세한 기록과 점검을 적재적시에 처리하기 어렵고 사용상 고루하다.
일반적으로 여러 주제별 사건이 비정기적으로 발생되는 일상에서 기록은 발생한 순서에 따라 주제와 무관하게 비연결성으로 정리되어야 하는 현실적 문제가 있는데, 일반 다이어리는 이에 대한 체계적 대안이 부족하며 특히 제본식 다이어리의 경우 매우 취약하다.
통신의 발전으로 인하여 전화번호가 주소관리를 대신하게 됨에 따라 인맥의 의미가 결여된 일반 다이어리의 단순한 주소 혹은 인명의 관리 개념은 많은 의미를 상실하였다.
사용자 인생 목표와 인성 관리와 관련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좌우명 및 향후 장기인생 계획을 세울 수 있는 기능이 없고 사용자의 장점과 단점과 관련한 인성을 수시로 확인하며 발전시키기 어렵다는 것이며,
일정관리에 있어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경우, 일에 대한 성격을 무시한 채 시간순으로 계획만을 나열하게 하여 연간, 월간, 주간, 일간의 일상 계획 과 순환적 성격의 계획 간의 관련성이 효과적으로 일정관리에 적용되지 않으며, 휴식과 가족간의 유대에 중요한 일요일의 의미가 퇴색되어 있고 일상의 업무집중도와 심리적 흐름이 반영되지 않음으로서 효율적인 일정관리 효과가 반감되고, 해당 일에 대한 종합적 판단을 통한 우선순위 부여가 어려우며, 일상에 중요한 날씨 정보에 대한 기재부가 빠져있고 주간관리와 일간관리의 성격을 감안한 효과적 연결 정리가 미흡하다는 것이며.
여러 주제가 시간적 순서와 무관하게 발생 정리되어야 하는 일상과 관련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의 진행관리의 경우 전체적 시각에서 효과적인 개별 진행이 어렵고 관리 시 결과에 대한 목표의식의 유지가 효과적이지 않고, 일상에서 여러 사안이 동시적으로 발생함을 감안할 때에 같은 주제 혹은 진행 사항의 연속성을 유지하며 용지의 경제적 기재와 정리가 곤란하다는 점 이며,
주소록이나 인명의 나열만으로 인맥 관리가 불충분하다는 관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효과적인 인맥 별 관리와 일과 연계된 인맥관리 기능이 미약하며, 일상에서 발생되는 명함이 해당 인맥 관리와 함께 효과적으로 관리되지 못하여 불편하다는 점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좌우명 및 향후 장기인생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인생계획관리부를 고안하고 이를 요약하여 사용자의 장기간의 인생목표와 당해연도의 목표 및 자신의 인성을 수시로 돌아볼 수 있도록 기재하며 동시에 링 바인더의 개방 없이도 쉽게 빼내고 끼울 수 있는 착탈식 인성카드를 고안한다.
연간관리와 관련하여 정해진 일정과 계획, 공공 및 개인 정기적 순환 일을 구별하여 관리하며 특히 연간 달력과 순환적 공공 기념일 등이 하위 일정관리에 쉽게 반영되도록 링 바인더의 개방 없이도 쉽게 빼내고 끼울 수 있는 착탈식으로 고안한다.
월간관리와 관련하여 미리 정해지거나 순환되는 고정 행사나 일정과 수시 발생되어 기재되어야 하는 일정을 구분하여 이를 하위 일정관리에 쉽게 반영되도록 고안하며 월간 각 주간별 성격을 감안하여 월간 진행사항의 흐름을 반영시켜 사용자의 심리적 집중도를 개선시키도록 고안한다.
주간관리와 관련하여 주간순환 일정 및 주간계획 시 일상에 중요한 날씨 정보에 관심을 기울이며 기획하는 일의 성격과 중요성, 긴급성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 하게 우선순위를 정하여 실행하기 수월하도록 고안한다.
주간관리와 일간관리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일간계획과 결과정리가 주간계획원칙을 충실히 반영하도록 고안하며 그 날 발생한 사항 과 작은 쪽지 류의 서류도 보관 정리가 용이하도록 일간관리 용지를 봉투식 체결이 가능하도록 고안한다.
진행관리의 경우 전체를 파악함과 동시에 개별사항을 파악할 수 있으며, 완료를 위한 종료 시 까지 역시간 순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고안하며 일상에서 발생하는 일의 순서와 무관하게 주제별 연관성을 반영함은 물론 정리 시 같은 주제 혹은 진행 사항의 연속성을 배제하지 않고 기재단위를 정하고 기재 정리 내용 분량에 따라 하나 혹은 다수의 기재 단위를 점유할 수 있도록 고안하며, 공통관리의 기본사건정리요소인 6하원칙에 따른 진행관리와 기재가 이루어지도록 고안한다.
인맥관리에 상기 진행 또는 진행사항과 연관된 인맥관리 모두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 상기의 기재단위 및 공통관리의 기본사건정리요소인 6하원칙에 따른 관리와 기재가 연계되도록 고안하며 일상에서 교환하는 명함을 부착 포함시켜 일원 통합적 인맥관리가 가능하도록 고안하고, 이를 위하여 양면테이프 및 포스트잇 등의 부착가능소재를 최대한 활용하도록 고안한다.
연간, 월간, 주간, 일간관리 및 순환일정의 명확한 사용범위 구분과 으로 사용자의 심리적 집중도를 높이며 일상의 세세한 부분까지 기록 관리할 수 있으며 인생의 목표와 인성의 관리를 함께 도모할 수 있를 뿐 아니라 확장용지와 착탈식 달력을 적절히 운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많은 양의 기록을 효과적으로 기록 정리 할 수 있으며 관련사안 별로 용지를 연결하거나 차수를 정리할 경우, 효과적 검색과 여러 사안의 관련성을 극대화 하며, 주간을 중심으로 모든 일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간이 봉투형 일간관리 양식과 양면테이프 부착식 방법을 이용하여 영수증, 티켓, 명함 등의 작은 일상의 작은 서류들을 효과적으로 오거나이저 시스템 내에서 보관, 관리할 수 있으며, 진행업무를 주제별로 연관성을 잃지 않고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일반관리부의 경우 사건 정리요소인 6하원칙에 의거하여 분량에 따라 다수의 기재단위를 점유하여 기재 정리할 경우 경제적으로 기재 관리하며 사건의 개요 파악과 정리의 일관성을 기할 수 있다.
인맥과 진행 사항을 연계하여 효과적인 관리 기재가 가능하며 명함을 함께 관리할 수 있으므로 인맥관리에 일원적 통합이 가능하다.
양면테이프 및 포스트잇 등의 부착소재를 활용할 경우 영수증, 명함 등 의 일상의 작은 서류들을 분실이나 망실을 최소화하고 일상에서 얻어지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실시간 관리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해당 부착소재 관련한 일상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가능하다.
상기의 내용 전체 혹은 일부를 적절히 적용할 경우 링바인더가 형성된 시스템 오거나이저 뿐 아니라 일반 수첩 혹은 달력 형태 에도 적절히 응용된 오거나이저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의 좌우명과 현 시점을 기준으로 향후 20 ∼ 30년간의 사용자의 나이와 이에 맞는 각 년도 별 실천목표와 이에 필요한 재정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인생계획관리부를 고안하되, 좌상단에 인생계획이라 명기하고 그 아래 좌우명을 적을 수 있는 여백(11)을 형성하고 그 아래 연도별 인생의 목표를 구상할 수 있도록 다수 횡선으로 구성되고 4열로 구성된 표 형태의 인생계획기재부(12)를 형성하여 1열은 연도를 명기하고, 2열은 자신의 나이를 기재할 수 있는 여백과, 3열에는 해당 연도에 자신의 목표를 기재할 수 있는 여백과, 4열에는 해당목표를 위한 자신의 금융 자산의 목표치를 만원단위로 기재할 수 있는 여백을 구성한 양식을 고안한다.
사용자의 장기간의 인생목표와 당해 연도의 목표 그리고 인성의 향상을 항상 자성하도록, 체결구를 좌측에 위치시킬 때 해당 면을 앞면으로 정의할 경우 인생목표와 좌우명(13) 및 올해의 목표(14)를 뒷면에, 장점(15)과 단점(16)을 파악하여 앞면에 기재할 수 있도록 다수의 횡선으로 행을 형성하는 등 여백을 구성하고 후 일상에서 인생목표를 성취하기위하여 사용자가 수시로 살펴보며 꾸준히 내용을 수시로 되새기며 사용자 스스로 장점의 개발과 단점을 개선을 할 수 있도록 수 있도록 링바인더 형태의 다이어리(이하 '시스템오거나이저')용으로써 바인더를 개방하지 않고도 쉽게 용지를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바인더 체결구와 체결구 근접측면에 체결용 홈이 형성된 (이하"착탈식') 책갈피형 인성카드를 고안한다.
연간일정의 계획 관리를 위하여 정기적으로 순환되는 해당 년도의 국가 제정 경축일과 기념일 그리고 계절의 변화를 알려주는 절기 등을 하나로 모아 정리한 공공 기념일 목록(20A)과 해당년도의 사용자 및 주변 인맥과 관련된 기념일을 기록할 수 있는 사용자 연간순환일정(20B) 및 기념일 목록 및 해당년도에 미리 예정된 행사 등의 일정을 기재할 수 있는 연간일정계획목록(20C)을 고안한다.
상기 달력 및 공공기념일 목록(20A), 공공기념일 목록은 당해 연도 달력 뒷면에 표기하고 시스템 오거나이저의 경우,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오거나이저 내의 사용자가 필요한 곳에 끼워 사용한다.(도 2c 참조)
상기 연간일정계획관리와 관련하여, 사용자 연간순환일정 및 기념일 목록인 연간순환일정 / 기념일 관리부(20B)는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5열 이상을 구성한 표의 형태로써 연간순환일정기재부(21)를 구성하고 1열은 월, 2열은 일, 3열은 음력 일을 기재하고 4열 이후의 열은 해당 기념일의 내용을 기재한다. 또한 해당 년도에 미리 계획된 사용자와 관련된 주요 일정을 기재할 수 있는 목록을 고안한다.(도 2d 참조)
상기 연간일정계획관리와 관련하여, 연간일정게획목록(20C)은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4열로 구성한 표의 형태로써 연간일정계획기재부(22)를 구성하고 1열은 월, 2열은 시작일, 3열은 마침일, 4열은 주요행사 및 이벤트 명을 기재하되 당해 연도 1월부터 당해연도 다음 해 2월까지 기재한다.
월간관리를 위하여 매월 단위로 순환되는 행사나 예정된 일을 기재할 수 있는 월간순환일정관리부를 고안하되, 주간 요일별로 순환하는 경우와 매월 초일부터 말일까지 일자별로 순환하는 경우를 각각 나누어 고안한다. 이를 위하여, 월간순환일정관리부(30) 중 주간요일별기재부(31)는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4열로 구성한 표의 형태로써 1열은 주, 2열은 요일, 3열 이후는 해당 내용을 기재할 수 있 는 표의 형태로 한다.또한 월간순환관리부 중 일자별기재부(32)는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3열로 구성한 표의 형태로써 1열은 일자, 2열 이후는 해당 내용을 기재할 수 있는 표의 형태로 한다. 또한 월력의 주간구성을 월초의 첫 주간으로써 온전한 일주일을 갖추지 않은 부분월초주간(41)과 온전한 일주일을 갖추어 시작한 주부터 4주 혹은 월초부분주간 이후 4주를 본주간(42), 그리고 본주간 이후 잔여 주간을 부분월말주간(43)으로 나누어 정의하고 이를 모두 월력에 구성할 수 있도록 7열 6행 표형태의 월력테이블 형태의 월간관리부를 고안한다.
상기 표형태의 월력테이블 형태의 월간관리부(40)와 관련하여, 주간의 시작을 일요일로 하고 일요일과 월요일 열 사이를 색, 선의 굵기, 종류 등으로 구분하여 본 주간의 시작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펼친 제본식 혹은 시스템 오가나이저 (이하'오거나이저') 양면에 걸쳐 구성한다, 또한 월초부분주간은 좌측에 월말부분주간은 우측에 여백이 형성되므로 월초분분주간 행 좌측이면서 월간관리부의 상단좌측, 오거나이저 좌측면 상단에 월이름(44)을 표기하되 월초부분주간의 월요일부터 월력테이블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월말부분주간 행 우측이면서 월간관리부 하단좌측, 오거나이저 우측면 하단에 당해 월의 이전 달과 다음 3달의 소월력(45)을 표기 한다.
그리고, 월이름(44)과의 조화를 위하여 월 이름열이면서 동시에 월초부분주간행이 되는 행 그 아래에 주간요일행(46)을 배치하고 그 아래로 나머지 월력을 배치하되 그 아래 배치된 월력의 3주차와 4주차주간열 사이의 구분을 색, 선의 굵기, 종류 등으로 구분하고 4주차 주간열 이후는 월말로써 월이름 이후 5주차가 된다. 이 때 5주차 열과 4주차 열은 이전 3, 4주차와 다르게 열 사이를 색, 선의 굵기, 종류 혹은 약간의 공간을 띄우는 등으로 구분함으로써 업무 집중도가 높아지는 월 하순을 단계적이고도 시각적으로 강조한다. 그리고, 월력을 한 눈에 보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월간관리부의 일측면에 각 달의 월숫자 혹은 월이름을 표기하되 다음 월력의 해당 표기는 이전 월력의 표기에서 한 방향을 정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이동 표기하고 당해 연도 나머지 달의 해당 표기들이 보일 수 있도록 해당 당해 월을 명시한 돌출탭(47) 혹은 정해진 일측면에 각 달의 월숫자 혹은 월이름을 표기하되 다음 월력의 해당 표기는 이전 월력의 표기에서 한 방향을 정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이동 표기하고 당해 연도 나머지 달의 해당 표기들이 보일 수 있도록 해당 월의 일측 면 일부를 잘라낸 잘린탭(48)을 형성한다. 이는 일반 달력에도 적용가능하다.
그리고, 시스템 오거나이저 용지의 체결구가 구성된 측면 방향을 길이로 그 길이의 수직 방향을 폭으로 할 때에 폭의 길이를 확장하여 길이 방향으로 접은 용지의 크기가 일반 용지와 동일하여 이상없이 양식을 형성할 수 있지만 체결구를 덮지 않도록 용지(이하'확장 용지')를 형성하고 체결구가 좌측에 형성된 면을 앞면, 그 반대 면을 뒷면으로 할 경우. 월간관리부를 확장용지로 형성하고 확장용지 앞면의 접선 좌측에 이전 월간관리부의 우측면인 수, 목, 금 ,토요일의 테이블(49a)과 하단에 당해 월의 이전 달과 다음 3달의 소월력을 형성하고 접선 우측에 당해 월간관리부의 좌측면인 월이름과 일, 월, 화요일의 테이블(49b)을 형성할 경우 이전 월의 월간관리부를 접선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접고 당해 월의 월간관리부 용지를 마찬가지로 접선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접어 바인더에 끼워 펼치면 상기 언급한 당해 월간관리부가 좌우 양면에 펼쳐 구성된다.
상기 확장용지를 이용한 월간관리부 구성과 관련하여, 확장용지로 구성된 월간관리부의 뒷면은 접선의 좌측면을 횡선으로 구성된 다수의 행을 형성하여 당해 월의 계획을 기재할 수 있는 당월계획기재부(49c)를, 접선의 우측면을 횡선으로 구성된 다수의 행을 형성하여 당해 월의 결과를 기재할 수 있는 당해결과기재부(49c)를 구성하여 안쪽으로 접어 체결하며, 나머지 월간관리부도 동일하게 구성하여 체결한다. 또한 , 첫 월간관리부 확장용지의 경우 접선의 좌측면은 연간순환일정기재부(21) 등을 형성하고 마지막 월간관리부 확장용지의 경우 접선의 우측면은 일년결산관리부(20D) 구성을 위한 일년결산기재부(23) 등을 구성하되 일년결산기재부는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3열로 구성한 표의 형태를 구성하여 1열은 개인 및 가족 관리, 인맥관리, 진행관리 등의 목록분류항목(24) 등을 기재하고, 2열은 잘된 점, 3열 개선해야 될 점을 기재하여 차기년도에 반영한다.
주간관리의 경우 주간순환일정관리부(50A)와 주간관리부(50B)로 나누어 주간순환일정관리부의 경우 9열을 포함한 다수의 행을 테이블 형태의 주간순환일정기재부(51)로 구성하여 1행은 0부터 시작하는 순서를 표기하고 이후 7개의 열은 한 주간의 각 요일로 배당하며 나머지 한 열은 처음 1열과 동일하게 구성하고 표로 구성된 각 개별 블록영역의 하단에는 시각을 기재할 수 있도록 여백을 형성하여 1열과 마지막 열에 표기된 순서에 따라 주간의 순환 반복되는 모든 일정들을 비슷한 시간대에 형성된 내용들로 분류 정리하여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한다. 주간순환관리부를 확장용지 형태로 구성하여 접선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하며 뒷면에 월간순환일정관리부(30) 등을 배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주간관리와 관련하여 언급된 주간관리부(50B)의 경우 확장용지로 구성하여 체결구를 좌측으로 배치한 면을 앞면으로 하여 점선을 기준으로 좌측면에 주간목록을 배치하여 좌상단에 "주간목록"이라 표기하고 우 상단에 당해 주간의 시작 및 마침 일을 기재할 수 있는 주간일자기재부(52a)를 형성하며 그 아래 우측에 당해 주간의 주간 번호를 기재할 수 있는 주간번호기재여백(52b)을 형성하고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5열로 구성한 표의 형태의 1열은 항목으로써 상기 21항의 24번을 준용한 개인 및 가족 관리, 인맥관리, 진행관리 등의 목록분류항목을 기재하고, 2열은 해당 항목과 관련되어 당해 주간에 해야 할 일의 '내용"을 나열 기재하고 3열은 중요성을 4열은 긴급성을 사용자가 표시할 수 있도록 각각 3개씩의 공백을 형성하여 중요성과 긴급성에 따라 최고 3개 등급까지 기표하고 기표수에 따라 중요도와 긴급성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일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도록 하고, 5열은 진행 정도를 간편"확인"란에 기표하되 각 항목과 항목의 경계를 선의 색, 굵기, 색깔, 길이 등으로 구분한 주간목록기재부(53)를 구성한다. 우측면에는 주간일정을 배치하여 해당 면 죄측 상단에 "주간일정"이라 표기하고 우 상단에 당해 주간의 시작 및 마침일을 기재할 수 있는 주간일자기재부(52a)와 그 아래 우측에 당해 주간의 주간 번호를 기재할 수 있는 주간번호기재여백(52b)을 형성하고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4열로 구성한 표의 형태를 구성하여 1열은 일자, 2열은 요일, 3열은 날씨 4열은 당해 주간 각 요일별로 해야 될 일 의 '내용'을 기재하되 각 요일 항목의 경계를 선의 색, 굵기, 색깔, 길이 등으로 구분한 주간일정기재부(54)를 구성한다. 특히 이 경우, 형성된 행을 한 주간 7일에 맞추어 각 일자별로 배분하되 각 요일과 요일의 경계는 횡선의 길이, 굵기, 색 등으로 구분하여주고 특히, 한 주간의 시작이 되는 일요일과 월요일의 경계선, 한주간의 중간이 되는 화요일과 수요일, 수요일과 목요일, 주말로 접어드는 금용일과 토요일은 좀 더 일반 요일간의 경계와 달리 횡선의 길이, 굵기, 색 등으로 구분하여 시각적인 강조를 준다.
상기 주간관리부의 뒷면의 경우, 체결구를 좌측 편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확장 용지 전체를 "금주의 회의" 면으로 배치하여 좌 상단에 '금주의 회의'라고 표기하고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3열로 구성한 표의 형태를 구성하여 1열은 '제목, 일시, 소요시간' 을 기재하고 2열은 회의 '장소, 내용, 참석자'를 기재하며, 3열은 '연결방법, 결과, 비고'를 기재한 금주의 회의기재부(55)로 한다.
상기 회의기재부와 관련하여, 전체 행을 3행 이상 정수개의 단위(이하 '기재단위'(56))로 나누어 그 경계를 선의 색, 굵기, 색깔, 길이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하나의 사안을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기재단위를 점유하여 기재함으로써 경제적인 용지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각 기재단위 마지막 행 3열 끝에 간편"확인"란을 통한 회의결과간편확인여백(57) 을 형성하여 해당 사안의 추후 진행 관련한 체크를 할 수 있다.
주간일간통합관리부 (50C)의 경우 주간과 일간 통합형 관리부로서, 상기 23항에서 언급한 주간목록을 1쪽 앞면에 형성하고, 1쪽 뒷면과 2쪽 앞면을 펼쳐서 주 간일간통합관리부를 형성하되 양면 윗 상단에 일간시각표시부(58a)를 표기하고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형성된 다수의 행을 3열로 구성된 표 형태로 구성하여 1열은 주간일자표시부(58b), 2열은 주간날씨기재부(58c) 로하고 3열은 당해 주간의 일정에 따라 계획 등을 기재하도록하되 상단의 일간시각표시부에 맞추어 오전 9시 이전은 아침일정기재부(59a), 오전 9시부터 오후1시 이전까지 오전일정기재부(59b), 오후1시부터 오후6시까지 오후일정기재부(59c), 오후6시 이후를 저녁일정기재부(59d)로 나누어 기재할 수 있도록 배치하고, 형성된 행을 한 주간 7일에 맞추어 각 일자별로 배분하되 각 요일과 요일의 경계는 횡선의 길이, 굵기, 색 등으로 구분하여주고 특히, 한 주간의 시작이 되는 일요일과 월요일의 경계선, 한주간의 중간이 되는 화요일과 수요일, 수요일과 목요일, 주말로 접어드는 금용일과 토요일은 좀 더 일반 요일간의 경계와 달리 횡선의 길이, 굵기, 색 등으로 구분하여 시각적으로 강조한다.
일간관리의 경우, 도1f를 참조하여 일간관리부를 확장용지 형태로 구성하되 폭을 상기 언급한 확장용지 보다 체결구를 덮을 수 있는 정도로 길게 형성하여 길이 방향 접선을 중심으로 좌측면 좌측 끝 길이방향과 우측면 우측 끝 길이방향 으로 각각 체결구를 형성하고 접선을 중심으로 좌측면 하단에 접을 수 있는 탭을 만든 양면 체결용 확장 용지(60C)( 이하'양면체결용 확장용지')를 형성한 후, 당해 용지를 길이방향 접선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접어 바인더에 체결한 후 하단막음탭(63)역시 바깥쪽으로 접으면 당해 확장 용지는 봉투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일간관리부(60)와 관련하여, 접선(006)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접혀질 경우 접히기 전 좌측면은 앞면(60A)으로 하여 좌상단에 "오늘의 계획"이라 명기하고 우 상단에 당일의 일자와 요일을 기재할 수 있는 당일일자요일기재여백(61)을 형성한 후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4열로 구성하여 1열은 '시각'을 명기하고 2열은 '계획'을 기재할 수 있는 여백을, 3열은 간편"확인"란을 형성하여 해당 사안의 추후 진행 관련한 체크할 수 있는 공백을 형성한 후 4열은 "결과"를 기재할 수 있는 여백을 형성한다. 각 행은 30분 단위의 계획을 적을 수 있도록 구성하되 하루의 일정을 오전 6시부터 9시까지 아침시간(62a),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 점심시간을 포함한 오전업무시간(62b), 오후 1시부터 오후 5시까지 오후 업무시간(62c), 오후 5시부터 오후 8시까지 업무 정리시간(62d), 오후 8시 이후 시간은 저녁시간(62e)으로 하루 생활 리듬에 맞추어 분류하여 이를 '일상리듬시간단위'으로 정의하고, 30분 단위, 1시간 단위, 일상리듬단위시간단위 별로 각각의 경계를 선의 색, 굵기, 색깔, 길이 등으로 구분한다. 이 때에 아침시간의 일상리듬시간단위 영역에서는 1열, 2열, 3열의 횡선과 종선을 생략하여 사용자가 여백을 자유롭게 활용하도록 하며, 나머지 각 일상리듬시간단위영역에서는 3열의 30분 및 1시간 단위 영역의 경계 횡선을 모두 생략하여 사용자가 결과에 대한 여백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표의 형태로 일간기재부(62)를 형성한다.
또한, 접선(006)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접혀질 경우 접히기 전 우측면은 뒷면(60B)으로 하여 좌상단에 "오늘의 기록"이라 명기하고 우상단에 내일의 날씨를 적을 수 있는 내일의날씨기재여백(64)을 형성한 후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여러 행을 구성하되 일상리듬시간단위 중 아침시간을 제외한 4개 단위에 해당하는 4 개의 기재단위로 나누어 구성한 당일사항기재부(65)와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4열로 구성한 표의 형태를 구성하여 1열은 현금지출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간편확인 란을 형성하고 2열은 지출의 "내역"을 3열은 지출"비용"을 4열은 지출한 "지출장소"를 기재할 수 있는 여백을 형성하여 당일의 지출목록표를 구성한 당일지출기재부(66)를 형성한다.
그리고, 앞면 하단막음탭을 바깥쪽으로 접을 경우 앞면(60A)부터 뒷면(60B) 하단에 걸쳐 접혀진 채 지출목록표의 아래와 연결되므로 앞면으로부터 접혀져 뒷면에 연결된 탭에 당일지출기재부 아렛부분과 연결된 표의 형태로써 지출 "계"를 기재할 여백을 형성한다. (도1c 참조)
상기 일간관리부와 관련하여, 앞면 하단에서 뒷면 하단으로 접혀진 하단막음탭과 길이방향으로 접혀 바인더에 체결된 양면 체결용 확장 용지는 봉투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일상에서 획득한 영수증, 티켓, 메모쪽지 등의 오거나이저 용지 크기보다 작은 서류 및 증빙자료 등의 부착력이 없는 작은 서류(67)을 보관, 이동 관리할 수 있다.
진행관리목록부(70A)의 경우 확장용지 상의 다수의 횡선과 다수 열로 구성된 표를 형성하고 상단의 3행의 첫열을 합쳐 "진행관리목록"이라고 명기하고 1행의 나머지 다수열은 월을 기재하고 , 2행의 나머지 다수열은 주를, 3행의 나머지 다수 열은 일을 기재할 수 있는 진행관리일자기재부(71)를 형성하고, 그 아래 4행부터는 첫 열에는 진행관리부 상에 기재되어 관리 중인 진행관리제목 등을 기재하고 나머지 다수 열은 상기 진행관리일자기재부에 맞추어 간편 확인 체크할 수 있는 진행목 록관리확인부(72)를 형성한다.
진행관리를 위하여 개별진행진행관리부(70B) 확장용지의 체결구를 죄측 끝 길이방향에 형성할 경우 접선을 중심으로 좌측면을 진행관리부로 하여 좌상단에 "진행관리부"라 표기하고 우상단에 진행의 시작 일과 마침 일을 기재할 수 있는 진행일정기재여백(73)을 형성하고 그 아래에 진행의 주제 가되는 진행주제기입여백(74a)와 같은 주제로써 몇 번째 진행관리부인가를 알려주는 차수를 기입하는 진행차수기재여백(74b)을 형성하고 그아래로 해당진행사항과 관련된 분류를 표시할 수 있도록 개인/가족, 인맥, 진행 및 기타/종교 등의 대분류 항목을 표기한 진행사항분류행(75a)을 형성하고,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을 형성하여 진행업무를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달성목표"를 기재할 수 있는 달성목표기재부(75b)를 형성하고,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2열로 구성한 표의 형태를 구성하여 할 수 있는 관리사항기재부(75c)를 형성하며 1열은 주요관리사항을 세부 항목별로 나누어 기재하고 2열은 이에 대한 진행 정도를 간편"확인"란에 기표하게 하며 그 아래로 진행과 관련된 주요 인명을 기재할 수 있도록 횡선으로 구성된 3행 2열로 구성하여 1열 이름과 간단한 직책을 기재하는 여백을 형성하고 2열은 각 행별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및 우편주소를 적는 기재단위 (이하"인명기재단위") 2개로써 진행관련인맥기재부(76)를 형성한다.
상기 개별진행진행관리부(70B)와 관련하여, 확장용지 접선을 중심으로 우측면 좌상단에 "D데이" 날자를 기록할 수 있는 진행완료일기재여백(77a)과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여러 행을 4열로 구성한 표형태로 구성하되 1열은 시행하여야 하 는 날자로 부터의 잔여일자 수를 기재하고, 2열은 해당 일의 일자, 3열은 진행사향, 4열은 진행 정도를 간편"확인"란에 기표할 수 있는 여백으로 구성하되, 전체 행을 3행 이상으로 구성된 기재단위로 형성하여 각각의 경계를 선의 색, 굵기, 색깔, 길이 등으로 구분한 역시간계획기재부(77b)이다.
또한, 확장용지의 체결구를 죄측 끝 길이방향으로 하여 이를 앞면으로 정의할 경우 뒷면 전체를 진행일정을 관리를 위하여 "진행일정관리"라고 명기하고 1행의 나머지 다수열은 월을 기재하고 , 2행의 나머지 다수열은 주를, 3행의 나머지 다수열은 일을 기재할 수 있는 진행일정관리일자기재부(78)를 형성하고, 그 아래 4행부터는 첫 열에는 진행관리부 상에 기재되어 관리 중인 진행관리제목 등을 기재하고 나머지 다수 열은 상기 진행관리일자기재부에 맞추어 간편 확인 체크할 수 있는 진행일정관리확인부(72)를 형성한다.
일반메모노트를 기재하는 관리부 (이하 '일반관리부'(80))의 경우 용지 우상단에 기재 시작일을 기재할 수 있는 기재시작일자기재부(81)를 형성하고 그 아래에 기재의 주요 주제가 되는 "Issue"와 같은 제목을 기재할 수 있는 메모제목기재부(82a)와 같은 주제 및 제목으로 몇 번째 기재하는 메모노트인가를 기재하는 동일주제메모차수기재부(82b)를 형성하고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과 3열로 구성된 표를 형성하여 1열은 소제목, 일시, 소요시간을 2열은 내용, 참석자, 장소를 3열은 연결방법, 결과, 비고를 작성하되 사용자가 자유롭게 기재할 수 있도록 종선은 형성하지 않는다. 또한 경제적인 용지사용을 위하여 다수의 기재단위를 형성하고 그 경계를 선의 색, 굵기, 길이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하나의 사안을 하나 혹은 하나 이 상의 기재단위를 점유하여 기재할 수 있도록 한 메모내용기재부(83)를 형성한다.
좌상단에 "인맥목록" 이라 명기한 인맥목록관리부(90a)의 우상단에 해당 인맥의 분류를 위하여 가족, 친지, 진행, 업체, 기타/종교 등의 분류 목록을 명시하여 사용자가 선택 체크하도록 한 인맥분류표식부(91)과 그 아래에 상세인맥명을 기재할 수 있는 상세인맥기재부(92a)와 그 우측으로 같은 상세인맥명을 갖는 목록으로써 추가 차수를 기재할 수 있는 동일인맥목록차수기재부(92b)와 그 아래로 해당 인맥그룹의 관련 상세사항을 적을 수 있는 인맥상세기재부(93)를 형성하고 그 아래로 당해 인맥과 관련된 인명을 기재할 수 있도록 한 인명 당 횡선으로 구성된 3행 2열로 구성하여 1열 이름과 간단한 직책을 기재하는 여백을 형성하고 2열은 각 행별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및 우편주소를 기재할 수 있는 다수의 인명기재단위로 구성된 인맥인명기재부(94)를 형성하며 각 인맥목록을 요이한 검색을 위하여 인맥관리돌출탭(95)을 일측면에 형성한다.
인맥의 주요인명 관리의 경우 , 용지의 체결구를 왼쪽으로 위치시킬 경우 해당면을 앞면으로 한 주요인맥관리부(90b)의 경우, 좌상단에 "주요인맥정보"라고 명기하고 우상단에 해당 인맥의 분류를 위하여 가족, 친지, 진행, 업체, 기타/종교 등의 분류 목록을 명시하여 사용자가 선택 체크하도록 한 인맥분류표식부(91)를 형성하고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여백을 형성하여 당해 인명이 소속된 "인맥그룹명", 당해 인명의 "이름"과 "혈액형", "핸드폰" 및 "전화" 연락처, "주소", "이메일", "미니홈피", "생년월일", "졸업학교"와 "전공", 해당 인명과 관련이 있는 "관련자", 당해 인명이 기혼자인 경우 "결혼기념일"과 "자녀"의 구성, "취미", 성격 혹은 인상", "특기", 별명 혹은 기타"사항, "첫만남" 일시와 "장소" 그리고 그 이후 최초 "5차례의 접촉 일자"와 연결"방법", 당해 인명과의 "인맥형성평가" 등을 기재할 수 있는 주요인맥내용기재부(96)를 구성한다.
상기 주요인맥관리부(90b)와 관련하여, 주요인맥관리부(90b)의 뒷면은 일반관리부(80) 양식을 형성하되 그 하단 명함크기에 준하는 부분의 가운데에 용지 쪽으로 바닥접착부(97c)가 형성되고 용지표면 성분이 라미네이팅 처리된 명함부착용스티커바탕부(97a)를 붙이고, 해당 표면에 양면테이프조각(97b)을 명함(98a)뒷면에 붙인 명함(이하 '접착력이 부여된 명함'(98))을 부착하여 부착력을 유지한 채 관리할 수 있다.
부착식명함관리부(90C) 에 있어서, 표면이 라미네이팅 등으로 처리되어 이형기능을 갖거나 혹은 이와 유사한 이형기능을 갖는 용지의 경우, 접착력이 부여된 명함(98)을 부착력이 유지된 채 관리 가능하므로 다수의 명함을 인맥 별로 분류하여 부착하여 관리한다.
책갈피용 자 세트를 센티미터 단위투명자(100A)와 인치단위투명자(100B) 2가지로 구성하되, 그 사이즈를 속지 사이즈로 하고 체결구는 착탈식으로 하며 길이방향 체결구의 반대 측에 눈금을 형성한다. 센티미터 책갈피용 자의 경우 책갈피 면에 5밀리미터 가로 세로 간격의 방안선을 형성하되 1센티미터 및 5센티미터 간격의 눈금선을 선의 색, 굵기 등으로 구분하고 용지 모서리 등에 가로 세로 일정한 간격을 띄우는 위치의 표시가 용이하도록 가로세로 1센티미터가 교차하는 점에 지름 0.7밀리미터의 구멍을 천공하여 표시구멍이 있는 방안자(101)를 형성하며, 인치 단 위자의 경우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매 인치당 인치지시횡선(102)을 형성하여 방안자의 효과를 얻는다.
접착력이 부여된 명함 혹은 기타 용지에 부착을 위하여 양면체결용 확장용지로 좌우 양쪽 길이방향에 체결구를 착탈식으로 형성한 양면테이프관리부겉표지(103)의 접선을 중심으로 좌측면을 바닥이형지(104a)로 형성한 후 일정크기와 모양의 양면테이프 조각(97b) 다수를 형성하여 부착하고 당해 양면테이프조각과 크기와 모양이 같은 다수의 보호이형지조각(104b)를 그 위에 부착한 양면테이프관리부(100C)를 형성하여 당해 양면테이프조각과와 보호 이형지조각을 함께 떼어 명함 등에 부착한 후 보호이형지를 떼어내면 부착대상에 부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
양면체결용 확장용지를 겉표지로 하고 체결구를 착탈식으로 형성한 포스트잇관리부겉표지(105)의 중앙부에 적층된 포스트잇의 두께에 맞추어 접선을 형성하고 접선 좌측면에 일정크기의 포스트잇을 적층하되 사용자가 포스트잇을 사용할 경우 기재와 분류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각 포스트잇 상부에 인맥, 일정, 회의, 진행, 정보, 모임, 아이디어 등의 분류항목을 명기한 분류항목명기포스트잇(106)이 적층된 포스트잇관리부(100D)를 고안한다.
도1a는 월간, 주간, 일간관리부를 배치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1b는 월간 및 주간관리부 확장 용지를 펼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1c는 주간 및 일간관리부와 인성계획부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1d는 진행관리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1e는 인맥관리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1f는 영수증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일간관리부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1g는 제본식 오거나이저의 월간 및 주간관리부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1h는 탁상용 달력에 월간관리부 양식 적용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2a는 인생계획관리부
도2b는 인성관리부
도3a는 착탈식 달력 및 공공기념일 목록
도3b는 연간순환일정관리부
도3c는 연간계획일정관리부
도3d는 일년결산관리부
도3e는 월간순환일정관리부
도3f는 월간관리부
도3g는 일반 월간관리부 및 달력에 대한 잘린탭의 응용
도3h는 주간순환일정관리부
도3i는 주간관리부
도3j는 시스템오거나이저 상에서의 주간관리부의 실용 예
도3k는 주간일간통합관리부
도3l은 일간관리부
도4a는 진행관리목록부
도4b는 개별진행관리부
도4c는 일반관리부
도5a는 인맥목록부
도5b는 인맥목록부관리부 및 주요인맥관리부 앞면
도5c는 주요인맥관리부 뒷면
도6a는 투명자세트
도6b는 양면테이프관리부
도6c는 포스트잇관리부
001 바인더 체결링
002 바인더 체결구
003 길이
004 폭
005 확장용지
006 접선
10A 인생계획관리부
11 좌우명
12 인생계획기재부
10B 인성관리부
10a 인성관리부 앞면
10b 인성관리부 뒷면
13 나의 좌우명 / 인생목표 기재부
14 올해 목표 기재부
15 장점 기재부
16 단점 기재부
20A 달력 및 공공기념일 목록
20B 연간순환일정 / 기념일 관리부
21 연간순환일정기재부
20C 연간일정계획목록
22 연간일정계획기재부
20D 일년결산관리부
23 일년결산기재부
24 목록분류항목
30 월간순환일정관리부
31 주간요일별기재부
32 일자별기재부
40 월간관리부
41 부분월초주간
42 본주간
43 부분월말주간
44 월이름
45 소월력
46 주간요일행
47 돌출탭
48 잘린탭
49a 월간관리부 확장용지 앞면의 좌측면
49b 월간관리부 확장용지 앞면의 우측면
49c 월간관리부 확장용지 뒷면의 좌측면, 당월계획기재부
49d 월간관리부 확장용지 뒷면의 우측면, 당월결과기재부
50A 주간순환일정관리부
51 주간순환일정기재부
50B 주간관리부
52a 주간일자기재부
52b 주간번호기재여백
53 주간목록기재부
54 주간일정기재부
55 회의기재부
56 기재단위
57 회의결과간편확인여백
50C 주간일간통합관리부
58a 일간시각표시부
58b 주간일자표시부
58c 주간날씨기재부
59a 아침일정기재부
59b 오전일정기재부
59c 오후일정기재부
59d 저녁일정기재부
60 일간관리부
60A 일간관리부 확장용지 앞 좌측면, 오늘의 계획
60B 일간관리부 확장용지 앞 우측면, 오늘의 기록
60C 양면 체결용 확장 용지
61 당일일자요일기재여백
62 일간기재부
62a 아침시간
62b 오전업무시간
62c 오후업무시간
62d 업무정리시간
62e 저녁시간
63 하단막음탭
63a 하단막음탭접선
64 내일의날씨기재여백
65 당일사항기재부
66 당일지출기재부
67 부착력이 없는 작은 서류
70A 진행관리목록부
71 진행관리일자기재부
72 진행목록관리확인부
73 진행일정기재여백
70B 개별진행관리부
74a 진행주제기입여백
74b 진행차수기재여백
75a 진행사항분류행
75b 달성목표기재부
75c 관리사항기재부
76 진행관련인맥기재부
77a 진행완료일기재여백
77b 역시간계획기재부
78 진행일정관리일자기재부
79 진행일정관리일자기재부
80 일반관리부
81 기재시작일자기재부
82a 메모제목기재부
82b 동일주제메모차수기재부
83 메모내용기재부
90 인맥목록부관리부
91 인맥분류표식부
92a 상세인맥기재부
92b 동일인맥목록차수기재부
93 인맥상세기재부
94 인맥인명기재부
95 인맥관리돌출탭
90b 주요인맥관리부
96 주요인맥내용기재부
97a 명함부착용스티커바탕부
97b 양면테이프조각
97c 바닥접착부
98a 명함
98 부착력이 부쳐된 명함
90c 부착식명함관리부
100A 센티미터단위 투명자
101 표시구멍이 있는 방안자
100B 인치단위 투명자
102 인치지시횡선
100C 양면테이프관리부
103 양면테이프관리부겉표지
104a 바닥이형지
104b 보호이형지조각
100D 포스트잇관리부
105 포스트잇관리부겉표지
106 분류항목명기포스트잇
도 1a부터 도 1h 까지는 본 고안의 대표적 실시 예를 표현
도 2a부터 도 2b는 인생계획관리부 및 인성관리부
도 3a부터 도 3l은 연간, 월간, 주간 및 일간관리와 관계되는 일정관리부
도 4a부터 도 4c는 진행관리목록부, 개별진행관리부, 일반관리부 등과 관계되는 진행관리부
도 5a부터 도 5c는 인맥목록부, 인맥목록부관리부 및 주요인맥관리부 등과 관계되는 인맥관리부
도 6a부터 도 6c는 투명자세트, 양면테이프관리부, 포스트잇관리부와 같은 오거나이저의 부속물

Claims (28)

  1. 사용자의 좌우명과 현 시점을 기준으로 향후 20 ∼ 30년간의 사용자의 나이와 이에 맞는 각 년도 별 실천목표와 이에 필요한 재정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인생계획관리부로써, 좌상단에 인생게획이라 명기하고 그 아래 좌우명을 적을 수 있는 여백(11)을 형성하고 그 아래 년도별 인생의 목표를 구상할 수 있도록 다수 횡선으로 구성되고 4열로 구성된 표 형태의 인생계획기재부(12)를 형성하여 1열은 연도를 명기하고, 2열은 자신의 나이를 기재할 수 있는 여백과, 3열에는 해당 연도에 자신의 목표를 기재할 수 있는 여백과, 4열에는 해당목표를 위한 자신의 금융 자산의 목표치를 만원단위로 기재할 수 있는 여백을 구성한 인생계획관리부 양식이 포함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2. 사용자의 장기간의 인생목표와 당해연도의 목표 그리고 인성의 향상을 항상 자성하도록, 체결구를 좌측에 위치시킬 때 해당 면을 앞면으로 정의할 경우 인생목표와 좌우명(13) 및 올해의 목표(14)를 뒷면에, 장점(15)과 단점(16)을 기재할 수 있도록 다수의 횡선으로 행을 형성하는 등 여백을 구성하고 후 일상에서 인생목표를 성취하기위하여 사용자가 수시로 살펴보며 꾸준히 내용을 수시로 되새기며 사용자 스스로 장점의 개발과 단점을 개선을 할 수 있도록 수 있도록 링바인더를 채택한 다이어리및 오거나이저의 '바인더를 개방하지 않고도 쉽게 용지를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착탈식 바인더 체결구 등을 갖춘 책갈피형 인성카드를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3. 해당 년도의 국가 제정 경축일과 기념일 그리고 계절의 변화를 알려주는 절기 등을 하나로 모아 정리한 공공 기념일 목록(20A)을 당해년도 달력 뒷면에 표기하여 링바인더 등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다이어리 혹은 오거나이저 내의 사용자가 필요한 곳에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달력을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4. 사용자 연간순환일정 및 기념일 목록은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5열 이상을 구성한 표의 형태로써 연간순환일정기재부(21)를 구성하고 1열은 월, 2열은 일, 3열은 음력일을 기재하고 4열 이후의 열은 해당 기념일의 내용을 기재할 수 있는 양식을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5. 해당 년도에 미리 계획된 사용자와 관련된 주요 일정을 기재할 수 있는 목록으로써 연간행사 목록은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4열로 구성한 표의 형태로써 연간일정계획기재부(22)를 구성하고 1열은 월, 2열은 시작일, 3열은 마침일, 4열은 주요행사 및 이벤트 명을 기재하되 당해연도 1월부터 당해연도 다음 해 2월까지 기재한 양식을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6. 월간관리를 위하여 매월 단위로 순환되는 행사나 예정된 일을 기재할 수 있 는 월간순환일정관리부를 고안하되, 주간 요일별로 순환하는 경우와 매월 초일부터 말일까지 일자별로 순환하는 경우를 각각 나누어 주간요일별기재부(31)는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4열로 구성한 표의 형태로써 1열은 주, 2열은 요일, 3열 이후는 해당 내용을 기재할 수 있는 표의 형태로 하고 일자별기재부(32)는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3열로 구성한 표의 형태로써 1열은 일자, 2열 이후는 해당 내용을 기재할 수 있는 표의 형태로 구성한 양식을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7. 월력의 주간구성을 월초의 첫 주간으로써 온전한 일주일을 갖추지 않은 부분월초주간(41)과 온전한 일주일을 갖추어 시작한 주부터 4주 혹은 월초부분주간 이후 4주를 본 주간(42), 그리고 본주간 이후 잔여 주간을 부분월말주간(43)으로 나누어 정의하고 이를 모두 월력에 구성할 수 있도록 7열 6행 표형태의 월력테이블 형태를 지니며, 주간의 시작을 일요일로 하고 일요일과 월요일 열 사이를 색, 선의 굵기, 종류 등으로 구분하여 본 주간의 시작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펼친 제본식 혹은 시스템 오가나이저 (이하'오거나이저') 양면에 걸쳐 구성하고, 월초부분주간은 좌측에 월말부분주간은 우측에 여백이 형성되므로 월초분분주간 행 좌측이면서 월간관리부의 상단좌측, 오거나이저 좌측면 상단에 월이름(44)을 표기하되 월초부분주간의 월요일부터 월력테이블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월말부분주간 행 우측이면서 월간관리부 하단좌측, 오거나이저 우측면 하단에 당해 월의 이전 달과 다음 3달의 소월력(45)을 표기하고, 월이름(44)과의 조화를 위하여 월 이름열이며 동시에 월초부분주간행 아래에 주간요일행(46)을 배치하고 그 아래로 나머지 월력 을 배치하되 그 아래 배치된 월력의 3주차와 4주차 주간열 사이의 구분을 색, 선의 굵기, 종류 등으로 구분하고 4주차 주간열 이후는 월말로써 월이름 이후 5주차가 된다. 이 때 5주차 열과 4주차 열은 이전 3, 4주차와 다르게 열 사이를 색, 선의 굵기, 종류 혹은 약간의 공간을 띄우는 등으로 구분함으로써 업무 집중도가 높아지는 월 하순을 단계적이고도 시각적으로 강조한 월력 및 월간관리부 양식을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8. 청구항 7과 관련하여 월력을 한 눈에 보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월간관리부의 일측면에 각 달의 월숫자 혹은 월이름을 표기하되 다음 월력의 해당 표기는 이전 월력의 표기에서 한 방향을 정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이동 표기하고 당해 연도 나머지 달의 해당 표기들이 보일 수 있도록 해당 당해월을 명시한 돌출탭(47) 혹은 정해진 일측면에 각 달의 월숫자 혹은 월이름을 표기하되 다음 월력의 해당 표기는 이전 월력의 표기에서 한 방향을 정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이동 표기하고 당해 연도 나머지 달의 해당 표기들이 보일 수 있도록 해당 월의 일측 면 일부를 잘라낸 잘린탭(48)을 형성한 양식을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로써 벽걸이식 및 탁상용 포함.
  9. 청구항 7과 관련하여 링바인더가 있는 다이어리 및 시스템 오거나이저용으로 확장 용지를 형성하고 체결구가 좌측에 형성된 면을 앞면, 그 반대 면을 뒷면으로 할 경우. 월간관리부를 확장용지로 형성하고 확장용지 앞면의 접선 좌측에 이전 월 간관리부의 우측면인 수, 목, 금 ,토요일의 테이블(49a)과 하단에 당해 월의 이전 달과 다음 3달의 소월력을 형성하고 접선 우측에 당해 월간관리부의 좌측면인 월이름과 일, 월, 화요일의 테이블(49b)을 형성할 경우 이전월의 월간관리부를 접선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접고 당해월의 월간관리부 용지를 마찬가지로 접선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접어 바인더에 끼워 펼치면 상기 언급한 당해 월간관리부가 좌우 양면에 펼쳐 구성되도록 구성하며 확장용지로 구성된 월간관리부의 뒷면은 접선의 좌측면을 횡선으로 구성된 다수의 행을 형성하여 당해월의 계획을 기재할 수 있는 당월계획기재부(49c)를, 접선의 우측면을 횡선으로 구성된 다수의 행을 형성하여 당해월의 결과를 기재할 수 있는 당해결과기재부(49c)를 구성하여 안쪽으로 접어 체결하며, 나머지 월간관리부도 동일하게 구성하여 체결하도록 고안된 양식을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10. 청구항 9와 관련하여, 첫 월간관리부 확장용지의 경우 접선의 좌측면은 연간순환일정기재부(21) 등을 형성하고 마지막 월간관리부 확장용지의 경우 접선의 우측면은 일년결산관리부(20D) 구성을 위한 일년결산기재부(23) 등을 구성하되 일년결산기재부는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3열로 구성한 표의 형태를 구성하여 1열은 개인 및 가족관리, 인맥관리, 진행관리 등의 목록분류항목(24) 등을 기재하고, 2열은 잘된 점, 3열 개선해야 될 점을 기재하여 차기년도에 반영할 수 있도록 고안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11. 주간순환일정관리부의 경우 9열을 포함한 다수의 행을 테이블 형태의 주간순환일정기재부(51)로 구성하여 1행은 0부터 시작하는 순서를 표기하고 이후 7개의 열은 한 주간의 각 요일로 배당하며 나머지 한 열은 처음 1열과 동일하게 구성하고 표로 구성된 각 개별 블록 영역의 하단에는 시각을 기재할 수 있도록 여백을 형성하여 1열과 마지막 열에 표기된 순서에 따라 주간의 순환 반복되는 모든 일정들을 비슷한 시간대에 형성된 내용들로 분류 정리하여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한다. 주간순환관리부를 확장용지 형태로 구성하여 접선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하며 뒷면에 월간순환일정관리부(30) 등을 배치하여 구성한 양식을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12. 주간관리부(50B)의 경우 확장용지로 구성하여 체결구를 좌측으로 배치한 면을 앞면으로 하여 점선을 기준으로 좌측면에 주간목록을 배치하여 좌상단에 "주간목록"이라 표기하고 우 상단에 당해 주간의 시작 및 마침일을 기재할 수 있는 주간일자기재부(52a)를 형성하며 그 아래 우측에 당해 주간의 주간 번호를 기재할 수 있는 주간번호기재여백(52b)을 형성하고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5열로 구성한 표의 형태의 1열은 항목으로써 상기 21항의 24번을 준용한 개인 및 가족 관리, 인맥관리, 진행관리 등의 목록분류항목을 기재하고, 2열은 해당 항목과 관련되어 당해 주간에 해야할 일의 '내용"을 나열 기재하고 3열은 중요성을 4열은 긴급성을 사용자가 표시할 수 있도록 각각 3개씩의 공백을 형성하여 중요성과 긴급성에 따라 최고 3개 등급까지 기표하고 기표수에 따라 중요도와 긴급성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일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도록 하고, 5열은 진행 정도를 간편"확인"란에 기표하되 각 항목과 항목의 경계를 선의 색, 굵기, 색깔, 길이 등으로 구분한 주간목록기재부(53)를 구성하며. 우측면에는 주간일정을 배치하여 해당 면 죄측 상단에 "주간일정"이라 표기하고 우 상단에 당해 주간의 시작 및 마침일을 기재할 수 있는 주간일자기재부(52a)와 그 아래 우측에 당해 주간의 주간 번호를 기재할 수 있는 주간번호기재여백(52b)을 형성하고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4열로 구성한 표의 형태를 구성하여 1열은 일자, 2열은 요일, 3열은 날씨 4열은 당해 주간 각 요일 별로 해야될 일의 '내용'을 기재하되 각 요일 항목의 경계를 선의 색, 굵기, 색깔, 길이 등으로 구분한 주간일정기재부(54)를 구성한다. 특히 이 경우, 형성된 행을 한 주간 7일에 맞추어 각 일자별로 배분하되 각 요일과 요일의 경계는 횡선의 길이, 굵기, 색 등으로 구분하여주고 특히, 한 주간의 시작이 되는 일요일과 월요일의 경계선, 한주간의 중간이 되는 화요일과 수요일, 수요일과 목요일, 주말로 접어드는 금용일과 토요일은 좀 더 일반 요일간의 경계와 달리 횡선의 길이, 굵기, 색 등으로 구분하여 시각적인 강조를 준 양식을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13. 청구항 11과 관련하여, 체결구를 좌측 편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확장 용지 전체를 "금주의 회의" 면으로 배치하여 좌 상단에 '금주의 회의'라고 표기하고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3열로 구성한 표의 형태를 구성하여 1열은 '제목, 일시, 소요시간' 을 기재하고 2열은 회의 '장소, 내용, 참석자'를 기재하며, 3 열은 '연결방법, 결과, 비고'를 기재한 금주의 회의기재부(55)로 하는 양식을 포함한 다이이러 및 오거나이저로써 전체 행을 3행 이상 정수개의 단위(이하 '기재단위'(56))로 나누어 그 경계를 선의 색, 굵기, 색깔, 길이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하나의 사안을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기재단위를 점유하여 기재함으로써 경제적인 용지사용이 가능한 양식을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14. 청구항 11과 관련하여 전체 행을 3행 이상 정수개의 단위(이하 '기재단위'(56))로 나누어 그 경계를 선의 색, 굵기, 색깔, 길이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하나의 사안을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기재단위를 점유하여 기재함으로써 경제적인 용지사용이 가능한 양식을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상기 45항과 관련하여, 각 기재단위 마지막 행 3열 끝에 간편"확인"란을 통한 회의결과간편확인여백(57) 을 형성하여 해당 사안의 추후 진행 관련한 체크를 할 수 있는 양식을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15. 주간과 일간 통합형 관리부로서, 상기 청구항 12에서 언급한 주간목록을 1쪽 앞면에 형성하고, 1쪽 뒷면과 2쪽 앞면을 펼쳐서 주간일간통합관리부를 형성하되 양면 윗 상단에 일간시각표시부(58a)를 표기하고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형성된 다수의 행을 3열로 구성된 표 형태로 구성하여 1열은 주간일자표시부(58b), 2열은 주간날씨기재부(58c) 로하고 3열은 당해 주간의 일정에 따라 계획 등을 기재하도록 하되 상단의 일간시각표시부에 맞추어 오전 9시 이전은 아침일정기재부(59a), 오전 9시부터 오후1시 이전까지 오전일정기재부(59b), 오후1시부터 오후6시까지 오후일정기재부(59c), 오후6시 이후를 저녁일정기재부(59d)로 나누어 기재할 수 있도록 배치하고, 형성된 행을 한주간 7일에 맞추어 각 일자별로 배분하되 각 요일과 요일의 경계는 횡선의 길이, 굵기, 색 등으로 구분하여주고 특히, 한 주간의 시작이 되는 일요일과 월요일의 경계선, 한주간의 중간이 되는 화요일과 수요일, 수요일과 목요일, 주말로 접어드는 금용일과 토요일은 좀 더 일반 요일간의 경계와 달리 횡선의 길이, 굵기, 색 등으로 구분하여 시각적으로 강조한 양식을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16. 일간관리의 경우 도1f를 참조하여 확장용지 형태로 구성하되 폭을 상기 언급한 확장용지 보다 체결구를 덮을 수 있는 정도로 길게 형성하여 길이 방향 접선을 중심으로 좌측면 좌측 끝 길이방향과 우측면 우측 끝 길이방향 으로 각각 체결구를 형성하고 접선을 중심으로 좌측면 하단에 접을 수 있는 탭을 만든 양면 체결용 확장 용지(60C)( 이하'양면체결용 확장용지')를 형성한 후, 당해 용지를 길이방향 접선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접어 바인더에 체결한 후 하단막음탭(63)역시 바깥쪽으로 접으면 당해 확장 용지는 봉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접선(006)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접혀질 경우 접히기 전 좌측면은 앞면(60A)으로 하여 좌상단에 "오늘의 계획"이라 명기하고 우 상단에 당일의 일자와 요일을 기재할 수 있는 당일일자요일기재여백(61)을 형성한 후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4열로 구성하여 1열은 '시각'을 명기하고 2열은 '계획'을 기재할 수 있는 여백을, 3열은 간편"확인" 란을 형성하여 해당 사안의 추후 진행 관련한 체크할 수 있는 공백을 형성한 후 4열은 "결과"를 기재할 수 있는 여백을 형성한다. 각 행은 30분 단위의 계획을 적을 수 있도록 구성하되 하루의 일정을 오전 6시부터 9시까지 아침시간(62a),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 점심시간을 포함한 오전업무시간(62b), 오후 1시부터 오후 5시까지 오후 업무시간(62c), 오후 5시부터 오후 8시까지 업무 정리시간(62d), 오후 8시 이후 시간은 저녁시간(62e)으로 하루 생활 리듬에 맞추어 분류하여 이를 '일상리듬시간단위'으로 정의하고, 30분 단위, 1시간 단위, 일상리듬단위시간단위 별로 각각의 경계를 선의 색, 굵기, 색깔, 길이 등으로 구분한다. 이 때에 아침시간의 일상리듬시간단위 영역에서는 1열, 2열, 3열의 횡선과 종선을 생략하여 사용자가 여백을 자유롭게 활용하도록 하며, 나머지 각 일상리듬시간단위영역에서는 3열의 30분 및 1시간 단위 영역의 경계 횡선을 모두 생략하여 사용자가 결과에 대한 여백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표의 형태로 일간기재부(62)를 형성한다. 또한 접선(006)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접혀질 경우 접히기 전 우측면은 뒷면(60B)으로 하여 좌상단에 "오늘의 기록"이라 명기하고 우상단에 내일의 날씨를 적을 수 있는 내일의날씨기재여백(64)을 형성한 후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여러 행을 구성하되 일상리듬시간단위 중 아침시간을 제외한 4개 단위에 해당하는 4개의 기재단위로 나누어 구성한 당일사항기재부(65)와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4열로 구성한 표의 형태를 구성하여 1열은 현금지출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간편확인 란을 형성하고 2열은 지출의 "내역"을 3열은 지출"비용"을 4열은 지출한 "지출장소"를 기재할 수 있는 여백을 형성하여 당일의 지출목록표를 구성한 당일지출기 재부(66)를 형성하고, 앞면 하단막음탭을 바깥쪽으로 접을 경우 앞면(60A)부터 뒷면(60B) 하단에 걸쳐 접혀진 채 지출목록표의 아래와 연결되므로 앞면으로부터 접혀져 뒷면에 연결된 탭에 당일지출기재부 아렛부분과 연결된 표의 형태로써 지출 "계"를 기재할 여백을 형성한다. 이로써 앞면 하단에서 뒷면 하단으로 접혀진 하단막음탭과 길이방향으로 접혀 바인더에 체결된 양면 체결용 확장 용지는 봉투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일상에서 획득한 영수증, 티켓, 메모쪽지 등의 오거나이저 용지 크기보다 작은 서류 및 증빙자료 등의 부착력이 없는 작은 서류(67)을 보관, 이동 관리할 수 있는 일간관리부 양식을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17. 진행관리목록부(70)의 경우 확장용지 상의 다수의 횡선과 다수 열로 구성된 표를 형성하고 상단의 3행의 첫열을 합쳐 "진행관리목록"이라고 명기하고 1행의 나머지 다수열은 월을 기재하고 , 2행의 나머지 다수열은 주를, 3행의 나머지 다수열은 일을 기재할 수 있는 진행관리일자기재부(71)를 형성하고, 그 아래 4행부터는 첫 열에는 진행관리부 상에 기재되어 관리 중인 진행관리제목 등을 기재하고 나머지 다수 열은 상기 진행관리일자기재부에 맞추어 간편 확인 체크할 수 있는 진행목록관리확인부(72)를 형성한 양식을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18. 진행관리를 위하여 확장용지의 체결구를 죄측 끝 길이방향에 형성할 경우 접선을 중심으로 좌측면을 진행관리부로 하여 좌상단에 "진행관리부"라 표기하고 우상단에 진행의 시작 일과 마침 일을 기재할 수 있는 진행일정기재여백(73)을 형성 하고 그 아래에 진행의 주제 가되는 진행주제기입여백(74a)와 같은 주제로써 몇 번째 진행관리부인가를 알려주는 차수를 기입하는 진행차수기재여백(74b)을 형성하고 그아래로 해당진행사항과 관련된 분류를 표시할 수 있도록 개인/가족, 인맥, 진행 및 기타/종교 등의 대분류 항목을 표기한 진행사항분류행(75a)을 형성하고,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을 형성하여 진행업무를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달성목표"를 기재할 수 있는 달성목표기재부(75b)를 형성하고,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구성된 행에 2열로 구성한 표의 형태를 구성하여 할 수 있는 관리사항기재부(75c)를 형성하며 1열은 주요관리사항을 세부 항목별로 나누어 기재하고 2열은 이에 대한 진행 정도를 간편"확인"란에 기표하게 하며 그 아래로 진행과 관련된 주요 인명을 기재할 수 있도록 횡선으로 구성된 3행 2열로 구성하여 1열 이름과 간단한 직책을 기재하는 여백을 형성하고 2열은 각 행별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및 우편주소를 적는 기재단위 (이하"인명기재단위") 2개로써 진행관련인맥기재부(76)를 형성한 양식을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19. 청구항 17과 관련하여, 확장용지 접선을 중심으로 우측면 좌상단에 "D데이" 날자를 기록할 수 있는 진행완료일기재여백(77a)과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여러 행을 4열로 구성한 표 형태로 구성하되 1열은 시행하여야 하는 날자로 부터의 잔여일자 수를 기재하고, 2열은 해당 일의 일자, 3열은 진행사향, 4열은 진행 정도를 간편"확인"란에 기표할 수 있는 여백으로 구성하되, 전체 행을 3행 이상으로 구성된 기재단위로 형성하여 각각의 경계를 선의 색, 굵기, 색깔, 길이 등으로 구분 한 역시간계획기재부(77b)를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20. 청구항 17과 관련하여, 확장용지의 체결구를 죄측 끝 길이방향으로 하여 이를 앞면으로 정의할 경우 뒷면 전체를 진행일정을 관리를 위하여 "진행일정관리"라고 명기하고 1행의 나머지 다수열은 월을 기재하고 , 2행의 나머지 다수열은 주를, 3행의 나머지 다수열은 일을 기재할 수 있는 진행일정관리일자기재부(78)를 형성하고, 그 아래 4행부터는 첫 열에는 진행관리부 상에 기재되어 관리 중인 진행관리제목 등을 기재하고 나머지 다수 열은 상기 진행관리일자기재부에 맞추어 간편 확인 체크할 수 있는 진행일정관리확인부(72)를 형성한 양식을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21. 메모노트를 기재 정리할 수 있는 일반관리부의 경우 용지 우상단에 기재 시작 일을 기재할 수 있는 기재시작일자기재부(81)를 형성하고 그 아래에 기재의 주요 주제가 되는 "Issue"와 같은 제목을 기재할 수 있는 메모제목기재부(82a)와 같은 주제 및 제목으로 몇 번째 기재하는 메모노트인가를 기재하는 동일주제메모차수기재부(82b)를 형성하고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과 3열로 구성된 표를 형성하여 1열은 소제목, 일시, 소요시간을 2열은 내용, 참석자, 장소를 3열은 연결방법, 결과, 비고를 작성하되 사용자가 자유롭게 기재할 수 있도록 종선은 형성하지 않는다. 또한 경제적인 용지사용을 위하여 다수의 기재단위를 형성하고 그 경계를 선의 색, 굵기, 길이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하나의 사안을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기재 단위를 점유하여 기재할 수 있도록 한 메모내용기재부(83)를 형성한 양식을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22. 좌상단에 "인맥목록" 이라 명기한 인맥목록관리부(90a)의 우상단에 해당 인맥의 분류를 위하여 가족, 친지, 진행, 업체, 기타/종교 등의 분류 목록을 명시하여 사용자가 선택 체크하도록 한 인맥분류표식부(91)과 그 아래에 상세인맥명을 기재할 수 있는 상세인맥기재부(92a)와 그 우측으로 같은 상세인맥명을 갖는 목록으로써 추가 차수를 기재할 수 있는 동일인맥목록차수기재부(92b)와 그 아래로 해당 인맥그룹의 관련상세사항을 적을 수 있는 인맥상세기재부(93)를 형성하고 그 아래로 당해 인맥과 관련된 인명을 기재할 수 있도록 한 인명 당 횡선으로 구성된 3행 2열로 구성하여 1열 이름과 간단한 직책을 기재하는 여백을 형성하고 2열은 각 행별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및 우편주소를 기재할 수 있는 다수의 인명기재단위로 구성된 인맥인명기재부(94)를 형성하며 각 인맥목록을 요이한 검색을 위하여 인맥관리돌출탭(95)을 일측면에 형성한 양식을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23. 인맥의 주요인명 관리의 경우 , 용지의 체결구를 왼쪽으로 위치시킬 경우 해당 면을 앞면으로 한 주요인맥관리부(90b)의 경우, 좌상단에 "주요인맥정보"라고 명기하고 우상단에 해당 인맥의 분류를 위하여 가족, 친지, 진행, 업체, 기타/종교 등의 분류 목록을 명시하여 사용자가 선택 체크하도록 한 인맥분류표식부(91)를 형성하고 그 아래로 다수의 횡선으로 여백을 형성하여 당해 인명이 소속된 "인맥그룹 명", 당해 인명의 "이름"과 "혈액형", "핸드폰" 및 "전화" 연락처, "주소", "이메일", "미니홈피", "생년월일", "졸업학교"와 "전공", 해당 인명과 관련이 있는 "관련자", 당해 인명이 기혼자인 경우 "결혼기념일"과 "자녀"의 구성, "취미", 성격 혹은 인상", "특기", 별명 혹은 기타"사항, "첫만남" 일시와 "장소" 그리고 그 이후 최초 "5차례의 접촉 일자"와 연결"방법", 당해 인명과의 "인맥형성평가" 등을 기재할 수 있는 주요인맥내용기재부(96)를 구성하고, 주요인맥관리부(90b)의 뒷면은 상기 37항의 일반관리부 양식을 형성하되 그 하단 명함크기에 준하는 부분의 가운데에 용지 쪽으로 바닥접착부(97c)가 형성되고 용지표면 성분이 라미네이팅 처리된 명함부착용스티커바탕부(97a)를 붙이고, 해당 표면에 양면테이프조각(97b)을 명함(98a)뒷면에 붙인 명함(이하 '접착력이 부여된 명함'(98))을 부착하여 부착력을 유지한 채 관리할 수 있는 양식을 포함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24. 부착식명함관리부(90C) 에 있어서, 표면이 라미네이팅 등으로 처리되어 이형기능을 갖거나 혹은 이와 유사한 이형기능을 갖는 용지의 경우, 접착력이 부여된 명함(98)을 부착력이 유지된 채 관리 가능하므로 다수의 명함을 인맥 별로 분류하여 부착하여 관리할 수 있는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혹은 제본형 책자 일체.
  25. 투명자 표면에 5밀리미터 가로 세로 간격의 방안선을 형성하되 1센티미터 및 5센티미터 간격의 눈금선을 선의 색, 굵기 등으로 구분하고 용지 모서리 등에 가로 세로 일정한 간격을 띄우는 위치의 표시가 용이하도록 가로세로 1센티미터가 교차 하는 점에 지름 0.7밀리미터의 구멍을 천공하여 표시구멍이 있는 방안자 및 해당 방안자의 사이즈를 속지 사이즈로 하고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용으로 착탈식으로 형성한 투명 자
  26. 투명자 사이즈를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 속지 사이즈로 하고 체결구는 착탈식으로 하며 길이방향 체결구의 반대측에 눈금을 형성하며, 인치 단위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매인치당 인치지시횡선(102)을 형성한 인치단위 투명 자,
  27. 양면체결용 확장용지로 좌우 양쪽 길이방향에 체결구를 착탈식으로 형성한 양면테이프관리부겉표지(103)의 접선을 중심으로 좌측면을 바닥이형지(104a)로 형성한 후 일정크기와 모양의 양면테이프 조각(97b) 다수를 형성하여 부착하고 당해 양면테이프조각과 크기와 모양이 같은 다수의 보호이형지조각(104b)를 그 위에 부착한 양면테이프관리부(100C)를 형성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용 양면테이프관리부
  28. 양면체결용 확장용지를 겉표지로 하고 체결구를 착탈식으로 형성한 포스트잇관리부겉표지(105)의 중앙부에 적층된 포스트잇의 두께에 맞추어 접선을 형성하고 접선 좌측면에 일정크기의 포스트잇을 적층하되 사용자가 포스트잇을 사용할 경우 기재와 분류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각 포스트잇 상부에 인맥, 일정, 회의, 진행, 정보, 모임, 아이디어 등의 분류항목을 명기한 분류항목명기포스트잇(106)이 적층된 다이어리 및 오거나이저용 포스트잇관리부(100D).
KR2020100005921U 2010-06-07 2010-06-07 오거나이저 및 오거나이저시스템 KR201100114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921U KR20110011497U (ko) 2010-06-07 2010-06-07 오거나이저 및 오거나이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921U KR20110011497U (ko) 2010-06-07 2010-06-07 오거나이저 및 오거나이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497U true KR20110011497U (ko) 2011-12-14

Family

ID=7288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921U KR20110011497U (ko) 2010-06-07 2010-06-07 오거나이저 및 오거나이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149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461A (ko) * 2021-11-25 2023-06-01 김은주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461A (ko) * 2021-11-25 2023-06-01 김은주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9355A (en) Daily planning calendar
CA1209168A (en) Comprehensive, central scheduling folder for project management
Kelley et al. How professional persons keep their calendars: Implications for computerization
JPS633825Y2 (ko)
KR20110011497U (ko) 오거나이저 및 오거나이저시스템
RU182984U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планирования времени
US5984361A (en) Device and method for organizing materials
KR101014530B1 (ko) 시간관리 기록다이어리
EP1336509A1 (en) Novel planning tool
KR101003867B1 (ko) 주간계획 다이어리
US20140339806A1 (en) Personal Thoughts Organizer
US5709495A (en) Organized appointment book for a hairstylist
KR20110012003U (ko) 다이어리 및 속지
JPH1142872A (ja) スケジュール帳
KR200363501Y1 (ko) 플래너 다이어리 속지
JP3217236U (ja) リフィル、手帳及びノート
US20080104867A1 (en) Color Coded Organization Tools and System
RU182985U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планирования времени настольный
DiMarco Practicing the golden rule: Creating a win-win new employee orientation
KR100607142B1 (ko) 씨이오용 다이어리
JP2005022400A (ja) 手帳
Barr Value for money in hospitals
PHELPS Gazette
KR200411452Y1 (ko) 다이어리
Fox-Pitt The Tate Gallery Archive of Twentieth-Century British Art, Its Formation and Develo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