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335U - 브래지어 - Google Patents

브래지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335U
KR20110011335U KR2020100005722U KR20100005722U KR20110011335U KR 20110011335 U KR20110011335 U KR 20110011335U KR 2020100005722 U KR2020100005722 U KR 2020100005722U KR 20100005722 U KR20100005722 U KR 20100005722U KR 20110011335 U KR20110011335 U KR 201100113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
seam
wrapped
sew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2782Y1 (ko
Inventor
유래현
Original Assignee
유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래현 filed Critical 유래현
Priority to KR2020100005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782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3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3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7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782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브래지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은 스펀지, 부직포, 실리콘, 직물지 등 속부재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에 내, 외피를 접착시켜 성형되는 브래지어부재 또는 컵부재를 일체로 성형하고 절단하여 구성하되, 그 절단부가 감싸지도록 그 일측단부는 상기 브래지어부재와 바느질로 고정하고 타측단부는 상기 브래지어부재와 접착 결합 구성된 감싼시접부로 구성함으로써 브래지어 외관이 미려하고 착용감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브래지어{BRASSIERE}
본 고안은 여성용 브래지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펀지, 부직포, 실리콘, 직물지 등 속부재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에 내, 외피를 접착시켜 성형되는 브래지어부재 또는 컵부재를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하되, 그 절단면을 바느질과 접착제로 일체로 감싸 시접함으로써 착용감을 개선하고 브래지어 외관의 미려성과 단부가 견고하고 올 터짐방지를 위한 브래지어에 관한 것이다.
브래지어(brassiere)는 여성의 가슴을 중심으로 감싸 가슴이 아름답게 돋보이고 처진 가슴 등의 보정기능과 함께 보호를 목적으로 착용하는 여성용 파운데이션으로 이상적인 실루엣을 조성해 주는 구실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현대여성들은 대다수가 브래지어를 착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브래지어는 통상적으로 직물지를 컵 형상으로 재단한 한 쌍의 브래지어 컵과 몸체부, 양날개 그리고 어깨끈을 봉제하여 브래지어를 구성한다.
또한 여성들의 각기 다른 크기와 모양의 유방을 보다 예쁘고 아름답도록 하기 위하여 브래지어 컵에 스펀지, 부직포, 직물지 등을 더 중첩시켜 볼륨(volume)과 예쁜 형상을 유지시키는 보정기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은 브래지어는 스펀지, 부직포, 실리콘, 에어백 등의 탄성부재를 신축성재질의 내, 외피 직물지로 중첩시켜 성형 또는 봉제 구성함으로서 브래지어 및 컵부재가 형성되고 있다.
브래지어는 첫째 몸체부와 양 날개 및 컵을 각각 구성하여 이들을 조합하는 봉제 구성의 브래지어와, 둘째 탄성이 있는 컵을 신축성 있는 직물지를 내외지로하고 이 내외지 사이에 스펀지 등을 더 중첩시켜 몰드에서 열과 압으로 성형시켜 일체형 브래지어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일체형 브래지어는 착용감이 안락하고 제작이 용이하면서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성시킬 수 있는 특징에 따라 최근 많은 사용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첫째의 봉제구성 브래지어는 내외지의 원단 내에 스펀지, 부직포 등의 탄성부재를 적층한 상태에서 몸체부와 양 날개, 브라 컵등을 각기 재단한 후 미싱으로 각 부재를 구성한 후 다시 이 부재들을 결합하게 되며 또한 결합된 브래지어부재의 외주면에는 그 절단면이 감추어지도록 시접부(가장자리에 다른 천으로 가늘게 테두리를 두른 장식. 또는 단의 올이 풀리는 것을 막기 위하여 바이어스 테이프나 리본으로 옷감의 가장자리를 정리하는 것으로서 랍빠(접밴드), 접단, 끝접기, 말아박기로 불리워지기도 한다. 이하 감싼 시접이라 함)를 실시하여 구성된다.
상기 첫째의 봉제구성 브래지어는 미싱 및 시접에 의한 공정수의 증가와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특히 감싼 시접 및 접밴드시접에 따른 브래지어 상하 변에 형성되는 밴드 턱이 연약한 피부와의 마찰로 피부손상 및 통증을 야기하고 브래지어의 외관이 미려하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둘째의 일체형 브래지어는 스펀지, 부직포, 실리콘, 직물지, 에어백 등의 탄성부재에 접착제 핫멜트, 우레탄 등을 이용하여 신축성 내, 외지를 중첩시켜 몰드에 의한 성형으로 내, 외지와 탄성부재가 일체로 접착 구성되는 일체형의 브래지어가 구성되고 브래지어의 외주면은 나이프 컷팅으로 절단하므로서 내, 외지 사이에 구비된 스펀지 등이 절단면 외부로 노출되고 또는 외부노출에 따른 황변발생의 가속화, 속부재의 트러블 등이 쉽게 발생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능하면 접착된 절단면을 고열 또는 고주파나 초음파 등으로 절단시켜 절단시 발생된 고열로 절단면이 용융 접착되어 속부재의 노출방지와 올 터짐방지 및 작업의 편리성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체형 브래지어도 오랜 사용과 세탁 등으로 인하여 절단면의 용융 접착부 손상과 접착부가 떨어지면서 속부재의 노출과 올 풀림 등으로 미려성이 상실되는 한편 불결하게 노출되고 스펀지의 황변이 발생되는 등 그 사용의 한계성에 쉽게 도달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폐단을 개선하기 위하여 후자인 일체형 브래지어에서도 종래와 같이 절단면에 감싼 시접을 더 구성하게 되며 이때에는 시접용 테이프를 고열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게 됨으로서 일체형에서의 특징인 시접부가 없는 것에서 다시 시접부가 발생되는 단점과 이로 인한 작업량의 증가가 발생되는 것이다.
감싼 시접을 실시하기 위하여 바이어스테이프를 상하 1cm정도 별도로 제작하고 이 바이어스테이프를 접고 절단면에 밀착하여 미싱으로 봉제하거나 또는 몰드로 성형 접착하는 등의 작업공정수가 증가됨에 따른 제작의 어려움과 그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문제도 함께 야기하게 되는 것이다.
즉 컵패드를 성형하고 커팅으로 외관을 형성한 다음 그 절단면인 단면부를 커버하기 위해서 감싼 시접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단면부를 미싱으로 박거나 안쪽에 재봉질을 한 후 겉으로 컵패드를 커버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미관이 수려하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신축성의 내, 외피 사이에 탄성부재가 적층되는 브래지어부재 또는 컵부재를 일체로 성형하고 그 절단면인 단면부를 커버하기 위해서 감싼 시접부를 형성하되 외측으로는 최소한의 두께로 미싱을 하고 내측으로는 열접착 또는 접착제, 고주파, 초음파 중 어느 하나로 접착 구성한 브래지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단면부에 덥혀지는 감싼시접부의 외측에 바느질을 하되 그 바느질부가 외부로 표시되지 않도록 감싼시접부가 바느질부를 감싸도록 구성하여 미관이 수려한 브래지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펀지, 부직포, 실리콘, 직물지 등 속부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탄성부재에 내피와 외피가 중첩된 몸체부와 양날개부 및 컵부재가 일체로 성형되어 그 단부가 절단된 브래지어부재와 상기 브래지어부재의 절단부가 감싸지도록 그 일측단부는 상기 브래지어부재와 바느질로 고정하고 타측단부는 상기 브래지어부재와 접착 결합 구성된 감싼시접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감싼시접부는 상기 브래지어부재의 외측면에 덧되어 바느질을 하고 그 바느질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접철하여 상기 바느질부와 상기 브래지어부재의 절단면을 감싼다음 상기 브래지어부재의 내측과 접착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내, 외피 사이에 스펀지 등의 탄성부재가 적층되는 브래지어부재 또는 컵부재를 일체로 성형하고 그 절단면을 감싼시접부로 구성하여 피부와 접촉되는 내측은 열접착 또는 접착제, 초음파, 고주파등 어느 하나로 접착 구성시키기 때문에 피부와 접촉되는 면의 마찰을 최소화시켜 피부의 촉감 향상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절단면의 외측을 바느질함으로써 견고하게 제작되도록 함과 동시에 감싼 시접으로 발생되는 바느질부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구성하기 때문에 브래지어 노출부의 미적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해 완성된 브래지어의 외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완성된 브래지어의 내측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감싼시접부의 작업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브래지어는 스펀지, 부직포, 실리콘, 직물지, 에어백 등의 탄성부재에 접착제 핫멜트, 우레탄 등을 이용하여 신축성 내, 외지를 중첩시켜 몰드에 의한 성형으로 내, 외지와 탄성부재가 일체로 접착 구성되어 성형되는 일체형의 브래지어가 구성되고 브래지어의 외주면은 나이프 컷팅으로 절단하고 감싼시접부로 그 절단면을 결합하되 일측은 바느질로 타측은 접착제로 접착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의해 완성된 브래지어의 외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완성된 브래지어의 내측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펀지, 부직포, 실리콘, 직물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탄성부재(111)에 내피(112)와 외피(113)가 중첩된 몸체부(130)와 양날개부(117)가 컵형상으로 일체로 몰드 성형되어지는 브래지어부재(100)와, 문양과 색채가 형성되는 외측 겉감(132)을 포함하여 브래지어부재(100)의 외주 절단면이 감싸지도록 몸체부(130)의 외측은 바느질로 결합하고 내측면으로 연장되어 접혀지는 단부가 접착결합되도록 접착부로 형성한 감싼시접부(140)로 그 절단단부를 보호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브래지어부재(100)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감싼시접부(140)를 바느질과 접착으로 형성하여 미관과 착용감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감싼시접부(140)는 접착부(144)와 바느질부(142)로 구성하여 브래지어부재(100)의 절단면을 보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접착부(144)는 몸체부(130)의 내측과 결합하되 열접착 또는 접착제, 초음파, 고주파등 어느 하나로 접착 구성시킨다.
따라서 미싱이 되지 않아 단턱이 거의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피부 마찰 감소에 따라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피부의 촉감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바느질부(142)는 최소한의 폭으로 바느질함으로써 몸체부를 견고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미관을 수려하게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바느질부(142)는 그 간격을 2mm~3mm정도로 구성한다.
또한 속감(134)과 겉감(132)은 미도시된 공지의 성형몰드에 의한 열접착 또는 고주파, 초음파 및 접착제 중 어느 하나로 접합시켜 구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111)는 동일한 두께와 함께 여성들의 보정기능을 얻기 위한 볼륨부 또는 에어포켓을 더 구성하거나 유두교정용 와이어를 필요에 따라 선택 구성됨은 당연하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감싼시접부(14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몸통부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감싼시접부의 작업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130)는 스펀지, 부직포, 실리콘, 직물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탄성부재(111)에 내피(112)와 외피(113)가 중첩된 브래지어부재(100)를 겉감과 일체로 컵형상으로 몰드 성형되어지는 브래지어부재(100)를 커팅하고 그 절단면을 감싼시접부(140)로 일측은 바느질을 하고 타측은 접착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감싼시접부(140)의 일측단부는 브래지어부재(100)의 외측과 바느질로 결합되는 바느질부(142)와 타측단부는 브래지어부재(100)의 내측과 열접착 또는 접착제, 고주파, 초음파 중 어느 하나로 접착 구성되는 접착부(144)로 구성된다.
또한 감싼시접부(140)의 바느질부(142)는 그 바느질부(142)가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브래지어부재(100)의 외측면에 덧되어 바느질을 한다(도 4의 (a)참조). 이때 감싼시접부(140)는 가슴방향으로 그 길이부가 위치하도록 바느질을 한다. 따라서 감싼시접부(140)를 바느질부(14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접철하여 바느질부(142)와 브래지어부재(100)의 절단면을 감싼다음 브래지어부재(100)의 내측과 접착부(144)를 접착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바느질부(142)는 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하여 그 간격(x)을 접착부(144)의 간격(y)보다 작게 구성하고 바람직하게는 2mm~3mm정도로 구성한다.
이에 따라 브래지어부재(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단면을 감싼시접부(140)로 감싸 시접됨으로 브래지어의 외부로 바느질부가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접착부(144)는 몰드에 의한 압과 열로 융착 또는 접착제, 고주파, 초음파 중 어느 하나로 접착 결합함으로서 절단면에서 발생되는 스펀지 등 속부재의 노출방지와 올터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브래지어부재(100)에 어깨끈, 훅크 등을 공지와 같이 결합함으로써 통상의 브래지어를 완성하게 된다.
본 고안에는 비접착부(114)를 형성시켜 브래지어부재(100)와 겉감(132)이 서로 이탈되어 구성됨으로 브래지어부재(100)는 유연성과 통풍성을 증대되고 그러한 유연성으로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속부재인 탄성부재(110)와의 트러블방지와 황변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비접착부(114)는 필요에 따라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고안에서 비접착부(114)를 브래지어부재 또는 컵부재와 밀착된 접착을 할 수 있으나, 이때에는 부재의 트러블 발생이 가중되는 단점이 있으나 감싼시접부(20)에 따른 효과는 충족할 수 있으므로 비접착부(114)의 접착구성도 본 고안의 실시에 있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브래지어부재 110 : 탄성부재
112 : 내피 113 : 외피
117 : 양날개부 130 : 몸체부
140 : 감싼시접부 142 : 바느질부
144 : 접착부

Claims (3)

  1. 스펀지, 부직포, 실리콘, 직물지 등 속부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탄성부재에 내피와 외피가 중첩된 몸체부와 양날개부 및 컵부재가 일체로 성형되어 그 단부가 절단된 브래지어부재;
    상기 브래지어부재의 절단부가 감싸지도록 그 일측단부는 상기 브래지어부재와 바느질로 고정하고 타측단부는 상기 브래지어부재와 접착 결합 구성된 감싼시접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브래지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싼시접부의 일측단부는
    상기 브래지어부재의 외측과 바느질로 결합되고 상기 타측단부는 브래지어부재의 내측과 열접착 또는 접착제, 고주파, 초음파 중 어느 하나로 접착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싼시접부는
    상기 브래지어부재의 외측면에 덧되어 바느질을 하고 그 바느질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접철하여 상기 바느질부와 상기 브래지어부재의 절단면을 감싼다음 상기 브래지어부재의 내측과 접착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KR2020100005722U 2010-06-01 2010-06-01 브래지어 KR2004627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722U KR200462782Y1 (ko) 2010-06-01 2010-06-01 브래지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722U KR200462782Y1 (ko) 2010-06-01 2010-06-01 브래지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335U true KR20110011335U (ko) 2011-12-07
KR200462782Y1 KR200462782Y1 (ko) 2012-10-02

Family

ID=4755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722U KR200462782Y1 (ko) 2010-06-01 2010-06-01 브래지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78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549B1 (ko) 2019-05-31 2020-08-13 주식회사 책인사 기능성 다이어리
KR102264991B1 (ko) 2020-12-04 2021-06-16 월급쟁이부자들(주) 기능성 책상 달력
KR102277401B1 (ko) * 2020-12-04 2021-07-13 유석준 속옷
KR102314434B1 (ko) 2021-03-19 2021-10-19 조민지 다기능 플래너
CN114098180A (zh) * 2021-12-16 2022-03-01 开平优丽内衣服装配料有限公司 一种无车缝痕迹的罩杯及其制备工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549B1 (ko) 2019-05-31 2020-08-13 주식회사 책인사 기능성 다이어리
KR102264991B1 (ko) 2020-12-04 2021-06-16 월급쟁이부자들(주) 기능성 책상 달력
KR102277401B1 (ko) * 2020-12-04 2021-07-13 유석준 속옷
KR102314434B1 (ko) 2021-03-19 2021-10-19 조민지 다기능 플래너
CN114098180A (zh) * 2021-12-16 2022-03-01 开平优丽内衣服装配料有限公司 一种无车缝痕迹的罩杯及其制备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782Y1 (ko)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5406U (ja) ブラジャー
US7407427B2 (en) Brassiere
JP5205052B2 (ja) 互いに接続される衣服の端末部用の接続要素及びその生産方法
US20070251636A1 (en) Bonding elastic to fabric of a garment
JP5190294B2 (ja) ブラジャー
KR200462782Y1 (ko) 브래지어
US20220248775A1 (en) Brassiere
KR20070102634A (ko) 브래지어 같은 등 부분을 갖는 의류
US8113908B1 (en) Stiffened brassiere
JP3792204B2 (ja) 無縫製ブラジャー
KR101407683B1 (ko) 무봉제 팬티의 제조방법
JP2016137119A (ja) 衛生マスク
KR200467130Y1 (ko) 여성용 상의
KR200440915Y1 (ko) 브래지어
JP2008274527A (ja) ブラジャー
JP2009052186A (ja) ブラジャー
JP2008274526A (ja) ブラジャー
KR100988601B1 (ko) 브래지어
JP2018154939A (ja) ハーフトップブラ
JP7368686B2 (ja) 上半身衣類および上半身衣類の製造方法
JP3137899U (ja) 婦人用衣料
US9149080B2 (en) Method of attaching a fastening means pad to a sidewing for a brassiere, a sidewing and fastening means pad for a brassiere, and a brassiere comprising the sidewing and fastening means pad
JP3133255U (ja) ブラジャー
JP3211042U (ja) ハーフトップブラにおけるバストサポートシート
KR20080016296A (ko) 브래지어의 날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