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277A - 인공 조형물 - Google Patents

인공 조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277A
KR20110011277A KR1020090068841A KR20090068841A KR20110011277A KR 20110011277 A KR20110011277 A KR 20110011277A KR 1020090068841 A KR1020090068841 A KR 1020090068841A KR 20090068841 A KR20090068841 A KR 20090068841A KR 20110011277 A KR20110011277 A KR 20110011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member
water tank
wing
artificial sculpture
le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3554B1 (ko
Inventor
전동욱
김인호
김은상
오진섭
안성현
방창덕
Original Assignee
인천광역시도시개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광역시도시개발공사 filed Critical 인천광역시도시개발공사
Priority to KR1020090068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55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1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원이나 관공서 등에 설치되어 경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인공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중앙에 구비되어 물이 담겨지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중앙에 수직상방으로 구비되는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표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엘이디모듈과, 상기 엘이디모듈이 일체로 구비되는 기둥부재의 외측을 커버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커버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중간부에서 방사상으로 수평 돌출되게 구비되는 날개부재와, 상기 날개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수조의 물을 펌프의 구동에 따라 분무(噴霧)하는 분무노즐과,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조명장치나 분수대 등은 단순한 형태를 탈피하여 불특정 다수의 시선을 끌어모음은 물론 설치환경의 제약이 크지 않고, 온도 변화에 따른 다양한 색상이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음악이나 안내방송 등의 다양한 부가정보 등을 제공하는 장점도 있다.
조형물

Description

인공 조형물 { artificial structure }
본 발명은 인공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원이나 관공서 등에 설치되어 경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인공 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관공서 등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시설은 경관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 나무, 조명장치, 분수대, 벤치 등을 적절하게 선택 및 배치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조명장치나 분수대 등은 단순한 형태의 것을 사용함에 따라 사람들의 시선을 모으는데에는 어느정도 한계가 있어 왔다.
한편, 경관용으로 사용하는 나무의 경우 사람들에게 편안함을 안겨주는 장점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토양이 있어야 나무가 생존할 수 있어 환경에 많은 제약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원이나 관공서 등의 공공시설에 설치하여 사용하면서도 주변의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설치되어 사람들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는 인공 조형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의 인공 조형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중앙에 구비되어 물이 담겨지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중앙에 수직상방으로 구비되는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표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엘이디모듈과, 상기 엘이디모듈이 일체로 구비되는 기둥부재의 외측을 커버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커버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중간부에서 방사상으로 수평 돌출되게 구비되는 날개부재와, 상기 날개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수조의 물을 펌프의 구동에 따라 분무(噴霧)하는 분무노즐과,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조형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기둥부재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스텐레스스틸 재질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공부에는 펌프의 작동에 따라 분무노즐로 물을 안내하는 배관이 설치되며, 상기 기둥부재의 표면에는 상기 제어판넬의 제어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다수의 엘이디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수조의 물을 펌프의 구동에 따라 분무하는 분무노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부재의 하부 외측에는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 등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구가 설치되며, 상기 보호구의 상측으로는 날개부재를 지지하는 보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재의 상부에는 고정링이 고정되고, 그 고정링에는 지지와이어가 고정되고, 그 지지와이어의 단부는 상기 날개부재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수조의 상부에는 강화유리재질의 마감판이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수단은 상기 날개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태양전지와, 상기 태양전지의 전기에너지가 충전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전류를 감지하는 충전전류감지부와, 충전전류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공급되는 상용전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재의 상면과 하면 일측에는 무드용 엘이디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재의 일측에는 온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판넬은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온도에 따라 상기 엘이디모듈 및 무드용 엘이디램프의 색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판넬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관리서버로 부터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기둥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피커로 음성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조명장치나 분수대 등은 단순한 형태를 탈피하여 불특정 다수의 시선을 끌어모음은 물론 설치환경의 제약이 크지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온도 변화에 따른 다양한 색상이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음악이나 안내방송 등의 다양한 부가정보 등을 제공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조형물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조형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조형물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조형물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조형물을 도시한 일측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조형물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조형물(1)은 공원, 관공서, 전철역, 빌딩 등에 설치 운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조형물(1)은 지상에 설치되는 받침대(100)와, 상기 받침대(100)의 중앙에 구비되어 물이 담겨지는 수조(110)와, 상기 수조(110)의 중앙에 수직상방으로 구비되는 기둥부재(120)와, 상기 기둥부재(120) 의 표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엘이디모듈(130)과, 상기 엘이디모듈(130)이 일체로 구비되는 기둥부재(120)의 외측을 커버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커버재(122)와, 상기 기둥부재(120)의 중간부에서 방사상으로 수평 돌출되게 구비되는 날개부재(140)와, 상기 날개부재(140)에 구비되어 상기 수조(110)의 물을 펌프(102)의 구동에 따라 분무(噴霧)하는 분무노즐(142)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받침대(100)는 중앙에 스텐레스스틸 재질의 수조(110)가 구비되고, 측면에는 수조(110)의 물을 상기 분무노즐을 통해 분사하도록 펌핑하는 펌프(10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받침대(100)의 내측 중공부(101)에는 제어판넬(104)에 의해 제어되는 펌프(102)가 구비되고, 상기 수조(110)에는 외부의 급수관(112)을 통해 물을 공급받게 된다.
한편, 상기 받침대(10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수조(110)내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감지하는 수위조절용 부레(103)가 구비되어 상기 수위조절용 부레(103)의 작동유무에 따라 상기 급수관(112)으로 부터의 물 유입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위조절용 부레(103)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수조(110)의 상부에는 이물질 등이 수조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강화유리재질의 마감판(116)이 일체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조(110)상에는 수직 상방으로 기둥부재(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기둥부재(120)는 중공부(120a)가 형성되는 스텐레스스틸 재질의 파이프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중공부(120)에는 펌프(102)의 작동에 따라 분무노즐(142)로 물을 안내하는 배관(142a)이 설치되며, 제어를 위한 전선도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부재(120)의 표면에는 상기 제어판넬(104)의 제어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다수의 엘이디모듈(13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엘이디모듈(130)은 전체적으로 점등되거나 시간차를 두고 점등 및 소등되도록 제어판넬(104)에 제어함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모듈(130)이 설치되는 기둥부재(120)의 외측에 구비되는 커버재(129)는 상기 엘이디모듈(13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아크릴 재질의 파이프를 사용하며, 상기 기둥부재(120)의 외측을 전체적으로 감싸게 구비된다.
한다. 특히, 엘이디모듈(130)이 점등시에 은은하게 빛이 투과되도록 상기 커버재(129)는 표면을 샌딩처리하여 반투명상태로 사용함이 바람직하지만, 투명 아크릴 파이프를 사용함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기둥부재(120)의 하부 외측에는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 등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구(129)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보호구(129)의 상측으로는 날개부재(140)를 지지하는 보강부재(131)가 구비되어 날개부재(140)의 처짐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기둥부재(120)의 상부에는 고정링(124)이 고정되고, 그 고정링(124)에는 지지와이어(126)가 고정되고, 그 지지와이어(126)의 단부는 상기 날개부재(140)의 단부에 고정됨으로서, 더욱 더 견고하게 날개부재(140)를 고정 및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날개부재(140)의 하면에는 상기 수조(110)의 물을 펌프(102)의 구동에 따라 분무(噴霧)하는 분무노즐(142)이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재(140)의 상면에는 제어판넬(104)의 구동을 위한 전원수단(150)인 태양전지(15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태양전지(152)를 더 구비하여 전기에너지를 별도의 배터리(154)에 충전시키고 이를 구동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구성은 상용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력케이블(미도시됨)을 끌어올 수 없는 지역이나 섬 등지에 독립적으로 설치 운영시에 유익하며, 전원공급이 긴급차단되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운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판넬(104) 및 펌프(102) 등의 작동을 위한 배터리(154) 전원은 충전전류감지부(156)에 의해 감시되어 제어판넬(104)에서 충전상태를 감시하게 되는데, 기준전원에 미달되는 경우 상용전원(158)을 이용한다. 상기 상용전원(158)은 변압 및 정류하는 공지의 변압/정류기를 거치면서 적절한 제어 및 동작 전원으로 사용한다.
또한, 날개부재(140)의 상면과 하면 일측에는 무드용 엘이디램프(144)가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재(120)의 일측에는 온도센서(129)가 구비되어 주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기둥부재(120)의 엘이디모듈(103) 및/또는 날개부재(140)의 무드용 엘이디램프(144)는 다색 LED로 구성함으로서, 온도센서(129)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특정온도 예를 들어 30℃ 이상인 경우 제어판넬(104)은 상기 기둥부재(120)의 엘이디모듈(103) 및/또는 날개부재(140)의 무드용 엘이디램프(144)의 색상을 시원한 청색으로 표시하여 시원함을 느끼도록 하면서 펌프(102)를 구동하여 분무노즐(142)을 통해 분무를 연출하고, 0℃ 이하인 경우에는 적색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불특정 다수가 따뜻함을 느끼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판넬(104)은 관리서버(200)로 제어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05)에 의해 연결되며, 기둥부재(120)의 일측에는 스피커(106)가 구비되어 관리서버(200)로 부터 음악이나 음성 정보 등이 수신되면 이를 음성출력한다.
물론,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는 상기 관리서버(2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정보를 전송받을 있도록 유선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독립적인 운영 등과 설치 초기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무선방식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조형물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조형물(1)은 태양전지(152)를 통해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는 배터리(154)에 충전되며, 제어판넬(104)에 공급되어 전체적이 제어 및 김시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제어판넬(104)은 기둥부재(120)에 구비되는 다수의 엘이디모듈(130)와 날개부재(140)의 엘이디램프(144)를 점등 및 소등 제어하여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해주 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판넬(104)은 펌프(102)의 구동을 제어하여 분무노즐(142)를 통해 분무(噴霧)하여 준다.
이 경우 상기 제어판넬(104)은 펌프(102)를 계속해서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지만,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정 시간별(예를 들어, 20분 간격)로 펌프(102)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함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어판넬(104)은 충전전류감지부(156)를 통해 태양전지(152)로 부터 발생되는 전원이 충전되는 배터리(154)의 상태를 감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154)의 충전상태를 감시하여 기준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상용전원을 투입하여 원활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동을 제어하며, 상용전원(158)을 사용하면서도 주기적으로 배터리(154)의 충전상태를 감시하여 일정전원 이상이 충전되는 경우에는 상용전원(158)의 투입을 차단하고 배터리(154)의 충전전원을 재사용하게 된다.
한편, 기둥부재(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온도센서(129)를 이용해 주변 온도 변화에 따라 엘이디모듈(130) 및/또는 무드용 엘이디램프(144)의 색상을 변화시켜 주어 분위기 연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일련의 제어는 제어판넬(104)과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연결되는 원격지의 관리서버(200)로 부터 제어 및 감시정보를 송수신함은 물론, 기둥부재(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피커(106)를 통해 관리서버(200)로 부터 음악이나 음성 정보 등를 수신하여 출력함으로서 불특정 다수에게 필요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조형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조형물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조형물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조형물을 도시한 일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조형물의 제어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인공 조형물 100: 받침대
102: 펌프 110: 수조
120: 기둥부재 129: 온도센서
130: 엘이디모듈 140: 날개부재
142: 분무노즐 150: 전원수단
152: 태양전지 154: 배터리
158: 상용전원 200: 관리서버

Claims (6)

  1. 받침대(100)와, 상기 받침대(100)의 중앙에 구비되어 물이 담겨지는 수조(110)와, 상기 수조(110)의 중앙에 수직상방으로 구비되는 기둥부재(120)와, 상기 기둥부재(120)의 표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엘이디모듈(130)과, 상기 엘이디모듈(130)이 일체로 구비되는 기둥부재(120)의 외측을 커버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커버재(122)와, 상기 기둥부재(120)의 중간부에서 방사상으로 수평 돌출되게 구비되는 날개부재(140)와, 상기 날개부재(140)에 구비되어 상기 수조(110)의 물을 펌프(102)의 구동에 따라 분무(噴霧)하는 분무노즐(142)과,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수단(1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조형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120)는 중공부(120a)가 형성되는 스텐레스스틸 재질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공부(120)에는 펌프(102)의 작동에 따라 분무노즐(142)로 물을 안내하는 배관(142a)이 설치되며, 상기 기둥부재(120)의 표면에는 상기 제어판넬(104)의 제어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다수의 엘이디모듈(130)이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재(140)의 하면에는 상기 수조(110)의 물을 펌프(102)의 구동에 따라 분무(噴霧)하는 분무노즐(14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조형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120)의 하부 외측에는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 등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구(129)가 설치되며, 상기 보호구(129)의 상측으로는 날개부재(140)를 지지하는 보강부재(131)가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재(120)의 상부에는 고정링(124)이 고정되고, 그 고정링(124)에는 지지와이어(126)가 고정되고, 그 지지와이어(126)의 단부는 상기 날개부재(140)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수조(110)의 상부에는 강화유리재질의 마감판(116)이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조형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수단(150)은 상기 날개부재(140)의 상면에 구비되는 태양전지(152)와, 상기 태양전지(152)의 전기에너지가 충전되는 배터리(154)와, 상기 배터리(154)의 충전전류를 감지하는 충전전류감지부(156)와, 충전전류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공급되는 상용전원(15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조형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재(140)의 상면과 하면 일측에는 무드용 엘이디램프(144)가 구비 되고, 상기 기둥부재(120)의 일측에는 온도센서(129)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판넬(104)은 상기 온도센서(129)의 감지온도에 따라 상기 엘이디모듈(103) 및 무드용 엘이디램프(144)의 색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조형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넬(104)은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관리서버(200)로 부터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기둥부재(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피커(106)로 음성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조형물.
KR1020090068841A 2009-07-28 2009-07-28 인공 조형물 KR101193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841A KR101193554B1 (ko) 2009-07-28 2009-07-28 인공 조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841A KR101193554B1 (ko) 2009-07-28 2009-07-28 인공 조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277A true KR20110011277A (ko) 2011-02-08
KR101193554B1 KR101193554B1 (ko) 2012-10-31

Family

ID=43771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841A KR101193554B1 (ko) 2009-07-28 2009-07-28 인공 조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5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531B1 (ko) * 2012-11-08 2013-01-09 (주) 일신이앤씨 가변형 기준점을 이용한 도로대장의 데이터 측량시스템
KR101216510B1 (ko) * 2012-11-15 2013-01-09 (주) 일신이앤씨 맨홀형 기준점을 이용한 도로대장의 데이터 측량시스템
KR101216539B1 (ko) * 2012-11-26 2013-01-09 (주) 일신이앤씨 회전형 맨홀을 이용한 도로대장의 데이터 측량시스템
KR101348286B1 (ko) * 2011-09-30 2014-01-09 남궁청수 엘이디 광원 어레이의 회전 이동에 따른 잔상효과로 경제적 조명을 구현하는 회전식 엘이디 조명장치
KR102191864B1 (ko) * 2019-11-26 2020-12-16 (주)어반플레닝 스마트 인공 조형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277B1 (ko) 2021-01-05 2021-11-02 김다연 발광기능을 갖는 날개를 구비한 조형물
KR102483629B1 (ko) 2022-10-05 2023-01-02 신정옥 조형물용 나뭇가지 연결구
KR102572151B1 (ko) 2023-03-07 2023-08-28 김석칠 조형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768Y1 (ko) 2001-03-02 2001-09-26 김용곤 월드컵 조형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286B1 (ko) * 2011-09-30 2014-01-09 남궁청수 엘이디 광원 어레이의 회전 이동에 따른 잔상효과로 경제적 조명을 구현하는 회전식 엘이디 조명장치
KR101216531B1 (ko) * 2012-11-08 2013-01-09 (주) 일신이앤씨 가변형 기준점을 이용한 도로대장의 데이터 측량시스템
KR101216510B1 (ko) * 2012-11-15 2013-01-09 (주) 일신이앤씨 맨홀형 기준점을 이용한 도로대장의 데이터 측량시스템
KR101216539B1 (ko) * 2012-11-26 2013-01-09 (주) 일신이앤씨 회전형 맨홀을 이용한 도로대장의 데이터 측량시스템
KR102191864B1 (ko) * 2019-11-26 2020-12-16 (주)어반플레닝 스마트 인공 조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554B1 (ko)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554B1 (ko) 인공 조형물
KR101876389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쉼터
US20030090896A1 (en) Solar stepping stone
CN106211520A (zh) 一种智能节能照明装置及其控制方法
TW201239242A (en) Directional apparatus using smart green power tiles and related device
KR101046412B1 (ko) 의자가 구비된 가로등
US7438434B2 (en) Illuminated support structure
CN104482492A (zh) 一种多能源来源的景观休闲与照明装置
KR20100134850A (ko) 아파트 단지 내 태양광 정자 쉼터
US20140313703A1 (en) Led lighting module having battery power and photovoltaic charging
KR101889513B1 (ko) 조명기능을 갖는 파고라
KR20110056921A (ko) 보행자 안내 장치
KR100972003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자가충전방식의 led 지주간판
KR20150000151A (ko) 엘이디 채널간판의 일반전원/솔라 겸용 공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30042808A (ko) 태양광 가로등장치
JP4976438B2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100916212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장치 및 그 조명 제어시스템
KR200447623Y1 (ko) 솔라셀을 이용한 발광블럭
KR20110046032A (ko) 인공자연광을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KR101371901B1 (ko) 에너지 계단
KR20100099467A (ko)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버스정류장 구조물
KR101168221B1 (ko) 식생 매트 겸용 led 표시 장치
KR101225676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467898Y1 (ko) 광섬유 표시장치
CN204285283U (zh) 一种多能源来源的景观休闲与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