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242U - A movable chair for children - Google Patents

A movable chair for childr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242U
KR20110011242U KR2020100005604U KR20100005604U KR20110011242U KR 20110011242 U KR20110011242 U KR 20110011242U KR 2020100005604 U KR2020100005604 U KR 2020100005604U KR 20100005604 U KR20100005604 U KR 20100005604U KR 20110011242 U KR20110011242 U KR 201100112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main body
headrest
child
childr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60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61464Y1 (en
Inventor
채규종
Original Assignee
채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규종 filed Critical 채규종
Priority to KR2020100005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464Y1/en
Publication of KR201100112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24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46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6Children's chairs convertible to a push c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47D1/004Children's chairs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8Children's chairs with trays
    • A47D1/0081Children's chairs with tray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8Children's chairs with trays
    • A47D1/0085Children's chairs with trays removable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형 아동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머리받이 및 테이블을 의자 본체에서 탈부착시킬 수 있고, 의자 본체 저면에 바퀴가 부착되어 아동 스스로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의자에 아동을 바른자세로 앉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놀이기구로도 활용할 수 있는 이동형 아동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측과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에는 등받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등받이부 양측의 측면을 따라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쌍의 팔걸이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후면 등받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아동이 머리를 기댈 수 있는 머리받이부와, 상기 개방된 본체 전면부 바닥면 중앙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의 양측으로 아동의 다리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테이블부와, 상기 본체 저면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퀴로 이루어진 바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머리받이부와 테이블부는 상기 본체에 착탈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아동용 의자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hildren's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he height-adjustable headrest and table can be detached from the chair body, and a wheel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chair body to allow the child to move by themselv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hildren's chair that can be used as a playground equipment as well as sitting upright.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ide and the front is open, the back is provided with a back,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air of armrests formed integrally extending along the sides of both sides of the back and the body is coupled to the upper back of the back A head restraint portion on which a child can lean his head, a table portion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of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open body, and a table portion which forms a space for storing the child's legs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heel por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wheels, the headrest and table portion provides a removable children's chai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body to be removable and adjustable height.

Description

이동형 아동용 의자{A movable chair for children}A movable chair for children}

본 고안은 이동형 아동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머리받이 및 테이블을 의자 본체에서 탈부착시킬 수 있고, 의자 본체 저면에 바퀴가 부착되어 아동 스스로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의자에 아동을 바른자세로 앉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놀이기구로도 활용할 수 있는 이동형 아동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hildren's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he height-adjustable headrest and table can be detached from the chair body, and a wheel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chair body to allow the child to move by themselv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hildren's chair that can be used as a play equipment as well as sitting upright.

유아의 경우, 비록 스스로 앉아서 몸을 가눌 수 있다 하더라도 안정된 착석 자세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정기간 동안, 즉, 안정적으로 의자에 앉아 있는 법을 익힐때까지 아동용 의자의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기구가 필요하게 된다.For infants,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stable sitting posture, even if they can sit on their own and take care of themselves, so it is safe to prevent falling out of the child's chair for a period of time, i.e. until it learns to sit in a stable chair. A mechanism is needed.

이러한 목적을 위해 종래의 아동용 의자는 수직 스트랩(strap) 또는 바(bar)와 같은 차단부가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아동용 의자들은 좌석 공간이 어린이의 크기 및 나이에 관하여 조정될 수 없으며, 그로 인해 아동이 자라 신체가 커짐에 따라 아동에게 신체적 압박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어린이들은 성장속도가 매우 빨라 별다른 고장이 없는 상태에서도 기존에 가지고 있던 아동용 의자를 사용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아동의 성장속도에 맞게 단계별로 아동용 의자를 구매함에 따라 그 구매비용이 증감됨은 물로 자원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Conventional children's chairs are mainly used for this purpose, such as vertical straps or bars. However, these conventional children's chairs can not be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size and age of the child seat space,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physical pressure on the child as the child grows and the body grows. In addition, children grow very fast and cannot use their children's chairs without any breakdown, so the purchase cost increases by purchasing children's chairs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child's growth rate. It was a wasteful result.

더불어, 집안에서나 야외에서나 공공장소 등의 다양한 장소에서 아동을 편하고 바른자세로 앉힐 수 있고, 아동이 의자의 안착에 압박감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별도의 책상이나 식탁이 필요치 않은 다용도의 아동용 의자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children can sit comfortably and rightly in various places, such as at home or outdoors, or in public places, and there is a need for a versatile children's chair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desk or table without the child having to feel pressured to seat the chair. It is true.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목적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머리받이 및 테이블을 의자 본체에서 탈부착시킬 수 있고, 의자 본체 저면에 바퀴가 부착되어 아동 스스로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의자에 아동을 바른자세로 앉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놀이기구로도 활용할 수 있는 이동형 아동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other word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adjustable headrest and table can be detachable from the chair body, and the wheels ar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chair body to allow the child to move by himself, so that the child can sit on the chair in a correct postur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child chair that can be used as a rid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고안은, 상부측과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에는 등받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등받이부 양측의 측면을 따라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쌍의 팔걸이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후면 등받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아동이 머리를 기댈 수 있는 머리받이부와, 상기 개방된 본체 전면부 바닥면 중앙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의 양측으로 아동의 다리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테이블부와, 상기 본체 저면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퀴로 이루어진 바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머리받이부와 테이블부는 상기 본체에 착탈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아동용 의자를 제공한다.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ide and the front is open, the back is provided with a back,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air of armrests formed integrally extending along the sides of both sides of the backres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 of the main body, the head restrained to the child can lean the head, and coupl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open body, forming a space for receiving the child's legs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It comprises a table and a wheel por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wheel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he headrest and the table portion provides a removable children's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and height adjustmen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do.

본 고안에 따른 이동형 아동용 의자를 사용할 경우, 별도의 벨트를 사용하지 않아 아동에게 압박감을 주지 않은 채 아동이 의자에 바른자세로 착석할 수 있게 하며, 모서리가 없는 유선형 또는 곡면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모서리에 의한 아동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movable children's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ld can be seated with the right posture on the chair without applying pressure to the child without using a separate belt, and is formed in a streamlined or curved shape without an edge, Injury caused by children can be prevented.

더불어, 의자 본체 저면에 바퀴가 부착되어 아동 스스로 이동이 가능하여 놀이기구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아동의 앉은 키에 맞춰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이 구비되어 있어, 아동을 위한 별도의 책상이나 식탁이 필요하지 않아 그에 따른 구매비용과 자원을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아동의 체격에 따라 머리받이와 테이블이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영유아기에서부터 어느 정도 성장한 아동에 이르기까지 나이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heels ar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chair body so that the children can move by themselves and use them as play equipment, and the table is adjustable with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hild's seat.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desk or table for the child. Therefore,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purchase cost and resources accordingly.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headrest and the tab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hild, so it can be used universally regardless of age, from infants and young children to a certain ag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의자에서 테이블부와 머리받이부 및 바퀴부가 분리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의자에서 테이블부와 머리받이부의 높이를 조절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ild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table portion and the headrest and the wheel portion separated from the children's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able portion and the headrest in the child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의자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의자에서 테이블부와 머리받이부 및 바퀴부가 분리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ildren's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table portion, the headrest and the wheel portion separated from the children's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형 아동의자는 크게 본체(100), 본체(100)의 후면 상부에 장착되는 머리받이부(200), 본체(100)의 전면부 바닥면 중앙부에 장착되는 테이블부(300) 및 본체(100) 저면에 장착되는 바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movable chil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equipped with a main body 100, a headrest 200 mounted on an upp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able portion 300 to be mounted and a wheel portion 400 mount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먼저, 본체(100)는 상부측 및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에는 아동이 등을 기댈 수 있도록 등받이부(110)가 형성되며, 본체(100) 내부에는 아동을 앉힐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안착홈(120)이 구비된다. 이때, 등받이부(110)는 아이가 기대어 앉았을 때, 등의 곡면과 일치하여 거부감이 없고 편안함을 줄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인 측면을 고려한 유선형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등받이부(110)에서 안착홈(120)으로 연결되는 바닥면은 아동을 안착시킬 경우 아동의 엉덩이 부분과 밀착되도록 곡면의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본체(100) 후면에 구비된 등받이 양측에는 아동이 팔을 걸칠 수 있는 한쌍의 팔걸이(130)가 등받이 양측의 측면을 따라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한쌍의 팔걸이(130) 역시 모서리 부분이 없는 유선형 또는 곡면형태로 형성된다.First, the main body 100 has an upper side and a front open, and a back support 110 is formed at the rear to allow the child to lean on the back, and the main body 100 has a predetermined depth to seat the child in the main body 100. The groove 120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backrest 110 is made of a streamlined or curved in consideration of the ergonomic side to give comfort without a sense of rej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curved surface of the back when the child is leaning, the seating groove ( The bottom surface connected to 12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cylindrical shap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ip portion of the child when seating the child. In addition, on both sides of the backrest provided on the back of the main body 100, a pair of armrests 130 that can be armed by a child is formed integrally extending along the sides of both sides of the backrest, and a pair of armrests 130 also have corner portions. It is formed into a streamlined or curved shape.

또한, 개방된 본체의 전면부 바닥면 중앙부에는 테이블부(300)를 장착할 수 있는 테이블 체결홈(340)이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테이블부(300)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본체의 등받이부(110) 상부 중앙에는 머리받이부(200)를 장착할 수 있는 머리받이 체결홈(240)이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머리받이부(200)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 본체(100)의 저면에는 바퀴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바퀴부(400)의 바퀴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In addition, a table fastening groove 340 for mounting the table part 30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part of the open body, and the table part 300 is detachably fastened as necessary, and the backrest part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110 is a headrest fastening groove 240 for mounting the headrest 200 is formed in the upper center, the headrest 200 is detachably fastened as necessary. Wheel fastening groove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wheels of the wheel unit 400 are detachably fastened as necessary.

머리받이부(200)는 아동이 머리를 기댈 수 있는 머리받이(headrest, 210)와, 상기 머리받이(210) 하단부로부터 연장된 머리받이 지지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머리받이(210)는 아동이 머리를 좌우로 움직일 경우에도 아동이 항시 머리를 기댈 수 있도록 납작한 하트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머리받이 지지대(220)는 본체의 등받이부(110) 상부 중앙에 형성된 머리받이 체결홈(24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된다.Headrest 2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headrest (210) for the child can lean head, headrest support 220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headrest 210, the headrest 210 ) Is preferably in the shape of a flat heart so that the child can always lean on the head even if the child moves the head from side to side. Headrest support 220 is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eadrest fastening groove 240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backrest 110 of the main body is fastened detachably to the main body 100.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아동이 의자에 안착 시 아동의 머리를 받힐 수 있도록 구성된 머리받이를 장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머리받이 체결홈(24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지지대가 일단에 구비되어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된다면, 보호자가 뒤에서 의자를 밀 수 있는 보호자 손잡이, 햇빛가리개, 우산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장치들이 장착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headrest configured to support the child's head when the child is seated in the chair, but is not limited to this, the support is provided at one en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eadrest fastening groove 240 If the body is detachably configured, a variety of devices may be mounted, including a guardian handle, a sun shader, an umbrella, etc., in which the guardian can push the chair from behind.

테이블부(300)는 테이블(310)과, 상기 테이블(310) 하단부로부터 연장된 테이블 지지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310)은 평평한 원형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테이블부(300)는 본체에 장착될 경우 아동이 테이블(310) 저면 양측으로 아동의 다리가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테이블 지지대(320)는 본체(100)의 전면부 바닥면 중앙부에 형성된 테이블 체결홈(34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본체(100)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된다.The table unit 300 includes a table 310 and a table support 320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table 310, and the table 310 is formed in a flat circular shape. In addition, the table unit 300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child is mounted to the main body, a space for storing the child's legs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310. The table support 320 is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able fastening groove 340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main body 100.

테이블부(300)가 아동용 의자 본체에 장착되면, 테이블(310) 저면 양측으로 아동의 다리를 끼워 의자에 아동을 바른자세로 앉힐 수 있으며, 아동이 아동용 의자의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착된 테이블(310)은 아동의 앉은 키에 맞춘 맞춤형 식탁, 책상, 놀이공간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으며, 아동이 의자에 탑승한 채 발을 굴러 의자를 이동할 경우 아동이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로도 활용될 수 있다.When the table unit 300 is mounted on the child chair main body, the child's legs may be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310, and the child may be seated in the chair properly, and the child may be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child's chair. In addition, the mounted table 310 can be utiliz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ustomized dining table, desk, and a play area, according to the child's sitting height, and the child may support the body when the child moves the chair while rolling on the chair. It can also be used as support.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테이블(310)의 상부가 원형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아동이 테이블 저면 양측으로 다리를 끼울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면, 식판, 독서대, 아동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만화영화의 캐릭터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테이블이 장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table 310 is shown in a circular form, but is not limited to this, if the child is configured to form a space to fit the legs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table, plate, reading table, children's att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various types of tables can be mounted, including cartoon characters that can be attracted.

바퀴부(400)는 바닥을 구를 수 있는 다수개의 바퀴(410)와, 상기 바퀴(410)의 일단에 고정되어 연결되며, 타단은 아동용 의자 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바퀴 체결홈에 장착되는 형상으로 구성된 바퀴 지지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퀴부(400)는 아동용 의자 본체(100) 저면에 십자형태로 각 끝단에 장착되며, 이에 따라 아동은 아동용 의자에 탑승한 채 발을 굴러 의자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 wheel unit 40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wheels 410 that can be rolled on the bottom, and fixed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heel 410, the other end is mounted to the wheel fastening groov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hild chair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heel support 420 configured. The wheel unit 400 is mounted to each end in the form of a cross on the bottom of the children's chair body 100, so that the child can move the chair by rolling the foot while riding in the children's chair.

상술한 실시예에서 바퀴부(400)는 본체 저면에 형성된 바퀴 체결홈에 바퀴 지지대(420)를 끼워 결합되는 방식으로 착탈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바퀴 지지대(420)가 볼트형태로 형성되고 바퀴 체결홈이 너트형태로 형성되어 바퀴지지대를 바퀴 체결홈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착탈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바퀴부가 본체 저면에 착탈식으로 구성될 수만 있으면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가능하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wheel unit 400 is shown to be detachable in such a way that the wheel support 420 is fitted into the wheel fastening groov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but is not limited to this, the wheel support 420 is formed in the form of bolts And the wheel fastening groov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nut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by screwing the wheel support to the wheel fastening groove, i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s long as the wheel portion can be detachably configured on the bottom of the body.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은 바퀴부(40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아동이 자유롭게 발을 굴러 의자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바퀴부(40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바닥에 완전 밀착되어 아동을 안정감있게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아동용 의자 본체(100)의 저면에는 강화고무 등의 연성재질의 미끄럼방지부재(미도시)를 형성하여 바퀴부(4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아동용 의자가 실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ccordance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ild can move the chair by rolling the foot freely in the state in which the wheel unit 400 is moun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wheel unit 400 is detached completely close to the floor to feel the child stable I can settle i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children's chair from slipping indoors by forming a non-slip member (not shown) of a soft material such as reinforced rubber on the bottom of the children's chair main body 100. Do.

본 고안에 따른 아동용 의자는 통상적으로 폴리우레탄을 포함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섬유, 고무, 인조가죽 등 다양한 재질로도 형성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바퀴 또한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재질로도 형성가능하며, 특정한 제약을 받지 않는다.
Children's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ually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cluding polyuretha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fiber, rubber, artificial leather, and the like. Likewise, the wheels are also preferably made of polyvinyl chloride (PVC), but can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and are not subject to any particular limita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의자에서 테이블부와 머리받이부의 높이를 조절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able portion and the headrest in the child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아동용 의자의 테이블부(300)와 머리받이부(200)는 아동의 앉은 키와 체격에 맞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하 조정가능한 지지대와 체결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테이블부(300)와 머리받이부(200)의 상하 높이 조절 방식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조임방법, 링클립 조임방법, 스프링을 이용한 조절방법, 철와셔와 자석을 이용한 탈부착방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지지대를 볼트조임하여 본 고안의 머리받이와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방식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ure 3, the table 300 and the headrest 200 of the children's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and fastening means that can be adjusted up and down to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child's sitting height and physique do. The upper and lower height adjustment methods of the table part 300 and the headrest part 200 may be fastened using bolts and nuts, a ring clip tightening method, a spring adjusting method, and a removable washer and magnet. Can be implement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and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bolting the support.

아동용 의자 본체(100)이 등받이부 상부에는 머리받이부(2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머리받이 체결홈(240)이 구비되는데, 구비된 머리받이 체결홈(240) 내부에는 상기 머리받이(21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 지지대(220)가 삽입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되어, 체결수단인 높이조절볼트(250)에 의해 상하 조정 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머리받이 지지대(220)의 후면에는 다수개의 볼트걸림공(孔)(222)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아동용 의자 본체(100) 후면에는 높이조절볼트(250)가 체결되는 너트를 매설한 고정구(252)가 조립되어 있어, 높이조절볼트(250)를 잠김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구(252)와 볼트걸림공(222)을 고정시킴으로서 높이조절된 머리받이(210)가 아동용 의자 본체(100)에 고정된다.Child chair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headrest fastening groove 240 so that the headrest 200 is mounted on the upper backrest, the headrest 210 is provided in the headrest fastening groove 240 provided. The space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220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it is assembled to be adjusted up and down by the height adjustment bolt 250 that is a fastening means. In addition, the rear of the headrest support 2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bolt catching holes (孔) 222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rear of the child chair body 100, the height adjustment bolt 250 is fastened to the nut Buried fixture 252 is assembled, by rotating the height adjustment bolt 250 in the locking direction to fix the fixture 252 and the bolt catching hole 222 height of the headrest 210 is adjusted to the children's chair body ( 100).

즉, 높이조절볼트(250)를 너트로부터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높이조절볼트(250)를 볼트걸림공(222)에서 빠져나오게 하면, 머리받이 지지대(220)는 아동용 의자 본체(100)에서 상하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때, 원하는 높이로 머리받이 지지대(220)를 올리거나 내린 후, 아동용 의자 본체(100) 후면에 형성된 고정구(252)와 머리받이 지지대에 형성된 볼트걸림공(222)을 일치시킨 후 다시 높이조절볼트(250)를 삽입하여 잠금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높이조절볼트(250)가 고정구(252)와 볼트걸림공(222)을 관통하여 머리받이 지지대(220)에 삽입된 상태가 됨으로써, 높이조절된 머리받이(210)가 아동용 의자 본체(100)에 고정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height adjustment bolt 250 is rotated in the unwinding direction from the nut to the height adjustment bolt 250 to escape from the bolt catching hole 222, the headrest support 220 is moved up and down in the children's chair body 100 This free state. At this time, after raising or lowering the head restraint support 220 to the desired height, after adjusting the fastener 252 formed on the back of the child chair body 100 and the bolt catching hole 222 formed on the head restraint, the height adjustment bolt again When it is rotated in the locking direction by inserting the 250, the height adjustment bolt 250 is inserted into the headrest support 220 through the fixture 252 and the bolt catching hole 222, the height is adjusted The headrest 210 is fixed to the child chair body 100.

테이블부 역시 머리받이와 마찬가지로, 아동용 의자 본체(100)의 하부면 전면에 테이블부(3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테이블 체결홈(340)이 구비되는데, 구비된 체결홈(340) 내부에는 상기 테이블(31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 테이블 지지대(320)가 삽입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되어, 체결수단인 높이조절볼트(350)에 의해 상하 조정 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테이블 지지대(320)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볼트걸림공(322)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아동용 의자 본체 전면 하부에는 높이조절볼트(350)가 체결되는 너트를 매설한 고정구(352)가 조립되어 있어, 높이조절볼트(350)를 잠김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구(352)와 볼트걸림공(322)을 고정시킴으로서 높이조절된 테이블(310)이 아동용 의자 본체(100)의 전면 하부에 고정된다.Like the headrest, the table part is provided with a table fastening groove 340 so that the table part 300 can be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hild chair main body 100. A space is formed to allow the table support 320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310 to be inserted, and is assembled to be adjusted up and down by the height adjusting bolt 350 as a fastening means. In addition, a plurality of bolt locking balls 322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able support 320, and the fastener 352 embedding a nut to which the height adjustment bolt 350 is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front of the child chair main body. Has been assembled, the height adjustment table 350 is fixed to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children's chair body 100 by rotating the height adjustment bolt 350 in the locking direction to fix the fixture 352 and the bolt catching hole 322. do.

이때, 높이조절볼트(250, 350)는 아동용 의자 본체(100)에서 완전히 탈거할 필요 없이, 의자 본체의 고정구(252, 352)의 걸림턱에 걸려진 상태에서 소정량 만큼만 너트에서 풀고 조임에 따라 높이조절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스패너가 필요없이 사용자가 손으로 높이조절볼트(250, 35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height adjustment bolts 250 and 350 need not be completely removed from the children's chair main body 100, and according to the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locking jaws of the fixing devices 252 and 352 of the chair main body as much as a predetermined amount, the nut is released and tightened.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secure the fixing force of the height adjust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can be configured to rotate the height adjustment bolt (250, 350) by han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spanner.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아동용 의자는 머리받이와 테이블의 높이조절이 손쉽게 가능하여 아동의 앉은 키와 체격에 따라 맞춤형 의자와 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팔다리가 굵어질 경우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하여 다리공간을 원활하게 제공함과 동시에 머리받이와 테이블을 이탈시켜서 아동의 자유로운 착석을 가능하게 한다.As such, the children's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and table to provide a customized chair and table according to the height and physique of the child sitting, the table if the limbs thicken as the child grows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egs, the leg space is smoothly provided, and the head restraint and the table are separated to allow the child to sit freely.

더불어, 별도의 벨트를 사용하지 않아 아동에게 압박감을 주지 않은 채 아동이 의자에 바른자세로 착석할 수 있게 하며, 의자 본체 저면에 바퀴가 부착되어 아동 스스로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놀이기구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it does not use a separate belt so that the child can be seated on the chair with no pressure, and the wheel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chair so that the child can move by himself and use it like a play equipment. .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possible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clear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100 : 본체 110 : 등받이부
120 : 안착홈 130 : 팔걸이
200 : 머리받이부 210 : 머리받이
220 : 머리받이 지지대 222, 322 : 볼트걸림공
240 : 머리받이 체결홈 250, 350 : 높이조절볼트
252, 352 : 고정구 300 : 테이블부
310 : 테이블 320 : 테이블 지지대
340 : 테이블 체결홈 400 : 바퀴부
410 : 바퀴 420 : 바퀴지지대
100: body 110: backrest
120: seating groove 130: armrest
200: headrest 210: headrest
220: headrest support 222, 322: bolt catching ball
240: headrest coupling groove 250, 350: height adjustment bolt
252, 352: fixture 300: table portion
310: table 320: table support
340: table fastening groove 400: wheel
410: wheel 420: wheel support

Claims (8)

아동용 의자에 있어서,
상부측과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에는 등받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등받이부 양측의 측면을 따라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쌍의 팔걸이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후면 등받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아동이 머리를 기댈 수 있는 머리받이부;
상기 개방된 본체 전면부 바닥면 중앙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의 양측으로 아동의 다리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테이블부;
상기 본체 저면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퀴로 이루어진 바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머리받이부와 테이블부는 상기 본체에 착탈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아동용 의자.
In the children's chair,
A main body having an upper side and a front surface open, a rear back portion having a backrest, and a pair of armrests formed integrally extending along side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backrest portion;
A headrest coupled to an upper part of the rear backrest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child can lean on the head;
A table unit which is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of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front part of the open body and forms a space in which children's legs are received at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Wheel part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wheel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Consists of including
The headrest and the table portion is removable child chai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main body detachable and adjusta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이부는,
아동이 머리를 기댈 수 있는 머리받이와, 상기 머리받이 하단부로부터 연장된 머리받이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 후면 등받이부의 상부에는,
상기 머리받이 지지대에 대응하는 형상의 머리받이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머리받이 지지대가 상기 머리받이 체결홈에 끼움 결합되어, 착탈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아동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drest portion,
It comprises a head restraint for the child to lean the head, and a head restraint support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head restraint,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backrest,
A headrest fastening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eadrest support is formed, and the headrest support is fitted to the headrest fastening groove to be fixed to the main body by fastening means capable of detachable and height adjustable. Portable children's chai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부는,
평평한 평면을 갖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 하단부로부터 연장된 테이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방된 본체 전면부 바닥면 중앙부에는,
상기 테이블 지지대에 대응하는 형상의 테이블이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테이블 지지대가 상기 테이블 체결홈에 끼움 결합되어, 착탈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아동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table unit,
It comprises a table having a flat plane, and a table support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table,
In the open main body front portion bottom surface center portion,
A tab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able support is formed with a fastening groove, and the table support is fitted into the table fastening groove, and is fixed to the main body by fastening means that can be detached and adjusted in height. chair.
제 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나사, 볼트, 링클립 또는 자석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아동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fastening means,
A movable children's chair,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screws, bolts, ring clips or magne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바퀴는,
상기 본체 저면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아동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wheels constituting the wheel portion,
Removable chair for children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ble body is connected to the botto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바퀴에는,
본체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형태의 바퀴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 저면에는,
상기 바퀴 지지대에 대응하는 너트형상의 바퀴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바퀴 지지대가 상기 바퀴 체결홈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아동용 의자.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plurality of wheels constituting the wheel portion,
Bolted wheel support for coupling with the main body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 nut-shaped wheel fasten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wheel support is formed, and the wheel support is movable child chai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screwed to the wheel fastening groov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저면에는,
연성재질의 미끄럼방지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아동용 의자.
6. The method of claim 5,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 mobile children's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slip member of the soft material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머리받이부 및 테이블부는,
외관이 모서리가 없는 유선형 또는 곡면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아동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the headrest and the table portion,
Mobile children's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rior is formed in a streamlined or curved form without corners.
KR2020100005604U 2010-05-28 2010-05-28 A movable chair for children KR20046146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604U KR200461464Y1 (en) 2010-05-28 2010-05-28 A movable chair for childr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604U KR200461464Y1 (en) 2010-05-28 2010-05-28 A movable chair for child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242U true KR20110011242U (en) 2011-12-06
KR200461464Y1 KR200461464Y1 (en) 2012-07-20

Family

ID=47138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604U KR200461464Y1 (en) 2010-05-28 2010-05-28 A movable chair for childr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464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417B1 (en) * 2012-05-18 2014-05-27 채규종 Toddler chair
US10314409B2 (en) 2017-06-07 2019-06-11 Smart Brain Co., Ltd. Baby chai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275Y1 (en) * 2013-04-04 2014-09-03 주식회사 다인 Multipurpose infants seat
KR101834290B1 (en) * 2016-06-27 2018-03-05 황창현 Shower chair with multi-purpo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423Y1 (en) * 2003-03-25 2003-06-28 정광수 Chair for baby
KR100437271B1 (en) * 2003-11-14 2004-06-24 (주)코윈아이앤티 Multi-use Chai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417B1 (en) * 2012-05-18 2014-05-27 채규종 Toddler chair
US10314409B2 (en) 2017-06-07 2019-06-11 Smart Brain Co., Ltd. Baby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464Y1 (en) 201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9463B2 (en) Chair which is used in waist enhancement
US20050179291A1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KR200461464Y1 (en) A movable chair for children
US5071192A (en) Adjustable seating apparatus with full torso support
US5351700A (en) Walkabout with seat and fall control
US20120299357A1 (en) AlertSeat
KR100886181B1 (en) Chair for handicapped person
KR101396857B1 (en) Baby chairs for table use with amusement function
US20230129979A1 (en) Portable rebounding device with adjustable and collapsible features
EP3175740A1 (en) Glider rocker
EP1768521B1 (en) A baby/child support
KR101775573B1 (en) Armpit support for protecting spine and preventing varicose vein
US10285509B2 (en) Infant assistive device
US20060071521A1 (en) Portable forward leaning stadium seat
US9585488B1 (en) Child seat for a swimming pool
KR200473715Y1 (en) Back support type sitting mat
JP2008259791A (en) Legless chair
RU70125U1 (en) SEAT-SEAT FOR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CEREBRAL PARALYSIS
CN210300244U (en) Music relaxing equipment for mental health
CZ29601U1 (en) Adjustable child seating system
TWI626937B (en) Rehabilitation walker
JP2008183419A (en) Two conditioning stands, method of bent over rowing training using them
JP2023155526A (en) Sitting position holding chair
KR20130037458A (en) Multiple purpose bench
KR101797704B1 (en) Chair having squat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