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863A -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 Google Patents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863A
KR20110010863A KR1020090068183A KR20090068183A KR20110010863A KR 20110010863 A KR20110010863 A KR 20110010863A KR 1020090068183 A KR1020090068183 A KR 1020090068183A KR 20090068183 A KR20090068183 A KR 20090068183A KR 20110010863 A KR20110010863 A KR 20110010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water
fountain
support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5617B1 (ko
Inventor
김경호
김정윤
Original Assignee
(주)셈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셈투유 filed Critical (주)셈투유
Priority to KR1020090068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6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0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07Amusement arrangements involving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의 환경에 따라 동작하여 물놀이를 한층더 즐겁게 즐길 수 있도록 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내부 측면에 구성되어 물을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과,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구성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구성되어 지지대와 인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와, 상기 인체감지센서 및 거리센서로부터 인체의 유무 및 거리 정보를 받아 상기 분사노즐을 제어하는 MC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놀이, 기구, 인체감지센서, 거리센서, 음성인식센서, MCU

Description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a rippling of water instrument of smart type}
본 발명은 물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위의 환경에 따라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바닷가의 물가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영을 하거나 튜브를 이용하여 물놀이를 즐기게 된다.
또한, 레저용으로 수상스키나 보트 등을 즐기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튜브는 물놀이 기구 라기보다는 물 내에서 단순 부력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재미가 반감되며, 수상 스키나 보트 등은 약간의 전문성이 부여되는 것으로 쉽게 접할 수 있는 물놀이 기구라 할 수 없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물놀이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물놀이 기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 또는 일자 형태로 구성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일측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면서 물을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물놀이 기구는 다수개의 분사노즐(20) 을 통해 물이 분사되고 있을 때 지지대(10) 사이를 사람들이 차례로 통과하면서 분사노즐(2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을 맞으면서 물놀이를 즐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물놀이 기구는 항상 물이 분사되는 상태에서 지지대 사이를 통과하면서 물놀이를 즐기기 때문에 놀이가 단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물가에서는 놀이를 즐길 수 있을만한 기구 및 시설이 육상에 비해 현저하게 부족할 뿐만 아니라 물놀이와 병행하면서 즐길 수 있을만한 기구 및 시설들이 없어 해변의 모래를 이용하여 찜질을 하거나 노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주변의 환경에 따라 동작하여 물놀이를 한층더 즐겁게 즐길 수 있도록 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는 지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내부 측면에 구성되어 물을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과,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구성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구성되어 지지대와 인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와, 상기 인체감지센서 및 거리센서로부터 인체의 유무 및 거리 정보를 받아 상기 분사노즐을 제어하는 MC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지지대에 사람의 유무 및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부착하여 사람이 지지대에 접근하는 경우에 분사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물놀이의 즐거움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둘째, 분수대에 두더지 게임을 접목시켜 튀어나오는 두더지를 도구로 때릴 때 해당하는 분사노즐에서 물의 높이 및 세기를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색상을 연출하면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셋째, 피에조 압전재료를 사용하거나 기구적 발 건반을 제작하여 발 건반의 위치와 누르는 세기에 따라 물기둥의 높이 및 물의 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넷째, 음성인식센서를 이용하여 박수소리 등과 같은 음성을 인식하게 하고 박수 리듬과 세기에 따라 물기둥의 높이를 연동시키면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다섯째, 분사노즐에 다양한 색을 표출하는 광튜브를 끼워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여섯째, 색상인식센서를 이용하여 분수대 주위의 특정 사람의 옷이나 기타 물건의 색상을 인식하여 그에 따라 물의 색을 변화시키거나 음성인식센서를 이용하여 색을 말하면 음성을 인식하여 해당하는 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일곱째, 인체감지센서와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위치를 감지하고 사람을 따라 다니면서 분사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시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여덟째, 움직임 감지센서를 통해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이는 사람에게 물을 분사시켜 물을 적게 맞은 사람이 이기도록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 형태로 구성되어 지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의 내부 측면에 구성되어 물을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120)과, 상기 지지대(110)의 상단에 구성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130)와, 상기 지지대(110)의 상단에 구성되어 지지대(110)와 인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인체감지센서(130)와 거리센서(140)를 상기 지지대(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성하거나 상기 지지대(1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상기 인체감지센서(130) 및 거리센서(140)를 동시에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체감지센서(130)와 거리센서(140)의 정보를 받아 상기 분사노즐(120)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지지대(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는 상기 인체감지센서(130) 및 거리센서(140)로부터 상기 지지대(110)의 일정한 거리에서 사람이 감지되면 정해진 시나리오에 의해 분사노즐(120)을 동작시키고 사람이 상기 지지대(110)로부터 멀어지면 동작을 멈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인체감지센서(130) 및 거리센서(140)를 통해 사람의 유무와 함께 사람과 지지대(110) 사이의 거리 정보를 전달받아 사람이 상기 지지대(110)에 접근하며 자동으로 분사노즐(120)을 제어하여 물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220)과, 상기 지지대(210)의 상단에 구성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230)와, 상기 지지대(210)의 하단에 구성되어 지지대(210)와 인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2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인체감지센서(230)와 거리센서(240)를 상기 지지대(2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인체감지센서(230)를 거리센서(240)보다 높거나 낮게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지지대(210)의 소정부분에 동일 높이로 인체감지센서(230)와 거리센서(24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2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인체감지센서(230) 및 거리센서(240)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체감지센서(230)와 거리센서(240)의 정보를 받아 상기 분사노즐(220)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지지대(2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는 상기 인체감지센서(230) 및 거리센서(240)로부터 상기 지지대(210)의 일정한 거리에서 사람이 감지되면 정해진 시나리오에 의해 분사노즐(220)을 동작시키고 사람이 상기 지지대(210)로부터 멀어지면 동작을 멈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인체감지센서(230) 및 거리센서(240)를 통해 사람의 유무와 함께 사람과 지지대(210) 사이의 거리 정보를 전달받아 사람이 상기 지지대(210)에 접근하며 자동으로 분사노즐(220)을 제어하여 물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을 분사하는 분수대(310)와, 상기 분수대(310)와 일정한 간격을 갖고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두더지 게임장치(320)와, 상기 분수대(310)의 내부에 구성되는 무선 수신부(311)와, 상기 분수대(310)의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무선 수신부(311)의 신호를 받아 상기 분수대(310)에서 분사되는 물의 높이 및 색상을 제어하는 MCU(312)와, 상기 두더지 게임장치(320)의 망치(321)로 두더지(322)를 맞추면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3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두더지(322)가 나오는 입구의 하단부에 압력센서(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상기 망치(321)를 통해 해당 두더지(322)가 맞추어지면 그때의 순간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323)를 통해 감지된 압력을 상기 무선 수신부(311)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 수신부(311)는 상기 두더지(322)에 가해진 압력 값을 상기 MCU(312)로 전달하면 상기 MCU(312)는 상기 분수대(310)에 분사되는 물의 높이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분수대(310) 내부에 광튜브를 통해 다양한 색상을 연출하는 다수개의 조명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는 상기 분사대(310)에서 나오는 물의 세기 및 높이를 두더지 게임장치(320)의 두더지(322)를 치는 힘과 압력에 의해 MCU(312)를 제어하여 압력의 차이를 두어서 수압이 틀리게 함으로써 물기둥의 높이 및 색상을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한편, 미설명한 화살표는 상기 분수대(310)에 분사되는 물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을 분사하는 분수대(410)와, 상기 분수대(410)와 일정한 간격을 갖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지면에 구성되는 피아노 건반장치(420)와, 상기 분수 대(410)의 내부에 구성되는 무선 수신기(411)와, 상기 분수대(410)의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무선 수신기(411)의 신호를 받아 상기 분수대(410)에서 분사되는 물의 높이 및 색상을 제어하는 MCU(412)와, 상기 피아노 건반장치(420)의 건반 하단부에 각각 구성되는 피에조 압전재료로 이루어진 센서(421)와, 상기 센서(421)를 통해 감지된 건반의 위치 및 누르는 세기를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4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피아노 건반장치(420)는 지면에 다수의 건반을 가지면서 구성되어 발을 이용하여 건반을 누르면서 물놀이를 즐기는 것으로 발에 의해 눌러지는 건반의 위치 및 누르는 세기를 상기 센서(421)를 통해 감지한다.
또한, 상기 분수대(410) 내부에 광튜브를 통해 다양한 색상을 연출하는 다수개의 조명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는 상기 분사대(410)에서 나오는 물의 세기 및 색상을 피아노 건반장치(420)의 건반을 누르는 위치 및 세기를 각 건반에 구성되는 센서(421)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422)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411)는 상기 무선 송신부(422)를 통해 센서(421)의 값을 전달받아 상기 MCU(412)로 전달하면 상기 MCU(412)는 건반의 위치 및 세기에 따라 상기 분수대(410)에 분사되는 물의 높이를 조절함과 함께 조명장치를 제어하여 분사되는 물의 색상을 변화시키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을 분사하는 분수대(510)와, 상기 분수대(510)의 일측면에 구성되어 외부에서 들리는 음성을 감지하는 음성인식센서(511)와, 상기 음성인식센서(511)로부터 감지된 음성의 세기 및 리듬에 따라 상기 분수대(510)에서 분사되는 물의 높이 및 형상을 제어하는 MCU(5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음성은 박수소리 또는 노랫소리를 말하고, 미설명한 화살표는 상기 분수대(510)를 통해 분사되는 물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는 분수대(510)의 외부에서 들리는 박수소리 또는 노랫소리와 같은 음성을 음성인식센서(511)를 통해 감지하고, 음성의 크기에 따라 상기 MCU(512)는 상기 분수대(510)에서 분사되는 물의 높이 및 형상을 변형시키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듬에 맞추어 박수를 치면 분수대(510)에서 분사되는 물줄기가 계속 올라가며 계속해서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박수를 치지 않으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박수소리의 크기에 따라 물의 높이를 변형시킬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음성인식센서(511)를 사용하지 않고, 칼라인식센서를 분수대(510)에 설치하여 분수대(510) 주위를 지나는 특정인이 입은 옷의 칼라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결과를 MCU(512)에 전달하면 분수대(510)에 설치되어 다양한 색상을 연출하는 조명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제어하여 분수대(510)를 통해 분사되는 물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가 있다.
또한, 분수대(510)의 주위에 지나는 사람이 특정하게 빨간색이라고 말하면 음성인식센서(511)는 이를 감지하고 MCU(512)는 상기 음성인식센서(511)로부터 받은 정보에 따라 분사되는 물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가 있다.
도 7은 도 6의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를 이용하여 분수대를 제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의 음성이나 칼라를 음성인식센서 또는 칼라인식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분수대를 통해 분사되는 물의 형상과 함께 색상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대(610)와, 상기 지지대(61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회전하면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620)과, 상기 지지대(610)의 상단에 구성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630)와, 상기 지지대(610)의 하단에 구성되어 인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6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인체감지센서(630)와 위치감지센서(640)를 상기 지지대(6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인체감지센서(630)를 위치감지센서(640)보다 높거나 낮게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지지대(610)의 소정부분에 동일 높이로 인체감지센서(630)와 위치감지센서(64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6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인체감지센서(630) 및 위치감지센서(640)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체감지센서(630) 및 위치감지센서(640)의 인체의 유무 및 위치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620)을 제어하여 물을 분사시키도록 상기 지지대(6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MCU(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는 상기 인체감지센서(630) 및 위치감지센서(640)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대(610)의 주위에 위치하는 사람이 감지되면 정해진 시나리오에 의해 분사노즐(620)을 동작시키고 사람이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분사노즐(620)을 회전시키면서 물을 분사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대(710)와, 상기 지지대(71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회전하면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720)과, 상기 지지대(710)에 구성되어 사물의 위치를 위치감지센서(730)와, 상기 지지대(710)에 구성되어 사물(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740)와, 상기 지지대(710)에 구성되어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7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사물에는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740)로부터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움직임 감지 모듈(760)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710)에는 상기 사물의 움직이는 가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위치감지센서(730), 움직임 감지센서(740) 및 가속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결과를 받아 상기 분사노즐(720)에 분사되는 물의 분사 길이 및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MCU(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가속도 센서는 사물의 소정부위에 부착하고 이 가속도 센서로부터 움직임을 감지하여 무선통신으로 MCU로 전송하면 정해진 액션에 의해 구동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는 위치감지센서(730), 움직임 감지 센서(740) 및 가속도 센서 등의 모듈이 구성된 지지대(710)의 스피커(750)로부터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에서 "다" 하면 움직이면 않되는데 움직였을 경우 움직인 사람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이 게임에 의해 물을 맞지 않고 목적지 까지 도달하는 사람이 우승을 하는 게임이다.
즉, 스피커(750)로부터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에서 "다" 하면 움직임 센서 모듈(760)을 팔찌형태 등 몸에 부착 가능한 형태로 제작하여 놀이에 참여한 사람의 몸에 부착한다. 이는 사람의 움직임이 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자신의 위치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상기 스피커(750)를 통해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라는 음성을 출력한다.
상기 스피커(750)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자마자 움직임 감지센서(740)는 움직임이 수신된 사람의 위치와 수를 파악한다.
그리고 파악된 사람의 위치를 향해 차례대로 물줄기를 분사한다. 수신된 사람의 위치중 도착지까지 도달한 사람이 있으면,“누가 우승하였습니다”라는 음성을 출력하고 게임이 끝난다. 도착한 사람이 없으면 위 두번째부터 계속 반복한다.
한편,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물놀이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를 이용하여 분수대를 제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지지대 120 : 분사노즐
130 : 인체감지센서 140 : 거리센서

Claims (15)

  1. 지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내부 측면에 구성되어 물을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과,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구성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구성되어 지지대와 인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와,
    상기 인체감지센서 및 거리센서로부터 인체의 유무 및 거리 정보를 받아 상기 분사노즐을 제어하는 MC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타원 또는 일자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3. 물을 분사하는 분수대와,
    상기 분수대와 일정한 간격을 갖고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두더지 게임장치와,
    상기 분수대의 내부에 구성되는 무선 수신부와,
    상기 분수대의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무선 수신부의 신호를 받아 상기 분수대에서 분사되는 물의 높이 및 색상을 제어하는 MCU와,
    상기 두더지 게임장치의 망치로 두더지를 맞추면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수대 내부에 광튜브를 통해 다양한 색상을 연출하기 위해 구성되는 다수개의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대에서 나오는 물의 세기 및 높이를 두더지 게임장치의 두더지를 치는 힘과 압력에 의해 상기 MCU를 제어하여 압력의 차이에 의해 물기둥의 높이 및 색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6. 물을 분사하는 분수대와,
    상기 분수대와 일정한 간격을 갖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지면에 구성되는 피아노 건반장치와,
    상기 분수대의 내부에 구성되는 무선 수신기와,
    상기 분수대의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무선 수신기의 신호를 받아 상기 분수대에서 분사되는 물의 높이 및 색상을 제어하는 MCU와,
    상기 피아노 건반장치의 건반 하단부에 각각 구성되는 피에조 압전재료로 이루어진 센서와,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건반의 위치 및 누르는 세기를 전송하는 무선 송신 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건반의 위치 및 세기에 따라 상기 분수대에 분사되는 물의 높이를 조절함과 함께 조명장치를 제어하여 분사되는 물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8. 물을 분사하는 분수대와,
    상기 분수대의 일측면에 구성되어 외부에서 들리는 색상을 감지하는 색상감지식센서와,
    상기 음성인식센서로부터 감지된 음성의 세기 및 리듬에 따라 상기 분수대에서 분사되는 물의 높이 및 형상을 제어하는 MC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센서는 상기 분수대 주위에서 특정인의 음성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MCU를 통해 분수대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10. 물을 분사하는 분수대와,
    상기 분수대의 일측면에 구성되어 주변의 칼라를 감지하는 칼라인식센서와,
    상기 칼라인식센서로부터 감지된 칼라 정보에 따라 상기 분수대에서 분사되 는 물의 색상을 제어하는 MC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11.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회전하면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지지대에 구성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지지대에 구성되어 인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인체감지센서 및 위치감지센서의 인체의 유무 및 위치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을 제어하여 물을 분사시키는 MC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센서 및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대의 주위에 위치하는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MCU는 정해진 시나리오에 의해 분사노즐을 동작시키고 사람이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분사노즐을 회전시키면서 물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13. 지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회전하면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지지대에 구성되어 사람의 위치를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지지대에 구성되어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와,
    상기 지지대에 구성되어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위치감지센서 및 움직임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인체의 정보를 받아 상기 분사노즐에 분사되는 물의 분사 길이 및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MC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에는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로부터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움직임 감지 모듈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사물의 움직이는 가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KR1020090068183A 2009-07-27 2009-07-27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KR101125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183A KR101125617B1 (ko) 2009-07-27 2009-07-27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183A KR101125617B1 (ko) 2009-07-27 2009-07-27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531A Division KR101125616B1 (ko) 2011-07-21 2011-07-21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863A true KR20110010863A (ko) 2011-02-08
KR101125617B1 KR101125617B1 (ko) 2012-04-02

Family

ID=4377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183A KR101125617B1 (ko) 2009-07-27 2009-07-27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6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332A (ko) * 2016-06-07 2017-12-15 한국과학기술원 상호작용 구조물 및 플로어 시스템
KR20190002165A (ko) * 2017-06-29 2019-01-08 주식회사 윈드밸리 워터 폴링 시스템
CN110227270A (zh) * 2019-06-13 2019-09-13 福建省特种设备检验研究院 一种螺旋水滑梯安全运行监测管理控制系统
CN110481234A (zh) * 2019-09-17 2019-11-22 东北林业大学 一种用于园林、景区的互动型景观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0523B2 (en) 2020-02-04 2023-02-28 Prince Mohammad Bin Fahd University Smart fountain with proximity sensors and a dry closed loop system layou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631B1 (ko) * 1991-03-08 1997-01-16 대우전자 주식회사 색상 판별장치
KR100245667B1 (ko) * 1997-06-25 2000-03-02 김동암 분수기
GB2423075B (en) * 2004-12-01 2009-07-08 Univ The Arts London A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fluid in response to a sensed propert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332A (ko) * 2016-06-07 2017-12-15 한국과학기술원 상호작용 구조물 및 플로어 시스템
KR20190002165A (ko) * 2017-06-29 2019-01-08 주식회사 윈드밸리 워터 폴링 시스템
CN110227270A (zh) * 2019-06-13 2019-09-13 福建省特种设备检验研究院 一种螺旋水滑梯安全运行监测管理控制系统
CN110481234A (zh) * 2019-09-17 2019-11-22 东北林业大学 一种用于园林、景区的互动型景观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5617B1 (ko) 2012-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616B1 (ko)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KR20110010863A (ko) 스마트형 물놀이 기구
US6702687B1 (en) Controller system for water amusement devices
KR100713058B1 (ko) 게임 장치, 이것에 사용하는 입력 수단, 및 기억 매체
US8096892B2 (en) Control system for water amusement devices
US20090156309A1 (en) Handwear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play experience
US6561914B2 (en) Water amusement system and method
US6533191B1 (en) Water proje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ing water
US20090223345A1 (en) Fluid user interface such as immersive multimediator or iinput/output device with one or more spray jets
US8808052B2 (en) Interactive electronic toy
JP2010172523A (ja) 遊技機
US20220409942A1 (en) Hopscotch trampoline
KR101071754B1 (ko) 능동형 분수 제어 시스템
CN111298403A (zh) 一种舞龙舞狮身体协调性训练装置
CN201716978U (zh) 使用红外激光琴键的电子琴
TWI451896B (zh) 智慧型棒球打擊裝置及方法
RU2011107257A (ru) Мяч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игре и/или обучении
KR102173782B1 (ko) 영상처리 기술을 활용한 스크린 파크골프 시스템
KR20020033303A (ko) 로봇 축구 게임기에서 로봇 위치 인식 장치
KR101549550B1 (ko) 오뚝이 인형 격투기 훈련 장치
WO2017173770A1 (zh) 一种智能玩具棒
JP2005152424A (ja) 視覚障害者用遊戯具
KR20110092448A (ko) 물놀이 게임장치
US20030069078A1 (en) Time-configurable water park amusement ride
CN206946751U (zh) 管乐吹奏辅助练习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