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461A - 선재용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선재용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461A
KR20110010461A KR1020090068038A KR20090068038A KR20110010461A KR 20110010461 A KR20110010461 A KR 20110010461A KR 1020090068038 A KR1020090068038 A KR 1020090068038A KR 20090068038 A KR20090068038 A KR 20090068038A KR 20110010461 A KR20110010461 A KR 20110010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d
guide
guiding
wir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규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8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0461A/ko
Publication of KR20110010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21B39/16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immediately before entering or after leaving the pass
    • B21B39/165Guides or guide rollers for rods, bars, rounds, tubes ; Aligning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24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for wire, rods, rounds,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선재용 가이드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선재용 가이드장치는: 선재가 관통하여 이동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부 및 케이스부에 설치되며 선재의 양측에 접하여 회전되는 롤러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068038
선재, 케이스부, 롤러가이드부, 안내부재, 직선관

Description

선재용 가이드장치{APPARATUS FOR GUIDING WIRE RODS}
본 발명은 선재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재가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선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선재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공정은 연속주조에서 생산된 반제품을 열연, 후판, 강재, 형강, 봉강 공장 등으로 이송시켜 재가열한 후, 각각의 열연 압연기에서 소정의 형상 및 치수를 갖는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이다. 이를 요약하면, 반제품을 가열하여 상측롤과 하측롤 사이로 밀어 넣고 압착시켜 여러 가지 형상의 강재를 만드는 공정이다.
강재는 압연공정을 통하여 봉 형상인 선재로 성형되며, 선재는 연결관을 통하여 이동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선재가 일측으로 치우쳐서 이동되는 경우, 선재가 인접한 다른 부품을 충격하여 생산라인을 파손시킬 수 있으며, 선재가 설정된 경로를 벗어나서 이동하므로 생산 불량률이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선재가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므로 다른 부품과의 간섭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생산 불량률도 감소시킬 수 있는 선재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재용 가이드장치는: 선재가 관통하여 이동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부 및 케이스부에 설치되며 선재의 양측에 접하여 회전되는 롤러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스부는, 롤러가이드부를 감싸며 설치되는 몸체부 및 몸체부로 선재의 유입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구비되는 입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부는 선재가 몸체부를 통과하여 이동됨을 안내하는 직선관이 구비되는 안내관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부는 내측공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선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롤러가이드부는, 선재의 양측에 복수로 설치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롤러가이드부의 측면에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관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선재용 가이드장치는, 롤러가이드부로 선재의 양측을 가이드하고 안내부재로 선재의 상하측을 가이드하여, 선재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되므로 생산라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선재의 생산 불량률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재용 가이드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철공장에서 사용되는 선재용 가이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용 가이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용 가이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용 가이드장치에서 안내관로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내부재가 선재를 가이드하는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내부재가 선재를 가이드하는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용 가이드장치(1)는, 선재(3)가 관통하여 이동되는 내측공간(39)을 구비하는 케이스부(10) 및 케이스부(10)에 설치되며 선재(3)의 양측에 접하여 회전되는 롤러가이드부(5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0)는 선재(3)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롤러가이드부(50)가 내측에 장착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부(10)는, 롤러가이드부(50)를 감싸며 설치되는 몸체부(30)와 몸체부(30)로 선재(3)의 유입을 안내하는 경사면(22)을 구비하는 입구부(20) 및 몸체부(30)에서 나오는 선재(3)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관로부(40)를 포함한다.
입구부(20)에는 몸체부(30)와 연결되는 입구몸체(24) 및 입구몸체(24)와 연결되며 선재(3)의 유입을 안내하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면(22)이 구비된다.
몸체부(30)는 롤러가이드부(50)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제1장착편(33)과 제2장착편(36)을 포함한다. 제1장착편(33)과 제2장착편(36)에는 롤러가이드부(50)의 축부재(54)가 삽입되는 장착공(34)이 구비된다.
제1장착편(33)과 제2장착편(36)은 일정한 거리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제1장착편(33)과 제2장착편(36)의 일측에는 원통 형상의 제1연결부재(37)가 고정되며, 타측에는 링 형상의 제2연결부재(38)가 고정된다.
몸체부(30)를 구성하는 제1장착편(33)과 제2장착편(36)의 사이에는 선재(3)가 이동되는 내측공간(39)이 구비된다.
제1장착편(33)과 제2장착편(36)의 마주하는 면에서 내측공간(39)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안내부재(31)는 선재(3)의 상하(도 5 기준) 이동을 안내한다.
안내부재(31)는 선재(3)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된 띠 형상의 돌기 형상을 갖는다.
입구부(20)를 향한 안내부재(31)의 내측면에는 안내경사면(32)이 구비되어, 입구부(20)에서 몸체부(30)로 진입되는 선재(3)의 이동을 안내한다.
안내관로부(40)는 선재(3)가 몸체부(30)를 통과하여 이동됨을 안내하는 직선관(42)과, 직선관(42)의 일측에 절곡 형성되어 볼트공이 구비되는 장착브라켓(44)을 포함한다.
몸체부(30)의 양측에는 중공이 형성된 제1홀더(60)와 제2홀더(65)가 구비되어 몸체부(30)를 포함한 선재용 가이드장치(1)를 지지한다.
안내관로부(40)의 장착브라켓(44)은 제2홀더(65)의 일측에 결합되며, 몸체부(30)의 제2연결부재(38)는 제2홀더(65)의 타측에 결합된다.
롤러가이드부(50)는 몸체부(30)의 장착공(34)에 삽입되는 축부재(54)와, 축부재(54)의 외측을 감싸며 설치되는 롤러부재(52)를 포함한다.
롤러가이드부(50)의 롤러부재(52)는 선재(3)의 양측에 접하여 회전될 수도 있으며, 선재(3)와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롤러가이드부(50)의 롤러부재(52)는, 좌우 한 쌍만 설치될 수 있으며, 선재(3)의 양측에 복수로 설치될 수도 있는 등, 롤러부재(52)가 선재(3)의 양측에 설치되어 선재(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가열된 선재(3)와 접하는 롤러가이드부(50)의 측면에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관로(70)가 구비되며, 공급관로(70)를 통하여 공급된 냉각수는 롤러부재(52)를 향한 방향으로 분사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용 가이드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선재용 가이드장치(1)로 공급되는 선재(3)는 입구부(20)의 경사면(22)을 따라 몸체부(30)로 이동된다.
몸체부(30)의 내측으로 유입된 선재(3)는 안내경사면(32)을 구비한 안내부재(31)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측이나 하측으로 치우쳐서 이동되는 것이 교정된다.
이와 동시에 선재(3)의 양측에는 롤러가이드부(50)의 롤러부재(52)가 접하여 회전하므로 선재(3)가 좌측이나 우측으로 치우쳐서 이동되는 것이 교정된다.
몸체부(30)를 통과한 선재(3)는 안내관로부(40)의 직선관(42)을 따라 이동하면서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이동 경로가 보정된 후에, 선재용 가이드장 치(1)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롤러가이드부(50)로 선재(3)의 양측을 가이드하고 안내부재(31)로 선재(3)의 상하측을 가이드하여, 선재(3)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되므로 생산라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선재(3)의 생산 불량률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제철공장에서 사용되는 선재용 가이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철공장 외에도 선재를 이송하는 다른 생산공장이나 장치에서도 본 발명의 선재용 가이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용 가이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용 가이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용 가이드장치에서 안내관로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내부재가 선재를 가이드하는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내부재가 선재를 가이드하는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선재용 가이드장치 3: 선재
10: 케이스부 20: 입구부
30: 몸체부 31: 안내부재
32: 안내경사면 33: 제1장착편
36: 제2장착편 40: 안내관로부
42: 직선관 44: 장착브라켓
50: 롤러가이드부 52: 롤러부재
70: 공급관로

Claims (6)

  1. 선재가 관통하여 이동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선재의 양측에 접하여 회전되는 롤러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용 가이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롤러가이드부를 감싸며 설치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 상기 선재의 유입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구비되는 입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용 가이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선재가 상기 몸체부를 통과하여 이동됨을 안내하는 직선관이 구비되는 안내관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용 가이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내측공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선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용 가이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이드부는,
    상기 선재의 양측에 복수로 설치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용 가이드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이드부의 측면에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관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용 가이드장치.
KR1020090068038A 2009-07-24 2009-07-24 선재용 가이드장치 KR20110010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038A KR20110010461A (ko) 2009-07-24 2009-07-24 선재용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038A KR20110010461A (ko) 2009-07-24 2009-07-24 선재용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461A true KR20110010461A (ko) 2011-02-01

Family

ID=4377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038A KR20110010461A (ko) 2009-07-24 2009-07-24 선재용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04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558A (ko) * 2018-02-09 2019-08-20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방진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558A (ko) * 2018-02-09 2019-08-20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방진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8145026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тягивания рукавной пленкой или пленочной оболочкой комплекта товаров
CN109877537B (zh) 一种不锈钢管的生产工艺
KR20110010461A (ko) 선재용 가이드장치
US20030037573A1 (en) Roller table for carrying and transporting a hot glass band
CN204381050U (zh) 用于验布机的除尘装置
KR101175785B1 (ko) 선재용 가이드장치
CN204413087U (zh) 一种特厚板坯连铸机专用零号段设备
JP6662320B2 (ja) 鋼板の冷却装置
KR20110010462A (ko) 냉각기를 구비하는 압연장치
KR101352097B1 (ko) 강판의 에이프런 장치
KR101620710B1 (ko) 스트립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트립 캐스팅 장치
KR101225710B1 (ko) 열연코일용 잔류수 제거장치
CN205045562U (zh) 吹膜机双收换卷机构
CN105087875A (zh) 热处理炉用炉底辊
KR101510277B1 (ko) 슬라브의 측면을 지지하는 롤러장치
CN211825347U (zh) 一种软化线钢丝产品用加工模具
CN203992294U (zh) 一种大断面圆坯引锭头导向装置
CN202824577U (zh) 一种扇形段自由辊冷却水配管装置
CN221087203U (zh) 一种铸轧机铸嘴
CN102825226B (zh) 一种扇形段自由辊冷却水配管结构
JP4555700B2 (ja) 水スプレーユニット
CN203792404U (zh) 一种运行平稳的pe给水管材切割机
JP2012121059A (ja) ピアサーガイドシューの冷却方法
CN207327493U (zh) 一种热流道系统的加热结构
KR101277697B1 (ko)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