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059U - Ultrasonic Stimulators and Systems - Google Patents

Ultrasonic Stimulators and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059U
KR20110010059U KR2020100004061U KR20100004061U KR20110010059U KR 20110010059 U KR20110010059 U KR 20110010059U KR 2020100004061 U KR2020100004061 U KR 2020100004061U KR 20100004061 U KR20100004061 U KR 20100004061U KR 20110010059 U KR20110010059 U KR 201100100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main body
stimulator
oscillato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0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59590Y1 (en
Inventor
서종우
최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픽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픽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픽시스템
Priority to KR2020100004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590Y1/en
Publication of KR201100100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05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59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45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ultrasonic transducers, e.g. piezo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소화 장애를 완화시킬 수 있는 초음파 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자극기는 본체부와 프로브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설정 모드에 따른 듀티를 갖도록 초음파 출력을 제어한다. 프로브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초음파 제어기기로부터 전송된 초음파 발진을 상기 소화 장애가 발생한 부분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송된 초음파를 발진하는 초음파 발진자와 상기 초음파 발진자를 수납하는 파지가능한 하우징을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ltrasonic stimulator capable of alleviating digestive disorders using ultrasonic waves. The ultrasonic stimulator includes a body portion and a probe. The main body controls the ultrasonic output to have a duty according to the setting mode. The prob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ultrasonic oscillator and the ultrasonic oscillator for oscillating the ultrasonic wave transmitt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to output the ultrasonic rash transmitted from the ultrasonic controller to the skin of the portion of the digestive disorder occurs directly It is provided with a grippable housing for receiving.

Description

초음파 자극기 및 시스템{Ultrasound stimulator and system}Ultrasonic stimulator and system

본 고안은 초음파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 내부의 장기를 초음파로 자극하여 장기의 활동성을 높이는 초음파 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ltras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ltrasonic stimulator for stimulating organs inside the body by ultrasonic waves to increase the activity of the organs.

일반적으로 30Hz이하의 음을 저주파수라 하고 20KHz 이상의 음, 인간의 귀로 들을 수 없는 음을 초음파라고 한다. 초음파는 우리의 귀에 들리지 않을 뿐, 보통 음파와 같다. 음향적 특성이나 물리적 성질도 같고 귀에 들리는 모든 소리보다 더 많은 초음파가 공기중에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인간의 감지 영역을 벗어난 무성(無聲)의 초음파는 이미 동력적, 정보적 응용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Generally, sound below 30Hz is called low frequency, and sound above 20KHz, sound that cannot be heard by human ear is called ultrasonic. Ultrasound is invisible to our ears, just like normal sound waves. Think of it as having the same acoustic and physical properties and more ultrasound in the air than all the sounds you hear. Silent ultrasound, outside of human sensing, is already widely used in dynamic and information applications.

현실적인 요구에 힘입어 최근에는 첨단기술로써 각광을 받으며 의료, 군사, 시험 기기는 물론 주변의 산업 기기로도 응용되어 가공, 탐지, 위치제어, 세척, 용접, 집진기, 검사, 계측 계량 기기 심지어는 피부, 미용, 목욕, 세수, 양치질, 맛지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실용화가 넓어지고 있다. 특히, 배나 잠수함의 위치 또는 바다의 깊이를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음향 탐지기, 배와 배 사이의 통신, 손이 미치지 않는 구석의 세척이나 살균, 플라스틱 접착, 초음파 계측 계량 제어 기기 그리고 의학적인 진단기술로 쓰이는 초음파소노그래피 즉, 뇌나 간장, 신장 등의 신체 내부에 초음파를 발사한 후, 거기서 반사되어 오는 반사파를 분석하는 기술) 등이 보편화 기술로 되어있다. 초음파는 진동주파수가 17,000~20,000Hz이상인 불가청 진동음파로서, 물체의 진동에 의해 일어나는 탄성파이며, 압전효과를 가지며 초음파 치료는 보통 0.5~5MHz내의 초음파를 사용하여 치료하며, 음파 영동치료는 초음파 에너지로 피부를 통해 약물을 조직 내로 도입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Thanks to realistic demands, it has recently been spotlighted as a cutting-edge technology and applied to medical, military, test equipment as well as surrounding industrial equipment, processing, detection, positioning control, cleaning, welding, dust collector, inspection, measuring, measuring equipment and even skin It is widely used in a wide variety of fields, from beauty, bathing, washing, washing and brushing. In particular, acoustic detectors are used to measure the position of ships or submarines or the depth of the ocean, communication between ships and ships, cleaning or disinfecting out-of-hand corners, plastic bonding, ultrasonic metrology controls, and medical diagnostics. Ultrasonic sonication, that is, a technique of emitting ultrasonic waves into a body such as the brain, liver, kidney, and the like and analyzing the reflected waves reflected therefrom is a generalization technique. Ultrasound is an inaudible vibration sound wave with a vibration frequency of 17,000-20,000 Hz or more. It is an elastic wave caused by the vibration of an object. It has a piezoelectric effect. Ultrasound treatment is usually performed by using ultrasonic waves within 0.5 to 5 MHz. As a result, the drug is introduced into the tissue through the skin.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초음파의 사용 영역을 확대시키고 인체의 다양한 장기 위치에 대응하여 초음파를 침투시키는 초음파 자극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ltrasonic stimulator that enlarges the use area of ultrasonic waves and penetrates ultrasonic waves in response to various organ positions of the human body.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상기 초음파 자극기를 포함하는 초음파 자극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ltrasonic stimulator system including the ultrasonic stimulator.

상술한 본 고안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하여 소화 장애를 완화시킬 수 있는 초음파 자극기는 본체부 및 프로브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설정 모드에 따른 듀티를 갖도록 초음파 출력을 제어한다. 상기 프로브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초음파 제어기기로부터 전송된 초음파 발진을 상기 소화 장애가 발생한 부분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송된 초음파를 발진하는 초음파 발진자와 상기 초음파 발진자를 수납하는 파지가능한 하우징을 구비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ltrasonic stimulator capable of alleviating digestive disorder using ultra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nd a probe. The main body controls the ultrasonic output to have a duty according to the setting mode. The prob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ultrasonic oscillator for oscillating the ultrasonic wave transmitted from the main body to output the ultrasonic rash transmitted from the ultrasonic controller to the skin of the portion of the digestive disorder occurs directly And a grippable housing for receiving an ultrasonic oscillator.

상기 본체부는 상용 교류 전압을 펄스 형태의 구형파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전원 변환부와 연결되어 상기 펄스 형태의 구형파를 증폭하여 상기 초음파 발진자로 출력하는 초음파 구동기 및 상기 전원 변환부와 상기 초음파 구동기에 연결되어 상기 설정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전원 변환부와 상기 초음파 구동기를 제어하여 상기 초음파가 상기 설정된 듀티를 갖고 상기 초음파 발진자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unit is a power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 commercial AC voltage into a pulse-shaped square wave, an ultrasonic driver connected to the power conversion unit to amplify the pulse-shaped square wave to output to the ultrasonic oscillator and the power converter and the ultrasonic driver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power conversion unit and the ultrasonic driver to transmit the ultrasonic wave to the ultrasonic oscillator having the set dut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변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변환부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기 및 상기 전원 제어기 및 상기 초음파 구동기에 연결되고 설정 모드에 따라 상기 전원 제어기를 통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를 제어하고 상기 초음파 구동기를 제어하는 주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version unit to control the power conversion unit and the power controller and the power controller and the ultrasonic driver to control the power conversion unit and the ultrasonic driver through the power controller according to a setting mode. It can include a main controller.

상기 전원 변환부는 상기 교류 전압을 비대칭의 상기 펄스 형태의 구형파로 변환하는 비대칭 하프 브릿지 회로일 수 있다.The power converter may be an asymmetric half bridge circuit for converting the AC voltage into the pulse wave of the asymmetric pulse shape.

상기 초음파 구동기는 비선형의 스위치 타입 증폭기일 수 있다.The ultrasonic driver may be a nonlinear switch type amplifier.

상기 초음파 발진자는 단일 초점의 트랜스듀서(transducer)일 수 있다.The ultrasonic oscillator may be a single focal transducer.

상기 초음파 발진자와 상기 본체부는 BNC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The ultrasonic oscillator and the body portion may be connected by a BNC cable.

상기 하우징은 상기 초음파 발진자를 밀착하여 수납하는 헤드 부분 및 상기 헤드 부분과 결합되며 상기 BNC 케이블이 통과하여 상기 초음파 발진자와 연결되고 파지가능하도록 구성된 손잡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may include a head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ultrasonic oscillator and a handle portion coupled to the head portion and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d gripped by the BNC cable through the BNC cable.

상기 초음파 발진자에서 출력되는 초음파의 주파수는 500kHz~1.1MHz일 수 있다.The frequency of the ultrasonic waves output from the ultrasonic oscillator may be 500 kHz to 1.1 MHz.

상기 초음파 자극기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설정 모드를 송신하는 컴퓨터와 연결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ltrasonic stimulator may further include a dat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connected to a computer transmitting the setting mod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자극기 시스템은 초음파 자극기와 컴퓨터를 포함한다. 상기 초음파 자극기는 설정 모드에 따른 듀티를 갖도록 초음파 출력을 제어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송된 초음파 발진을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송된 초음파를 발진하는 초음파 발진자와 상기 초음파 발진자를 수납하는 파지가능한 하우징을 갖는 프로브를 구비한다. 상기 컴퓨터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여 상기 설정 모드를 제어한다. An ultrasonic stimulat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ltrasonic stimulator and a computer. The ultrasonic stimulator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for controlling the ultrasonic output so as to have a duty according to the setting mode, the ultrasonic stimulator for oscillating the ultrasonic wave transmitted from the main body to output the ultrasonic oscillation transmitted from the main body A probe having an ultrasonic oscillator and a grippable housing for receiving the ultrasonic oscillator. The computer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main body to control the setting mode.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다르면 펄스 형태를 유지하는 초음파로 소화기관의 외벽을 자극하여 소화불량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elp to overcome the indigestion by stimulating the outer wall of the digestive tract with ultrasound to maintain the pulse form.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자극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초음파 자극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자극기의 외관을 실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초음파 자극기의 본체부의 전면부를 실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초음파 자극기의 본체부의 후면부를 실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프로브의 헤드부분의 실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프로브의 전체 모습의 실제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는 프로브의 꼬리 부분의 실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프로브의 하우징 내에 수납되는 초음파 발진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하우징의 손잡이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하우징의 헤드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컴퓨터로 초음파 자극기를 제어하는 경우 컴퓨터의 모니터 상에 나타나는 설정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듀티가 10%로 설정되었을 경우의 초음파 발진자에서 인체의 접촉부를 통하여 내부 장기로 전달되는 실제파형이다.
도 12는 듀티가 20%로 설정되었을 경우의 초음파 발진자에서 인체의 접촉부를 통하여 내부 장기로 전달되는 실제파형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ultrasonic stimulat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ultrasonic stimulator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ultrasonic st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ultrasonic stimulator actually.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rear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ultrasonic stimulator.
6A is a view showing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head portion of the probe.
Fig. 6B is a diagram showing the actual part of the whole view of the probe.
6C is a view showing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tail portion of the probe.
7 is a view showing the size of the ultrasonic oscillato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of the probe.
8 is a view showing a handle portion of the housing.
9 is a view showing a head portion of the housing.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tting mode appearing on a monitor of a computer when the ultrasound stimulator is controlled by the computer of FIG. 1.
11 is an actual waveform transmitted from the ultrasonic oscillator to the internal organ through the contact portion of the human body when the duty is set to 10%.
12 is an actual waveform transmitted from the ultrasonic oscillator to the internal organs through the contact portion of the human body when the duty is set to 20%.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text, specific structural to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component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that is described,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are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하여 소화 장애를 완화시키는 초음파 자극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ultrasonic stimulator system for alleviating digestive disorder using ultrasonic w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자극기 시스템(10)은 초음파 자극기(20)와 컴퓨터(30)를 포함한다. 초음파 자극기(20)는 본체부(100)와 프로부(2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와 프로부(200)는 BNC 케이블(40)로 연결된다. 프로부(200)는 초음파 발진자(210)와 초음파 발진자(210)가 수납되는 하우징(220)을 포함한다. 초음파 자극기(20)와 컴퓨터(30)는 데이터 통신 케이블(50)로 연결되어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ultrasonic stimulator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ltrasonic stimulator 20 and a computer 30. The ultrasonic stimulator 20 includes a main body 100 and a pro 200. The main body 100 and the pro part 200 are connected to the BNC cable 40. The pro part 200 includes a housing 220 in which the ultrasonic oscillator 210 and the ultrasonic oscillator 210 are accommodated. The ultrasonic stimulator 20 and the computer 30 may be connected by a data communication cable 50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도 2는 도 1의 초음파 자극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ultrasonic stimulator of FIG. 1.

도 2에서는 도 1의 초음파 자극기(20) 중 본체부(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본체부(100)가 프로부(200)와 BNC 케이블(40)을 통해서 연결된 것을 도시한다.In FIG. 2,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unit 100 of the ultrasonic stimulator 20 of FIG. 1 is illustrated in detail, and the main body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pro unit 200 through the BNC cable 40.

도 2를 참조하면, 초음파 자극기(20)의 본체부(100)는 전원 변환부(110), 제어부(120), 초음파 구동기(150)를 포함한다. 제어부(120)는 전원 제어기(130)와 주 제어기(14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데이터 통신부(160)와 보조 전원 장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 the main body 100 of the ultrasonic stimulator 20 includes a power converter 110, a controller 120, and an ultrasonic driver 150. The controller 120 includes a power controller 130 and a main controller 140. The main body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data communication unit 160 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170.

전원 변환부(110)는 전원 제어기(130)의 제어에 따라서 상용의 교류 전압(ACV)에 연결되고 교류 전압(ACV)을 펄스 형태의 구형파(PSW)로 변환한다. 상기 전원 변환부(110)는 비대칭 하프 브릿지 회로로 구현되어 교류 전압(ACV)을 비대칭의 펄스 형태의 구형파(PSW)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비대칭은 펄스 형태의 구형파(PSW)의 최대 전압과 최소 전압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The power converter 110 is connected to a commercial AC voltage ACV under the control of the power controller 130 and converts the AC voltage ACV into a pulse-shaped square wave PSW. The power converter 110 may be implemented as an asymmetric half bridge circuit to convert an AC voltage ACV into an asymmetric pulse-shaped square wave PSW. Here, asymmetry means that the maximum voltage and the minimum voltage of the pulse-shaped square wave PSW are not equal.

초음파 구동기(150)는 전원 변환부(110)와 연결되고, 전원 변환부(110)로부터 펄스 형태의 구형파(PSW)를 제공받아 주 제어기(140)의 제어에 따라 펄스 형태의 구형파(PSW)를 증폭하여 BNC 케이블(40)을 통하여 프로브(200)의 초음파 발진자(210)로 출력한다. 초음파 구동기(150)는 비선형의 스위치 타입 증폭기일 수 있다.초음파 발진자(210)는 인체의 장기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의 피부(접촉부)에 접촉할 수 있다. 즉 초음파 발진자(210)는 소화 장애가 발생한 부분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어 피부를 통하여 소화 장애가 발생한 장기에 초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The ultrasonic driver 150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verter 110 and receives the pulse-shaped square wave PSW from the power converter 110 to receive the pulse-shaped square wave PSW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40. Amplifies and outputs the ultrasonic wave oscillator 210 of the probe 200 through the BNC cable 40. The ultrasonic driver 150 may be a non-linear switch type amplifier. The ultrasonic oscillator 210 may contact the skin (contact part) of a part where an organ part of the human body is located. That is, the ultrasonic oscillator 210 may directly contact the skin of the portion where the digestive disorder occurs and output ultrasonic waves to the organ in which the digestive disorder occurs through the skin.

초음파 발진자(210)는 단일 초점의 압전 소자, 즉 트랜스듀서일 수 있다. The ultrasonic oscillator 210 may be a single focus piezoelectric element, i.e., a transducer.

특정 물질(고체)에 기계적 압력을 주면 전기적 극성변환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물질을 압전소자(piezo electrics)라 하고 이러한 현상을 압전현상이라 하는데, 특히 이러한 작용은 연동적이어서, 물질의 양쪽에 전압을 걸어주면 모양이 변하는 특징이 생긴다.When mechanical pressure is applied to certain materials (solids), electrical polarization occurs. These materials are called piezo electrics, and these phenomena are called piezoelectric phenomena. Giving the appearance changes the shape.

압전소자에 이용되는 대표적인 압전 물질은 수정, 로셀염, 티탄산바륨 등이 있고 최근에는 PZT와 같은 인공세라믹으로 대체되어 이용되고 있다. 압전 물질 양면에 교류전압을 가하면 전류의 전류의 극성에 따라 팽창과 수축이 일어나는데 이것은 교류전압의 주파수에 비례하여 반복된다.Representative piezoelectric materials used in piezoelectric elements include quartz, rosell salt, barium titanate, and the like, and have recently been replaced by artificial ceramics such as PZT. Applying an alternating voltage to both sides of the piezoelectric material causes expansion and contraction depending on the polarity of the current, which is repeated in proportion to the frequency of the alternating voltage.

특히 압전물질은 수많은 쌍극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쌍그자들은 기하학적 배열상태를 유지하여야만 압전특성을 갖게된다. 상기 압전 물질은 전기적 에너지를 음향에너지로 가장 효율적으로 전환시키는 공진주파수를 갖게되는데 이 공진주파수는 압전 물질의 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즉 압전 물질의 두께는 소자의 고유 주파수를 결정한다. In particular, piezoelectric materials are composed of a large number of dipoles, and these dipoles have piezoelectric properties only when they are maintained in a geometrical arrangement. The piezoelectric material has a resonant frequency for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acoustic energy most efficiently. The resonant frequenc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iezoelectric material. The thickness of the piezoelectric material determines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device.

제어부(120)는 주 제어기(140)와 전원 제어기(130)를 포함한다. 주 제어기(140)는 데이터 통신부(160)를 통하여 컴퓨터(30)로부터 전송받은 설정값에 따라 전원 제어기(130)와 초음파 구동기(150)를 제어하여 상기 설정값에 따른 듀티를 갖는 초음파가 초음파 구동기(40)로부터 초음파 발진자(210)로 출력되도록 한다. 전원 제어기(120)는 주 제어기(140)에 제어에 따라 전원 변환부(110)를 제어하여 상기 펄스 형태의 구형파(PSW)가 상기 설정 모드에 따른 듀티를 가지고 상기 초음파 구동기(150)에 출력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120 includes a main controller 140 and a power controller 130. The main controller 140 controls the power controller 130 and the ultrasonic driver 150 according to the setting value received from the computer 3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unit 160 so that the ultrasonic wave having the duty according to the setting value is the ultrasonic driver. Output from the 40 to the ultrasonic oscillator 210. The power controller 120 controls the power converter 11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40 so that the pulse-shaped square wave PSW is output to the ultrasonic driver 150 with a duty according to the setting mode. do.

펄스 형태의 구형파(PSW)가 상기 설정 모드에 따른 듀티를 가지고 초음파 구동기(150)에 전달되면 초음파 구동기(150)는 펄스 평태의 구형파(PSW)를 증폭하여 초음파 발진자(210)로 전송하고 접촉부와 접촉하고 있는 초음파 발진자(210)에서는 초음파 구동기(150)로부터 전송된 초음파를 접촉부를 통하여 인체 내의 장기의 외벽을 조사하게 된다. 초음파로 자극된 장기의 외벽은 국지적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국지적 온도의 상승은 인체 내의 혈류량 증가를 유도하여 증가된 혈류량은 장기 외벽 등에 쌓여있는 노폐물을 자연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더불에 노폐물의 제거에 따라 장기의 근육조직이 탄성을 회복하게 되고, 탄성을 회복한 장기는 운동 부족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한 장애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장기가 위장, 소장 및 대장 등의 소화기관인 경우는 본 고안에 따른 초음파 자극기를 사용하여 소화 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When the pulse-shaped square wave PSW is transmitted to the ultrasonic driver 150 with the duty according to the setting mode, the ultrasonic driver 150 amplifies the square wave PSW of the pulse state and transmits the square wave PSW to the ultrasonic oscillator 210. The ultrasonic oscillator 210 in contact is irradiated with the ultrasonic wave transmitted from the ultrasonic driver 150 to the outer wall of the organ in the human body through the contact portion. The external walls of the organs stimulated by ultrasound are locally elevated in temperature. This increase in local temperature induces an increase in blood flow in the human body, and the increased blood flow can naturally remove wastes accumulated in the outer walls of organs. In addition, the removal of the waste material, the muscle tissue of the organ is to recover the elasticity, the organ to recover the elasticity can overcome the obstacles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lack of exercise. If the organs are digestive organs such as the stomach, small intestine and large intestine, the ultrasonic sti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elp to overcome digestive disorders.

데이터 통신부(160)는 컴퓨터(30)와 통신을 수행하고 컴퓨터(30)로부터 입력된 설정모드를 제어부(120)에 전달하여 제어부(120)가 전원 변환부(110)와 초음파 구동기(150)를 제어하여 설정 모드에 따른 초음파를 프로브(200)에 전송되도록 한다. 보조 전원 장치(170)는 교류 전압(ACV)을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20)가 필요로 하는 형태의 전압으로 제어부(120)에 제공한다.The data communication unit 160 communicates with the computer 30 and transmits the setting mode input from the computer 30 to the controller 120 so that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power converter 110 and the ultrasonic driver 150. By controlling the ultrasound to be transmitted to the probe 200 according to the setting mode. The auxiliary power supply 170 receives the AC voltage ACV and provides the AC voltage to the controller 120 as a voltage required by the controller 120.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자극기의 외관을 실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ultrasonic st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초음파 자극기의 본체부의 전면부를 실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ultrasonic stimulator actually.

도 4를 참조하면, 초음파 자극기(10)의 본체부(100)의 전면부에는 프로브 커넥터(11)와 전원 스위치(12)가 구비된다. 프로브 커넥터(11)에는 두 개의 단자가 있는데 하나는 현재 사용하는 500kHz의 초음파를 출력하고, 다른 하나는 앞으로 사용할 1MHz의 초음파를 출력하게 된다. 전원 스위치(12)는 본체부(100)의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probe connector 11 and a power switch 12 are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of the ultrasonic stimulator 10. The probe connector 11 has two terminals, one of which outputs an ultrasound of 500 kHz currently used, and the other of which outputs an ultrasound of 1 MHz to be used. The power switch 12 may turn on / off power of the main body unit 100.

도 5는 초음파 자극기의 본체부의 후면부를 실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rear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ultrasonic stimulator.

도 5를 참조하면, 초음파 자극기(10)의 본체부(100)의 후면부에는 전원 입력부(21), 휴즈부(22), 시리얼 포트(23) 및 USB 포트(24)가 구비된다. 전원 입력부(21)에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교류 100~240V의 전원 전압이 입력된다. 휴즈부(22)에는 휴즈가 설치된다. 시리얼 포트(23)는 컴퓨터(40)와 통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 케이블(50)이 연결된다. USB포트(24)는 컴퓨터(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 케이블이 연결되거나 안테나가 장착된다. Referring to FIG. 5, a power input unit 21, a fuse unit 22, a serial port 23, and a USB port 24 are provided on a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of the ultrasonic stimulator 10. The power input unit 21 is supplied with a power supply voltage of AC 100 ~ 240V through the power cable. The fuse unit 22 is provided with a fuse. The serial port 23 is connected to the data cable 50 to communicate with the computer 40. The USB port 24 is connected to a data cable or an antenna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mputer 40 by wire or wirelessly.

도 6a는 프로브의 헤드부분의 실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A is a view showing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head portion of the probe.

도 6a를 참조하면, 초음파 발진기(210)의 지름은 31.72mm이고 초음파 발진기(210)를 둘러싼 하우징(220)의 헤드부분은 지름이 50mm이다.Referring to FIG. 6A, the diameter of the ultrasonic oscillator 210 is 31.72 mm, and the head portion of the housing 220 surrounding the ultrasonic oscillator 210 has a diameter of 50 mm.

도 6b는 프로브의 전체 모습의 실제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B is a diagram showing the actual part of the whole view of the probe.

도 6b를 참조하면, 프로브(200)의 전체 길이는 152mm임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it can be seen that the total length of the probe 200 is 152 mm.

도 6c는 프로브의 꼬리 부분의 실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C is a view showing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tail portion of the probe.

도 6c를 참조하면, 프로브(200)의 꼬리 부분의 지름은 33mm임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6c, it can be seen that the diameter of the tail portion of the probe 200 is 33mm.

도 7은 프로브의 하우징 내에 수납되는 초음파 발진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size of the ultrasonic oscillato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of the probe.

도 8 및 도 9는 초음파 발진자가 수납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and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 housing in which an ultrasonic oscillator is housed.

도 8은 하우징의 손잡이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handle portion of the housing.

도 9는 하우징의 헤드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 head portion of the housing.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하우징의 손잡이 부분(221)의 부분(222)과 헤드 부분(223)의 부분(224)이 서로 밀착 결합되어 하우징(220)을 구성하고, 손잡이 부분(221)에는 BNC 케이블(40)이 통과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헤드 부분(223)에 밀착 수납되는 초음파 발진자(210)와 연결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부분(221)은 사용자의 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8 and 9, the portion 222 of the handle portion 221 of the housing and the portion 224 of the head portion 223 are closely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housing 220, and the handle portion 221.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groove through which the BNC cable 40 can pass and is connected to the ultrasonic oscillator 210 that is tightly housed in the head portion 223.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handle portion 221 is formed in a form that can be easily gripped by the user's hand.

도 10은 도 1의 컴퓨터로 초음파 자극기를 제어하는 경우 컴퓨터의 모니터 상에 나타나는 설정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tting mode appearing on a monitor of a computer when the ultrasound stimulator is controlled by the computer of FIG. 1.

도 10을 참조하면, 초음파 자극기(20)의 설정 모드는 ①시간(Time) ②출력 모드 ③출력 선택 ④시간 설정 ⑤ 출력 온 ⑥ 선택 ⑦ DUTY ⑧ 설정시간 ⑨UT 전압 ①ⓞ진행 시간 ①① 진행시간바 ①② 종료 중에서 ③출력 선택 ④시간 설정 ⑦ DUTY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①시간(Time)은 컴퓨터(30) 상의 프로그램 구동 후 경과시간을 나타낸다. ②출력 모드는 대기모드와 출력 모드 중 하나로서 대기모드는 ⑤ 출력 온을 온/오프 할 수 없고 출력 모드시에만 ⑤ 출력 온을 온/오프 할 수 있다. ③출력 선택은 초음파의 출력 강도를 선택할 수 있다. ④시간 설정은 초음파가 출력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부분이다. ⑥ 선택은 ⑦ DUTY 및 ⑧ 설정시간을 보여주거나 없앤다. ⑦ DUTY는 펄스 형태의 구형파(PSW)의 듀티 비를 설정한다. ⑧ 설정시간은 초음파가 출력되는 시간을 설정한다. ⑨UT 전압은 인가되는 전압의 이상유무를 나타낸다. ①ⓞ진행 시간은 설정된 시간내에서 초음파가 출력된 시간을 숫자로 나타낸다. ①① 진행시간바는 초음파가 출력된 시간을 보여준다. ①② 종료는 초음파 자극기(20)의 구동을 종료시킨다. Referring to FIG. 10, the setting mode of the ultrasonic stimulator 20 is ① time ② output mode ③ output selection ④ time setting ⑤ output on ⑥ selectionDUTY ⑧ setting time ⑨UT voltage ①ⓞ progress time ①① progress time bar ①② It can include ③ output selection ④ time setting ⑦ DUTY during termination. Here, ① Time represents the elapsed time after the program drive on the computer 30. ② Output mode is one of standby mode and output mode. Standby mode can't turn on / off output ⑤. Only output mode can turn on / off. ③ Output selection can select the output intensity of the ultrasonic wave. ④ Time setup is the part that can set the time when the ultrasonic wave is output. ⑥ Selection shows or removes ⑦ DUTY and ⑧ set time. ⑦ DUTY sets duty ratio of square wave (PSW) in pulse form. ⑧ The set time sets the time for which the ultrasonic wave is output. ⑨ UT voltage indicates the abnormality of applied voltage. ①ⓞ run time is the number of hours the ultrasonic wave is output within the set time. ①① Progress time bar shows the time when the ultrasonic wave is output. ①② end terminates the driving of the ultrasonic stimulator 20.

도 11은 듀티가 10%로 설정되었을 경우의 초음파 발진자에서 인체의 접촉부를 통하여 내부 장기로 전달되는 실제파형이다.11 is an actual waveform transmitted from the ultrasonic oscillator to the internal organ through the contact portion of the human body when the duty is set to 10%.

도 12는 듀티가 20%로 설정되었을 경우의 초음파 발진자에서 인체의 접촉부를 통하여 내부 장기로 전달되는 실제파형이다.12 is an actual waveform transmitted from the ultrasonic oscillator to the internal organs through the contact portion of the human body when the duty is set to 20%.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컴퓨터(30)를 통하여 듀티를 포함하는 설정 모드를 제어하여 초음파 자극기(20)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듀티 내에서 설정되는 주파수로 초음파가 발진함을 알 수 있고, 또한 발진되는 초음파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은 비대칭임을 알 수 있다. 11 and 12, it can be seen that the ultrasound stimulator 20 can be easily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setting mode including the duty through the computer 30.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ultrasonic waves are oscillated at a frequency set within each duty, and it can be seen that the magnitudes of the maximum voltage values and the minimum voltage values of the ultrasonic waves to be oscillated are not equal.

따라서 본 고안에 다르면 펄스 형태를 유지하는 초음파로 소화기관의 외벽을 자극하여 소화불량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help to overcome the indigestion by stimulating the outer wall of the digestive tract with ultrasound to maintain the pulse form.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20 : 초음파 자극기 100 : 본체부
200 : 프로브
20: ultrasonic stimulator 100: main body
200: probe

Claims (11)

초음파를 이용하여 소화 장애를 완화시킬 수 있는 초음파 자극기로서,
설정 모드에 따른 듀티를 갖도록 초음파 출력을 제어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초음파 제어기기로부터 전송된 초음파 발진을 상기 소화 장애가 발생한 부분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송된 초음파를 발진하는 초음파 발진자와 상기 초음파 발진자를 수납하는 파지가능한 하우징을 구비하는 프로브를 구비하는 초음파 자극기.
Ultrasonic stimulator that can alleviate digestive disorders using ultrasound,
A main body controlling the ultrasonic output to have a duty according to a setting mode; And
The ultrasonic oscillator and the ultrasonic oscillator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to oscillate the ultrasonic wave transmitted from the main body part so as to directly output the ultrasonic rash transmitted from the ultrasonic controller to the skin of the digestive disorder. An ultrasonic stimulator having a probe having a grippable housing for receiv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용 교류 전압을 펄스 형태의 구형파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전원 변환부와 연결되어 상기 펄스 형태의 구형파를 증폭하여 상기 초음파 발진자로 출력하는 초음파 구동기; 및
상기 전원 변환부와 상기 초음파 구동기에 연결되어 상기 설정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전원 변환부와 상기 초음파 구동기를 제어하여 상기 초음파가 상기 설정된 듀티를 갖고 상기 초음파 발진자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자극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A power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 commercial AC voltage into a pulse-shaped square wave;
An ultrasonic driver connected to the power converter to amplify the pulse-shaped square wave and output the amplified square wave to the ultrasonic oscillator; And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power converter and the ultrasonic driver to control the power converter and the ultrasonic driver according to the setting mode to transmit the ultrasonic wave to the ultrasonic oscillator having the set duty. Ultrasonic stimula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변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변환부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기; 및
상기 전원 제어기 및 상기 초음파 구동기에 연결되고 설정 모드에 따라 상기 전원 제어기를 통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를 제어하고 상기 초음파 구동기를 제어하는 주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자극기.
3. The apparatus of claim 2,
A power controller connected to the power converter to control the power converter; And
And a main controller connected to the power controller and the ultrasonic driver and controlling the power converter through the power controller according to a setting mode and controlling the ultrasonic driv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변환부는 상기 교류 전압을 비대칭의 상기 펄스 형태의 구형파로 변환하는 비대칭 하프 브릿지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자극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power converter is an asymmetric half bridge circuit for converting the AC voltage into an asymmetric square wa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구동기는 비선형의 스위치 타입 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자극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ultrasonic driver is a nonlinear switch type ampl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진자는 단일 초점의 트랜스듀서(transduc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자극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ultrasonic oscillator is a single focal transduc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진자와 상기 본체부는 BNC 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자극기.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ultrasonic oscillator and the main body are connected by a BNC cab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초음파 발진자를 밀착하여 수납하는 헤드 부분; 및
상기 헤드 부분과 결합되며 상기 BNC 케이블이 통과하여 상기 초음파 발진자와 연결되고 파지가능하도록 구성된 손잡이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자극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ousing
A head portion to closely receive the ultrasonic oscillator; And
And a handle portion coupled to the head portion and configured to be gripped and connected with the ultrasonic oscillator through the BNC c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진자에서 출력되는 초음파의 주파수는 500kHz~1.1M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자극기.
The method of claim 1,
Ultrasonic stim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requency of the ultrasonic wave output from the ultrasonic oscillator is 500kHz ~ 1.1MHz.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설정 모드를 송신하는 컴퓨터와 연결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자극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dat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connected to a computer transmitting the setting mode.
설정 모드에 따른 듀티를 갖도록 초음파 출력을 제어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송된 초음파 발진을 소화 장애가 발생한 부분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송된 초음파를 발진하는 초음파 발진자와 상기 초음파 발진자를 수납하는 파지가능한 하우징을 갖는 프로브를 구비하는 초음파 자극기;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여 상기 설정 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초음파 자극기 시스템.
I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for controlling the ultrasonic output to have a duty according to the setting mode, from the main body to output the ultrasonic rash transmitted from the main body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digestive disorder An ultrasonic stimulator having an ultrasonic oscillator for oscillating the transmitted ultrasonic waves and a probe having a grippable housing for receiving the ultrasonic oscillator; And
And a computer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main body to control the setting mode.
KR2020100004061U 2010-04-19 2010-04-19 Ultrasound stimulator and system KR20045959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061U KR200459590Y1 (en) 2010-04-19 2010-04-19 Ultrasound stimulator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061U KR200459590Y1 (en) 2010-04-19 2010-04-19 Ultrasound stimulator and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059U true KR20110010059U (en) 2011-10-26
KR200459590Y1 KR200459590Y1 (en) 2012-03-30

Family

ID=4762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061U KR200459590Y1 (en) 2010-04-19 2010-04-19 Ultrasound stimulator and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590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7031A1 (en) * 2011-06-21 2012-12-27 주식회사 퍼시픽시스템 Method for manufacturing bubbles for promoting the transfer of a functional material, and functional-material transfer device using same
WO2015076613A1 (en) * 2013-11-21 2015-05-28 주식회사 퍼시픽시스템 Ultrasonic stimulation apparatus for adjusting temperature of internal organ of human body and method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359B1 (en) 2007-05-11 2009-03-25 진경수 Ultrasonic Treatment Device
KR100914656B1 (en) 2007-07-30 2009-08-28 리젠프라임 주식회사 An Ultrasound Equipment for Treating of Edema and Use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7031A1 (en) * 2011-06-21 2012-12-27 주식회사 퍼시픽시스템 Method for manufacturing bubbles for promoting the transfer of a functional material, and functional-material transfer device using same
WO2015076613A1 (en) * 2013-11-21 2015-05-28 주식회사 퍼시픽시스템 Ultrasonic stimulation apparatus for adjusting temperature of internal organ of human body and metho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590Y1 (en) 201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794B1 (en) A portable multifunctional skin treatment apparatus
WO2012078447A3 (en)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 associated surgical method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
KR20180004727A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control of ultrasound therapy
MX2010000908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sound tissue treatment.
JP2010528814A5 (en)
CN205041400U (en) Novel it is portable through cranium ultrasound stimulation and EEG signal collection device
WO2007124074A3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employing therapeutic ultrasound of living tissues
ATE459299T1 (en) ULTRASONIC SURGERY DEVICE
CN107106145A (en) Defecation prediction meanss and defecation Forecasting Methodology
TWI635883B (en) Piezoelectric system for ultrasonic thermal therapy and electrotherapy
RU2012144769A (en) PROCESSING DEVICE
JP5637580B1 (en) Massage equipment
CA3120288A1 (en) Device networks for modulating neural activity
KR200459590Y1 (en) Ultrasound stimulator and system
KR20180052490A (en) Portable skin and obesity care apparatus based on hifu energy
ATE366796T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MEDICALLY ACTIVE SUBSTANCES INTO CELLS
JPH0539686Y2 (en)
KR20180056300A (en) Skin care device using ultrasonic wave
WO2021110847A3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generator and apparatus
KR102107129B1 (en) A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device of wireless probe type with transducer resonant frequency matching function
JP6351083B1 (en) Facial massage device and facial massage system
JP6551955B1 (en) Massage device and vibrator unit thereof
JP2012020020A (en) Ultrasonic irradiation apparatus
US10166007B2 (en) Passive data transmission
KR100408331B1 (en) An ultrasonic curative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