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613A -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613A
KR20110008613A KR1020090066036A KR20090066036A KR20110008613A KR 20110008613 A KR20110008613 A KR 20110008613A KR 1020090066036 A KR1020090066036 A KR 1020090066036A KR 20090066036 A KR20090066036 A KR 20090066036A KR 20110008613 A KR20110008613 A KR 20110008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receiving terminal
broadcast receiving
frequency
program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2677B1 (ko
Inventor
엄유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090066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67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8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수신 단말에 연결되는 태그 관리 서버에서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프로그램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태그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태그를 빈도수에 따라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에 따른 태그 관련 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빈도수가 미리 설정된 순위 이상에 해당하는 태그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태그를 통해 사용자의 직관적인 프로그램 탐색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태그, 빈도수, 정렬, 선호 정보, 채널, EPG, 탐색

Description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gram guide service based on tag}
본 발명은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TV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원하는 프로그램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비디오와 오디오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압축 처리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TV 방송의 다채널화가 가능하게 되었고, 각 채널 내에서도 전송량의 증대로 인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과거에는 TV 환경에서 단방향으로만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으나, 근래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양방향 서비스(VOD)가 제공되고 있다.
이처럼 수많은 채널이 존재함에 따라 리모콘을 통해 채널 올림/내림 키를 이용하여 채널을 탐색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근래의 대부분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빠른 채널 탐색 서비스를 위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ic Program Guide: EPG)를 제공하고 있다.
EPG는 복수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하나의 화면상에서 보여주는 것으로서, 각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거나 방송 예정인 프로그램 정보 또는 장르별 프로그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EPG를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채널 탐색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채널 탐색을 원하는 사용자는 우선 EPG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 EPG 화면 상에서 각 채널 및 시간 별로 채널 번호, 프로그램 제목 및 타이틀 영상 등을 확인하기 때문에 직관적인 프로그램 탐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직관적인 채널 탐색이 어렵다는 것은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기를 원하는 프로그램이 특별히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종래의 EPG 화면 상에 보여지는 프로그램 제목 및 타이틀 영상 만으로 시청을 원하는 프로그램을 찾아내기 어렵다는 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평상시에 특정 뉴스에 관심이 있으나 현재 어떠한 채널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뉴스를 방송하고 있는지 모르고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종래의 EPG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뉴스 이름, 뉴스가 제공되는 채널 번호 또는 타이틀 영상만을 확인할 뿐이며, 사용자가 해당 채널을 선택해서 시청하지 않는 한 해당 채널에서 자신이 관심을 가지는 뉴스를 방송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는 것이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르면 사용자는 EPG를 실행시키는 일 없이 단순히 채널 재핑(Zapping)을 하면서 TV를 시청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이러한 사용자에게 EPG를 실행하지 않고도 직관적으로 사용자가 원할 수 있는 채널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직관적인 채널 탐색을 지원할 수 있는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수신 단말에 연결되는 태그 관리 서버에서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프로그램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태그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태그를 빈도수에 따라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에 따른 태그 관련 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빈도수가 미리 설정된 순위 이상에 해당하는 태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수신 단말에 연결되는 태그 관리 서버에서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프로그램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태그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태그를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태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방송 수신 단말에서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태그 관리 서버로부터 태그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태그 관련 정보는 복수의 프로그램에 각각에 대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태그를 빈도수 순으로 정렬하여 생성됨-; 및 상기 태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빈도수가 미리 설정된 순위 이상에 해당하는 태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방송 수신 단말에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한 하나 이상의 태그를 등록하는 태그 등록부; 상기 등록된 태그를 빈도수에 따라 정렬하는 태그 정렬부; 및 상기 정렬에 따른 태그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태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빈도수가 미리 설정된 순위 이상에 해당하는 태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제공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설명하는 태그를 방송 수신 단말로 전송하고, 방송 수신 단말이 수신된 태그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손쉽게 찾아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빈도수가 많은 태그를 우선적으로 출력하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프로그램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컨텐츠 서버(100) 및 태그 관리 서버(1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한 서버(100,102)는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단말(104)과 연결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인터넷, 전용선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와 방송망, 위성 통신망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00)는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소정 컨텐츠(방송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프로그램)를 방송하는 헤드엔드(Head-end)일 수 있다.
컨텐츠 서버(100)는 다양한 채널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AV 신호)를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 변환하며, 이를 방송과 관련된 데이터를 결합하여 방송 수신 단말(104)로 전송한다.
또한, 컨텐츠 서버(100)는 각 프로그램에 대한 스케줄링 기능, 가입자 이외에 다른 사용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수신 제한을 위한 스크램블링을 수행한다.
상기에서는 컨텐츠 서버(100)가 헤드엔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인터넷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서버 또는 파일서버일 수도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방송 수신 단말(104)은 컨텐츠 서버(100)가 전송하는 방송 신호 중 소정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방송 수신 단말(104)은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며, 데이터와 결합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셋톱박스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데스크탑, 노트북, 그밖에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를 디코딩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태그 관리 서버(102)는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해 등록된 태그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태그 관리 서버(102)는 프로그램 제공자의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설명 정보를 통해 각 프로그램에 대한 하나 이상 의 태그를 등록한다.
여기서, 태그는 프로그램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단어로서, 예를 들어 "A" 라는 액션 영화 프로그램의 경우, 영화, 액션, 주인공 이름과 같은 태그가 등록될 수 있다.
또한, 뉴스 프로그램의 경우, 사건 이름, 사건 관계자, 사건 장소 등이 태그로 등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그 관리 서버(102)는 복수의 프로그램 각각에 대해 태그 등록이 있는 경우, 등록된 태그를 빈도수에 따라 정렬한다.
바람직하게, 태그 관리 서버(102)의 정렬 과정은 현재 시점에서 각 채널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채널에서 프로그램(program) 1 내지 4이 제공되고 있고, 각각 4개의 태그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태그 관리 서버(102)는 각 태그 A 내지 H를 빈도수에 따라 정렬한다.
태그 관리 서버(102)는 상기한 정렬에 따른 태그 관련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04)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태그 관리 서버(102)는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태그 정렬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렬에 의해 생성된 태그 관련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04)로 전송한다.
여기서, 태그 관련 정보는 태그 및 해당 태그에 대한 빈도수(또는 빈도수 순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태그 관리 서버(102)는 빈도수가 미리 설정된 순위 이상에 해당하는 태그 및 이의 빈도수를 방송 수신 단말(104)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와 같은 경우, 태그 관리 서버(102)는 빈도수가 많은 태그 A, C 및 D에 관한 태그 관련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04)로 전송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단말(104)은 태그 관리 서버(102)로부터 제공된 태그 관련 정보를 저장하며,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태그를 출력한다.
이때, 방송 수신 단말(104)은 사용자의 프로그램 시청에 방해되지 않도록 화면의 하단 영역에 반투명한 상태로 하나 이상의 태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방송 수신 단말(104)에 출력되는 태그를 통해 현재 각 채널에서 제공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상에 출력된 태그 A, C 및 D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태그 관리 서버(102)는 선택된 태그를 제외한 나머지 태그들을 빈도수 순으로 정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C 태그를 선택하는 경우, 태그 관리 서버(102)는 C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1 내지 3에서 태그 C를 제외한 태그들을 빈도수에 따라 정렬한다.
상기한 예에서 태그 A 및 D가 빈도수가 높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태그 관리 서버(102)는 태그 A 및 D에 관한 태그 관련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04)로 전송하며, 방송 수신 단말(104)은 화면상에 태그 A 및 D를 출력한다.
사용자의 순차적인 태그 선택이 있는 경우, 방송 수신 단말(104)은 태그 관리 서버(102)로부터 새롭게 정렬된 태그 관련 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태그에 함께 연결되어 있는 태그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태그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상기한 예에서, 사용자가, 태그 C, A 및 B를 순차적으로 선택한 경우 방송 수신 단말(104)은 프로그램 1 정보(프로그램 1의 제목 및 채널 번호)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태그 관리 서버(102)가 빈도수가 높은 순위에 해당하는 태그 관련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04)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태그 관리 서버(102)는 모든 태그를 방송 수신 단말(104)로 전송하고, 방송 수신 단말(104)이 빈도수가 많은 태그만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초기에 출력된 태그 및 자신의 선택에 따라 갱신되는 태그를 통해 자신의 선호하는 프로그램을 직관적으로 탐색할 수 있게 된다.
하기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그 관리 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그 관리 서버는 태그 등록부(300), 태그 정렬부(302), 편성 정보 저장부(304) 및 네트워크 통신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 등록부(300)는 각 프로그램에 대해 프로그램 제공자가 입력하는 태그를 수신하여 등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그 관리 서버(102)에 입력할 수 있는 태그는 프로그램의 장르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프로그램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단어들을 의미한다.
프로그램 제공자의 태그 입력은 미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일 수 있으나, 생방송으로 제공되는 뉴스 또는 음악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현재 제공되는 내용을 고려하여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순차적인 태그 선택에 따라 프로그램 탐색이 이루어지므로, 태그의 수는 적절한 개수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하나의 태그의 길이(단어의 글자수) 역시 화면상에 출력되는 것을 고려하여 일정 길이 이하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그 등록부(300)는 프로그램 제공자의 태그 입력이 있는 경우, 제한된 태그 수 및 제한된 태그 길이에 따라 태그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프로그램 제공자가 임의적으로 태그를 입력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의 태그가 서로 다른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태그 등록부(300)는 프로그램 제공자의 태그 입력 시 입력된 태그에 대응되는 추천 태그를 출력하여 프로그램 제공자가 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영화", "무비", "movie" 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를 태 그에 대해 영화가 추천 태그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그 등록부(300)는 "무비" 또는 "movie" 의 입력이 있는 경우 추천 태그인 "영화"를 출력하여 프로그램 제공자가 추천 태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한정됨이 없이 태그 등록부(300)는 프로그램 제공자의 태그 입력이 있는 경우, 입력된 태그를 대표하는 태그를 탐색하고, 탐색된 대표 태그를 등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예에서, "무비", "movie" 입력이 있는 경우, 태그 등록부(300)는 이를 대표 태그인 "영화"로 변환하여 등록한다.
태그 정렬부(302)는 등록된 태그를 빈도수 순으로 정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렬 과정은 편성 정보 저장부(304)에 저장된 각 프로그램의 편성 정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태그 정렬부(302)는 편성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대해 등록된 태그를 빈도수 순으로 정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태그 정렬부(302)는 빈도수가 미리 설정된 순위 이상에 해당하는 태그를 선택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부(306)는 상기와 같이 빈도수가 미리 설정된 순위 이상에 해당하는 태그에 관한 태그 관련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04)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태그 관련 정보는 태그, 태그의 빈도수 또는 빈도수 순위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부(306)를 통해 특정 방송 수신 단말(104)에서 사용자의 태그 선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태그 정렬부(302)는 사용자의 태그 선택에 따라 다시 정렬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태그 정렬부(302)는 사용자가 선택한 태그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태그들만을 빈도수 순으로 정렬한다.
사용자의 순차적인 태그 선택에 따라 태그 정렬 과정이 반복 수행되며, 사용자가 선택한 태그에 대해 더 이상의 태그 정렬 과정이 수행될 필요가 없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부(306)는 이에 상응하는 응답을 방송 수신 단말(104)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104)은 방송 신호 처리부(400), 네트워크 통신부(402), 태그 처리부(404), 키 입력 수신부(406) 및 사용자 선호 정보 저장부(40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방송 수신 단말(104)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셋탑박스일 수 있다.
방송 신호 처리부(400)는 통상의 튜너, 디모듈레이터, 디멀티플렉서 등을 포함하며,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선택적으로 복조 및 디코딩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를 각각 디스플레이부(410)에 출력한다.
네트워크 통신부(402)는 태그 관리 서버(102)와 연결되어 태그 관리 서버(102)가 전송하는 태그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태그 선택 정보를 태그 관리 서버(102)로 전송한다.
네트워크 통신부(402)를 통해 제1 태그 관련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즉 사용 자의 요청이 아닌 태그 관리 서버(102)의 편성 정보에 따른 태그 관련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태그 처리부(404)는 수신된 태그 관련 정보를 해석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이 있으면 도 4와 같이, 하나 이상의 태그를 출력한다.
사용자가 하나의 태그를 선택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부(402)는 사용자의 태그 선택 정보를 태그 관리 서버(102)로 전송한다.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의 태그 중 '영화' 태그를 선택하는 경우, 태그 관리 서버(102)는 영화 태그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매칭된 태그들에 대해 다시 정렬 과정 수행한 후, 제2 태그 관련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04)로 전송한다.
태그 처리부(404)는 제2 태그 관련 정보에 따라 도 6과 같이 영화 태그에 연결된 복수의 태그를 출력한다.
사용자의 순차적인 태그 선택에 따라 태그 처리부(404)는 태그 관리 서버(102)와 연동하여 도 7과 같이 액션 태그에 연결된 복수의 태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는 영화 장르에 따라 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도 5에서 사용자가 뉴스를 선택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채널에서 방송되는 뉴스 내용을 반영하는 태그가 출력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태그 빈도수에 따라 화면상에 태그를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태그의 빈도수 함께 또는 이와 독립적으로, 개별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고려하여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 다.
사용자 선호 정보 저장부(408)에는 사용자의 선호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선호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주요 시청 시간대, 나이, 연령에 따른 개인 정보 및 사용자가 평소에 주로 시청하는 프로그램 이름, 장르, 뉴스 기사와 같은 시청 이력, 사용자가 구매한 VOD 이력 및 전자상거래 이력 등에 따라 결정된 정보를 의미하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르, 프로그램 이름, 주요 시청 시간대 및 상품에 관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그 관리 서버(102)가 태그 관련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04)로 전송하는 경우, 태그 처리부(404)는 수신된 태그 중 사용자의 선호 정보에 매칭되는 태그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예상되는 태그가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태그 처리부(404)는 복수의 태그 중 빈도수가 높은 태그를 화면상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선호 정보를 고려하여 태그를 출력하는 경우, 태그 관리 서버(102)는 빈도수가 높은 태그만이 아니라, 현재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모든 태그에 관한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04)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선호 정보 저장부(408)에는 사용자가 선택 또는 입력한 태그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TV 시청 중 화면 상에 출력된 태그를 통해 현재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관련된 태그를 확인하고, 이에 상응하는 프로그램을 요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면상에 표시된 태그 중 일부를 선택하여 사용자 선호 정보 저장부(408)에 등록(북마크)시킬 수 있다.
이때, 너무 많은 태그가 등록되는 것은 오히려 프로그램 가이드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선호 정보 저장부(408)는 사용자의 등록 가능한 태그 수를 제한할 수 있으며, 만일 등록된 태그가 이미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거에 등록한 태그 순으로 삭제를 유도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처리부(404)는 태그 관리 서버(102)로부터 수신된 태그 중 사용자 선호 정보 저장부(408)에 등록된 태그에 매칭되는 태그를 우선적으로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태그 관리 서버(102)는 빈도수가 높은 태그가 아닌 현재 제공되는 모든 태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사용자 선호 정보 저장부(408)에 등록된 태그에 매칭되는 태그가 많은 수로 존재하는 경우, 태그 처리부(404)는 빈도수를 고려하여 빈도수가 높은 태그만을 선택적으로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104)은 태그의 빈도수 또는 사용자가 선호 정보와 같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최적의 태그만을 화면상에 출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프로그램 탐색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과정을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태그 관리 서버에서 태그를 정렬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태그 관리 서버(102)는 프로그램 제공자의 태그 입력이 있 는 경우(단계 900), 입력된 태그를 대표하는 태그를 탐색한다(단계 902).
단계 902의 탐색 과정을 통해 태그 관리 서버(102)는 입력된 텍스트를 대표하는 태그를 등록한다(단계 904).
상기한 태그 등록 단계에서 태그 관리 서버(102)는 프로그램 제공자가 입력하는 태그 길이 및 태그 수를 제한할 수 있다.
한편, 태그 관리 서버(102)는 각 채널에 대한 편성 정보를 참조하며(단계 906), 현재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대해 등록된 태그를 빈도수 순으로 정렬한다(단계 908).
단계 908은 현재 방송 수신 단말(104)에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대해 등록된 태그들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태그 관리 서버(102)는 태그 관련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04)로 전송한다(단계 910).
전술한 바와 같이, 태그 관련 정보는 태그, 상기한 태그의 빈도수 또는 빈도수 순위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태그 관리 서버(102)는 도 9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된 제1 태그 관련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04)로 전송한다(단계 1000).
하기에서는 단계 1000에서 제공되는 태그 관련 정보가 빈도수가 높은 순위에 해당하는 태그에 대한 정보인 것으로 설명한다.
방송 수신 단말(104)은 사용자의 키 입력이 있는 경우(단계 1002), 단계 1000에서 수신된 태그 관련 정보를 해석하여 화면상에 빈도수가 높은 태그를 출력한다(단계 1004).
사용자의 태그 선택이 있는 경우(단계 1006), 방송 수신 단말(104)은 사용자의 태그 선택 정보를 태그 관리 서버(102)로 전송한다(단계 1008).
태그 관리 서버(10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태그에 연결되어 있는 태그들을 빈도수에 따라 정렬한다(단계 1010).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1010에서의 태그 정렬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태그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태그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태그를 제외한 나머지 태그들을 빈도수에 따라 정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태그 관리 서버(102)는 단계 1010에서의 정렬에 따른 제2 태그 관련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04)로 전송하며(단계 1012), 방송 수신 단말(104)은 수신된 태그를 화면상에 출력한다(단계 1014).
본 발명에 따르면, 단계 1006 내지 1014는 사용자의 순차적인 태그 선택에 따라 선택된 태그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태그가 없을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
도 10에서는 단지 태그의 빈도수에 따라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태그 관리 서버(102)가 현재 제공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모든 태그 관련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04)로 전송하고, 방송 수신 단말(104)에서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고려하여 태그를 출력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정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그 관리 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에 출력되는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태그 등록 및 정렬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과정의 흐름도.

Claims (15)

  1.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수신 단말에 연결되는 태그 관리 서버에서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프로그램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태그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태그를 빈도수에 따라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에 따른 태그 관련 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빈도수가 미리 설정된 순위 이상에 해당하는 태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등록 단계는,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해 태그의 개수 및 단일 태그의 길이가 제한되는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등록 단계는,
    프로그램 제공자가 입력하는 태그에 상응하는 의미를 갖는 추천 태그를 출력 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그램 제공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출력된 추천 태그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등록 단계는,
    프로그램 제공자의 태그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된 태그를 대표하는 대표 태그를 등록하는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관련 정보는 태그, 상기 태그의 빈도수 및 상기 빈도수 순위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빈도수가 미리 설정된 순위 이상에 해당하는 태그에 대한 태그 관련 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단계는 현재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고려하여 수행되는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태그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렬 단계는 상기 선택된 태그에 대응되는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해 상기 선택된 태그를 제외한 나머지 등록된 태그를 빈도수 순으로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단계는 사용자의 순차적 태그 선택에 따라 하나의 프로그램이 결정될 때까지 반복 수행되는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사용자의 순차적인 태그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태그 관련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며, 순차적으로 수신된 태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각 태그 관련 정보에 포함된 태그에서 빈도수가 미리 설정된 순위 이상에 해당하는 태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사용자 선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태그 관련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빈도수가 미리 설정된 순위 이상에 해당하는 태그 중 상기 사용자 선호 정보에 매칭되는 태그를 우선적으로 출력하는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11.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수신 단말에 연결되는 태그 관리 서버에서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프로그램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태그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태그를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태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미리 설정된 수 이상의 빈도수를 가지거나 또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선호 정보에 매칭되는 태그를 우선적으로 화면상에 출력하는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4. 방송 수신 단말에서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서,
    태그 관리 서버로부터 태그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태그 관련 정보는 복수의 프로그램에 각각에 대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태그를 빈도수 순으로 정렬하여 생성됨-; 및
    상기 태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빈도수가 미리 설정된 순위 이상에 해당하는 태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15. 방송 수신 단말에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한 하나 이상의 태그를 등록하는 태그 등록부;
    상기 등록된 태그를 빈도수에 따라 정렬하는 태그 정렬부; 및
    상기 정렬에 따른 태그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태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빈도수가 미리 설정된 순위 이상에 해당하는 태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장치.
KR1020090066036A 2009-07-20 2009-07-20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62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036A KR101562677B1 (ko) 2009-07-20 2009-07-20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036A KR101562677B1 (ko) 2009-07-20 2009-07-20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613A true KR20110008613A (ko) 2011-01-27
KR101562677B1 KR101562677B1 (ko) 2015-10-23

Family

ID=4361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036A KR101562677B1 (ko) 2009-07-20 2009-07-20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6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5633A1 (ko) * 2016-02-04 2017-08-10 주식회사 앰버스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4605A (ja) * 2006-03-31 2007-10-18 Fujitsu Ltd 電子装置、放送番組情報の収集方法、その収集プログラム及びその収集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5633A1 (ko) * 2016-02-04 2017-08-10 주식회사 앰버스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677B1 (ko) 2015-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7526B2 (en) Providing content related to an item in an interactive data scroll
KR101015292B1 (ko) 가시 큐들을 갖는 주문형 epg 디스플레이
US7849481B2 (en) Notification for interactive content
JP6103939B2 (ja) 関心を持つユーザのコミュニティに番組またはセグメントについて通知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102572573A (zh) 根据播放内容进行信息推送的方法
JP5574952B2 (ja) レコメンドシステム、レコメンド方法、およびレコメンドプログラム
KR20160039830A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음성 가이드 제공방법
US200902657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nel selection in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terminal
EP2200198A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widget service in a broadcasting terminal
JP6212404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100814129B1 (ko) 데이터 방송의 가상채널 편성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27385B1 (ko) 영상처리장치 및 이의 영상처리방법
WO2011118249A1 (ja) コンテンツ推薦サーバ、コンテンツ表示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推薦システム
US20120102516A1 (en) Communications system
KR101562677B1 (ko)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5314500B2 (ja) 番組情報提供システム、番組情報提供サーバー装置および番組情報提供方法
JP6583712B2 (ja) 番組関連情報配信方法
JP2008312084A (ja) Vod送受信システム
KR20090013640A (ko)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JP4157905B1 (ja) チャンネル自動選択システム
JP2007214869A (ja) 推薦番組表示装置
KR101493636B1 (ko) 텔레비전의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컨텐츠 방송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994827B1 (ko) 방송 콘텐츠의 자막에 근거한 부가정보 제공 장치 및 방송수신 장치
EP2385470A2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JP4004348B2 (ja) 放送番組受信用電子機器ならびに嗜好番組選択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