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291U - 이탈방지구 - Google Patents

이탈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291U
KR20110008291U KR2020100003565U KR20100003565U KR20110008291U KR 20110008291 U KR20110008291 U KR 20110008291U KR 2020100003565 U KR2020100003565 U KR 2020100003565U KR 20100003565 U KR20100003565 U KR 20100003565U KR 20110008291 U KR20110008291 U KR 201100082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unit
locking
locking unit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4137Y1 (ko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김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2020100003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13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2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2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1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2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movable, resilient or yieldab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Landscapes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는 정지 상태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 유닛과, 전술한 구조물에 대하여 이동하는 이동체와 접촉하여 승강하면서 전술한 이동체를 정지 또는 해제시키는 잠금 유닛과, 전술한 고정 유닛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게 장착되어 전술한 잠금 유닛의 승강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며, 전술한 잠금 유닛은 이동에 따른 전술한 이동체의 하중에 의하여 전술한 이동체를 잠금 상태로 유지한다.

Description

이탈방지구{ESCAPE PROTECTING TOOL}
본 고안은 이탈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된 구조물에 대하여 승강하면서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구조에 따라 축사에 수용된 가축 등이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면서 반복되는 충격에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암수의 형태로 제작된 잠금구는 기둥이나 문틀과 같이 고정된 구조물에 대하여 경첩으로 결합되어 이동하는 이동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전술한 잠금구는 일반적으로 구조물에 수용 공간이 마련된 수용체와, 이동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술한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삽입체의 암수 형태로 제작된다.
그러나, 전술한 잠금구는 수용체가 장착된 위치까지 삽입체가 정확하게 이동하지 않으면 상호 체결이 어려운 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축사에 수용된 가축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확실하게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구와 관련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큰 힘을 가하지 않아도 상호 체결에 의한 잠금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구와 관련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반복적인 충격에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구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는 정지 상태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 유닛과, 전술한 구조물에 대하여 이동하는 이동체와 접촉하여 승강하면서 전술한 이동체를 정지 또는 해제시키는 잠금 유닛과, 전술한 고정 유닛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게 장착되어 전술한 잠금 유닛의 승강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며, 전술한 잠금 유닛은 이동에 따른 전술한 이동체의 하중에 의하여 전술한 이동체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는 구조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고정 유닛은 전술한 구조물에 장착되는 제1 편과, 전술한 제1 편의 일단부로부터 전술한 잠금 유닛의 승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전술한 구조물에 장착되는 제2 편을 포함하며, 전술한 지지 유닛은 전술한 제2 편에 장착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잠금 유닛은 전술한 지지 유닛에 접촉하여 승강하는 제3 편과, 전술한 제3 편의 승강 방향을 따라 관통된 이동 슬릿과, 전술한 제3 편의 단부에 전술한 고정 유닛측을 향하여 곡선형으로 경사를 이루는 캠면을 포함하며, 전술한 이동체가 캠면에 접촉하여 전술한 고정 유닛측을 향해 이동하면 전술한 제3 편은 상승하고, 전술한 이동체가 전술한 캠면의 단부를 지나면 전술한 제3 편은 하강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지지 유닛은 전술한 구조물로부터 돌출되게 전술한 고정 유닛으로부터 연장되어 승강하는 전술한 잠금 유닛을 지지하는 제4 편과, 전술한 제4 편으로부터 전술한 잠금 유닛의 승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전술한 잠금 유닛이 슬라이딩 접촉되는 제5 편과, 전술한 구조물로부터 돌출되게 전술한 고정 유닛으로부터 연장되어 전술한 제4 편과 평행을 이루며, 전술한 잠금 유닛이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술한 잠금 유닛의 단부가 접촉되는 제6 편을 포함하며, 전술한 제4 편과 전술한 제6 편 사이의 거리는 전술한 이동체에 마련된 걸림봉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제작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탈방지구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우선, 구조물에 장착된 고정 유닛의 지지 유닛을 따라 승강하면서 구조물에 대하여 이동하는 이동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 유닛을 포함하는 구조에 따라 축사 등에 수용된 가축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확실하게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유닛의 단부에 접촉하면서 가해지는 이동체의 이동에 따른 하중으로 이동체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는 구조에 따라 큰 힘을 가하지 않아도 이동체와 잠금 유닛의 상호 체결에 의한 잠금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잠금 유닛의 승강 방향 및 승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걸친 작용력을 지지하는 고정 유닛의 구조에 따라 이동체에 의한 반복적인 충격에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는 고정 유닛(100)과 잠금 유닛(200) 및 지지 유닛(300)을 포함한다.
고정 유닛(100)은 정지 상태의 구조물(400)에 고정되어 후술할 지지 유닛(300)과 함께 지지 유닛(300)을 따라 승강하는 잠금 유닛(20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고정 유닛(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500)와 접촉하여 승강하는 후술할 잠금 유닛(200)의 반복적인 충격, 즉 구조물(400)측으로 가해지는 작용력을 직교 방향으로 분산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고정 유닛(100)은 더욱 상세히는 잠금 유닛(200)의 승강 방향과, 잠금 유닛(200)의 승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각각으로 형성시켜 이동체(500)의 이동에 따른 구조물(400)측으로의 반복적인 충격에 따른 작용력을 분산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잠금 유닛(200)은 구조물(400)에 대하여 이동하는 이동체(500)와 접촉하여 승강하면서 이동체(500)를 정지 또는 해제시키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 유닛(100)측으로 이동하는 이동체(500)의 하중에 의하여 잠금 상태를 일시 해제한 후 이동체(500)가 구조물(400)에 근접하면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지지 유닛(300)은 잠금 유닛(200)의 승강 동작을 지지하기 위하여 고정 유닛(10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게 장착되며, 이동체(500)의 하중을 고정 유닛(100)측으로 분산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고안의 주요부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4에서 표기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을 참고한다.
우선, 고정 유닛(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정지 상태의 구조물(400)에 고정되어 후술할 지지 유닛(300)과 함께 지지 유닛(300)을 따라 승강하는 잠금 유닛(20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1 편(110)과, 제2 편(120)을 포함한다.
제1 편(110)은 평판 형상으로 구조물(400)에 장착되어 후술할 잠금 유닛(200)의 승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충격력과 하중을 분산 지지한다.
제2 편(120)은 제1 편(110)의 일단부로부터 잠금 유닛(200)의 승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구조물(400)에 장착되어 잠금 유닛(200)의 승강 방향에 따른 하중을 분산 지지한다.
여기서, 후술할 지지 유닛(300)은 제2 편(120)에 장착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잠금 유닛(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하는 이동체(500)의 하중에 따라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제3 편(210)과, 이동 슬릿(220)과, 캠면(230)을 포함한다.
제3 편(210)은 지지 유닛(300), 더욱 상세하게는 후술할 제5 편(320)에 접촉하여 승강한다.
제3 편(210)에는 도 2와 같이 지지 유닛(300), 즉 제5 편(320)측을 향하여 돌출된 제1 걸림후크(212)가 마련되어 제3 편(210)의 반복적인 승강 동작을 탄성 지지하는 후술할 스프링(340)과 접촉한다.
이동 슬릿(220)은 제3 편(210)의 승강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이동 슬릿(220)이 관통된 길이 내에서 제3 편(210)이 승강하도록 한다.
이동 슬릿(220)에는 도 2와 같이 지지 유닛(300)에 고정되어 제3 편(21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222)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캠면(230)은 제3 편(210)의 단부에 고정 유닛(100)측을 향하여 곡선형으로 경사를 이루며, 도 5 및 도 6과 같이 이동체(500)의 걸림봉(510)이 캠면(230)에 접촉하여 고정 유닛(100)측을 향해 이동하면 제3 편(210)은 상승하고, 걸림봉(510)이 캠면(230)의 단부를 지나면 제3 편(210)은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잠금 유닛(200)의 승강 동작은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지지 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잠금 유닛(200)의 승강 동작을 지지하기 위하여 고정 유닛(100)의 일측, 즉 제2 편(120)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게 장착된 것으로 제4 편(310)과, 제5 편(320)과, 제6 편(330)을 포함한다.
제4 편(310)은 구조물(400)로부터 돌출되게 제2 편(12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승강하는 잠금 유닛(200), 더욱 상세하게는 제3 편(210)의 하중을 분산 지지한다.
여기서, 제3 편(210)에는 제1 걸림후크(212)가, 제4 편(310)에는 제2 걸림후크(312)가 각각 마련되고, 제1, 2 걸림후크(212, 312)에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코일 형상인 스프링(340)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며, 스프링(340)은 잠금 유닛(200)의 승강 동작에 따른 원위치 복귀를 보조한다.
제5 편(320)은 제4 편(310)으로부터 잠금 유닛(200)의 승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3 편(210)이 슬라이딩 접촉되는 면적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5 편(320)에는 잠금 유닛(20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금 유닛(200), 즉 제3 편(210)까지 관통하여 탈착 결합되는 잠금핀(322)을 더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걸림봉(510)이 제4 편(310)과 후술할 제6 편(330) 사이에 위치하여 제3 편(210)이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면 잠금핀(322)을 관통시켜 더욱 확실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제6 편(330)은 구조물(400)로부터 돌출되게 제2 편(120)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제4 편(310)과 평행을 이루며, 제3 편(210)이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평상시에는 캠면(230)이 형성된 제3 편(210)의 단부가 항상 접촉된다.
여기서, 제4 편(310)과 제6 편(330) 사이의 거리(h)는 걸림봉(510)이 원활하게 이동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걸림봉(510)의 직경(d)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의 작동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 3 및 도 4에 표기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한다.
우선, 사용자는 이동체(500)를 구조물(400)에 장착된 고정 유닛(100)측으로 이동시켜 걸림봉(510)을 도 3과 같이 제3 편(210)의 단부에 형성된 캠면(230)에 접촉시킨다.
이때, 제3 편(210)의 승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동 슬릿(220)은 제5 편(320)에 고정된 가이드돌기(222)에 의하여 이동 범위를 제한받고, 제3 편(210)과 제4 편(310) 사이에 결합된 스프링(340)은 신장되기 전의 상태이다.
다음으로, 걸림봉(510)이 캠면(230)의 형성 방향을 따라 도 4와 같이 제4 편(310)과 제6 편(330) 사이에 진입하면, 걸림봉(510)이 제3 편(210)의 단부를 지나는 시점에서 스프링(340)은 최대로 신장된다.
계속하여 걸림봉(510)이 제2 편(120)에 가장 근접하게 이동하여 제3 편(210)의 단부를 지나면, 스프링(3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캠면(230)이 제6 편(330)에 접촉되게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걸림봉(510)이 제4 편(310)과 제6 편(330)과의 사이에 잠금 상태가 된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잠금핀(322)을 제3 편(210)과 제5 편(320)에 관통시켜 잠금 상태를 마무리할 수 있으며, 이후 걸림봉(51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때는 잠금핀(322)을 풀고, 사용자가 제3 편(210)을 파지하여 상승시킨 후 이동체(500)를 구조물(4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축사에 수용된 가축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확실하게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큰 힘을 가하지 않아도 상호 체결에 의한 잠금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반복적인 충격에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를 축사 뿐 아니라, 동물원의 우리나 창고 등 다양한 구조물과 이동체가 존재하는 장소에서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고정 유닛 110...제1 편
120...제2 편 200...잠금 유닛
210...제3 편 212...제1 걸림후크
220...이동 슬릿 222...가이드돌기
230...캠면 300...지지 유닛
310...제4 편 312...제2 걸림후크
320...제5 편 322...잠금핀
330...제6 편 340...스프링
400...구조물 500...이동체
510...걸림봉

Claims (6)

  1. 정지 상태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 유닛;
    상기 구조물에 대하여 이동하는 이동체와 접촉하여 승강하면서 상기 이동체를 정지 또는 해제시키는 잠금 유닛; 및
    상기 고정 유닛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잠금 유닛의 승강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은 이동에 따른 상기 이동체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이동체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는 이탈방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구조물에 장착되는 제1 편과,
    상기 제1 편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잠금 유닛의 승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구조물에 장착되는 제2 편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제2 편에 장착되는 이탈방지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지지 유닛에 접촉하여 승강하는 제3 편과,
    상기 제3 편의 승강 방향을 따라 관통된 이동 슬릿과,
    상기 제3 편의 단부에 상기 고정 유닛측을 향하여 곡선형으로 경사를 이루는 캠면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체가 캠면에 접촉하여 상기 고정 유닛측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3 편은 상승하고,
    상기 이동체가 상기 캠면의 단부를 지나면 상기 제3 편은 하강하는 이탈방지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구조물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고정 유닛으로부터 연장되어 승강하는 상기 잠금 유닛을 지지하는 제4 편과,
    상기 제4 편으로부터 상기 잠금 유닛의 승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잠금 유닛이 슬라이딩 접촉되는 제5 편과,
    상기 구조물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고정 유닛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4 편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잠금 유닛이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잠금 유닛의 단부가 접촉되는 제6 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4 편과 상기 제6 편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이동체에 마련된 걸림봉의 직경과 같거나 큰 이탈방지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제3 편으로부터 돌출된 제1 걸림후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걸림후크에는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 유닛과 결합되는이탈방지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에는,
    상기 제4 편으로부터 돌출된 제2 걸림후크가 마련되고,
    상기 제2 걸림후크에는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잠금 유닛과 결합되는 이탈방지구.
KR2020100003565U 2010-02-18 2010-04-06 이탈방지구 KR200474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565U KR200474137Y1 (ko) 2010-02-18 2010-04-06 이탈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1731 2010-02-18
KR2020100001731 2010-02-18
KR2020100003565U KR200474137Y1 (ko) 2010-02-18 2010-04-06 이탈방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291U true KR20110008291U (ko) 2011-08-24
KR200474137Y1 KR200474137Y1 (ko) 2014-08-28

Family

ID=4559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565U KR200474137Y1 (ko) 2010-02-18 2010-04-06 이탈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137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2544A (en) * 1993-06-01 1995-09-26 Weathington, Sr; Roy E. Tamper resistant gate latching mechanism
US6425612B1 (en) * 1999-12-22 2002-07-30 Tom Stephens Schaeffer Gravity operated gate la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137Y1 (ko)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2493B2 (en) Bracket device
US11359422B2 (en) Adjustable dead-latching bolt mechanisms
EP2813447B1 (en) Clamping devices
US9663278B1 (en) Container with improved locking system
EP2907731A1 (en) Lock device for hood of engine room of construction machine
KR20190035084A (ko) 잠금기능을 갖는 슬라이더
US7806306B2 (en)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 release mechanism
US20160318157A1 (en) Toggle clamp with locking mechanism
KR20050021232A (ko) 로드 플로어 래치
CN107559273B (zh) 连接装置及具有其的显示屏
KR20110008291U (ko) 이탈방지구
JP6534591B2 (ja) 設備機器
EP3028593B1 (en) Buckle and seatbelt device with same
CN212295934U (zh) 挡件和联动机构
JP3193841U (ja) 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
KR101540625B1 (ko) 무빙볼스터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프레스기
KR101738149B1 (ko) 미닫이식 도어의 잠금장치
CN214943351U (zh) 锁具结构
KR20090091402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안내장치
CN210563935U (zh) 锁扣结构
KR102601816B1 (ko) 자동 잠금 해제형 샤클
JP7317643B2 (ja) 床付き布枠
KR200474809Y1 (ko) 슬라이딩도어의 후크 브라켓 구조
KR20120094286A (ko) 도어 스토퍼
CN211459414U (zh) 一种快递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