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919U - 주방용구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주방용구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919U
KR20110007919U KR2020100001245U KR20100001245U KR20110007919U KR 20110007919 U KR20110007919 U KR 20110007919U KR 2020100001245 U KR2020100001245 U KR 2020100001245U KR 20100001245 U KR20100001245 U KR 20100001245U KR 20110007919 U KR20110007919 U KR 201100079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ixing piece
fixed
fixing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백산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백산상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백산상사
Priority to KR2020100001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919U/ko
Publication of KR201100079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91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2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for fastening kitchen utensils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1Cooking spoons; La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4Hand implements for separating solids from liquids or liquids from liquids
    • A47J43/285Skimmers; Skimming l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을 조리하는데 사용하는 주걱, 뒤집게, 국자 등과 같은 조리기구 및 수저와 같은 음식용구와, 그 손잡이체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주방용구의 고정편을 사용하여 결합되는 조리기구 및 음식용구를 고정시키는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주방용구의 고정구조는,
손잡이부의 뒤에 고정되는 후마개와,
일측에 용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몸체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구몸통과,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용구몸통의 몸체결합부에 결합되는 고정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편은 내부에 통과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그 외부는 원통형의 몸체에 홈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주방용구의 고정구조{fix structure of kitchen tool}
본 고안은 음식을 조리하는데 사용하는 주걱, 뒤집게, 국자 등과 같은 조리기구 및 수저와 같은 음식용구와, 그 손잡이체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주방용구의 고정편을 사용하여 결합되는 조리기구 및 음식용구를 고정시키는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주걱, 뒤집게, 국자 등과 같은 조리기구의 손잡이체는 비교적 큰 몸통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몸통내의 중앙에 상기와 같은 조리기구가 고정되기 위하여 대개 사출로 손잡이부와 조리기구의 몸통을 고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손잡이부는 주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미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아크릴(PMMA: Poly-Methyl Meta Acrylate) 재질의 손잡이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장이 미려한 장점이 있으나, 손잡이부 중앙에 주방용구의 몸통을 삽입시켜 고정하기 위하여 본드에 의하여 고정시키고 있었기 때문에 작업이 오래 걸리고, 고정부위에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장기간 주방용구의 사용시에 손잡이부와 주방용구의 몸통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일반 주방용구에 흔히 쓰이는 ABS수지의 수축율은 0.03%, PC수지재는 0.01%이나, 아크릴수지의 수축율은 통상 0.2~0.6%로 주방용구의 몸체결합부를 불에 달구어 결합시킬 경우 흔히 사용되는 ABS수지와 PC수지재는 신속히 녹아 견고히 고정이 되지만, 아크릴수지재는 높은 수축율과 열경화성의 성질로 인해 고정하는데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아크릴 손잡이부와 조리용구의 몸체 사이를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경량구조의 고정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내부가 비어있는 조리용구의 몸체와 이 몸체에 고정되는 손잡이의 중심축을 일치시킬 수 있는 주방용구의 고정편 및 그 고정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부품이 단순하고, 경량이면서 상하로 몸체 및 손잡이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주방용구의 고정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방용구의 고정구조는,
아크릴 손잡이부의 뒤에 고정되는 후마개와,
일측에 용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몸체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구몸통과,
상기 아크릴 손잡이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용구몸통의 몸체결합부에 결합되는 고정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편은 내부에 통과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그 외부는 원통형의 몸체에 홈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은 내부에 통과구멍이 관통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량구조인 고정편의 외부에 홈부에 의하여 아크릴 손잡이부의 내부와 견고히 고정될 수가 있으며, 상기 고정편의 내부 통과구멍에 의하여 용구몸통을 견고히 고정할 수가 있는 것으로 하나의 부품으로 주방용구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편의 내부 통과구멍에 의하여 내부가 비어있는 조리용구의 몸체와 이 몸체에 고정되는 손잡이의 중심축을 일치시킬 수 있는 것으로 단순한 작업에 의하여도 효율적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부품이 단순하고, 경량이면서 상하로 몸체 및 손잡이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음식용구의 수저나 포크 등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손쉽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은 고정편을 아크릴 손잡이부에 끼운후 고정편의 내부 통과구멍에 용구몸통을 강제 압착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본드 결합방식이나 다른 방식에 비하여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방용구 고정편을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주방용구의 고정구조를 나타내고 있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주방용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방용구 고정편을 달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방용구 고정편을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고정편(40)은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원기둥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고정편(40)의 몸체 외부에는 다수개의 홈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통과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편(40)은 원기둥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사각기둥 및 타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되며, 이 고정편(40)이 주방용구 아크릴 손잡이부(20)의 내측에 삽입되는 구조이면 바람직하다.
도 2은 본 고안의 주방용구의 고정구조를 나타내고 있는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주방용구의 일 예로 국자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뒤집게 또는 주걱 등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다.
국자의 용구몸통(10)은 일측에 용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구부분과 이 용구몸통(10)에 연이어 형성된 몸체결합부(11)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아크릴 손잡이부(20)의 뒤에 고정되는 전마개(30)가 형성되고, 아크릴 손잡이부(20)의 내부에 고정되어 아크릴 손잡이부(20) 및 용구몸통(10)을 고정시키는 고정편(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고정편(40)에 의하여 손잡이부의 중심에 정확하게 용구몸통(10)이 고정하게 된다.
본 고안의 주방용구의 조립시에는 먼저 아크릴 손잡이부(20) 내부에 고정편(40)을 결합한 후 상기 아크릴 손잡이부(20) 뒤에 후마개(30)를 끼워 맞춤시켜 고정시킨다.
다음에 용구몸통(10)에 연이어 형성된 몸체결합부(11)를 후마개(30)의 삽입공(31)으로 강제 압착으로 고정시켜 완성되는 것으로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주방용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아크릴 손잡이부(20) 내부에 고정편(40)을 강제 압착 결합시 고정편(40)의 몸체 외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홈부(41)와 아크릴 손잡이부(20) 내부 단면이 일그러저 움직이지 아니하는 상태가 된다.
특히, 다수개의 홈부(41)는 약 5도 정도로 경사져 있어 결합 후 고정편(40)과 아크릴 손잡이부(20)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다음에 후마개(30)를 아크릴 손잡이부(20) 뒤에 끼움 결합시킨 후 금속재로 이루어진 용구몸통(10)에 연이어 형성된 몸체결합부(11)를 상기 후마개(30)의 삽입공(31)으로 강제 압착 끼움 결합시 금속재의 고정편(40) 내부 통과구멍(42)과 몸체결합부(11)의 단면이 서로 일그러저 몸체결합부(11)을 신속하게 굳힐 수가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주방용구 고정편을 달리 나타낸 사시도이다.
고정편(40)의 일측으로 몸체결합부(11)가 결합되는 양측 절개부(43)가 형성되어 있어 끼움 결합상태가 된다.
상기 고정편(40)의 절개부(43)에 의하여 손잡이부의 중심에 정확하게 용구몸통(10)이 고정하게 됨과 동시에 손쉽게 밀어서 끼우기가 용이하다.
이때 작업성의 향상을 위하여 본드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원기둥형의 고정편에 의하여 조리용구를 손쉽게 조립할 수가 있는 것으로 고정편의 홈부에 의하여 일측의 손잡이부와 고정되고, 고정편의 내부 통과구멍에 의하여 타측의 용구몸체가 고정되어 일체의 조리용구를 완성할 수가 있다.
10: 용구몸통 11: 몸체결합부
20: 아크릴 손잡이부 30: 전마개
31: 삽입공 40: 고정편
41: 홈부 42: 내부통과구멍
43: 절개부

Claims (2)

  1. 아크릴 손잡이부(20)의 뒤에 고정되는 후마개(30)와,
    일측에 용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몸체결합부(11)가 형성되어 있는 금속재의 용구몸통(10)과,
    상기 아크릴 손잡이부(20)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용구몸통(10)의 몸체결합부(11)에 결합되는 고정편(40)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편(40)는 내부에 통과구멍(42)이 관통되어 있고, 그 외부는 원통형의 몸체(40)에 홈부(41)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구의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편(60)의 일측에 절개부(4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구의 고정구조
KR2020100001245U 2010-02-03 2010-02-03 주방용구의 고정구조 KR201100079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245U KR20110007919U (ko) 2010-02-03 2010-02-03 주방용구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245U KR20110007919U (ko) 2010-02-03 2010-02-03 주방용구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919U true KR20110007919U (ko) 2011-08-10

Family

ID=45596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245U KR20110007919U (ko) 2010-02-03 2010-02-03 주방용구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91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66024A1 (en) Luggage case structure
USD647540S1 (en) Core barrel sleeve with axial grooves
WO2010017430A3 (en) Power injector with automatic ram homing function
CN104606895A (zh) 一种娱乐机器人卡扣连接件
CN107049081B (zh) 一种可拆卸手柄
CN103437665A (zh) 木门中池板与边枋改进的结合结构
CN203516327U (zh) 定位扣接结构
CO5780125A1 (es) Dispositivo para sujetar un miembro de conexion a una manija de un recipiente de coccion
EP3001240A1 (en) Eyewear temple
KR20110007919U (ko) 주방용구의 고정구조
JP6770531B2 (ja) 家具用の組立式引き出し及びその引き出しの組立方法
KR200382746Y1 (ko) 가구용 직결볼트
CN107940082B (zh) 一种龙头手柄
CN204522289U (zh) 一种娱乐机器人卡扣连接件
KR20110087948A (ko) 주방용구의 고정편 및 그 고정구조
CN205819456U (zh) 电动车把手
CN203506366U (zh) 一种便携式平底锅
CN208808296U (zh) 一种用于烹饪器具的手柄和烹饪器具
KR101471534B1 (ko) 주방용기
CN216009145U (zh) 一种木质家具连接结构
KR102021638B1 (ko) 미닫이문용 손잡이
CN204896126U (zh) 一种包装桶把手
KR20110036305A (ko) 주방용구의 고정편 및 그 고정구조
CN211422097U (zh) 一种集成灶的门拉手
JP3133379U (ja) 模型玩具及びその部品、ならびに模型用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