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579U - Separable paperless bidet toilet seat - Google Patents

Separable paperless bidet toilet s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579U
KR20110007579U KR2020100000794U KR20100000794U KR20110007579U KR 20110007579 U KR20110007579 U KR 20110007579U KR 2020100000794 U KR2020100000794 U KR 2020100000794U KR 20100000794 U KR20100000794 U KR 20100000794U KR 20110007579 U KR20110007579 U KR 201100075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et
main body
toilet seat
separating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79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오-정 훙
Original Assignee
차오-정 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오-정 훙 filed Critical 차오-정 훙
Priority to KR2020100000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579U/en
Publication of KR201100075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57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종의 분리식 비데로서, 본체는 변기 시트에 설치되는 고정 부분과 분리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 부분에는 분사 노즐과 그 신축 장치 만을 구비하거나 송풍 장치를 더 구비하기도 하고, 기타 온수 가열장치, 모터와 펌프 및 제어회로 등은 분리 부분에 구비됨으로써, 비데의 후방 공간에는 단지 본체의 고정 부분만 남아있고, 분리 부분은 별도로 적당한 곳에 설치되기 때문에 비데의 설치 공간이 넉넉하여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시에 더욱 편리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ype of separate bidet, the main body is divided into a fixed portion and a separate portion installed on the toilet seat, the fixed portion is provided with only a spray nozzle and its expansion device, or further provided with a blower, and other hot water heating The device, motor, pump, and control circuit are provided in the separation part, so that only the fixed part of the main body remains in the rear space of the bidet, and the separation part is installed in a proper place separately, so that the bidet installation space is sufficient for the user to change the toilet. It is more convenient at the time of use.

Description

분리식 비데 {SEPARABLE PAPERLESS BIDET TOILET SEAT}Detachable bidet {SEPARABLE PAPERLESS BIDET TOILET SEAT}

본 고안은 분리식 비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 시트에 설치되는 비데의 본체를 고정 부분과 분리 부분으로 나누어서 변기에 설치하는 분리식 비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bid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tachable bidet installed in the toilet by dividing the main body of the bidet installed in the toilet seat into a fixed portion and a separate portion.

요즘은 화장실에 가서 배변을 본 후에는 항문 및 그 주변 부위를 휴지를 사용해 닦는다. 그러나 실제 테스트를 통해 잘 알고 있듯이, 휴지를 사용하면 항문 및 그 주변 부위가 완벽하게 청결한 상태가 될 수가 없고, 대량의 세균이 여전히 항문 및 그 주변 부위에 남아 있기 때문에, 몸에 않 좋을 뿐 아니라 세균 번식이 쉬워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치질 등의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있어서 억지로 휴지를 사용하면 통증이 더 심해지고 병이 더 악화될 우려가 있다.Nowadays, after going to the bathroom to see a bowel movement, wipe the anus and the area around it with a tissue. However, as you know from the actual test, using tissue paper does not make the anus and its surroundings perfectly clean, and because a large amount of bacteria still remains in the anus and its surroundings, it is not only bad for the body, but also bacteria. It is easy to breed and can adversely affect your health. In particular, for patients suffering from diseases such as hemorrhoids, forcible use of tissue may cause more pain and worsen the disease.

상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업자가 개발한 비데(bidet)는 사용자가 화장실에서 배변을 본 후, 물로 항문 및 주변 부위를 씻어내게 함으로써 청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특히 치질이나 변비 등이 있는 환자에게 있어서는 의학적 연구에 의거하여 배변을 본 후에, 온수로 항문을 3~5분 정도 씻어주면 항문 국부의 혈액 순환에 도움이되며, 치질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고, 배변 소통을 원활하게 하며, 항문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 혈액 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는데, 요즘의 비데는 온수 가열 및 변기 시트의 보온 기능까지 있어 더욱 이상적인 사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bidet developed by the vendor can maintain the cleanliness by having the user wash the anus and the surrounding area with water after seeing the bowel movement in the bathroom. Especially in patients with hemorrhoids or constipation, after defecation based on medical research, washing the anus with warm water for 3 to 5 minutes can help blood circulation to the anal area, reduce hemorrhoid symptoms, and It can facilitate communication, reduce anal pain, and promote blood circulation. Today's bidets can provide even more ideal use effects, including hot water heating and the warming of toilet seats.

도 1은 기존의 비데(1)와 변기(2)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인데, 비데(1)는 변기 시트(11), 본체(12) 및 컨트롤 박스(13)등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그 중, 본체(12)는 변기 시트(11) 후단에 설치되어, 분사 노즐과 신축 장치, 가열 장치, 모터, 펌프 등(미표시)을 포함하고 있고, 컨트롤 박스(13)는 사용자가 쉽게 볼 수 있도록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데, 실제 사용자의 사용 경험에 따르면, 상술한 구조는 사용상 아래의 점이 불편하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idet 1 and the toilet 2 is coupled, the bidet 1 is composed of the toilet seat 11, the main body 12 and the control box 13 and the like, Among them, the main body 12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toilet seat 11, and includes a spray nozzle, an expansion device, a heating device, a motor, a pump, and the like (not shown), and the control box 13 is easily visible to the user. Although it is installed on the side, according to the actual user's experience,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inconvenient in use.

1. 많은 기계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 체적이 방대한 본체(12)를 반드시 변기 시트(11)의 후단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인체 기관의 위치에 따라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이 항문 및 그 주변 부위에 분사되려면 변기 시트(11)에 앉아있는 사람은 앞쪽으로 밀려나게 되고, 배설물이 떨어질 때 변기(2) 배출구(21)의 물속에 직접 떨어지지 않고, 변기(2) 내측 벽면에 떨어지게 되서 별도로 오물을 청소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이 따른다 (도 2 참조). 1. Since a large volume of the main body 12 must b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toilet seat 11,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mechanical structures, the water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depends on the position of the human body to the anus and the surrounding area. To be sprayed, the person sitting on the toilet seat 11 is pushed forward, and when the droppings fall, they do not directly fall into the water of the toilet 2 outlet 21, but fall on the inner wall of the toilet 2 to separately clean the dirt. Since it has to, it is inconvenient to use (see FIG. 2).

2. 컨트롤 박스(13)가 측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공간상의 제약으로 사용자가 변기 시트에 앉을때 다리를 오무려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2. Since the control box 13 is located on the side, there is inconvenience in use that requires the user to pinch the leg when sitting on the toilet seat due to space limitation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해결을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안의 목적은,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기존 비데의 본체가 모든 기계 및 가열 장치를 수납함으로써 방대해진 체적으로 인해 그 공간의 사용이 크게 제한됨에 따라, 사용자가 변기 시트에 앉을 때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분리식 비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main body of the existing bidet is to provide a separate bidet for solving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sitting on the toilet seat, as the use of the space is greatly limited by the enormous volume by storing all the machines and heating devices. .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체가 특별히 변기 시트의 고정 부분과 분리 부분으로 분리되며, 그 고정 부분에는 단지 분사 노즐과 그 신축 장치만을 포함하거나 송풍 장치를 더 포함하기도 하고, 기타 온수 가열 장치와 모터, 펌프 및 제어회로 등은 분리 부분에 포함되기 때문에, 변기 시트 후방 공간에는 단지 본체의 고정 부분만 있고, 분리 부분은 별도로 적당한 곳에 설치됨으로써, 변기 시트의 설치 공간이 여유로와지면서 사용자가 변기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분리식 비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main body is specially separated into the fixing part and the separating part of the toilet seat, the fixing part including only the spray nozzle and its expansion device or further including a blower device, and other hot water heating devices and motors. Since the pump and the control circuit are included in the separation part, only the fixing part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in the space behind the toilet seat, and the separation part is separately installed at a suitable place, so that the user can change the toilet seat whil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toilet seat is free. To provide a separate bidet tha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상기와 같은 문제해결을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리식 비데는, 변기 시트 및, 상기 변기 시트의 후단에 설치되는 고정 부분 및 상기 분리 부분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는 분리 부분을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부분은 분사 노즐 및 그 신축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분리 부분은 온수 가열장치, 모터와 펌프 및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분과 분리 부분 사이에는 배수관 및 제어회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movable bid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comprises a toilet seat and a main body having a fixing part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toilet seat and a separating part installed at a rear upper part of the separating part. The fixed part has a spray nozzle and its expansion device, and the separating part includes a hot water heater, a motor, a pump and a control circuit, and a drain pipe and a control circuit are connected between the fixed part and the separating part. It features.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식 비데는, 비데의 본체를 변기 시트에 설치되는 고정 부분과 분리 부분으로 나누어서 변기에 설치함으로써, 변기 시트가 전방으로 경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변기 시트에 앉을때 앞쪽으로 밀려나가지 않아 배설물이 변기 배출구의 물속으로 직접 떨어지게 되어 변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가 변기 시트의 고정 부분과 분리 부분으로 분리되어 변기 시트 후방 공간에는 본체의 고정 부분만 설치되고, 분리 부분은 별도로 적당한 곳에 설치되어, 고정 부분에는 단지 분사 노즐과 그 신축 장치만이 구비되거나 송풍 장치가 더 구비되며, 기타 온수 가열 장치와 모터, 펌프 및 제어회로 등은 분리 부분에 구비되기 때문에, 변기 시트를 변기에 설치하는 설치 공간이 여유로와지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변기를 사용할 수 있다.
In the detachable bid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features as described above, the toilet seat is installed stably without being inclined forward by dividing the body of the bidet into a fixing part and a separating part installed on the toilet seat. When the user sits on the toilet seat, it is not pushed forward so that the droppings fall directly into the water of the toilet outlet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toilet.The main body is divided into the fixing part and the separating part of the toilet seat, Only the fixed part of the installation, the separate part is installed in a suitable place separately, only the spray nozzle and its expansion device is provided in the fixed part or a blower is further provided, and other hot water heating devices, motors, pumps and control circuits As it is provided in a separate part, the installation space for installing a toilet seat on a toilet seat is sufficient As Wajima,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toilet.

도 1은 기존 비데와 변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기존 비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식 비데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조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식 비데의 실시예와 변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식 비데의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식 비데의 실시예의 입수관을 도시한 구조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xisting bidet and a toilet are coupled.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existing bidet.
3 is a structur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parate bid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ilet and the toilet of the removable bid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embodiment of the separate bid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ructur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let pipe of an embodiment of a separate bid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본체를 나누어서 변기에 설치하는 분리식 비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3 to 6,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eparate bidet for dividing the main body of the bid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stalled in the toilet.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식 비데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조 사시도인데, 상기 분리식 비데는, 변기 시트(3); 상기 변기 시트의 후단에 설치되는 고정 부분(41) 및 상기 고정 부분(41)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는 분리 부분(42)을 구비하는 본체(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리 부분(42)은 온수 가열장치(미표시), 모터와 펌프 및 제어회로(44)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부분(41)은 분사 노즐과 그 신축 장치 또는 송풍 장치(미표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분(41)과 분리 부분(42)은 배수관(43) 및 제어회로(44)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3 is a structur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etachable bid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bidet, toilet seat (3); And a main body 4 having a fixing part 41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toilet seat and a separating part 42 installed at a rear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art 41, and the separating part 42. Is equipped with a hot water heater (not shown), a motor, a pump, and a control circuit 44, and the fixing portion 41 further includes a spray nozzle and its expansion or blowing device (not shown), and the fixing portion 41 ) And the separating portion 42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drain pipe 43 and the control circuit (44).

상기 온수 가열장치는 각각 입수관(45) 및 세정수 밸브(5)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관(43)은 본체(4)의 고정 부분(41)의 분사 노즐과 연결된다. The hot water heater is connected to the inlet pipe 45 and the washing water valve 5, respectively, the drain pipe 43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of the fixed portion 41 of the main body (4).

상기 입수관(45) 및 배수관(43)과 본체(4)의 고정 부분(41) 및 분리 부분(42) 사이에는 퀵 커넥터(47, 48)가 설치되어 연결되기 때문에, 변기 청소시에 비데를 변기로부터 분리하기 편리하다.Since quick connectors 47 and 48 are installed and connected between the water supply pipe 45 and the drain pipe 43 and the fixing portion 41 and the separating portion 42 of the main body 4, the bidet is cleaned when the toilet is cleaned. Convenient to separate from the toilet.

또한, 상기 제어회로(44)는 외부 컨트롤러(49)로 제어되며, 상기 외부 컨트롤러(49)는 제어회로(44)를 무선으로 조절하거나 유선으로 조절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circuit 44 is controlled by an external controller 49, and the external controller 49 controls the control circuit 44 wirelessly or by wire.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식 비데의 실시예와 변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ilet and the toilet of the removable bid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도 4를 참조하면, 본체(4)의 분리 부분(42)이 변기(6) 주변의 적당한 위치에 별도로 설치되기 때문에, 변기 시트(3) 후방에 있는 본체(4)의 고정 부분(41)에는 단지 분사 노즐과 그 신축 장치만을 수납하거나 또는 송풍 장치를 더 수납하기도 함으로써, 변기 시트(3)의 체적이 크게 감소되기 때문에, 변기 시트(3)와 변기(6)의 설치 위치가 가까워지게 되면서, 변기 시트(3)가 전방으로 경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사용자는 변기 시트(3)의 위치에서 앞쪽으로 밀려나가지 않게 되고, 배설물은 정확히 변기 배출구의 물속으로 떨어지게 되면서 변기가 더이상 더러워지지 않게 된다 (도 5 참조).
Referring to FIG. 4, since the separating portion 42 of the main body 4 is separately installed at a suitable position around the toilet 6, the fixing portion 41 of the main body 4 behind the toilet seat 3 is provided. The volume of the toilet seat 3 is greatly reduced by only storing the injection nozzle and its expansion device or by additionally storing the blower,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oilet seat 3 and the toilet 6 approaches, The toilet seat 3 is stably installed without being inclined forward so that the user is not pushed forward from the position of the toilet seat 3, and the excrement falls precisely into the water of the toilet outlet so that the toilet is no longer dirty ( 5).

본체(4)는 인체 공학과 미관에 따라 더욱 다양하게 제한없이 설계될 수 있으며, 본체(4)의 패널에도 각종 버튼이나 지시등을 설치할 수 있다.The main body 4 may be designed in various ways without limitation according to ergonomics and aesthetics, and various buttons or indicators may be installed on the panel of the main body 4.

또 상기 분리 부분의 배수관(43)은 보온 자재(46)로 쌓여 있어서, 상기 배수관(43)을 통해 이송되는 세정수의 수온이 적당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6 참조).
In addition, the drain pipe 43 of the separation portion is stack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46, so that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conveyed through the drain pipe 43 can maintain a proper temperature (see Fig. 6).

상기 본체(4)의 분리 부분(42) 내에는 사용 가능한 비교적 큰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공간에 별도의 기능을 가진 부품을 더 추가시켜서 비데의 기능을 진일보하게 향상 시킬 수 있다. 예컨대, 욕실이 습하기 때문에 누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의 분리 부분(42)에 누전 차전기(미표시)를 설치하면, 누전이 감지될시 사용자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해 비데의 전원이 차단된다.Since a relatively large space that can be used is formed in the separating portion 42 of the main body 4, the function of the bidet can be further improved by adding a component having a separate function to the space. Fo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the risk of a short circuit because the bathroom is wet, when a short circuit breaker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separating part 4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of the bidet is turned off to prevent the electric shock of the user when a short circuit is detected. Is blocked.

또한, 본 고안의 본체(4)의 분리 부분(42)에는 전원 자동 스위치 타이머 장치(미표시)를 설치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전원 끄는 것을 잊었을 때, 자동으로 전원이 꺼지게 되어 변기 시트(3)와 온수 가열 장치가 계속해서 보온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automatic switch timer device (not shown) can be installed in the separating portion 42 of the main body 4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 user forgets to turn off the power, the power is automatically turned off so that the toilet seat 3 and the hot water are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waste of power for the heating device to keep the thermal state continuously.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게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비데 11. 변기 시트
12. 본체 13. 컨트롤 박스
2.변기 3. 변기 시트
4. 본체 5. 세정수 밸브
41. 고정 부분 42. 분리 부분
43. 배수관 44. 제어회로
45. 입수관 46. 보온 자재
47, 48. 퀵 커넥터 49. 외부 컨트롤러
5. 밸브 6. 변기
1. Bidet 11. Toilet seat
12. Main Unit 13. Control Box
2. Toilet seat 3. Toilet seat
4. Main Body 5. Washing Water Valve
41. Securing section 42. Separation section
43. Drain pipe 44. Control circuit
45. Intake pipe 46. Insulating material
47, 48. Quick connector 49. External controller
5. valve 6. toilet seat

Claims (9)

비데의 본체를 나누어서 변기에 설치하는 분리식 비데에 있어서, 상기 분리식 비데는,
변기 시트;
상기 변기 시트의 후단에 설치되는 고정 부분 및 상기 고정 부분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는 분리 부분을 구비한 본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부분은 분사 노즐 및 그 신축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분리 부분은 온수 가열장치, 모터와 펌프 및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분과 분리 부분 사이에는 배수관 및 제어회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비데.
In the separate bidet for dividing the body of the bidet and installed in the toilet, the separate bidet,
Toilet seat;
A main body having a fixing part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toilet seat and a separating part installed at a rear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ar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wherein the fixed portion is provided with a spray nozzle and its stretching device, the separ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hot water heater, a motor and a pump and a control circuit, the drain pipe and the control circuit between the fixed portion and the separating portion The detachable bide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분리 부분의 배수관은 보온 자재로 쌓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비데.
The method of claim 1,
The drain pipe of the separa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is a separate bid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cking of insulating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분리 부분의 제어회로는 외부 컨트롤러에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비데.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achable bide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circuit of the separated portion of the main body is controlled by an external controll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분리 부분에는 누전 차단기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비데.
The method of claim 1,
Separating bidet, characterized in that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stalled in the separa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분리 부분에는 전원 자동 스위치 타이머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비데.
The method of claim 1,
Separating bide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y automatic switch timer device is installed in the separation portion of the mai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분리 부분에 설치되는 온수 가열장치의 입수관은 세정수 밸브와 연결되어 있으며, 배수관은 본체의 고정 부분의 분사 노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비데.
The method of claim 1,
Inlet pipe of the hot water heater is installed in the separation portion of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washing water valve, the drain pipe is separated bidet,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of the fixed portion of the mai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분은 분사 노즐과 그 신축 장치와 송풍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비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ed portion includes a spray nozzle, its expansion device and a blower devi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 및 배수관과 본체의 고정 부분 및 분리 부분은 모두 퀵 커넥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비데.
The method of claim 6,
Separation bidet, characterized in that both the inlet pipe and the drain pipe and the fixed portion and the separation portion of the main body is connected by a quick connecto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컨트롤러는 제어회로를 무선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비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xternal controller is a separate bidet,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circuit wirelessly.







KR2020100000794U 2010-01-25 2010-01-25 Separable paperless bidet toilet seat KR2011000757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794U KR20110007579U (en) 2010-01-25 2010-01-25 Separable paperless bidet toilet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794U KR20110007579U (en) 2010-01-25 2010-01-25 Separable paperless bidet toilet se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579U true KR20110007579U (en) 2011-08-02

Family

ID=4559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794U KR20110007579U (en) 2010-01-25 2010-01-25 Separable paperless bidet toilet se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579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185B1 (en) Automatic excretion cleaner
CN106038128A (en) Intelligent control system for nursing bed
KR102547934B1 (en) Excreta treatment method and device
CN103735376B (en) A kind of intelligent nursing mattress
TWI643806B (en) Water dispenser unit
WO2006108356A1 (en) Human waste automatic processor
KR20090039120A (en) Automatic excretion cleaner and the method
CN201649237U (en) Separated paper-free anti-hemorrhoid toilet seat
US11612511B2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excrements
CN205857335U (en) The intellectual water closet of function washed by a kind of band medicine
CN103821216B (en) Multifunctional nursing seat with automatic flushing pedestal pan
KR20100125847A (en) Bidet for toilet pan
KR100697254B1 (en) A clean device equipped at the lid of a toilet bowl
CN201241389Y (en) Multifunctional sanitary closet
KR20110007579U (en) Separable paperless bidet toilet seat
KR20160097533A (en) Mode Control Method of Automatic Excretions Removing Apparatus
KR200384276Y1 (en) A clean device equipped at the lid of a toilet bowl
KR100829524B1 (en) Automatic Excretion Cleaner
JP2000325258A (en) Toilet bowl system for nursing
CN203834619U (en) Multifunctional nursing seat with automatic flushing toilet bowl
JP3158636U (en) Separate toilet seat
CN201261908Y (en) Flusher for toilet seat
JP2005177423A (en) Electric urine bottle and urine collecting attachment mountable to pubic region
KR20160097531A (en) Automatic Excretions Removing Apparatus Having coupling pipe
KR20120033713A (en) Portable bid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