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663U -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 Google Patents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663U
KR20110006663U KR2020090016842U KR20090016842U KR20110006663U KR 20110006663 U KR20110006663 U KR 20110006663U KR 2020090016842 U KR2020090016842 U KR 2020090016842U KR 20090016842 U KR20090016842 U KR 20090016842U KR 20110006663 U KR20110006663 U KR 201100066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insect repellent
corner assembly
fram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0788Y1 (ko
Inventor
박준석
Original Assignee
박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석 filed Critical 박준석
Priority to KR20090016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78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6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6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7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3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for frame members having longitudinal screw receiving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4Arrangement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ratt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1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 E05Y2201/612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between carriers and rails
    • E05Y2201/614Anti-derail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의 외측에 설치되는 방충창 설치용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들의 상부 및 하부 모서리부분을 조립연결하는 모서리조립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방충창으로의 조립이 용이하고, 방충창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창틀에서 방충창이 이탈될 염려가 없으며, 창틀에서 방충창을 착탈하기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방충창을 여닫을 때 방충창의 좌우 슬라이딩이 원활하여 방충창의 여닫음이 편리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고품질 고품격의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내측으로는 방충망(50)이 고정설치되는 고정홈(120)(220)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창틀(3) 내부에 삽입되어지는 삽입부(110)(210)가 형성되는 방충망설치용 가로프레임(100) 및 세로프레임(200)의 상,하부 모서리 부분을 직각으로 연결시켜 주도록 각각 양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돌출연결부(310)(410)가 형성되는 모서리조립구(300)(4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조립구(300)(400)중 상부 모서리조립구(300)의 상측 내벽면(320)에 수평으로 이탈방지구결합홈(321)을 형성하여 이에 이탈방지구(500)를 결합하고,
상기 모서리조립구(300)(400)중 하부 모서리조립구(400)의 하측 내벽면(420)에는 수평으로 롤러결합홈(421)을 형성하여 이에 롤러(620)가 축(610)결합된 롤러결합구(600)를 결합하되,
상기 상부 모서리조립구(300)의 이탈방지구결합홈(321)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구(500)는,
하측에 이탈방지구결합홈(321)에 결합설치되는 날개결합편(510)이 형성되고, 날개결합편(510) 상측으로는 상단이 원호형으로 만곡된 만곡면(530)을 가지는 텐션부(520)가 형성되며, 텐션부(520)의 상단 원호형 만곡면(530) 내측에 상향절곡된 이탈방지편(540)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진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를 이용하여 조립완성된 방충창(1)을 창틀(3)에 설치하게 되면 하부 모서리조립구(400)의 롤러결합구(600)에 축결합된 롤러(620)는 창틀(3)의 하부프레임 내면에 형성된 안내레일(3b)에 얹혀진 상태가 되고,
상기 상부 모서리조립구(300)의 이탈방지구(500)에 형성된 텐션부(520)의 만곡면(530)은 창틀(3)의 상부프레임 내면에 형성된 안내레일(3a)에 밀착되어진 상태가 됨은 물론,
상기 이탈방지구(500)의 텐션부(520) 상측의 만곡면(530) 내측에 형성된 이탈방지편(540)은 창틀(3)의 상부프레임 내면에 형성된 안내레일(3a)과 상부프레임 내측벽면(3c) 사이에 위치되어 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The Corner connector for anti-chassis frame}
본 고안은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의 외측에 설치되는 방충창에 있어서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들의 상부 및 하부 모서리부분을 조립연결하는 모서리조립구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방충창으로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며,
방충창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창틀에 끼워 사용할 시 방충창의 4모서리의 지지력이 뛰어나 방충창이 삐뚤어짐이 없이 좌우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되므로 방충창의 여닫음이 매우 편리하도록 함은 물론,
방충창을 창틀에 견실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방충망이 어떠한 경우에도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방충창을 창틀로부터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하여 청소 및 교체가 매우 용이하도록 한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충창은 유리창 바깥쪽에 설치하여서 주로 하절기에 실내로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고, 유해 해충이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근 문화수준의 향상과 주거생활의 쾌적화를 위해 주거공간에는 거의 대부분이 설 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충창은 망사로 된 방충망이 사각 형태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창문의 외측 창틀에 설치되는 형태이며, 그 종류로는 이동형 방충망과 고정형 방충망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형 방충창은 착탈이 어렵기 때문에 방충창이 불필요한 계절에도 방충창을 제거하기 어렵고, 방충창이 오염되더라도 청소가 용이하지 않으며, 시야를 가림과 함께 미관상 좋지 않으며, 일단 제거한 방충창은 재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형 방충망은 통상적으로 방충창은 금속의 얇은 망사로 직조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어 내구력이 떨어지며, 창틀의 지지력이 약해 창틀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종래의 방충창에 대해 살펴본다.
종래의 방충창은 첨부도면 도1 내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나 알루미늄 재질의 가로프레임(10) 및 세로프레임(20)과;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의 모서리 부분을 연결시켜 주는 상,하부 모서리조립구(30)(40)와;
상기 프레임들의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홈(21)에 긴밀히 삽입 고정되는 방충망(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하부 모서리조립구(30)(40)는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의 상측과 하측 모서리부분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하부 모서리조립구 (30)(40)의 양측단에는 각각 돌출연결부(31)(41)가 형성되어 있어 방충창(1)을 조립할 때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의 양측 내부에 삽입된 후 이들 결합부분을 고정볼트(2)로 고정하여 방충창(1)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방충창(1)은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 및 상,하부 모서리조립구(30)(40)를 조립한 다음 도2와 같이 창틀(3)의 레일(3a)(3b) 상에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서, 방충창(1)의 상단 가로프레임(10)과 하단 가로프레임(20)이 각각 단순히 창틀(3)의 레일(3a)(3b) 상에 삽입 및 재치되어 있으므로 방충창(1)을 여닫기 위해 창틀(3)의 레일(3a)(3b) 상에서 방충창(1)을 좌우로 슬라이딩시킬 경우 방충창(1)의 여닫음이 원활하지 못하여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방충창(1)을 창틀(3)에 최초에 설치할 때는 방충창(1)을 설치하는 대리점에서 숙련된 기능공이 직접 설치하므로 특별한 문제점은 없으나 방충창(1)을 청소하기 위해 창틀(3)에서 방충창(1)을 분리하는 작업이 수월하지 못하였으며,
창틀(3)에 조립된 방충창(1)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이탈방지 수단이 전혀 없어 방충창(1)이 창틀(3)에서 이탈되거나 또는 방충창(1)의 잦은 여닫음으로 창틀(3)의 레일(3b)이 마모되어 방충창(1)이 창틀(3)에서 이탈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이와 같이 방충창(3)이 이탈될 경우 방충창(1)이 떨어지면서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가 있는 것은 물론, 일반소비자가 방충창(1)을 창틀(3)에 다시 설치하기는 작업이 수월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창문의 외측에 설치되는 방충창 설치용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들의 상부 및 하부 모서리부분을 조립연결하는 모서리조립구의 구조를 개선하므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방충창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창틀에서 방충창이 이탈될 염려가 없고, 창틀에서 방충창을 착탈하기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방충창을 여닫을 때 방충창의 좌우 슬라이딩이 원활하여 방충창의 여닫음이 편리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고품질 고품격의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심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줌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는 기본적으로 내측으로는 방충망이 고정설치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창틀 내부에 삽입되어지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방충망설치용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의 상,하부 모서리 부분을 직각으로 연결시켜 주도록 각각 양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돌출연결부가 형성되는 모서리조립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조립구중 상부 모서리조립구의 상측 내벽면에 수평으로 이탈방지구결합홈을 형성하여 이에 이탈방지구를 결합하고,
상기 모서리조립구중 하부 모서리조립구의 하측 내벽면에는 수평으로 롤러결합홈을 형성하여 이에 롤러가 축결합된 롤러결합구를 결합하되,
상기 상부 모서리조립구의 이탈방지구결합홈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구는,
하측에 이탈방지구결합홈에 결합설치되는 날개결합편이 형성되고, 날개결합편 상측으로는 상단이 원호형으로 만곡된 만곡면을 가지는 텐션부가 형성되며, 텐션부의 상단 원호형 만곡면 내측에 상향절곡된 이탈방지편을 형성하여서 구성되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를 이용하여 조립완성된 방충창을 창틀에 설치하게 되면 하부모서리조립구의 롤러결합구에 축결합된 롤러는 창틀의 하부프레임 내면에 형성된 안내레일에 얹혀진 상태가 되고,
상기 상부모서리조립구의 이탈방지구에 형성된 텐션부의 만곡면은 창틀의 상부프레임 내면에 형성된 안내레일에 밀착되어진 상태가 됨은 물론,
상기 이탈방지구의 텐션부 상측의 만곡면 내측에 형성된 이탈방지편은 창틀의 상부프레임 내면에 형성된 안내레일과 상부프레임 내측벽면 사이에 위치되어 지므로,
방충창이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므로 방충창의 여닫음이 매우 원활하다.
또한, 방충창의 상,하부 어디를 잡고 여닫게 되더라도 방충창이 경사지게 삐뚤어질 염려가 없으므로 어떠한 상황에서도 방충창을 여닫음에 있어 전혀 지장이 없다.
또한, 방충창이 규격보다 조금 작게 제작되어지거나 또는 방충창의 잦은 여닫음으로 인해 창틀의 레일이 마모되어 지는 것은 물론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이탈방지편이 상부프레임 내측벽면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므로 방충창이 창틀 에서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다.
그러므로 방충창이 이탈되어 떨어지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전혀 없다.
이와같은 작용효과는 상기 이탈방지구에 이탈방지편을 상기 텐션부의 만곡면 내,외측 양측 모두 형성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방충창을 청소하거나 또는 새것으로 교체하고자 할 경우 방충창을 들어올리면 이탈방지구에 구비된 눌려짐과 동시에 이탈방지편이 하강하면서 창틀의 상부프레임 내측벽면으로 부터 방충창을 용이하게 빼낼 수가 있으므로 창틀에서 방충창을 착탈하는 것까지도 매우 용이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방충창을 사용자가 안심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줄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고안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는 첨부도면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 내측으로는 방충망(50)이 고정설치되는 고정홈(120)(220)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창틀(3) 내부에 삽입되어지는 삽입부(110)(210)가 형성되는 방충망설치용 가로프레임(100) 및 세로프레임(200)의 상,하부 모서리 부분을 직각으로 연결시켜 주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모서리조립구는 상부 모서리부분에 결합되는 한쌍의 상부모서리조립구(300)와 하부 모서리부분에 결합되는 한쌍의 하부모서리조립구(400)로 이루어 진 다.
이들 상,하부모서리조립구(300)(400)에는 각각 방충망설치용 가로프레임(100) 및 세로프레임(200)의 형상에 따라 양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돌출연결부(310)(410)가 형성되어 지는데, 이 돌출연결부(310)(410) 외면에는 결합강도를 높히기 위해 통상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밀착돌기(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모서리조립구(300)(400)중 상부모서리조립구(300)의 상측 내벽면(320)에는 수평으로 이탈방지구결합홈(321)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는 이탈방지구(500)가 결합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모서리조립구(400)의 하측 내벽면(420)에는 수평으로 롤러결합홈(421)을 형성되어 있고 이에는 롤러(620)가 축(610)결합된 롤러결합구(600)가 결합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모서리조립구(300)의 이탈방지구결합홈(321)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구(5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이탈방지구결합홈(321)에 결합설치되는 날개결합편(510)이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결합편(510)의 상측으로는 상단이 원호형으로 만곡된 만곡면(530)을 가지는 텐션부(5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물론, 상기 텐션부(520)의 만곡면(530) 내측으로는 이탈방지편(540)이 상향절곡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편(540)은 상기 텐션부(520)의 만곡면(530) 내,외측 양측에 모두 상향절곡된 이탈방지편(540)을 형성할 수 도 있다.
이번에는 상기 하부모서리조립구(400)의 롤러결합홈(421)에 결합되는 롤러(620)가 축(610)결합된 롤러결합구(6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롤러결합홈(421)에 결합설치되는 날개결합편(601)이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결합편(601) 일측면에는 롤러(620)를 결합할 수 있도록 축(610)이 형성된 롤러결합편(602)이 상향절곡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롤러결합편(602)은 상기 날개결합편(601)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하향절곡된 롤러결합편(602)을 형성할 수 도 있다.
그러는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상부 모서리조립구(300)의 하측 내벽면(330)에 수직으로 이탈방지구결합홈(331)을 더 형성하고,
상기 하부 모서리조립구(400)의 상측 내벽면(430)에 수직으로 롤러결합홈(431)을 더 형성하여 상,하부 모서리조립구(300)(400)를 조립위치에 구분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일 실시예들에 의해 결코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상기 일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핵심적인 기술내용만을 기재한 것으로, 상기 상,하부모서리조립구(300)(400)는 방충망설치용 가로프레임(100) 및 세로프레임(200)의 형상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순 설계변경 내지는 단순 치환한 것은 물론 이에 사용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보조장치를 추가로 더 설치한 것들도 모두 본 발명의 기술범주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본 고안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300)(4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상부 모서리조립구(300)의 상측 내벽면(320)에 수평으로 형성된 이탈방지구결합홈(321)에 이탈방지구(500)의 날개결합편(510)을 결합한다.
이와같이 하면 상기 이탈방지구(500)의 텐션부(520) 상단의 만곡면(530)에 상향절곡된 이탈방지편(540)의 상단이 상부 모서리조립구(300)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되어진 상태로 상기 이탈방지구(500)가 견실하게 고정설치 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구(500)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편(540)을 상기 텐션부(520)의 만곡면(530) 내,외측 양측에 모두 형성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번에는 상기 하부 모서리조립구(400)의 하측 내벽면(420)에 수평으로 형성된 롤러결합홈(421)에 롤러(620)가 축(610)결합된 롤러결합구(600)의 날개결합편(601)을 결합한다.
이와같이 하면, 상기 롤러결합구(600)의 롤러결합편(602)은 추후 하측의 수평프레임(100) 결합시 하측의 수평프레임(100)에 형성된 삽입부(110)의 일측 벽면에 밀착되어지고 타측 벽면에는 롤러(620)가 결합된 축(610)의 선단이 밀착되어 진 상태로 상기 롤러결합구(600)가 견실하게 고정설치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한쌍의 상부 모서리조립구(300)에는 이탈방지구(500)를 결합하고, 한쌍의 하부 모서리조립구(400)에는 롤러(620)가 축(610)결합된 롤러결합구(600)를 결합한다음에는 이들 한쌍의 상부 모서리조립구(300)와 한쌍의 하부 모서리조립구(4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돌출연결부(310)(410)를 방충망설치용 가로프레임(100) 및 세로프레임(200)의 모서리 부분에 결합하여 직각으로 연결시켜 준다.
그런후 상기 방충망설치용 가로프레임(100) 및 세로프레임(200)의 내측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홈(120)(220)에 방충망(50)을 고정설치하여 방충창(1)을 조립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완성된 방충창을 창틀(3)에 설치하면 하부 모서리조립구(400)의 롤러결합구(600)에 축(610)결합된 롤러(620)는 창틀(3)의 하부프레임 내면에 형성된 안내레일(3b)에 얹혀진 상태가 되고,
상기 상부 모서리조립구(300)의 이탈방지구(500)에 형성된 텐션부(520)의 만곡면(530)은 창틀(3)의 상부프레임 내면에 형성된 안내레일(3a)에 밀착되어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구(500)의 텐션부(520) 상측의 만곡면(530) 내측에 형성된 이탈방지편(540)은 창틀(3)의 상부프레임 내면에 형성된 안내레일(3a)과 상부프레임의 내측벽면(3c) 사이에 위치되어 진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구(500)에 이탈방지편(540)을 상기 텐션부(520)의 만곡면(530) 내,외측 양측에 모두 형성한 경우에는 양측에 형성된 이탈방지편(540)이 각각 창틀(3)의 상부프레임 내면에 형성된 안내레일(3a)과 상부프레임 내,외측벽면(3c)(3d) 모두에 위치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설치된 방충창(1)을 좌우로 여닫게 되면 상기 롤러결합 구(600)에 축(610)결합된 롤러(620)에 의해 방충창(1)이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므로 방충창(1)의 여닫음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방충창(1)의 상,하부 어디를 잡고 여닫게 되더라도 방충창(1)의 하부 양측은 롤러결합구(600)에 축(610)결합된 롤러(620)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방충창(1)의 상부 양측은 상기 상부 모서리조립구(300)의 이탈방지구(500)에 형성된 텐션부(520)의 만곡면(530)이 창틀(3)의 상부프레임 내면에 형성된 안내레일(3a)에 밀착되어진 상태로 견고히 지지되어 있어서 방충창(1)이 경사지게 삐뚤어질 염려가 없으므로 어떠한 상황에서도 방충창(1)을 여닫음에 있어 전혀 지장이 없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이탈방지구(500)의 텐션부(420) 상측의 만곡면(530) 내측에 형성된 이탈방지편(540)이 창틀(3)의 상부프레임 내면에 형성된 안내레일(3a)과 상부프레임 내측벽면(3c) 사이 또는 안내레일(3a)과 상부프레임 내,외측벽면(3c)(3d)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방충창(1)이 규격보다 조금 작게 제작되어 지거나 또는 방충창(1)의 잦은 여닫음으로 인해 창틀(3)의 레일(3b)이 마모되어 지는 것은 물론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이탈방지편(540)이 창틀(3)의 상부프레임 내측벽면(3c)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므로 방충창(1)이 창틀(3)에서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다.
따라서, 방충창(1)이 이탈되어 떨어지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전혀 없게 된다.
이와같은 작용효과는 상기 이탈방지구(500)에 이탈방지편(540)을 상기 텐션부(530)의 만곡면(530) 내,외측 양측에 모두 형성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즉, 이와같은 경우에는 상기 이탈방지구(500)의 이탈방지편(540)이 창틀(3)의 상부프레임 내,외측벽면(3c)(3d)에 모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러는 한편, 방충창(1)을 청소하거나 또는 새것으로 교체 하고자 할 경우 방충창(1)을 들어올리면 이탈방지구(500)의 텐션부(520) 상측의 만곡면(530)이 창틀(3)의 상부프레임 내면에 형성된 안내레일(3a)에 의해 눌려지면서 이탈방지편(540)이 하강하므로 창틀(3)의 상부프레임 내측벽면(3c) 또는 내,외측벽면(3c)(3d)으로 부터 방충창(1)을 용이하게 빼낼 수가 있다.
그러므로, 창틀(3)에서 방충창(1)을 착탈하는 것까지도 매우 용이한 것이다.
도1은 종래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로 조립된 방충창을 보인 정면예시도.
도2는 종래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로 조립된 방충창을 보인 측단면예시도.
도3은 본 고안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의 조립상태를 보인 일부 절취상태 정면예시도.
도5는 본 고안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의 조립상태를 보인 측단면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방충창 3:창틀
50:방충망 3a,3b안내레일
100:수평프레임 110,210: 삽입부
120,220: 고정홈 200:수직프레임
300,400:모서리조립구 310,410:돌출연결부
321,331:이탈방지구결합홈 421,431:롤러결합홈
500:이탈방지구 510:날개결합편
520:텐션부 530:만곡면
540:이탈방지편 600:롤러결합구
601:날개결합편 602:롤러결합편
610:축 620:롤러

Claims (4)

  1. 각각 내측으로는 방충망(50)이 고정설치되는 고정홈(120)(220)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창틀(3) 내부에 삽입되어지는 삽입부(110)(210)가 형성되는 방충망설치용 가로프레임(100) 및 세로프레임(200)의 상,하부 모서리 부분을 직각으로 연결시켜 주도록 각각 양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돌출연결부(310)(410)가 형성되는 모서리조립구(300)(4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조립구(300)(400)중 상부 모서리조립구(300)의 상측 내벽면(320)에 수평으로 이탈방지구결합홈(321)을 형성하여 이에 이탈방지구(500)를 결합하고 하부 모서리조립구(400) 하측 내면에는 롤러(620)를 결합하되,
    상기 상부 모서리조립구(300)의 이탈방지구결합홈(321)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구(500)는,
    하측에 이탈방지구결합홈(321)에 결합설치되는 날개결합편(510)이 형성되고, 날개결합편(510) 상측으로는 상단이 원호형으로 만곡된 만곡면(530)을 가지는 텐션부(520)가 형성되며, 텐션부(520)의 상단 원호형 만곡면(530) 내측에 상향절곡된 이탈방지편(540)을 형성하여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조립구(300)(400)중 하부 모서리조립구(400)의 하측 내벽면에 수 평으로 롤러결합홈(421)을 형성하여 이에 롤러(620)가 축(610)결합된 롤러결합구(600)를 결합하되,
    상기 하부 모서리조립구(400)의 롤러결합홈(421)에 결합되는 롤러(620)가 축(610)결합된 롤러결합구(600)는,
    하측에 롤러결합홈(421)에 결합설치되는 날개결합편(601)이 형성되고, 날개결합편(601) 일측면에는 상향절곡되고 롤러(620)를 결합할 수 있도록 축(610)이 형성된 롤러결합편(602)을 형성하여서 구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모서리조립구(300)의 이탈방지구결합홈(321)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구(500)는,
    텐션부(520)의 상단 원호형 만곡면(530) 내,외측 양측에 상향절곡된 이탈방지편(540)을 형성하여서 구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모서리조립구(300)의 하측 내벽면(330)에 수직으로 이탈방지구결합홈(331)을 더 형성하고,
    상기 하부 모서리조립구(400)의 상측 내벽면(430)에 수직으로 롤러결합홈(431)을 더 형성하여 상,하부 모서리조립구(300)(400)를 조립위치에 구분없이 사용 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KR20090016842U 2009-12-28 2009-12-28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KR2004607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6842U KR200460788Y1 (ko) 2009-12-28 2009-12-28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6842U KR200460788Y1 (ko) 2009-12-28 2009-12-28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663U true KR20110006663U (ko) 2011-07-06
KR200460788Y1 KR200460788Y1 (ko) 2012-06-04

Family

ID=45568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6842U KR200460788Y1 (ko) 2009-12-28 2009-12-28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78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389A1 (en) * 2011-11-29 2013-06-06 Lg Hausys, Ltd. Vermin screen stopper and sliding window having the same
KR101337996B1 (ko) * 2012-12-07 2013-12-09 주식회사 다산월드 탈부착 기능을 갖는 방충창용 모서리조립체
KR102041047B1 (ko) * 2018-05-08 2019-11-06 윤재기 걸레받이용 연결부재
KR102382278B1 (ko) * 2021-06-18 2022-04-04 (주)에스엔시 알루미늄창호 구조물
KR102578241B1 (ko) * 2023-03-06 2023-09-13 정수영 Diy형 방충망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73Y1 (ko) * 2012-11-12 2014-10-14 박준석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KR200470750Y1 (ko) 2012-11-12 2014-01-07 박준석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KR200474774Y1 (ko) * 2012-11-12 2014-10-22 박준석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276Y1 (ko) * 2000-09-05 2001-02-15 주식회사남선알미늄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방충망
KR200408092Y1 (ko) * 2005-11-14 2006-02-07 이성규 방충창용 하부 모서리연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389A1 (en) * 2011-11-29 2013-06-06 Lg Hausys, Ltd. Vermin screen stopper and sliding window having the same
KR101337996B1 (ko) * 2012-12-07 2013-12-09 주식회사 다산월드 탈부착 기능을 갖는 방충창용 모서리조립체
KR102041047B1 (ko) * 2018-05-08 2019-11-06 윤재기 걸레받이용 연결부재
KR102382278B1 (ko) * 2021-06-18 2022-04-04 (주)에스엔시 알루미늄창호 구조물
KR102578241B1 (ko) * 2023-03-06 2023-09-13 정수영 Diy형 방충망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788Y1 (ko) 201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788Y1 (ko)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KR200474774Y1 (ko)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CN103210167A (zh) 轨道隐蔽型门窗装置
KR10173170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KR101363100B1 (ko) 방충망이탈방지스토퍼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창호
KR101146289B1 (ko) 창문 이탈 방지 장치
JP6126898B2 (ja) サッシ
KR101008836B1 (ko) 방충창용 모서리 연결재
KR200408112Y1 (ko) 방충창용 상부 모서리연결구
KR102053623B1 (ko) 방범 및 방충 창호
KR101068595B1 (ko) 창문 이탈방지장치를 갖는 유리창 조립체
KR20150002067U (ko)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KR200470750Y1 (ko)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KR200478424Y1 (ko)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KR102049415B1 (ko) 필터가 적용된 안전방충망
KR101819537B1 (ko) 조립식 방범 창호
KR200474773Y1 (ko)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KR102083451B1 (ko) 외풍 차단을 겸하는 미닫이식 창호의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KR101337996B1 (ko) 탈부착 기능을 갖는 방충창용 모서리조립체
KR100719620B1 (ko) 방충망용 호차
JP6831076B2 (ja) 建具
KR101025816B1 (ko) 도어 조립체
KR101916378B1 (ko) 문틀과 방범방충망의 결속구조
KR200451315Y1 (ko) 문짝 안전장치
KR20080002368U (ko) 창문 이탈방지 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