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383U -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383U
KR20110006383U KR2020090016510U KR20090016510U KR20110006383U KR 20110006383 U KR20110006383 U KR 20110006383U KR 2020090016510 U KR2020090016510 U KR 2020090016510U KR 20090016510 U KR20090016510 U KR 20090016510U KR 20110006383 U KR20110006383 U KR 201100063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housing
soundproof
disposed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4312Y1 (ko
Inventor
최길수
Original Assignee
아이폰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4845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06383(U)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폰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filed Critical 아이폰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Priority to KR2020090016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31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3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3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3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2Plurality of transducer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ound channels in each earpiece of headphones or in a single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귀에 장착되어 음이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음을 발생시키는 이어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귀에 장착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안쪽에 타측이 개방되고, 일측으로 중앙에 음 배출공이 형성된 하우징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몸체,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귀에 삽입되도록 일측에 위치하고 있고, 안쪽에 상기 하우징 공간과 연통된 피스 공간을 가지는 피스체, 상기 하우징 몸체의 안쪽에 배치하고 있으며, 상기 신호가 수신되어 음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 복수의 상기 드라이버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드라이버 유닛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시키는 방음 격벽, 상기 드라이버 유닛과 상기 하우징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 발생된 상기 음의 손실을 최소화 하도록 상기 하우징 몸체와의 접촉이 방지되는 방음체, 그리고 상기 하우징 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공간의 타측을 밀폐시키도록 배치되는 덮개를 포함한다.
이어폰 장치, 다중, 드라이버 유닛, 방음 격벽, 방음체

Description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 {earphone apparatus with multi-driver unit}
본 고안은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 장치(earphone apparatus)는 귀에 장착(裝着)할 수 있게 소형으로 설계된 수화기이다. 통상적인 이어폰 장치는 하우징에 수납된 드라이버 유닛에 배치된 진동판을 각종 오디오 장치에서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에 따라 진동시키고, 공기의 조밀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공급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음을 발생하도록 한다. 이렇게 발생되는 음은 하우징을 통과하여 귀에 전달되어 사용자가 오디오 신호에서 변환된 음을 청취할 수 있다.
통상의 이어폰 장치는 귀에 장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야 함에 따라 사람의 귀 크기를 고려하여 크기가 결정된다. 통상의 이어폰 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통상에 사용되는 드라이버 유닛은 내부 공간에 하나만 설치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 통상 하나의 드라이버 유닛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음을 발생한다.
각종 오디오 장치에서 송신되는 오디오 신호는 전달되는 음역에 따라 낮은 음과 높은 음에 대한 복수의 다른 신호가 각각 송신되고, 송신된 복수의 다른 신호 들이 단일 드라이버 유닛에 수신된다. 복수의 다른 신호는 상호 위상차가 크고 큰 위상차를 가지는 신호는 단일 드라이버 유닛으로 음이 발생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즉, 통상의 드라이버 유닛은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의 영역대가 제한되어 있어 하나의 드라이버 유닛으로 고음역대와 저음역대의 신호를 수신 받아 음이 발생시키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고음역대와 저음역대의 신호를 단일 드라이버 유닛에서 음이 발생될 수 있는 신호로 변조한 상태로 공급되기 위해서는 신호를 변조시키기 위한 회로가 이어폰 장치에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제작 비용이 증대되고, 변조에 의해 음의 왜곡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음역대와 저음역대의 신호를 수신한 상태로 단일 드라이버 유닛 자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음역대의 신호만 선택적으로 발생됨에 따라 음질이 저하되고, 음의 왜곡되는 현상이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음향 효과의 발달에 의해 다채널로 발생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음질이 향상된 오디오 장치에 연결되어도 단일 드라이버 유닛으로 그 효과를 재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드라이버 유닛의 크기가 소형화되고, 고음역대와 저음역대의 신호를 각각 수신할 수 있으며, 다채널 음향에 각각의 채널의 음역을 재생시킬 수 있는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런 종래 기술의 이어폰 장치는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을 하우징의 안쪽에 개방부를 향해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귀와 통하고 있는 개방 부분으로 다른 음역대 의 음과 다채널에 사용되는 음이 각각의 드라이버 유닛에서 발생되어 개방 부분을 통해서 귀로 흘러 들어 청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이어폰 장치는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의 각각에서 다채널 중에 다른 채널에 발생되는 음 또는 음역대가 다른 음의 발생 시에 개방 방향으로 경사진 각각의 드라이버 유닛에서 발생된 음이 개방 방향으로 모아지면서 상호 중첩되어 음 간섭에 의해 상쇄되어 발생된 음의 선명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이어폰 장치는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에서 발생되는 다채널 중에 다른 채널에서 발생되는 음 또는 음역대가 다른 음이 위상 차에 의해서 음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의 이어폰 장치는 음의 발생 시에 발생된 진동으로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 사이와 드라이버 유닛과 하우징 사이에서 음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우징 내부에 다중 드라이버 유닛을 동일 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설치하고, 각 드라이버 유닛과 하우징 사이와 각 드라이버 유닛 간에 방음체가 구비되어 있어 별도의 회로 구성 없이 전대역의 음이 재현될 수 있고, 동일 직선상에 각 드라이버 유닛이 위치하여 상호 위상차가 축소시켜 음손실이 방지되는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는 귀에 장착되어 음이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음을 발생시키는 이어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귀에 장착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안쪽에 타측이 개방되고, 일측으로 중앙에 음 배출공이 형성된 하우징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몸체,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귀에 삽입되도록 일측에 위치하고 있고, 안쪽에 상기 하우징 공간과 연통된 피스 공간을 가지는 피스체, 상기 하우징 몸체의 안쪽에 배치하고 있으며, 상기 신호가 수신되어 음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 복수의 상기 드라이버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드라이버 유닛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시키는 방음 격벽, 상기 드라이버 유닛과 상기 하우징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 발생된 상기 음의 손실을 최소화 하도록 상기 하우징 몸체와의 접촉이 방지되는 방음체, 그리고 상기 하우징 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공간의 타측을 밀폐시키도록 배치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드라이버 유닛은 복수로 상기 하우징 공간에 배치되어 각각의 상기 드라이버 유닛 사이에 설치된 상기 방음 격벽과 상기 하우징 공간과 상기 드라이버 유닛 사이에 설치된 상기 방음체에 의해 각각의 상기 드라이버 유닛이 독립적으로 방음되면서 상기 음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드라이버 유닛은 복수로 상기 하우징 몸체의 안쪽에 상기 방음 격벽으로 상기 음이 발생되는 일측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발생되는 상기 음의 위상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타측이 하우징 공간과 연통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음 배출 공간을 가지고, 바깥 면으로 피스 삽입홈을 가지는 음 배출체, 및 상기 피스체의 안쪽에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음 배출체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삽입 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음 배출체는 상기 피스체와 상기 하우징 몸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피스체를 지지하면서 복수의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서 발생된 상기 음이 상기 귀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몸체와 상기 덮개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드라이버 유닛이 지지되도록 상기 하우징 공간에 타측에 배치되어 있는 커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타측에는 단면적이 축소된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방음 격벽의 타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지지턱, 및 상기 방음체의 타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방음턱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드라이버 유닛은 상기 방음 격벽과 상기 방음체에 설치 시에 상기 걸림부가 상기 지지턱과 상기 방음턱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 몸체의 안쪽에는 상기 하우징 공간의 타측면의 가장 자리 위치인 상기 방음체의 설치 방향으로 충진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충진홈에 삽입 설치되는 방음부 충진체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방음부 충진체는 상기 충진홈에 설치되어 상기 방음체와 상기 하우징 몸체 사이에서 발생되는 간극이 최소화되어 음손실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드라이버 유닛은 상기 하우징 몸체의 안쪽에서 상기 하우징 공간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장치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음역대의 신호와 복수의 채널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음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을 방음되는 격벽과 하우징의 안쪽과도 분리되도록 방음체로 감싸여 있어 드라이버 유닛이 각각 독립적인 위치에서 음이 발생됨에 따라 음의 선명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이 음이 발생되는 위치가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잇도록 방음되는 격벽과 방음체에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각 드라이버 유닛의 위상 차이를 최소화하여 음 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과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방음체와 하우징 사이에 방음부 충진체가 구비되어 있어 방음체와 하우징 사이에 공극을 최소화하여 공극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음 손실을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을 감싸고 있는 방음 격벽과 방음체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드라이버 유닛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100)는 몸체부(110), 드라이버유닛(120), 방음부(130), 그리고 이어 피스부(14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귀에 장착되는 하우징 몸체(111), 음 배출체(114), 커버(116), 그리고 덮개(117)를 포함한다. 하우징 몸체(111)는 귀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하우징 공간(112)을 가진다. 하우징 공간(112)은 귀 방향인 일측이 폐쇄된 상태로 중앙으로 관통된 음 배 출공(113)을 가지고, 타측이 개방되어 있다. 하우징 공간(112)은 안쪽에 음향이 발생되는 장치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음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이 설치된다. 드라이버 유닛(120)에서 발생된 음은 하우징 공간(112)의 일측에 관통된 음 배출공(113)으로 배출된다. 하우징 몸체(111)의 안쪽에는 폐쇄된 타측면에 가장 자리 위치에 충진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충진홈(118)은 하우징 공간(112)의 안쪽 면인 타측면에 벽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몸체(111)는 귀에 착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는 모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명세서의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음 배출체(114)는 하우징 몸체(111)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음 배출공(113)과 연통되어 있는 음 배출 공간(115)을 가진다. 음 배출체(114)는 귀 방향인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음 배출공(113)와 연통되어 음이 귀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음 배출체(114)의 바깥 둘레에는 이어 피스부(140)가 설치되는 피스 삽입홈(119)이 형성되어 있다. 음 배출체(114)는 하우징 몸체(111)와 이어 피스부(140)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어 피스부(1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우징 몸체(111)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커버(116)는 하우징 몸체(11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우징 공간(112)의 개방된 타측에 설치되어 있다. 커버(116)는 하우징 공간(112)의 안쪽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을 고정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덮개(117)는 하우징 몸체(111)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우징 공간(112)의 개방된 타측을 폐쇄시킨다. 덮개는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이 커버(116)로 하우징 공간(112)에 안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개방된 타측면에 설치되어 커버(116)를 하우징 공간(112)의 안쪽에 고정시킨다. 덮개(117)는 하우징 몸체(111)의 개방된 타측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고정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고, 내부 부품의 고장 시에 교체가 용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드라이버 유닛(120)은 각종 음향이 발생되는 장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전달된 신호에 따라 음이 발생된다. 이때, 음역대와 복수의 채널에서 발생된 음에 따라 발생시킬 수 있는 복수로 배치된다. 즉, 저 음역대와 고음역대 또는 다양한 음향 효과를 위해서 채널이 다른 음역대가 송신되는 각각의 신호를 수신되는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이 설치되어 별도의 회로 구성없이 다양한 음 대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된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은 하우징 공간(112)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커버(116)에 일측이 지지되어 각종 음향 장치에서 발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드라이버 유닛(120)에서 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은 음이 발생되어 외부로 전달되는 음 배출공(113)을 중심으로 방사상 위치에 배치되어 각각의 드라이버 유닛(120)에서 발생된 음이 음 배출공(113)을 거쳐서 음 배출체를 통과하여 귀로 전달될 수 있다. 드라이버 유닛(120)의 하우징 몸체(111) 방향으로 단면적이 축소되는 걸림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나타낸 드라이버 유닛(120)은 2개로 구비되어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드라이버 유닛(120)은 2개 이상의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드라이버 유닛(120)은 하우징 몸체(111)의 크기와 드라이버 유닛(120)의 크기에 따 라 설치될 수 있는 수량이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방음부(130)는 하우징 몸체(111)의 안쪽에 배치되는 방음 격벽(131), 지지턱(132), 방음체(133), 방음턱(134), 그리고 방음부 충진체(135)를 포함한다. 방음 격벽(131)은 하우징 몸체(11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우징 공간(112)의 안쪽으로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 사이를 차단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방음 격벽(131)은 복수로 구비되는 드라이버 유닛(120)의 수량에 따라 삽입 지지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방음 격벽(131)은 각각의 드라이버 유닛(120)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각각의 드라이버 유닛(120)에서 발생되는 음이 상호 중첩없이 독립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분리하고 있으며, 상호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도록 흡음될 수 있다.
지지턱(132)은 방음 격벽(131)의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이 삽입되는 위치의 안쪽으로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돌출되어 있으며,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이 삽입된 상태로 각 드라이버 유닛(120)이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삽입된 상태로 지지된다.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은 방음 격벽(131)에 삽입되어 지지턱(132)에 걸림 지지되면서 귀 방향인 일측이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높이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음의 위상 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음의 상호 중첩에 의한 음 손실을 방지시킬 수 있다.
방음체(133)는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과 하우징 몸체(11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과 하우징 공간(112)에 접촉되는 위치에 방음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방음체(133)는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이 하우징 공간(112)에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에서 발생된 음이 하우징 몸체(111)와 공진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축소시켜 흡입되는 효과가 향상된다. 즉,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 사이에 방음 격벽(131)이 설치되고, 드라이버 유닛(120)과 하우징 몸체(111) 사이에 방음체(133)가 설치되어 있어 각각의 드라이버 유닛(120)은 방음 격벽(131)과 방음체(133)가 감싸고 있어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에서 발생되는 음이 상호 중첩 없이 잡음을 흡음한 상태로 발생됨에 따라 발생되는 고유의 음이 발생되어 음의 선명도가 향상되고, 잡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방음 격벽(131)과 방음체(133)는 잡음을 흡수하고 원음을 충실히 얻기 위한 통상의 방음 재료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배플(Baffle)이 사용될 수 있다.
방음턱(134)은 방음체(133)의 타측 방향으로 중심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으며, 지지턱(132)이 지지되는 위치와 일치되도록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방음턱(134)은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의 하우징 공간(112) 부분이 걸림 지지되어 지지턱(132)에 걸림 지지된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의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은 방음 격벽(131)과 방음체(133)로 감싸도록 삽입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지지턱(132)과 방음턱(134)에 걸림 지지되어 음 배출구(113) 측인 일측이 위상 차를 축소시키는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면서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이 지지턱(132)과 방음턱(134)에 걸림 지지되어 있어 동일 선상에 위치하면서 유동이 방지될 수 있어 외부 충격에 의해 지지 위치가 이탈되지 않음에 따라 수명이 증대될 수 있다.
방음부 충진체(135)는 하우징 몸체(11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충진홈(118)의 삽입 설치되어 있다. 충진홈(118)은 하우징 공간(112)의 안쪽 면에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방음체(133)가 설치되는 하우징 공간(112)의 안쪽 벽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방음부 충진체(135)는 방음체(133)가 설치되는 하우징 공간(112)의 안쪽 벽면에 위치한 충진홈(118)에 삽입 설치되어 방음체(133)와 하우징 몸체(111) 사이에 간극의 발생을 최소화 하여 방음체(133)와 하우징 몸체(111) 사이에서 발생되는 음손실이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어 피스부(140)는 이어폰 장치(100) 장착 시에 귀에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피스체(141), 및 삽입 돌기(143)를 포함한다. 피스체(141)는 하우징 몸체(111)의 귀 방향인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안쪽으로 음 배출 공간(115)과 연통되는 피스 공간(142)을 가진다. 피스체(141)는 귀에 삽입되는 형태로 제작되어 있으며, 부상을 방지하도록 고무와 같은 연질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삽입 돌기(143)는 피스체(141)의 안쪽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음 배출체(114)의 바깥면에 형성된 피스 삽입홈(119)에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삽입 돌기(143)는 피스 삽입홈(119)에 삽입되어 피스체(141)가 음 배출체(114)의 바깥면에 고정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는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100)는 몸체부(110), 드라이버 유닛(120), 방음부(130), 그리고 이어 피스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부(110) 및 이어 피스부(140)와 드라이버 유닛(120) 및 방음부(130)의 일부 구성은 본 고안의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와 구성요소가 실질적으로 동일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드라이버 유닛(120)은 하우징 공간(112)의 안쪽으로 방사상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음 배출구(113)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커버(116)에 고정되어 있다. 본 다른 실시예에서 드라이버 유닛(120)은 3개의 드라이버 유닛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이는 일 실시예에서 2개 설치된 드라이버 유닛(120)이 3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을 일예로 도시한 것으로, 드라이버 유닛(120)은 2개 이상의 복수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즉, 3개의 드라이버 유닛(120)을 고정되는 커버공(115)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3개 이상의 드라이버 유닛(120)이 방사상으로 설치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시이다.
방음 격벽(131)과 방음체(133)는 드라이버 유닛(120)의 수량에 따라 각각 감쌀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각의 드라이버 유닛(120)이 음 배출구(113) 방향으로 동일 직선 위치가 되도록 삽입 지지되어 있다. 즉, 본 다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드라이버 유닛(120)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드라이버 유닛(120)이 방음 격벽(131)과 방음체(133)로 감싸여 음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고유의 음이 발생되고, 각각의 드라이버 유닛(120)이 음 배출구(113) 방향으로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여 위상 차를 최소화 하여 음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120)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면 3개 이상의 수량이 증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우징 공간(112)의 크기와 드라이버 유닛(120)의 크기에 따라 수량이 결정되는 것으로, 드라이버 유닛(120)이 설치될 수 있는 하우징 공간(112)이 구비될 수 있으면 3개 이상의 드라이버 유닛(120)이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2는 도 1의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어폰 장치 110 : 몸체부
111 : 하우징 몸체 112 : 하우징 공간
113 : 음 배출공 114 : 음 배출체
115 : 음 배출 공간 116 : 커버
117 : 덮개 118 : 충진홈
119 : 피스 삽입홈 120 : 드라이버 유닛
121 : 걸림부 130 : 방음부
131 : 방음 격벽 132 : 지지턱
133 : 방음체 134 : 방음턱
135 : 방음부 충진체 140 : 이어 피스부
141 : 피스체 142 : 피스 공간
143 : 삽입 돌기

Claims (6)

  1. 귀에 장착되어 음이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음을 발생시키는 이어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귀에 장착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안쪽에 타측이 개방되고, 일측으로 중앙에 음 배출공이 형성된 하우징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몸체,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귀에 삽입되도록 일측에 위치하고 있고, 안쪽에 상기 하우징 공간과 연통된 피스 공간을 가지는 피스체,
    상기 하우징 몸체의 안쪽에 배치하고 있으며, 상기 신호가 수신되어 음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
    복수의 상기 드라이버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드라이버 유닛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시키는 방음 격벽,
    상기 드라이버 유닛과 상기 하우징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 발생된 상기 음의 손실을 최소화 하도록 상기 하우징 몸체와의 접촉이 방지되는 방음체, 그리고
    상기 하우징 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공간의 타측을 밀폐시키도록 배치되는 덮개
    를 포함하며,
    상기 드라이버 유닛은 복수로 상기 하우징 공간에 배치되어 각각의 상기 드라이버 유닛 사이에 설치된 상기 방음 격벽과 상기 하우징 공간과 상기 드라이버 유닛 사이에 설치된 상기 방음체에 의해 각각의 상기 드라이버 유닛이 독립적으로 방음되면서 상기 음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드라이버 유닛은 복수로 상기 하우징 몸체의 안쪽에 상기 방음 격벽으로 상기 음이 발생되는 일측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발생되는 상기 음의 위상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타측이 하우징 공간과 연통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음 배출 공간을 가지고, 바깥 면으로 피스 삽입홈을 가지는 음 배출체, 및
    상기 피스체의 안쪽에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음 배출체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삽입 돌기
    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음 배출체는 상기 피스체와 상기 하우징 몸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피스체를 지지하면서 복수의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서 발생된 상기 음이 상기 귀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는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몸체와 상기 덮개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드라이버 유닛이 지지되도록 상기 하우징 공간에 타측에 배치되어 있는 커버를 더 구비하는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타측에는 단면적이 축소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음 격벽의 타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지지턱, 및
    상기 방음체의 타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방음턱
    을 더 구비하며,
    복수의 상기 드라이버 유닛은 상기 방음 격벽과 상기 방음체에 설치 시에 상기 걸림부가 상기 지지턱과 상기 방음턱에 걸림 지지될 수 있는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몸체의 안쪽에는 상기 하우징 공간의 타측면의 가장 자리 위치인 상기 방음체의 설치 방향으로 충진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충진홈에 삽입 설치되는 방음부 충진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방음부 충진체는 상기 충진홈에 설치되어 상기 방음체와 상기 하우징 몸체 사이에서 발생되는 간극이 최소화되어 음손실이 방지될 수 있는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드라이버 유닛은 상기 하우징 몸체의 안쪽에서 상기 하우징 공간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는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
KR2020090016510U 2009-12-17 2009-12-17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 KR2004543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510U KR200454312Y1 (ko) 2009-12-17 2009-12-17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510U KR200454312Y1 (ko) 2009-12-17 2009-12-17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383U true KR20110006383U (ko) 2011-06-23
KR200454312Y1 KR200454312Y1 (ko) 2011-06-27

Family

ID=44484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510U KR200454312Y1 (ko) 2009-12-17 2009-12-17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3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233B1 (ko) 2018-10-12 2019-11-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드라이버 이어폰
KR102202722B1 (ko) 2019-12-13 2021-01-13 (주)큐델릭스 헤드셋 장치에서 출력 신호를 적응적으로 교정하는 방법 및 헤드셋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615A (ko) * 1998-06-29 2000-01-15 김영환 3상태 출력 테스트장치
US20050018838A1 (en) * 2003-03-03 2005-01-27 Shure Incorporated Communications headset with isolating in-ear driver
JP5194434B2 (ja) * 2006-11-07 2013-05-08 ソニー株式会社 ノイズキャンセ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ノイズキャンセル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233B1 (ko) 2018-10-12 2019-11-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드라이버 이어폰
KR102202722B1 (ko) 2019-12-13 2021-01-13 (주)큐델릭스 헤드셋 장치에서 출력 신호를 적응적으로 교정하는 방법 및 헤드셋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312Y1 (ko) 2011-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82856A1 (en) Earphone
JP6380504B2 (ja) ヘッドホン
US9042589B2 (en) Custom fit in-ear monitors utilizing a single piece driver module
US8989424B2 (en) Earphone arrangements
CN104956685A (zh) 多驱动器耳塞
CN108810769B (zh) 扬声器模组
JP2012025388A (ja) 自動二輪車用スピーカシステム
KR101451687B1 (ko) 코엑셜 효과의 2웨이 스피커
CN111836160B (zh) 发声模组
US10448147B2 (en) Acoustic device having multiple diaphragms
KR200454312Y1 (ko) 다중 드라이버 유닛이 설치된 이어폰 장치
WO2014046137A1 (ja) スピーカ装置
US10721549B2 (en) Direct-radiating earphone drivers
EP3200476B1 (en) Headphone
RU2642904C2 (ru) Слухо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080199035A1 (en) In-Ear Phone
CN216930315U (zh) 扬声器及电子设备
JP6905181B2 (ja) ヘッドホン並びにスピーカーユニット
US20220038813A1 (en) Headphones
JP2019145965A (ja) イヤホン
KR101167910B1 (ko) 저음 또는 특저음 재생을 위한 미로구조를 가지는 헤드폰
KR20050103116A (ko) 이어폰용 통기공
CN112019984A (zh) 电子设备
JP2019145963A (ja) イヤホン
JP2019145964A (ja) イヤ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9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108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403

Effective date: 2020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