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222A -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222A
KR20110006222A KR1020090063745A KR20090063745A KR20110006222A KR 20110006222 A KR20110006222 A KR 20110006222A KR 1020090063745 A KR1020090063745 A KR 1020090063745A KR 20090063745 A KR20090063745 A KR 20090063745A KR 20110006222 A KR20110006222 A KR 20110006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battery
battery pack
partition wall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6928B1 (ko
Inventor
김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3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928B1/ko
Priority to US12/762,638 priority patent/US9112246B2/en
Publication of KR20110006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incorporated circuit board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 상에 베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배터리 셀의 전압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 되는 다수의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팩케이스에 형성된 표시부 및 상기 발광소자의 빛을 대응되는 상기 표시부로 안내하는 격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격벽에 의해 다수의 발광소자를 소정의 형상으로 배열시 발광소자의 빛이 이웃한 오프(off)된 발광소자의 표시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발광소자의 온/오프(on/off) 동작이 정확하게 표시부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정확한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Battery pack including remain capccity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발광소자인 엘이디(LED)를 다수개 배열하여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경우 발광소자의 빛이 퍼져 이웃한 발광소자의 온/오프(on/off) 동작이 부정확하게 표시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폰 또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팩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배터리 팩은 그 사용 가능 시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 전자 장치의 화면을 통해서 배터리 잔량이 표시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 잔량은 주지된 바와 같이 대부분 일정 길이의 바(bar) 형태로 표시되며, 그 배터리 팩의 잔량에 비례하여 바(bar)의 길이가 결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바(bar)의 길이를 보고 현재 배터리 팩의 잔량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배터리팩은 전자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만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즉, 배터리 팩이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되어 있거나 또는 전자 장치가 턴오프(turn off)된 상태에서는 그 배터리 팩의 잔량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근래에는 배터리팩에 다수의 발광소자인 엘이디와 표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형성하여 배터리팩이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되어 있어도 발광되는 엘이디의 개수 등에 의해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엘이디를 소정의 형상으로 배열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수의 엘이디를 배열하여 사용하는 경우 LED 빛이 퍼지면서 대응되는 엘이디 표시부뿐만 아니라 이웃한 오프(off)된 엘이디의 표시부에도 나타나 LED의 온/오프(on/off) 동작을 부정확하게 표시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엘이디와 표시부의 거리가 먼 경우 LED 빛의 간섭에 의한 LED의 온/오프(on/off) 동작의 부정확한 표시문제가 더욱 심화되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정확한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발광 소자인 엘이디를 소정의 형상으로 다수개 배열하여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경우 발광소자의 빛이 서로 이웃한 오프(off)된 발광소자의 표시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발광소자의 온/오프(on/off) 동작이 정확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정확한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충방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 상기 배터리 셀과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수용하는 팩케이스 및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 상에 상기 베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다수의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팩케이스에 형성된 표시부 및 상기 발광소자의 빛을 대응되는 상기 표시부로 안내하는 격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을 제공한다. 
상기 격벽은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 상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표시부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은 일단이 상기 표시부 하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로기판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서로 이웃하는 격벽들과 플레이트를 통해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은 서로 이웃하는 격벽들과 분리되게 형성될 수도 있 다. 상기 플레이트에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발광소자와 서로 이웃하는 발광소자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발광소자와 서로 이웃하는 발광소자의 사이에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발광소자가 없는 부위는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은 상기 회로기판을 기준으로 한 수평단면이 직선, 일부가 개방된 호 또는 일부가 개방된 다각형에서 선택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발광소자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은 상면과 하면이 관통되게 형성되거나, 하면에 발광소자의 빛이 상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격벽은 상기 회로기판을 기준으로 한 수평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에서 선택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는 일렬로 배열하여 고정하거나 적어도 세 개가 다각형의 모서리부에 해당되는 지점에 배열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의 고정은 접착제, 열융착, 접착테이프 또는 나사결합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에는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는 상기 스위치가 턴온(turn-on)되면 상기 발광소자가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의 상단부가 상기 팩케이스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셀 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은 다수의 발광소자를 소정의 형상으로 배열시 발광소자의 빛이 이웃한 오프(off)된 발광소자의 표시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 격벽을 포함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함으로서 발광소자의 온/오프(on/off) 동작이 정확하게 표시부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정확한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의 중복되는 설명은 가능한 하지 않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의 요부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격벽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충방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100)과, 상기 배터리 셀(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200), 상기 배터리 셀(100)과 상기 보호회로모듈(200)을 수용 하는 팩케이스(300) 및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터리 셀(100)은 통상의 충방전 가능한 전지로서, 각형, 원통형, 파우치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러한 전지 종류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셀(100)은 다수개가 직렬 또는/및 병렬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러한 연결 형태로도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호회로모듈(200)은 배터리 셀(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통상 기판 상에 PTC소자, 보호회로부 및 충방전단자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PTC소자(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는 과도한 온도 상승이나 과도한 전류가 흐를 경우 보호회로모듈(200)과 배터리 셀(100)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호회로부는 저항과 콘덴서 등의 수동소자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와 같은 능동소자 및 집적회로들이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회로부는 베터리 셀을 충전 또는 방전시키고, 베터리 셀의 과열이나 과전류 등의 상황에서 베터리 셀의 충방전 경로를 차단하여 베터리 셀의 수명 열화, 과열 및, 폭발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충방전단자는 외부기기의 단자와 접촉하는 부위로서 외부기기를 통하여 충전 또는 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팩케이스(300)는 내부에 상기 배터리 셀(100)과 상기 보호회모듈 및 상기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400)의 일부 구성요소가 내장된다. 상기 팩케이스(300)는 도면에서 대략의 육면체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적용되는 전자 장치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400)는 회로기판(410)과 다수의 발광소자(420), 표시부(430) 및 격벽(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로기판(410)은 발광소자(420)가 고정되는 곳으로서, 전압에 따라 특정 개수의 발광소자(420)가 온(On) 또는 오프(Off)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배터리 셀(100)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420)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도록 하는 것은 공지의 기술을 적용하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전압에 따라 특정 개수의 발광소자(420)가 온(On) 또는 오프(Off)될 수 있도록 한 제어부를 상기 회로기판(410) 상에 구현한 다음, 기준전압과 현재전압의 비교를 통하여 현재의 전압에 해당되는 개수의 발광소자(420)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당해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을 적용하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회로기판(410)에는 스위치(411)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411)가 턴온(turn-on)되면 상기 발광소자(420)가 상기 배터리 셀(100)의 전압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411)의 상단부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팩케이스(300)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로기판(410)은 상기 배터리 셀(100)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형성하여 상기 발광소자(420)가 상기 배터리 셀(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410)이 상기 보호회로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형성하여 상기 발광소자(420)가 상기 보호회로모듈(200)을 통해 상기 배터리 셀(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10)과 보호회로모듈(200) 또는 상기 회로기판(410)과 배터리 셀(100)의 전기적인 연결은 도전성와이어나 전선 등을 통해 용접 등의 공지기술을 적용하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기한 회로기판(410)과 보호회로모듈(200) 또는 상기 회로기판(410)과 배터리 셀(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와이어나 전선 등의 전기적인 연결수단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광소자(420)는 회로기판(410)에 소정의 형상으로 배열되며, 배터리 셀(100)의 전압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되어 상기 표시부(430)를 통해 현재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광소자(420)는 통상의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이엘(EL), 램프 또는 그 등가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광소자(420)의 배열은 다양한 형태의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발광소자(420)는 적어도 세 개가 다각형의 모서리부에 해당되는 지점에 배열한 후 고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발광소자(420)가 네 개인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모서리부에 해당되는 지점에 각각 네 개의 발광소자(420)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한 후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발광소자(420)가 다섯 개인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오각형의 모서리에 해당되는 지점에 각각 다섯 개의 발광소자(420)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한 후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430)는 상기 발광소자(420)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팩케이스(30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발광소자(420)의 빛을 상기 팩케이스(300)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430)를 통해 현재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시부(43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발광소자(420)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430)는 상기 회로기판(410) 상에 배열되는 발광소자(42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소자(420)가 사각형의 모서리부에 해당되는 네 개의 지점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경우 상기 표시부(4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가 도넛형상으로 연결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발광소자(420)가 사각형의 모서리부에 해당되는 네 개의 지점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될 경우 상기 표시부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중앙에 사각모양의 스위치가 형성되고 그 스위치 주위에 전체의 표시부 형태가 사각형이 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표시부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시부(430)는 팩케이스(300)에 상기 표시부(430)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홀을 형성한 다음 별도로 형성된 표시부(430)를 고정하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30)의 고정은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부착하거나 그 외 다양한 공지의 부착방법을 통해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30)는 합성수 지 등을 사용하여 사출성형하는 등의 방법을 적용하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43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배터리 잔량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430)의 상단부가 팩케이스(300)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격벽(440)은 발광소자(420)의 빛을 대응되는 해당 표시부(43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격벽(440)은 다수의 발광소자(420)를 소정의 형상으로 배열시 상기 발광소자(420)의 빛이 서로 이웃한 오프(off)된 발광소자(420a)의 표시부(430)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대응되는 해당 표시부(430)에 나타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상기 격벽(440)은 발광소자(420)의 온/오프(on/off) 동작이 대응되는 해당 표시부(430)에 정확하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기 격벽(4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부(441)가 상기 회로기판(410) 상에 고정되고 제2단부(442)는 상기 표시부(43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단부(44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430)에 닿지 않게 형성하거나 상기 표시부(430)에 닿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단부(442)가 상기 표시부(430)에 닿을 경우 상기 발광소자(420)의 빛이 서로 이웃한 오프(off)된 발광소자(420a)의 표시부(430)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아 상기 발광소자(420)의 온/오프(on/off) 동작이 보다 정확하게 표시부(430)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격벽(440)은 발광소자(420)의 빛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발 광소자(420)와 서로 이웃하는 발광소자(420a)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440)은 발광소자(420)의 개수 및 배열에 따라 다양한 구조와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440)은 이웃하는 격벽(440a)들과 플레이트(443)를 통해 연결되어 일체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격벽(440)은 플레이트(443)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지 않고 이웃하는 격벽들과 분리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격벽(440)이 이웃하는 격벽들과 분리된 경우 각각의 격벽을 발광소자(420)와 그에 이웃하는 발광소자(420a) 사이에 일일이 고정시켜야 하지만, 상기 격벽(440)이 이웃하는 격벽(440a)들과 플레이트(443)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443)의 고정을 통해 다수의 격벽(440)을 한번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격벽(440)은 이웃하는 격벽(440a)들과 플레이트(440a)를 통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격벽(440)이 이웃하는 격벽(440a)들과 플레이트(443)를 통해 연결된 경우 취급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플레이트(443)에는 관통홀(44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444)은 스위치(411)를 회로기판(410)에 연결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격벽(440)은 발광소자(420)와 그에 이웃한 발광소자(420a)의 사이에 형성되고, 그에 이웃한 발광소자가 없는 부위는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440)은 후면이 개방된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격벽(440)은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격벽(440)은 상기 회로기판(410)을 기준으로 한 수평단면이 직선, 일부가 개방된 호 또는 일부가 개방된 다각형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격벽(440)은 격벽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의 절감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한 격벽(440)은 사출성형을 통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격벽(440)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가격, 취급 및 고정의 편의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는 아크릴, 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가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합성수지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격벽(44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격벽(440)을 회로기판(410)에 고정하는 방법은 그 재질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벽(440)이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경우 접착제, 열융착, 접착테이프 또는 나사결합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회로기판(4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격벽(440)이 금속재질인 경우 납땜 등의 용접 의한 방법으로 격벽(440)을 회로기판(410)에 고정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격벽이 회로기판 상에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격벽의 고정위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에 구비된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는 회로 기판(410)과, 다수의 발광소자(420), 표시부(430) 및 격벽(5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격벽(540)의 형성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차이나는 격벽(540)의 형성위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격벽(540)은 제2단부(542)가 표시부(430) 하부에 고정되고, 제1단부(541)는 회로기판(41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격벽(540)의 제2단부(542)가 표시부(430) 하부에 고정되고 제1단부(541)가 회로기판(41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경우 발광소자(420)의 빛이 이웃한 오프(off)된 발광소자(420a)의 표시부(430)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발광소자(420)의 온/오프(on/off) 동작이 정확하게 해당 표시부(430)에 표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정확한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단부(54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410)에 닿지 않게 형성하거나 회로기판(410)에 닿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제1단부(541)가 회로기판(410)에 닿을 경우 발광소자(420)의 빛이 이웃한 오프(off)된 발광소자(420a)의 표시부(430)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아 발광소자(420)의 온/오프(on/off) 동작이 보다 정확하게 표시부(430)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정확한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격벽은 보다 다양한 구조와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격벽의 다른 구조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에서 격벽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에서 격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640,740)은 발광소자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640,740)이 발광소자의 둘레를 감싸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격벽(640,740)은 상면과 하면이 관통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하면에 발광소자의 빛이 상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가이드홀(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640,740)은 상면과 하면이 관통되는 원통 또는 육면체의 형상이 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을 기준으로 한 그 수평단면이 원,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640,740)이 발광소자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경우 발광소자의 빛은 대응되는 표시부에 도달하여 나타남으로써 상기 발광소자의 빛이 이웃한 오프(off)된 발광소자의 표시부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발광소자의 온/오프(on/off) 동작이 보다 정확하게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보다 정확한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격벽(640,740)은 이웃하는 격벽들과 분리되게 형성하거나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격벽들과 플레이트를 통해 연결되어 일체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일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격벽의 배열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격벽의 배열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에서 발광소자 배열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격벽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420)는 일렬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소자(420)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세 개가 다각형의 모서리부에 해당되는 지점에 배열한 후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발광소자(420)를 일렬로 배열한 후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격벽(540)의 배열형태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차이나는 격벽(840)의 배열형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발광소자(420)가 일렬로 배열되는 경우 격벽(840)은 이에 대응되게 발광소자(420)와 발광소자(420a)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격벽(840)은 이웃하는 격벽(840a)과 플레이트(843)를 통해 연결되어 일체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이(420) 플레이트(843)를 통해 이웃하는 격벽(840a)과 연결되는 경우 플레이트(843) 상에는 회로기판상(410)에 고정된 발광소자(420)의 빛이 플레이트(843) 상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가이드홀(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표시부 역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광소자(420)가 일렬로 배열되는 경우에도 상기 격벽(840)에 의해 발광소자(420)의 빛이 이웃한 오프(off)된 발광소자(420a)의 표시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발광소자(420)의 온/오프(on/off) 동작이 정확하게 대응되는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정확한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부호 411은 스위치를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격벽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에서 격벽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에서 격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에서 발광소자 배열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격벽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터리 셀
200 : 보호회로모듈
300 : 팩케이스
400 :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
410 : 회로기판               411 : 스위치
420 : 발광소자               430 : 표시부
440,540,640,740,840 : 격벽
441,541 : 제1단부           442,542 : 제2단부
443,843 : 플레이트 444 : 관통홀

Claims (19)

  1. 충방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베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
    상기 배터리 셀과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수용하는 팩케이스; 및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 상에 상기 베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 되는 다수의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팩케이스 외부에 형성된 표시부 및 상기 발광소자의 빛을 대응되는 상기 표시부로 안내하는 격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 상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표시부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일단이 상기 표시부 하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로기판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서로 이웃하는 격벽들과 플레이트를 통해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서로 이웃하는 격벽들과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발광소자와 서로 이웃하는 발광소자의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발광소자와 서로 이웃하는 발광소자의 사이에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발광소자가 없는 부위는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회로기판을 기준으로 한 수평단면이 직선, 일부가 개방된 호 또는 일부가 개방된 다각형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발광소자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면과 하면이 관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하면에 발광소자의 빛이 상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회로기판을 기준으로 한 수평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일렬로 배열한 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적어도 세 개가 다각형의 모서리부에 해당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배열한 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고정은 접착제, 열융착, 접착테이프 또는 나사결합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7.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는 스위치가 구 비되고, 상기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는 상기 스위치가 턴온(turn-on)되면 상기 발광소자가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상단부가 상기 팩케이스 외부에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KR1020090063745A 2009-07-13 2009-07-13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 KR101126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745A KR101126928B1 (ko) 2009-07-13 2009-07-13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
US12/762,638 US9112246B2 (en) 2009-07-13 2010-04-19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gau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745A KR101126928B1 (ko) 2009-07-13 2009-07-13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222A true KR20110006222A (ko) 2011-01-20
KR101126928B1 KR101126928B1 (ko) 2012-03-20

Family

ID=43427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745A KR101126928B1 (ko) 2009-07-13 2009-07-13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12246B2 (ko)
KR (1) KR1011269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310A (ko) 2018-05-28 2019-12-06 김성준 배터리 잔량 표시 리모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4990B2 (ja) * 2011-05-31 2015-09-24 矢崎総業株式会社 充電表示装置
GB2502819B (en) 2012-06-08 2015-09-23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and a battery pack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0615Y2 (ja) * 1977-04-04 1983-11-17 古河電池株式会社 浮遊式金属−空気電池
US4876513A (en) 1988-12-05 1989-10-24 Globe-Union Inc. Dynamic state-of-charge indicator for a battery and method thereof
JPH0644956A (ja) 1992-07-21 1994-02-18 Sony Corp バッテリーパック
US5459671A (en) 1993-02-19 1995-10-17 Advanced Micro Devices, Inc. Programmable battery controller
US5583744A (en) * 1994-09-06 1996-12-10 Citizen Watch Co., Ltd. Portable computer with detachable battery pack
JP2002190327A (ja) 2000-12-20 2002-07-05 Nec Tokin Tochigi Ltd 電池パック
JP3832426B2 (ja) 2002-12-10 2006-10-11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表示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568016B2 (ja) * 2004-04-30 2010-10-27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とこの表示装置を備えるパック電池
KR20060098169A (ko) 2005-03-10 2006-09-18 브이케이 주식회사 일차원 배열의 엘이디어레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팩
JP4561542B2 (ja) * 2005-09-02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
KR100917752B1 (ko) * 2007-09-21 2009-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TWI378573B (en) * 2007-10-31 2012-12-01 Young Lighting Technology Corp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310A (ko) 2018-05-28 2019-12-06 김성준 배터리 잔량 표시 리모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07501A1 (en) 2011-01-13
US9112246B2 (en) 2015-08-18
KR101126928B1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752B1 (ko) 이차전지
KR101502901B1 (ko) 전지 팩
KR102152364B1 (ko) 배터리 팩
KR102028170B1 (ko) 셀 밸런싱 회로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101193173B1 (ko) 회로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지 팩
KR102248597B1 (ko) 배터리 팩
US20220223949A1 (en) Battery pack and electric device
KR101192042B1 (ko) 배터리 팩
KR101023910B1 (ko) 배터리 팩
KR20090080877A (ko) 배터리 팩 및 배선 기판
TWI462376B (zh) Battery pack
US20110156654A1 (en) Protection circuit for battery pack
JP2021122017A (ja) 蓄電装置
US10079376B2 (en) Battery pack
KR101126928B1 (ko)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팩
CN101271990A (zh) 电池充电器
KR102183995B1 (ko) 배터리 팩
US8785016B2 (en) Battery pack
KR101023898B1 (ko) 이차 전지
US20160013524A1 (en) Battery pack
CN104282870A (zh) 电池组
KR101223733B1 (ko) 전극 연결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US8679657B2 (en) Battery pack
KR102391116B1 (ko) 배터리 모듈
KR20150005288A (ko) 배터리 팩 및 이에 적용되는 보호회로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