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193U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193U
KR20110006193U KR2020090016267U KR20090016267U KR20110006193U KR 20110006193 U KR20110006193 U KR 20110006193U KR 2020090016267 U KR2020090016267 U KR 2020090016267U KR 20090016267 U KR20090016267 U KR 20090016267U KR 20110006193 U KR20110006193 U KR 201100061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toothbrush
washing water
handl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4643Y1 (ko
Inventor
유창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90016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64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1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1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6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7Brushes fitted with a drinking device, i.e. brushes with devices allowing drink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specially adapted to feed the bristle upper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치아에 직접 접촉하는 칫솔모(110)와, 상기 칫솔모(110)가 모집된 헤드부(120)와, 상기 헤드부(120)에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부(130)와, 상기 손잡이부(1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40)와, 상기 유입구(140)와 대향되는 손잡이부(130)의 타측에 형성되어 유입구(140)로 공급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구(150)와, 상기 유입구(140)와 배출구(150)를 연결하도록 손잡이부(130)의 내부에 형성되는 배출 유로(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이 개시된다. 이에 따라 입안을 헹굴 세척수를 받아 놓는 컵이 없는 상황에서도 수도꼭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을 이용하여 입안을 헹구기 위한 세척수를 일정 높이와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여행과 직무상 출장 등과 같은 휴대 물품을 간소화시켜 사용자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컵을 휴대할 필요가 없어 휴대 물품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칫솔, 양치질, 헹굼, 양칫물, 가글, 세척수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고안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치질을 할 때 사용되는 칫솔에 입안을 헹굴 때 사용되는 세척수가 분출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한 세척수가 분출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약과 더불어 사용되는 구강위생의 용구로서, 치아에 직접 접촉하여 청소하는 칫솔모가 구비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연장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인 손잡이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칫솔은 치약을 칫솔모에 일정량 묻힌 후 입안에 넣은 칫솔모와 치아를 접촉시켜 닦고, 혀와 잇몸을 마사지하듯 문질러 구강 내의 세균 번식을 억제하고, 음식을 섭취한 후에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게 된다.
이렇게, 종래의 칫솔을 이용하여 칫솔질을 한 후에는 치약으로 인해 발생된 거품과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구강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컵에 세척수를 받 아 입안에 머금고 우물거리는 행위를 수차례 반복하여 입안의 치약 거품과 음식물 찌꺼기를 구강의 외부로 뱉어낸다.
이와 같이, 양치질을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칫솔과 치약 및 입안을 헹굴 세척수를 받아 저장하기 위한 컵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여행과 직무상 출장 등과 같은 휴대 물품을 간소화시켜 사용자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칫솔과 치약은 챙기더라도 컵과 같은 세척수를 받아 저장하기 위한 컵은 휴대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컵과 같은 세척수를 받아 저장하기 위한 컵은 양치질을 하기 위한 용품 중 그 부피가 칫솔과 치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준비하지 않고 여행지 또는 출장지의 숙소에 비치된 컵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여행지 또는 출장지에 비치된 컵은 다른 여러 사람이 사용하고, 위생관리가 철저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여러 사람의 입과 접촉한 컵에 건강에 이롭지 못한 불순한 세균이 번식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또한, 컵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돗물이 나오는 수도꼭지에 입을 가깝게 접근시켜 수도꼭지에서 직접 공급되는 수돗물로 입안을 헹구게 되는데, 이와 같이 수도꼭지에 입을 가깝게 접근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허리를 숙여 입을 수도꼭지의 하방에 위치시켜야 함으로써, 허리를 숙일 수 없는 몸이 불편한 사용자 내지 유아들은 컵을 사용치 않고는 입안을 헹굴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양치질 후의 칫솔은 물기가 남아 있게 되는데, 칫솔 사용 후 칫솔모를 완전하게 건조하지 않은 상태로 보관하게 되는 경우 칫솔모에 남은 물기와 칫솔모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 및 잔존하는 치약 거품 등이 세균이 번식하기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게 됨으로써 칫솔모로부터 악취를 유발하거나 세균 번식의 온상이 될 염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수를 받아 저장하는 컵이 없어도 양치질 후 세척수로 입안을 헹굴 수 있도록 수도꼭지로부터 하방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사용자의 입안으로 유도시킬 수 있도록 칫솔의 내부에 세척수를 분출하는 유로를 형성한 칫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양치질 후에 칫솔모 사이에 잔존하는 음식물 찌꺼기 내지 치약 거품을 완전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칫솔모가 형성된 헤드부로부터 세척수가 분출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 칫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치아에 직접 접촉하는 칫솔모(110)와, 상기 칫솔모(110)가 모집된 헤드부(120)와, 상기 헤드부(120)에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부(130)와, 상기 손잡이부(1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40)와, 상기 유입구(140)와 대향되는 손잡이부(130)의 타측에 형성되어 유입구(140)로 공급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구(150)와, 상기 유입구(140)와 배출구(150)를 연결하도록 손잡이부(130)의 내부에 형성되는 배출 유로(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150)가 형성된 손잡이부(130)의 표면에 손잡이부(130) 의 표면보다 돌출 형성된 둔덕부(15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 유로(160)에서 배출구(150)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배출 가압부(16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칫솔모(110)가 모집된 헤드부(120)에 형성되어 유입구(140)로 공급된 세척수를 칫솔모(110)를 향해 배출하는 세척구(170)와, 상기 세척구(170)와 유입구(140)를 연결하도록 손잡이부(1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 유로(18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 유로(180)에서 세척구(170)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세척 가압부(18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칫솔에 의하면, 입안을 헹굴 세척수를 받아 놓는 컵이 없는 상황에서도 수도꼭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을 이용하여 입안을 헹구기 위한 세척수를 일정 높이와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여행과 직무상 출장 등과 같은 휴대 물품을 간소화시켜 사용자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컵을 휴대할 필요가 없어 휴대 물품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양치질 후에 칫솔모 사이에 잔존하는 음식물 찌꺼기와 치약 거품을 강한 수압을 갖는 세척수로 씻어내어 칫솔모를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칫솔(100)은, 치아에 직접 접촉하는 칫솔모(110)와, 다수의 칫솔모(110)가 모집된 헤드부(120)와, 상기 헤드부(120)에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부(130)와, 상기 손잡이부(1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40)와, 상기 유입구(140)와 대향되는 손잡이부(130)의 타측에 형성되어 유입구(140)로 공급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구(150)와, 상기 유입구(140)와 배출구(150)를 연결하도록 손잡이부(130)의 내부에 형성되는 배출 유로(16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칫솔모(110)와 헤드부(120) 및 손잡이부(130)로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칫솔(100)은 입안을 헹굴 세척수를 받아 저장하는 컵이 없어도 공급되는 세척수를 사용자가 입안에 머금을 수 있도록 수도꼭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사용자의 입안을 향해 분출시킬 수 있도록 유입구(140)와 배출구(150) 및 배출 유 로(160)가 손잡이부(130)에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40)는 손잡이부(130)의 일측 표면에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유입구(140)는 손잡이부(130)의 표면으로부터 손잡이부(130)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손잡이부(130)의 표면에서 내부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상기 유입구(140)가 손잡이부(130)의 표면에서 내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게 되면, 수도꼭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유입구(140)가 형성된 손잡이부(130)의 표면에 닿았을 때 손잡이부(130)의 표면을 따라 흘러 유입구(140)로 공급되기 용이하다.
한편, 상기 유입구(140)로 공급된 세척수를 사용자의 입안을 향해 분출시켜 컵이 없어도 입안을 헹굴 수 있도록 유입구(140)와 대향되는 손잡이부(130)의 타측에는 배출구(15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150)는 공급된 세척수를 일정 각도로 분출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130)의 내측에서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유입구(140)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를 사용자의 입안을 향해 분출시키도록 형성된 배출구(150)는 손잡이부의 표면보다 돌출 형성된 둔덕부(152)에 마련된다.
상기 둔덕부(152)는 수도꼭지에서 유입구(140)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손잡이부(130)의 표면을 타고 흘러 배출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30)의 표면보다 둔덕부(152)가 돌출 형성되고, 상 기 둔덕부(152)의 중앙에 배출구(15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130)의 표면보다 돌출 형성된 둔덕부(152)가 형성됨으로써, 수도꼭지에서 유입구(140)를 향해 공급되는 세척수가 손잡이부(130)의 표면을 타고 흘러 배출구(150)로 향하게 되더라도 둔덕부(152)에 막혀 세척수가 배출구(15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30)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유입구(140)와 배출구(150)를 연결하여 유입구(140)로 공급된 세척수를 배출구(150)로 분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130)의 내부에는 유입구(140)와 배출구(150)를 연결하는 배출 유로(160)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배출 유로(160)에는 배출구(150)로 분출되는 세척수가 일정 높이로 솟아오를 수 있도록 유입구(140)에서 배출 유로(160)로 흐르는 세척수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한 배출 가압부(162)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 가압부(162)는 상기 배출 유로(160)에서 배출구(150)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수도꼭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유입구(140)를 통해 배출 유로(160)를 따라 흘러 배출 가압부(162)에 이르게 되면, 배출 가압부(162)에서 세척수의 유속을 증가시켜 배출구(150)를 통해 분출되는 세척수를 일정 높이로 솟아오르게 하여 사용자가 허리를 많이 숙이지 않아도 세척수가 사용자의 입안을 향해 분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사용을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사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치약을 칫솔모에 일정량 묻힌 후 입안에 넣은 칫솔모(110)와 치아를 접촉시켜 닦고, 혀와 잇몸을 마사지하듯 문질러 양치질하게 된다.
그리고, 입안에 잔존하는 음식물 찌꺼기와 치약 거품을 구강 외부로 뱉어내기 위해 세척수로 입안을 헹구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손으로 잡고 있던 손잡이부(130)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10)에 설치된 수도꼭지(20)의 하방에 위치시켜 수도꼭지(20)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손잡이부(130)에 형성된 유입구(14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수도꼭지(20)의 하방에 칫솔(100)의 손잡이부(130)가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는 수도꼭지(20)를 틀어 세척수를 손잡이부(130)에 형성된 유입구(140)로 낙하시키게 되는데, 수도꼭지(2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는 일정한 수압을 갖고 낙하되기 때문에 세척수의 일부가 손잡이부(130)의 표면에 형성된 유입구(140)로 흘러 들어 간다.
상기와 같이, 유입구(140)로 공급된 세척수는 손잡이부(130)의 내부에 형성된 배출 유로(160)를 따라 배출구(150)를 향해 흐르게 된다. 이때, 세척수가 배출 유로(160)와 배출구(150) 사이에 형성된 배출 가압부(162)를 지나면서 유속이 증가하여 배출구(150)를 통해 분출되는 세척수를 일정 높이로 솟아오르게 된다.
이와 같이, 배출구(150)를 통해 솟아오르는 세척수에 사용자의 입을 데고 세척수를 머금고 우물거리는 행위를 수차례 반복하여 구강 내에 잔존하는 음식물 찌꺼기와 치약 거품을 구강의 외부로 뱉어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칫솔에 의하면, 입안을 헹굴 세척수를 받아 놓는 컵이 없는 상황에서도 수도꼭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을 이용하여 입안을 헹구기 위한 세척수를 일정 높이와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여행과 직무상 출장 등과 같은 휴대 물품을 간소화시켜 사용자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컵을 휴대할 필요가 없어 휴대 물품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에 따른 칫솔(100)은 유입구(140)로 공급된 세척수의 일부를 사용자의 입안을 헹구기 위해 손잡이부(130)의 내부에 형성된 배출 유로(160)로 흐르게 하고, 유입구(140)로 공급된 세척수의 다른 일부를 칫솔모(110)를 세척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손잡이부(130)의 표면에 형성된 유입구(140)를 중심으로 손잡이부(130)가 형성된 방향으로 배출 유로(160)와 배출구(150)가 형성되고, 칫솔모(110)가 형성된 헤드부(120)를 향해 세척 유로(180)와 세척구(170)가 형성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세척구(170)는 칫솔모(110)가 모집된 헤드부(120)의 표면에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세척구(170)는 헤드부(120)의 표면으로부터 헤드부(120)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이때 상기 세척구(170)는 칫솔 모(110)를 향해 세척수를 비산시켜 분출시킬 수 있도록 헤드부(120)의 표면에서 내부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30)에 형성된 유입구(140)와 헤드부(120)에 형성된 세척구(170)를 연결하여 유입구(140)로 공급된 세척수를 세척구(170)로 분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130)와 헤드부(120)의 내부에는 유입구(140)와 세척구(170)를 연결하는 세척 유로(180)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세척 유로(180)에는 세척구(170)로 분출되는 세척수가 일정 수압으로 다수의 칫솔모(110)를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 유로(180)에서 세척구(170)로 흐르는 세척수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한 세척 가압부(182)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세척 가압부(182)는 세척 유로(180)에서 세척구(170)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수도꼭지로부터 일정 압력으로 유입구(140)로 공급된 세척수의 일부가 입안을 헹구기 위해 손잡이부(130)에 형성된 배출구(150)를 향해 흐르게 되고, 세척수의 다른 일부가 세척 유로(180)를 따라 흘러 세척 가압부(182)에 이르게 되면서 압력이 증가하여 세척구(170)을 통해 분출되는 세척수는 강한 수압으로 칫솔모(110)를 세척하게 된다.
이렇게, 칫솔모(110)가 모집된 헤드부(120)의 표면으로부터 강한 수압을 갖는 세척수가 칫솔모(110)를 향해 분출됨으로써, 양치질 후에 칫솔모(110) 사이에 잔존하는 음식물 찌꺼기와 치약 거품을 강한 수압을 갖는 세척수로 씻어내어 칫솔모(110)를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사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칫솔 110 : 칫솔모
120 : 헤드부 130 : 손잡이부
140 : 유입구 150 : 배출구
152 : 둔덕부 160 : 배출 유로
162 : 배출 가압부 170 : 세척구
182 : 세척 가압부 180 : 세척 유로

Claims (5)

  1. 치아에 직접 접촉하는 칫솔모(110)와,
    상기 칫솔모(110)가 모집된 헤드부(120)와,
    상기 헤드부(120)에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부(130)와,
    상기 손잡이부(1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40)와,
    상기 유입구(140)와 대향되는 손잡이부(130)의 타측에 형성되어 유입구(140)로 공급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구(150)와,
    상기 유입구(140)와 배출구(150)를 연결하도록 손잡이부(130)의 내부에 형성되는 배출 유로(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50)가 형성된 손잡이부(130)의 표면에 손잡이부(130)의 표면보다 돌출 형성된 둔덕부(15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160)에서 배출구(150)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 지는 배출 가압부(16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110)가 모집된 헤드부(120)에 형성되어 유입구(140)로 공급된 세척수를 칫솔모(110)를 향해 배출하는 세척구(170)와,
    상기 세척구(170)와 유입구(140)를 연결하도록 손잡이부(1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 유로(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세척 유로(180)에서 세척구(170)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세척 가압부(18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2020090016267U 2009-12-14 2009-12-14 칫솔 KR2004646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267U KR200464643Y1 (ko) 2009-12-14 2009-12-14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267U KR200464643Y1 (ko) 2009-12-14 2009-12-14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193U true KR20110006193U (ko) 2011-06-22
KR200464643Y1 KR200464643Y1 (ko) 2013-01-11

Family

ID=49295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267U KR200464643Y1 (ko) 2009-12-14 2009-12-14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6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8471A1 (ko) * 2015-05-07 2016-11-10 이현정 세정기능을 가지는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586B1 (ko) * 2013-10-24 2015-05-26 오인수 헹굼용 컵이 필요없는 기능성 칫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913Y1 (ko) * 2000-12-27 2001-07-03 백형기 칫솔모 사이로 세척수가 분사되는 칫솔
KR20060015420A (ko) * 2005-04-09 2006-02-17 이상숙 양칫물도구겸 칫솔
US20070237567A1 (en) * 2006-04-11 2007-10-11 Amron Scott L Fountain toothbrush
US7607851B2 (en) 2006-04-11 2009-10-27 Amron Scott L Fountain toothbrus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8471A1 (ko) * 2015-05-07 2016-11-10 이현정 세정기능을 가지는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643Y1 (ko) 201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1153B1 (en) Disposable toothbrush apparatus
US4429434A (en) Toothbrush
US20150074926A1 (en) Portable toothbrush
JP2018531130A (ja) オゾン処理水を使用する歯清掃デバイス
JP2018531130A6 (ja) オゾン処理水を使用する歯清掃デバイス
KR200464643Y1 (ko) 칫솔
JP2002045378A (ja) 口腔洗浄装置
US11877644B2 (en) Brush holding and sterilizing device
KR200472529Y1 (ko) 휴대용 칫솔
KR20120105287A (ko) 칫솔살균기
US3361355A (en) Combination toothbrush and sipping tube
KR200476545Y1 (ko) 치간칫솔
KR20110027273A (ko) 양치용 컵
KR200472528Y1 (ko) 휴대용 칫솔
CN200938928Y (zh) 一种带水杯的牙刷
KR200408887Y1 (ko) 치약을 내장한 구강세정기
KR101993996B1 (ko) 입술 세척솔을 구비한 칫솔
KR101732647B1 (ko) 물을 이용한 양치가 가능한 칫솔
KR200381095Y1 (ko) 양칫물도구겸 칫솔
KR101522586B1 (ko) 헹굼용 컵이 필요없는 기능성 칫솔
KR20060015420A (ko) 양칫물도구겸 칫솔
KR200383262Y1 (ko) 양칫물 사용구
JP6765768B2 (ja) 洗浄器具
CN203073499U (zh) U型卫生牙刷
KR20120003749U (ko) 위생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