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133A - 입체영상용 편광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입체영상용 편광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133A
KR20110005133A KR1020090062682A KR20090062682A KR20110005133A KR 20110005133 A KR20110005133 A KR 20110005133A KR 1020090062682 A KR1020090062682 A KR 1020090062682A KR 20090062682 A KR20090062682 A KR 20090062682A KR 20110005133 A KR20110005133 A KR 20110005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es
polarization
polarizing
spectacle frame
stereoscop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2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133A/ko
Publication of KR20110005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영상용 편광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입체영상용 편광안경은 서로 다른 방향의 편광을 투과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편광렌즈와, 입체 영상을 인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가 각각 좌안 또는 우안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의 중심축들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경테, 및 상기 안경테가 회전하면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를 상기 중심축들을 중심으로 각각 상기 안경테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입체영상용 편광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POLARIZED GLASSES FOR STEREOSCOPIC IMAGE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 렌즈가 장착되는 편광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시대가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현실감있는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감있는 영상을 구현하는 장치의 일 예로서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있다.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좌안 및 우안 영상을 서로 다른 편광 방향으로 편광시켜서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장치(예를 들어, 입체 프로젝터, 입체 프로젝션 텔레비전 및 입체 디지털 텔레비젼)와, 좌안 및 우안 영상을 각각 좌안 및 우안에서 인지하도록 편광렌즈들이 장착된 편광안경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기술 분야에는 보다 현실에 가까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시도 중의 하나로 편광안경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입체영상을 인지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편광을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입체영상용 편광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광안경의 편광투과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입체영상용 편광안경은 서로 다른 방향의 편광을 투과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편광렌즈와, 입체 영상을 인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가 각각 좌안 또는 우안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의 중심축들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경테, 및 상기 안경테가 회전하면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를 상기 중심축들을 중심으로 각각 상기 안경테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따르면, 입체영상용 편광안경은 감지센서 및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감지센서는 상기 안경테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상기 안경테에 장착된다. 제어유닛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안경테의 회전에 대응하는 출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가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한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가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복수의 렌 즈 테두리들을 연결하는 연결다리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따르면, 상기 구동유닛은 모터 및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한다. 모터는 회전력을 생성하고, 동력전달 기구는 상기 모터와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력을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감지센서의 출력신호를 상기 모터의 전압으로 변환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 기구는 제1 및 제2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는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의 외주에 장착되고, 제2 기어는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따르면, 상기 감지센서의 출력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고, 상기 제어유닛은 디지털 변환기, 신호 처리기 및 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한다. 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신호 처리기는 상기 디지털 신호로부터 상기 안경테의 회전 정도를 산출하고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아날로그 변환기는 상기 처리기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따르면, 상기 안경테는 복수의 렌즈 테두리들 및 연결다리를 포함한다. 복수의 렌즈 테두리들에는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되는 홈이 내주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홈에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가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연결다리는 상기 렌즈 테두리들을 연결한다. 상기 구동유닛은 질량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질량체들은 상기 안경테가 회전하면 중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의 외주에 각각 인접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시한다.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서로 다른 편광으로 형성되는 좌안 및 우안 영상을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장치, 및 상기 좌안 및 우안 영상의 편광축과 안경테에 장착되는 편광렌즈들의 편광축을 평행시키도록 상기 편광렌즈들을 상기 안경테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편광안경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편광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편광렌즈를 회전시킴에 따라 영상의 편광축과 편광렌즈의 편광축을 평행하도록 유지한다. 이를 통하여, 편광안경의 편광투과율이 편광안경의 회전에 관계없이 유지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는 움직임에 관계없이 항상 입체영상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편광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은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영상 장치(101) 및 편광안경(100)을 포함한다.
영상 장치(101)는 서로 다른 편광으로 형성되는 좌안 및 우안 영상을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서로 다른 편광은, 예를 들어 P파 및 S파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편광축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편광이 선편광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다만, 상기 편광은 선편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원편광 등이 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 장치(101)는 광원에서 발생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고, 구현된 영상을 투사하는 장치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프로젝터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장치(101)는 프로젝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영상 장치(10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프로젝션 텔레비전, 디지털 텔레비젼 등이 될 수 있다.
영상 장치(101)는 서로 다른 편광 방향(102a, 102b)을 가지는 좌안 및 우안 영상(103a, 103b)을 순차적으로 또는 함께 투사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좌안 및 우안 영상(103a, 103b)은 입체 영상을 형성하는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장치(101)는 좌안 및 우안 영상(103a, 103b)을 각각 투사하는 두 대의 프로젝터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 장치(101)에서 확대 투사되는 영상은 스크린(104)에서 화면으로 표시된다. 스크린(104)은 상기 좌안 및 우안 영상(103a, 103b)이 표시되도록 영상 장치(101)의 투사 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스크린(104)은, 예를 들어 벽면이나 무채색 또는 은색의 막 등이 되거나, 편광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편광 유지 스크린이 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크린(104)에는 좌안 영상(103a)이 표시되고 있다. 좌안 영상(103a)에 대해 순차적으로 또는 함께 투사된 우안 영상(103b)은 얼마 후에 스크린(104)에 도달하여 표시된다.
편광안경(100)은 좌우가 각각 다른 편광 방향(102a, 102b)의 편광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는 각각 양안시차를 가지는 좌안 및 우안 영상(103a, 103b)이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체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편광안경(100)은 좌안 및 우안 영상(103a, 103b)의 편광축과 안경테(110)에 장착되는 편광렌즈들(121, 122, 이상 도 2 참조)의 편광축을 평행시키도록 상기 편광렌즈들(121, 122)을 상기 안경테(110)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편광안경(100)은 회전 등을 통하여 최초 위치에서 움직여도, 좌안 및 우안 영상(103a, 103b)의 편광에 대한 편광투과율이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편광안경(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편광안경(100)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구동유닛(140) 및 제어유닛(150)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라인(Ⅳ-Ⅳ)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 다.
안경테(110)에는 입체 영상을 인지하도록 제1 및 제2 편광렌즈(121, 122)가 각각 좌안 또는 우안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편광렌즈(121, 122)는 서로 다른 방향의 편광을 투과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편광렌즈(121, 122)는 각각 P파 및 S파만을 투과하도록 이루어진다. 편광렌즈들(121, 122)은 편광판으로 이루어지거나, 렌즈에 편광 필름 등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편광렌즈(121, 122)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121, 122)의 중심축들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안경테(110)와 결합한다. 이는 렌즈 테두리들(111, 112)의 형상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안경테(110)에는 상기 렌즈 테두리들(111, 112)이 복수로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렌즈 테두리들(111, 112)은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되는 홈(114)이 내주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홈(114)에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121, 122)가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안경테(110)는 상기 홈(114)을 형성하면서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115)와 리어 케이스(11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5)와 리어 케이스(116)의 렌즈 테두리들(111, 112)을 이루는 부분은 서로 단차진 복수의 원주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원주면 중 어느 하나는 프론트 케이스(115)와 리어 케이스(116)의 결합시 이격되어 상기 홈(114)에서 상기 렌즈의 외주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복수의 원주면 중 다른 하나는 프론트 케이스(115)와 리어 케이 스(116)의 결합시 서로 대면하여 상기 홈(114)을 한정한다.
이와 같이, 원주를 이루는 홈(114)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편광렌즈(121, 122)는 각각 상기 편광렌즈들(121, 122)의 주면과 수직한 축(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렌즈 테두리들(111, 112)은 연결다리(113)에 의하여 연결되며, 연결다리(113)에는 감지센서(130)가 장착될 수 있다. 감지센서(130)는, 예를 들어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감지센서(130)는 상기 안경테(110)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상기 안경테(110)에 장착되며, 도시한 바와 달리 안경테(110)의 다리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연결다리(113)에는 구동유닛(140) 및 제어유닛(150) 등을 수용하는 수용부(113a)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3a)는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되며, 상기 리세스되는 부분에 구동유닛(140) 및 제어유닛(150) 등이 삽입된다.
구동유닛(140)은 안경테(110)가 회전하면,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121, 122)를 중심축들을 중심으로 각각 안경테(110)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형성된다.
구동유닛(140)은 모터(141) 및 동력전달 기구(142)를 포함한다.
모터(141)는 회전력을 생성하도록 형성되며, 전기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편광안경(100)에는 상기 모터(141)를 구동시키도록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다.
동력전달 기구(142)는 모터(141)와 제1 및 제2 편광렌즈(121, 122)의 사이에 배치되고, 모터(141)의 회전력을 제1 및 제2 편광렌즈(121, 122)에 전달하도록 형 성된다.
동력전달 기구(142)는 제1 및 제2 기어(142a, 142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기어(142a, 142b)는 기어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양자의 사이에는 중간 기어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어(142a)는 제1 및 제2 편광렌즈(121, 122)의 외주에 장착된다. 이하, 기어에 의한 동력전달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력전달 기구(142)는, 예를 들어 마찰차, 벨트 등을 이용하여 동력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1 기어(142a)는 제1 편광렌즈(121)의 주면 중 외주에 인접한 부분에 장착되고, 제1 기어(142a)의 이(teeth)는 제1 편광렌즈(121)의 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제2 기어(142b)는 제1 기어(142a)와 맞물리고, 모터(14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 기어(142b)는 모터 축을 관통하는 내주와 제1 기어(142a)의 이(teeth)와 맞물리는 이(teeth)가 형성되는 외주로 이루어진다. 동력전달 기구(142)는 제2 편광렌즈(122)를 회전시키는 기어열을 포함하고, 이는 상기 설명한 제1 편광렌즈(121)를 회전시키는 기어열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경테(110)는 수용부(113a)와 홈(114)이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연통되는 부분(117)을 통하여 모터 축은 수용부(113a)에 안착된 모터(141)로부터 홈(114)까지 연장되며, 모터 축에 장착되는 제2 기어(142b)는 홈(114)에 배치된다. 모터(141)가 회전력을 발생하면, 제1 및 제2 기어(142a, 142b)의 동력전달에 의하여 제1 및 제2 편광렌즈(121, 122)들은 회전하게 된다.
제어유닛(150)은 감지센서(130)로부터 안경테(110)의 회전에 대응하는 출력신호가 수신되면, 제1 및 제2 편광렌즈(121, 122)가 회전되도록 구동유닛(140)을 제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유닛(150)의 일 예로, 연결다리(113)의 수용부(113a)에는 회로기판이 배치된다. 회로기판에는 감지센서(130) 및 모터(141)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제어유닛(150)은 감지센서(130)의 출력신호를 모터(141)의 전압으로 변환시키도록 형성된다. 감지센서(130)의 출력신호는 아날로그 신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센서(130)가 자이로스코프 센서이면, 출력신호는 직류전압 레벨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유닛(150)은 모터(141)의 회전속도 및 회전량을 제어하고, 모터(141)의 회전속도 및 회전량에 의하여 제1 및 제2 편광렌즈(121, 122)는 안경테(110)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유닛(150)은 디지털 변환기(151), 신호처리기(152) 및 아날로그 변환기(153)를 포함한다.
디지털 변환기(151)는 감지센서(13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처리기(152)는 상기 디지털 신호로부터 안경테(110)의 회전 정도를 산출하고,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신호는 안경테(110)의 회전 정도만큼 제1 및 제2 편광렌즈(121, 122)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신호가 된다.
아날로그 변환기(153)는 신호처리기(152)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구동유닛(140)을 제어하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구동유닛(140)을 제어하는 아날로그 신호는 모터의 회전량에 대응하는 전압값이 될 수 있다. 안경 테(110)의 회전 정도를 산출한 신호처리기(152)는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상기 전압값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편광안경(100)은 편광렌즈들(121, 122)을 회전시킴에 따라 영상의 편광축과 편광렌즈들(121, 122)의 편광축을 평행하도록 유지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움직임에 관계없이 항상 입체영상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편광안경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5a는 편광안경(100)에서 편광렌즈들(121, 122)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160)이, 좌안 및 우안 영상(103a, 103b)의 일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배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도 5a의 상태로 편광안경(100)을 착용하여 스크린(104, 이상 도 1 참조)을 바라보며, 입체영상을 인지하게 된다.
도 5b 및 도 5c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편광안경(100)이 좌우로 각각 회전된 경우를 나타낸다. 편광렌즈들(121, 122)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160)은 좌안 및 우안 영상(103a, 103b)의 일 모서리와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편광렌즈들(121, 122)은 각각 상기 편광안경(100)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편광렌즈들(121, 122)의 편광방향은 도 5a에서 도시한 편광방향과 동일하도록 유지된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한 편광안경(200)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의 편광안경(200)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안경테(210)은 복수의 테두리들(211, 212)과 상기 테두리들(211, 212)을 연 결하는 연결다리(213)를 포함한다. 복수의 테두리들(211, 212)은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되는 홈이 내주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홈에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221, 222)가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홈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215)와 리어 케이스(216)의 형상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동유닛(140)은 제1 및 제2 편광렌즈(221, 222)의 외주에 각각 인접하게 장착되는 질량체들(221a, 222a)을 포함한다.
질량체들(221a, 222a)은 상기 안경테(210)가 회전하면 중력에 의하여 제1 및 제2 편광렌즈(221, 222)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기설정된 질량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질량은 제1 및 제2 편광렌즈(221, 222)가 홈과의 마찰력을 극복하고 회전될 수 있는 크기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편광렌즈(221, 222)가 홈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221, 222)의 외주에는 베어링들(270)이 장착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편광렌즈들(221, 222)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좌안 및 우안 영상(103a, 103b)의 일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배치된 경우에는 질량체들(221a, 222a)에 작용하는 중력은 편광렌즈들(221, 222)의 중심에 대하여 모멘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도 7b 및 도 7c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편광안경(200)이 일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7b를 참조하면, 편광안경(200)의 회전에 의하여 질량체들(221a, 222a)에 작용하는 중력(G)은 편광렌즈들(221, 222)의 중심에 대하여 모멘트를 발생시키며,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모멘트에 의하여 편광렌즈들(221, 222) 은 편광안경(200)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편광렌즈들(221, 222)의 편광방향은 도 7a에서 도시한 편광방향과 동일하도록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편광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편광안경의 분해도.
도 3은 도 2의 구동유닛 및 제어유닛의 확대도.
도 4는 도 1의 라인(Ⅳ-Ⅳ)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편광안경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한 편광안경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의 편광안경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들.

Claims (10)

  1. 서로 다른 방향의 편광을 투과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편광렌즈;
    입체 영상을 인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가 각각 좌안 또는 우안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의 중심축들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경테; 및
    상기 안경테가 회전하면,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를 상기 중심축들을 중심으로 각각 상기 안경테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편광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상기 안경테에 장착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안경테의 회전에 대응하는 출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가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편광안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력을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에 전달하는 동력전달 기구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편광안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감지센서의 출력신호를 상기 모터의 전압으로 변환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용 편광안경.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기구는,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의 외주에 장착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편광안경.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의 출력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기;
    상기 디지털 신호로부터 상기 안경테의 회전 정도를 산출하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기;
    상기 신호 처리기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편광안경.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가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복수의 렌즈 테두리들을 연결하는 연결다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용 편광안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는,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되는 홈이 내주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홈에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가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복수의 렌즈 테두리들; 및
    상기 렌즈 테두리들을 연결하는 연결다리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편광안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안경테가 회전하면 중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편광렌즈의 외주에 각각 인접하게 장착되는 질량체들을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편광안경.
  10. 서로 다른 편광으로 형성되는 좌안 및 우안 영상을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장치; 및
    상기 좌안 및 우안 영상의 편광축과 안경테에 장착되는 편광렌즈들의 편광축을 평행시키도록 상기 편광렌즈들을 상기 안경테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편광안경을 포함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090062682A 2009-07-09 2009-07-09 입체영상용 편광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10005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682A KR20110005133A (ko) 2009-07-09 2009-07-09 입체영상용 편광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682A KR20110005133A (ko) 2009-07-09 2009-07-09 입체영상용 편광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33A true KR20110005133A (ko) 2011-01-17

Family

ID=43612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682A KR20110005133A (ko) 2009-07-09 2009-07-09 입체영상용 편광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1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550B1 (ko) * 2011-06-22 2013-11-07 (주)쓰리옵틱스 입체영상 관람용 안경
CN104483756A (zh) * 2014-12-18 2015-04-01 张亚珍 3d立体展示眼镜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550B1 (ko) * 2011-06-22 2013-11-07 (주)쓰리옵틱스 입체영상 관람용 안경
CN104483756A (zh) * 2014-12-18 2015-04-01 张亚珍 3d立体展示眼镜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0330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立体画像表示装置
WO2011102136A1 (ja) 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立体視メガネ
US20120098931A1 (en) 3d motion picture adaption system
US20140293024A1 (en) Foldable displa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6133665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JP2011059270A (ja) 車両用表示装置
JP4664690B2 (ja) 立体表示装置及び立体表示方法
CN202033576U (zh) 切换机构和兼容2d、3d图像播放的投影系统
KR20110005133A (ko) 입체영상용 편광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MX2012009003A (es) Sistema de visualizacion estereoscopica basado en gafas que utilizan lentes fotocromaticas.
JP4624587B2 (ja) 画像生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CN102103266A (zh) 3d影像形成的方法与设备
EP2408217A2 (en) Method of virtual 3d image presentation and apparatus for virtual 3d image presentation
CN102608769A (zh) 立体眼镜
JP4609001B2 (ja) ポインタ装置
JP2006208923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KR20120063361A (ko) 3디 영상 시청용 편광안경 및 이를 구비한 3디 영상 구현 시스템
US20120307210A1 (en)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WI595268B (zh) 360 degree multi-view 3D video device
WO2014012327A1 (zh) 3d显示装置以及3d显示系统
CN109963145B (zh) 视觉显示系统及方法,以及头戴显示装置
KR101866879B1 (ko) 3차원 입체 영상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TWI680325B (zh) 顯示裝置及其顯示方法
CN203337992U (zh) 采用高速投影机实现360°三维显示的装置
KR20110037292A (ko) 입체 디스플레이용 안경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