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061A -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061A
KR20110005061A KR1020090062576A KR20090062576A KR20110005061A KR 20110005061 A KR20110005061 A KR 20110005061A KR 1020090062576 A KR1020090062576 A KR 1020090062576A KR 20090062576 A KR20090062576 A KR 20090062576A KR 20110005061 A KR20110005061 A KR 20110005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electrodes
abdominal visceral
visceral fa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3594B1 (ko
Inventor
유선국
지선하
김광수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62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594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3Measuring volume, e.g. of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22Evaluating particular parts, e.g. particular organs
    • A61B5/4238Evaluating particular parts, e.g. particular organs stoma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3Trunk, e.g., chest, back, abdomen,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ndocri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임피던스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인체 특정부위의 일부분에 분포된 복부내장지방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는 탄성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진 벨트; 상기 벨트 내에 설치되어 입력되는 전류를 피측정자의 몸체 내부로 제공하는 복수 개의 제1 전극; 상기 벨트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 각각 교번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전류에 응답하여 상기 몸체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들로 전류를 제공하며, 상기 제2 전극들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며, 상기 전류와 상기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복부내장지방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탄성을 갖는 섬유를 이용하여 체임피던스 측정용 벨트를 구현함으로써 피측정자의 허리둘레의 크기와 무관하게 체임피던스를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탄성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섬유를 이용하여 체임피던스 측정용 벨트를 구현하거나 체임피던스 측정용 벨트의 표면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설치함으로써 피측정자의 허리둘레의 크기와 무관하게 피측정자의 허리둘레를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측정장치의 사용 횟수에 제한이 없고, 경제적이며, 인체에 부작용이 없고, 측정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측정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복부내장지방, 체임피던스, 생체 전기저항분석법, 벨트

Description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ABDOMINAL VISCERAL ADIPOSE}
본 발명은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임피던스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인체 특정부위의 일부분에 분포된 복부내장지방을 측정자로 하여금 정확하고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체내지방은 중풍, 고혈압, 고지혈증, 심장병, 관절통, 요통, 당뇨병 등의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며, 수명도 단축시킨다. 특히, 복부내장지방은 허열성 심질환(심근경색, 협심증), 뇌혈관 장애(뇌경색, 뇌출혈),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등 각종 대사성 질환과 여성에 있어서 악성종양 등 여러 가지 성인병의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이다. 이에 이러한 복부내장지방을 측정하여 조기에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복부내장지방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캘리스법, CT(Computed Tomography)법, DEXA(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법, MRI(Magnetic Resonance Imager)법, 초음파 측정법 등 인체의 단면을 영상으로 판독 측정하는 방법이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지정된 곳에서 고가의 장비를 전문가가 조작하여 측정을 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경비가 많이 소비되는 단점들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생체 전기저항분석법을 이용한 체지방측정장치가 제안되었다. 체지방측정장치는 인체를 일종의 저항으로 보고, 인체 측정부위에 일정한 전류를 흘려주며, 이때의 전위차를 검출하여 그 저항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저항값과 피측정자의 신체정보(성별, 나이, 허리둘레 등)를 이용하여 체지방율 등을 산출한다.
이러한 체지방측정장치는 복부내장지방면적(visceral fat area)의 추정값을 구할 때, 임의로 선택된 다수의 사람들을 표본으로 하여 그 표본 인체들의 복부내장지방면적의 실제값과 허리둘레를 포함하는 피측정자 신체정보 간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피측정자의 허리둘레와 복부내장지방면적 간의 특정 상관관계가 결정되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체지방측정장치는 복부내장지방면적을 구하기 위해서 측정 대상자의 허리둘레를 포함하는 피측정자의 신체정보를 모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허리둘레를 항상 인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허리둘레를 입력하지 않고 직접 측정하는 장치로서, 체임피던스 측정용 벨트전극장치를 제안한다. 이 장치는 배열과 간격을 고정시켜 전극을 배치한 벨트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벨트를 복부에 부착시켜 허리둘레를 직접 측정하는 장치이다.
종래기술에 체임피던스 측정용 벨트전극장치가 일부에서 연구되기도 하였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체임피던스 측정용 벨트전극장치는 허리둘레가 작은 피측정자와 상대적으로 큰 피측정자 간의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여 정확한 복부내장지방면적을 구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측정자의 허리둘레의 크기와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체임피던스와 허리둘레를 측정할 수 있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측정장치의 사용 횟수에 제한이 없고, 경제적이며,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조작이 용이하고, 측정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측정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탄성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진 벨트와, 상기 벨트 내에 설치되어 입력되는 전류를 피측정자의 몸체 내부로 제공하는 복수 개의 제1 전극과, 상기 벨트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 각각 교번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전류에 응답하여 상기 몸체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들로 전류를 제공하며, 상기 제2 전극들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며, 상기 전류와 상기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복부내장지방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를 제공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 전류를 공급하는 제1 전극과 전압을 검출하는 제2 전극이 다수 장착되어 있는 벨트를 적어도 포함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에 있어서, 제1 전극은 벨트 내에 쌍을 이루어 설치되며, 복수개의 쌍이 벨트에 장착되되, 몸의 정중부에 위치되는 정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도록 배치되며, 제2 전극은 벨트 내에 쌍을 이루어 설치되며, 복수개의 쌍이 벨트에 장착되되, 상기 정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정렬선을 기준으로 한 쌍 제2전극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 제2전극의 바깥쪽으로 한 쌍 제1전극이 상기 정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한 쌍 제1전극의 바깥쪽으로 다른 한 쌍 제2전극이 상기 정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다른 한 쌍 제2전극의 바깥쪽으로 다른 한 쌍 제1전극이 상기 정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벨트는 탄성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전극들에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제1전극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제 2전극들에서 검출된 전압을 수신하여, 전극들에서 제공된 전류값과 제 2전극들에서 수신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체임피던스를 구하여 복부내장지방량을 산출하는 중앙처리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벨트의 위에 위치되며,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연산처리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피측정자의 신체정보의 입력, 측정모드 설정을 행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컴퓨터 또는 프린터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는 출력포트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벨트는 상기 몸체의 둘레를 측정하기 위하여 탄성의 변화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압전저항섬유(piezo resistive fabri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벨트는 상기 몸체의 둘레를 측정하기 위하여 표면에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ge)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 간의 간격은 상기 벨트의 중앙부로 갈수록 일정 비율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은 상기 벨트의 중앙부에 설치된 정렬선을 경계로 좌우 양측으로 제2 전극과 제1 전극 순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벨트 내부 또는 상기 벨트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전극으로 공급하는 전류공급 제어부와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잡음제거 및 증폭을 하는 전압검출 전처리부 및 상기 전류공급부로부터 상기 제1 전극으로 제공되는 전류와 상기 제2 전극으로 출력되어 상기 전압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체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앙처리부로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정보를 제공하는 입력부와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중앙 처리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전압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부는 표시부 또는 프린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몸체의 양 옆구리에 근접하게 위치된 제1 및 제2 전극을 통해 검출되는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전체 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를 산출하고, 상기 몸체의 배꼽에 근접하게 위치된 제1 및 제2 전극을 통해 검출되는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피하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를 산출하며, 상기 전체 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와 상기 피하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를 감산한 값과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정보를 이용하여 복부내장지방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다중회귀공식을 이용하여 복부내장지방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벨트는 종단부에 홀더가 구비되어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은 상기 벨트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또 하나의 본 발명은 벨트의 정렬선이 피측정자의 배꼽에 일치된 상태에서, 벨트가 탄성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특성을 이용하거나, 벨트 표면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허리둘레를 측정하는 허리둘레 측정 단계, 상기 허리둘레 측정 단계 후, 신체정보 를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는 신체정보 입력단계, 신체정보 입력단계 후, 몸체의 양 옆구리에 위치된 제1 전극을 통해 정전류를 공급하고, 그곳과 가까운 곳에 위치된 제2 전극을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복부 전체 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전체 지방량 대응 체임피던스 측정 단계, 전체 지방량 대응 체임피던스 측정 단계 후, 몸체의 배꼽을 경계로 좌우 양측에 위치된 제1 전극을 통해 정전류를 다시 공급하고, 그곳과 가까운 곳에 위치된 제2 전극을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검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피하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를 측정하는 피하지방량 대응 체임피던스 측정 단계, 피하지방량 대응 체임피던스 측정 단계 후, 전체 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에서 피하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를 감산하여 최종적으로 복부내장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복부내장지방량 대응 체임피던스 산출단계, 복부내장지방량 대응 체임피던스 산출단계 후, 복부내장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와 측정자(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이용하여 측정자의 복부내장지방량을 산출하는 측정자 복부내장지방량 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을 갖는 섬유를 이용하여 체임피던스 측정용 벨트를 구현함으로써 피측정자의 허리둘레의 크기와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체임피던스를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탄성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섬유를 이용하여 체임 피던스 측정용 벨트를 구현하거나 체임피던스 측정용 벨트의 표면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설치함으로써 피측정자의 허리둘레의 크기와 무관하게 피측정자의 허리둘레를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측정장치의 사용 횟수에 제한이 없고, 경제적이며, 인체에 부작용이 없고, 측정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측정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1은 피측정자의 몸체에 착용된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의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몸체로부터 분리된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를 펼쳐서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는 벨트(110), 복수 개의 제1 전극(112), 제2 전극(114),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벨트(110)는 허리에 장착되며, 탄성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탄성을 갖는 섬유로 피에조 저항성 직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전극(112)은 벨트(110) 내에 설치되어 입력되는 미세한 전류를 피측정자 의 몸체(100) 내로 제공하는 전극으로 쌍을 이루어 설치되며, 복수개의 쌍이 벨트(110)에 장착되되, 몸의 정중부에 위치되는 정렬선(116)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114)은 제1 전극(112)에 의해 몸에 흘려진 전류에 응답하여 몸체(100)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극으로, 쌍을 이루어 벨트(110)에 설치되되, 제2 전극(114)은 제1 전극(112)과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제2 전극(114)은 복수개의 쌍이 벨트(110)에 장착되되 몸의 정중부에 위치되는 정렬선(116)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전극들(112)로 전류를 제공하며, 제2 전극들(114)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며, 전류와 전압을 이용하여 몸체(100)의 복부내장지방량을 산출한다. 제어부(120)는 도 2 등에서는 벨트(110)의 후부(몸통의 뒷부분)에 위치되지만, 이는 설명을 쉽게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120)는 벨트(110)의 위의 어디에도 위치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중앙처리부(123), 표시부(128), 입력부(125), 출력포트(미도시) 등을 구비한다.
중앙처리부(123)는 입력부(125)에 입력된 설정값을 수신하며, 제1 전극들에 전류를 제공하기위한 제1전극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제 2전극들에서 검출된 전압을 수신하여, 전극들에서 제공된 전류값과 제 2전극들에서 수신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체임피던스를 구하여 복부내장지방량을 산출한다.
표시부(128)는 중앙처리부(123)에서 연산처리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입력부(125)는 피측정자의 신체정보, 예컨대 아이디, 신장, 체중, 연령, 성 별, 검사일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아 중앙처리부(12)로 제공하며, 입력부(125)는 중앙처리부(12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환경설정포함)를 입력받는다. 즉, 입력부(125)는 측정모드 등을 설정한다.이 측정모드에 따라 중앙처리부(123)는 전류가 제공되는 소정의 제1 전극 쌍이 정하고 전압을 검출하는 소정의 제 2전극 쌍이 정한다.
벨트(110)를 부연설명하면, 벨트(110)는 측정하고자 하는 피측정자의 몸체(100)의 둘레를 측정하기 위하여 탄성의 변화에 따라 고유의 저항값이 변하는 섬유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탄성의 변화에 따라 고유의 저항값이 변하는 섬유로는 압전저항섬유(piezo resistive fabric)가 사용될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압전저항섬유는 그 고유한 특성인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신축성이 있으며, 또한, 섬유가 원래 길이에서 늘어나면 섬유의 고유 저항값이 낮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섬유에 일정한 전류를 통과시키면 그 섬유가 늘어나는 정도에 따라 고유 저항값의 변화에 의해 섬유를 통과하는 전압값이 변화하고, 변화된 전압값을 측정하여 벨트(110)의 길이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벨트(110)의 원래의 길이와 늘어난 길이의 합이 몸체(100)의 둘레가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20)의 구성을 설명하기위한 블럭도이다. 제어부(120)는 전압검출 전처리부(121), 전류공급 제어부(122), 중앙처리부(123),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 converter)(124), 입력부(125), 출력부(126) 및 저장부(127)를 포함한다.
전압검출 전처리부(121)는 제2 전극들(114a, 114b,...), 즉 제2전극부(140) 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노이즈 제거, 증폭 등 전처리를 한다. 전압검출 전처리부(121)는 전류공급 제어부(122)로부터 제1전극부(150)을 통해 몸체(100)로 공급되는 정전류에 응답하여 제2 전극들(114a, 114b,...)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한다. 이때, 전압검출 전처리부(121)를 통해 검출되는 전압은 아날로그 신호로서, 복부 전체 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 정보와 피하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 정보를 갖는 전압신호이다.
또한, 전압검출 전처리부(121)는 벨트(110)가 탄성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섬유로 이루어진 경우, 벨트(110)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벨트(110)로부터 직접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전압검출 전처리부(121)는 벨트(110)의 일단과 연결된다. 이 경우, 별도의 스위칭 소자(도시되지않음)를 통해 전압검출 전처리부(121)와 제2 전극(114a, 114b,...) 또는 전압검출 전처리부(121)와 벨트(110) 간의 연결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전류공급 제어부(122)는 제1 전극들(112a, 112b,..)로 정전류를 발생시켜 제공한다. 전류공급 제어부(122)는 정현파 발생부 또는 궤환형 정전류 발생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정현파 발생부는 중앙처리부(123)로부터 수신된 교류 정전류 제어신호에 의해 1KHz~1MHz 사이의 주파수를 가진 정현파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1KHz~1MHz의 다중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몸체(100) 전체의 수분량은 물론 세포 내/외액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50KHz의 교류전류, 1KHz~5KHz의 저주파, 100KHz~500KHz의 고주파 전류를 사용할 수 있다. 궤환형 정전류 발생부는 체임피던스 측정을 위해 1KHz~1MHz 사이의 주파수 범위에서 부하와 관계없이 450㎂ 이하의 정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류공급 제어부(122)는 벨트(110)가 탄성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섬유로 이루어진 경우, 벨트(110)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벨트(110)로 정전류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전류공급 제어부(122)는 전압검출 전처리부(121)와 마찬가지로 벨트(110)의 일단과 연결된다. 이 경우, 별도의 스위칭 소자(도시되지않음)를 통해 전류공급 제어부(122)와 제2 전극(112) 또는 전류공급 제어부(122)와 벨트(110) 간의 연결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중앙처리부(123)는 제어부(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중앙처리부(123)는 전압검출 전처리부(121)를 통해 검출된 체임피던스와 입력부(125)를 통해 입력된 신체정보를 이용하여 복부내장지방량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몸체(100)의 옆구리에 근접하게 위치된 제1 및 제2 전극(112, 114)을 통해 검출되는 체임피던스를 이용하여 복부 전체 지방량을 산출하고, 몸체(100)의 배꼽에 근접하게 위치된 제1 및 제2 전극(112, 114)을 통해 검출되는 체임피던스를 이용하여 복부 피하 지방량을 산출하며, 복부 전체 지방량의 체임피던스에서 복부 피하 지방량의 체임피던스를 감산한 값과 입력부(125)를 통해 입력된 피측정자의 신체정보를 이용하여 복부내장지방량을 산출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24)는 전압검출 전처리부(121)를 통해 검출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처리부(123)로 제공한다. 전압검출 전처리부(121)를 통해 검출되는 전압은 아날로그 신호로 검출되는데,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입력부(125)는 벨트(110) 외부로 표출되어 측정자 또는 피측정자가 조작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입력부(125)는 피측정자의 신체정보, 예컨대 아이디, 신장, 체중, 연령, 성별, 검사일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아 중앙처리부(12)로 제공한다. 또한, 입력부(125)는 중앙처리부(12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환경설정포함)를 입력받는다.
출력부(126)는 표시부(128)와 출력포트(130)를 포함한다.
표시부(128)는 벨트(110)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28)는 입력부(125)와 함께 벨트(110) 외부로 표출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장치, LED(Light Emitting Diode) 표시장치, PDP(Plasma Display Panel) 표시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28)는 화면상에서 중앙처리부(123)로부터 출력된 분석결과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28)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사용하여 측정자가 그래픽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방향이 아닌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여 측정자는 마우스만으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포트부(1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컴퓨터 또는 프린터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는 출력포트이다.
프린터부는 벨트(110) 외부에 위치되며, 출력포트부와 커넥터로 연결되어, 중앙처리부(123)로부터 출력된 분석결과를 인쇄한다.
저장부(127)는 피측정자 신체정보와 같은 입력사항, 중앙처리부(123)를 통해 처리된 결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정보들은 검사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 으며, 저장된 정보를 읽을 때는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랜덤)하게 읽어올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20)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어부(220)는 서로 설치되는 위치에 있어서 다를 뿐, 그 구성에 있어서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20)에서 제어부는 벨트(110) 상에 위치되어 경우에 따라서, 측정자가 벨트(110)를 장착 후, 제어부(220)의 입력부(125)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어려우며, 또한 자신의 복부내장지방량등을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5 및 도 6에서는 제어부가 벨트(110)에 연결된 별도의 신호선을 통해 연결되어 보다 측정자가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되고, 미설명된 '212'는 제1 전극이고, '214'는 제2 전극이며, '228'은 표시부이고, '225'는 입력부이고, '218'은 홀더이며, '216'는 정렬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부내장지방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결부시켜 복부내장지방 측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벨트(110)를 피측정자의 몸체(100)의 허리둘레에 착용시킨다(S71). 이때, 벨트(110)의 정렬선(116)이 피측정자의 배꼽에 정렬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벨트(110)의 정렬선(116)이 피측정자의 배꼽에 정렬되었는지를 확인한다(S72). 만약, 벨트(110)의 정렬선(116)이 피측정자의 배꼽에 정렬되지 않는 경우 벨트(110)를 몸체(100)로부터 분리시켜 정렬시키는 작업을 정렬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단계 S72에서 벨트(110)의 정렬선(116)이 피측정자의 배꼽에 일치된 경우 피측정자의 허리둘레를 측정한다(S73). 이때, 허리둘레 측정방법은 벨트(110)가 탄성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특성을 이용하거나, 벨트(110) 표면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예를 들어, 탄성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100)에 착용된 벨트(110)의 일측부에 전류공급 제어부(122)를 통해 정전류를 공급한 후 벨트(110)의 타측부로 출력되는 전압을 전압검출 전처리부(121)를 이용하여 검출한다. 검출된 전압은 중앙처리부(123)로 전송되며, 중앙처리부(123)는 검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벨트(110)의 길이 변화를 측정하여 허리둘레를 측정한다.
이후, 허리둘레가 측정되었는지를 확인한다(S74). 허리둘레가 측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73으로 피드백하여 허리둘레가 측정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단계 S74에서 허리둘레가 측정된 경우 신체정보를 입력부(125)를 통해 입력한다(S75). 중앙처리부(123)는 입력부(125)로부터 입력된 신체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한다. 이때, 신체정보는 이미 측정된 허리둘레에 대한 정보를 제외하고, 아이디, 신장, 체중, 연령, 성별, 검사일, 검사회수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복부내장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를 측정한다(S76). 먼저, 몸체(100)의 양 옆구리에 위치된 제1 전극(112)을 통해 정전류를 공급하고, 그곳과 가까운 곳에 위치된 제2 전극(114)을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전압검출 전처리부(121)를 통해 검출하며, 중앙처리부(123)는 이렇게 검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복부 전체 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를 측정한다. 그런 다음, 몸체(100)의 배꼽을 경계로 좌우 양측에 위치된 제1 전극(112)을 통해 정전류를 다시 공급하고, 그곳과 가까운 곳에 위치된 제2 전극(114)을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며, 중앙처리부(123)는 이렇게 검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피하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를 측정한다. 그런 다음, 중앙처리부(123)는 전체 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에서 피하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를 감산하여 최종적으로 복부내장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를 산출한다.
이후, 복부내장지방량을 산출한다(S77). 중앙처리부(123)는 단계 S76에서 산출된 복부내장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와 피측정자의 신체정보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복부내장지방량을 산출한다. 이때, 중앙처리부(123)는 공지된 다중회귀공식을 이용하여 복부내장지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처리부(123)는 한국특허출원 제2006-0017009호 개시된 회귀수식을 이용하여 복부내장지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중앙처리부(123)를 통해 산출된 복부내장지방량은 측정자 또는 피측정 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적절히 분석, 가공되어 표시부(128) 또는 프린트부(129)로 출력된다.
도 8은 압전저항섬유의 저항 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과 같이, 압전저항섬유가 안정화상태(stable), 즉 외력에 의해 늘어나지 않은 초기 상태(1L, L은 길이)인 경우 전압을 '1V'라고 가정하면, 외력에 의해 압전저항섬유의 길이가 1.3배(1.3L) 또는 2배(2L) 증가한 경우에 전압값은 0.77배 또는 0.5배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압전저항섬유의 길이가 증가하면 이에 반비례하여 섬유의 저항값은 감소하기 때문에 결국 측정되는 전압값은 이에 대응하여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전저항섬유의 길이 변화에 따라 변하는 전압값을 측정하여 압전저항섬유의 길이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몸체(100)의 둘레를 측정할 수 있다.
벨트(110)를 이용한 몸체(100)의 둘레를 측정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벨트(110)의 표면에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ge)(도시되지않음)를 부착시켜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벨트(110)의 변형되는 상태와 그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벨트(110)의 표면에 부착된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전기식으로 측정하는 전기식 스트레인 게이지와 기계식으로 측정하는 기계식 스트레인 게이지의 2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전기식 스트레인 게이지는 구조체가 변형을 일으킬 때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의 전기적 저항이 변하여 이로부터 변형률을 측정하는 것이며, 기계식 스트레인 게이지는 두 점 사이의 미소한 거리변화를 기계적으로 측정하여 구조체의 변형률을 측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식 스테레인 게이지를 사용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벨트(110) 내에는 복수 개의 제1 및 제2 전극들(112, 114)이 설치된다. 제1 및 제2 전극들(112, 114)은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전극들(112, 114)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벨트(110) 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력이 있는 벨트(110) 내에 일정한 간격비율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벨트(110)의 정렬선(116)이 몸체(100)의 배꼽에 일치되도록 벨트(110)를 몸체(100)에 착용시키는데, 이때, 몸체(100)로 전류를 공급하는 제1 전극들(112) 중 한 쌍이 대칭적으로 옆구리의 양쪽 끝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로써, 한 쌍의 제1 전극에 의해 몸체(100)의 둘레, 예컨대 허리둘레는 1/2로 분할된다. 이와 같이, 벨트(110)를 몸체(100)에 착용시키면, 몸체(100)의 둘레에서 벨트(110) 내 탄성이 고르게 작용하여 복부 전면(100a)에 도 2와 같이 1/n(n은 자연수) 비율로 전극이 구성된다. 여기서, 전극 간의 간격의 비율은 피측정자의 허리둘레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며, 이에 따라 일정한 비율에 의한 전극이 구성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제1 및 제2 전극들(112, 114)이 배치되는 간격에 따른 체임피던스 특성을 보여주는 측정 실험 결과도로서, 도 9는 일정 비율에 의한 전극구성을 도시한 실험 결과도이고, 도 10은 일정 간격에 의한 전극구성에 따른 실험 결과도이다.
도 9와 같이, 몸체(100)의 둘레, 예컨대 허리둘레의 외주면에서 제1 및 제2 전극들(112, 114) 간의 간격을 일정 비율로 증가시켜 위치시킨다. 예를 들어, 'C' 와 'B'의 간격보다 'B'와 'A'의 간격을 증가시켜 제1 및 제2 전극들(112, 114)을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체임피던스(Z)가 체형별(비만체형1, 비만체형2, 보통체형1, 보통체형2, 마른체형1, 마른체형2) 간에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10과 같이, 제1 및 제2 전극들(112, 114) 간의 간격(5cm)을 동일한 간격으로 위치시킨다. 예를 들어, 'A', 'B', 'C'의 간격이 동일하게 제1 및 제2 전극들(112, 114)을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일정 비율로 증가시켜 위치시키는 경우에 비해 체임피던스(Z)가 체형별(비만체형1, 비만체형2, 보통체형1, 보통체형2, 마른체형1, 마른체형2)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벨트(110) 내에 제1 및 제2 전극들(112, 114)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몸체(100)의 옆구리에 대응되도록 좌우 대칭적으로 한 쌍의 제1 전극(112)을 위치시키고, 이를 기준으로 벨트(1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정렬선(116)으로 갈수록 제1 및 제2 전극들(112, 114) 간의 간격을 일정 비율로 증가시켜 설치한다. 이를 통해, 각 체형별 체임피던스(Z)의 차를 증대시켜 각 체형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벨트(110)의 중앙부에는 정렬선(116)이 형성될 수 있다. 정렬선(116)은 벨트(110)를 몸체(100)에 착용시킬 때, 벨트(110) 내에 설치된 전극들을 정렬시키기 위한 기준 잣대로 사용된다. 이러한 정렬선(116)의 형태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벨트(110) 내에는 복수 개의 제1 및 제2 전극들(112, 114)이 일정 간격 비율로 증가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이 몸체(100)의 정확한 부위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벨트(110) 착용시 기준이 되는 부분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부내장지방량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취하고 있다. 먼저, 몸체(100)의 양 옆구리에 전류를 흘려주고, 그곳과 가까운 곳에서 전압을 측정하여 복부 전체 지방량을 산출한다. 그런 다음, 배꼽을 경계로 좌우 양측에 전류를 흘려주고, 그곳과 가까운 곳에서 전압을 측정하여 피하지방량을 산출한다. 그런 다음, 전체 지방량에서 피하지방량을 감산한 값과 피측정자의 신체정보(나이, 체중, 성별, 허리둘레 등)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복부내장지방량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피측정자의 복부내장지방량을 정확히 산출하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 전극들(112, 114)이 설치되는 위치가 매우 중요하다. 즉, 복부 전체 지방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제1 전극(112)은 양 옆구리에 위치되어야 하고, 이 전극들과 근접하게 한 쌍의 제2 전극(114)이 위치되어야 한다. 또한, 피하지방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한 쌍의 제1 전극(112)이 서로 대칭적으로 복부 전체 지방량을 측정하기 위한 제2 전극(114)에 근접하게 위치되어야 하고, 이 전극들과 근접하게 제1 전극(112)이 위치되어야 한다. 결국, 옆구리를 기준으로 벨트(110)의 정렬선(116) 방향으로 제1 전극(112), 제2 전극(114), 제1 전극(112), 제2 전극(112) 순으로 위치된다. 이들은 정렬선(116)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위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10)의 종단부에는 홀더(118)가 설치될 수 있다. 홀더(118)는 벨트(110)의 종단부를 상호 체결시켜 안정적으로 벨트(110)를 몸체(100)에 착용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그 형태, 구조 및 체결방법은 제한을 두지 않는다.
벨트(110) 내에는 제어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다른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220)는 벨트(210) 내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벨트(210) 외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제어부(220)가 독립적인 단위 장치 형태로 벨트(210) 외에 설치되는 경우 제어부(220)와 벨트(21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추가될 수 있으며, 이때, 데이터 송수신은 유무선통신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선통신의 경우 벨트(210)와 제어부(220)는 케이블(230)을 통해 연결되기 위하여 벨트(210)와 제어부(220)에는 각각 케이블 포트가 설치된다. 또한, 무선통신의 경우 벨트(210)와 제어부(220)에는 무선 송수신 장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가 몸체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20)의 구성을 설명하기위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복부내장지방 측정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압전저항섬유의 저항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정 비율에 의한 전극구성을 도시한 실험 결과도이다.
도 10은 일정 간격에 의한 전극구성에 따른 실험 결과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110, 210 : 벨트
112, 212 : 제1 전극 114, 212 : 제2 전극
116, 216 : 정렬선 118, 218 : 홀더
120, 220 : 제어부 121 : 전압검출 전처리부
122 : 전류공급 제어부 123 : 중앙처리부
124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125, 225 : 입력부
126 : 출력부 127 : 저장부
128, 228 : 표시부 129 : 프린터부
230 : 케이블

Claims (19)

  1. 탄성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진 벨트;
    상기 벨트 내에 설치되어 입력되는 전류를 피측정자의 몸체 내부로 제공하는 복수 개의 제1 전극;
    상기 벨트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 각각 교번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전류에 응답하여 상기 몸체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들로 전류를 제공하며, 상기 제2 전극들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며, 상기 전류와 상기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복부내장지방량을 산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2. 미세 전류를 공급하는 제1 전극과 전압을 검출하는제2 전극이 다수 장착되어 있는 벨트를 적어도 포함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에 있어서,
    제1 전극은 벨트 내에 쌍을 이루어 설치되며, 복수개의 쌍이 벨트에 장착되되, 몸의 정중부에 위치되는 정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도록 배치되며,
    제2 전극은 벨트 내에 쌍을 이루어 설치되며, 복수개의 쌍이 벨트에 장착되되, 상기 정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정렬선을 기준으로 한 쌍 제2전극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 제2전극의 바깥쪽으로 한 쌍 제1전극이 상기 정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한 쌍 제1전극의 바깥쪽으로 다른 한 쌍 제2전극이 상기 정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다른 한 쌍 제2전극의 바깥쪽으로 다른 한 쌍 제1전극이 상기 정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탄성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제1 전극들에 전류를 제공하기위한 제1전극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제 2전극들에서 검출된 전압을 수신하여, 전극들에서 제공된 전류값과 제 2전극들에서 수신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체임피던스를 구하여 복부내장지방량을 산출하는 중앙처리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벨트의 위의 위치되며,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연산처리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피측정자의 신체정보의 입력, 측정모드 설정을 행하는 입력부;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컴퓨터 또는 프린터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는 출력포트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몸체의 둘레를 측정하기 위하여 탄성의 변화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압전저항섬유(piezo resistive fabric)로 이루어진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몸체의 둘레를 측정하기 위하여 표면에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ge)가 부착된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 간의 간격은 상기 벨트의 중앙부로 갈수록 일정 비율로 증가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은 상기 벨트의 중앙부에 설치된 정렬선을 경계로 좌우 양측으로 제2 전극과 제1 전극 순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된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벨트 내부 또는 상기 벨트 외부에 설치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전극으로 공급하는 전류공급 제어부;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잡음제거 및 증폭을 하는 전압검출 전처리부; 및
    상기 전류공급부로부터 상기 제1 전극으로 제공되는 전류와 상기 제2 전극으로 출력되어 상기 전압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체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중앙처리부
    를 포함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앙처리부로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정보를 제공하는 입력부;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전압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표시부 또는 프린트부를 포함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몸체의 양 옆구리에 근접하게 위치된 제1 및 제2 전극을 통해 검출되는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전체 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를 산출하고, 상기 몸체의 배꼽에 근접하게 위치된 제1 및 제2 전극을 통해 검출되는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피하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를 산출하며, 상기 전체 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와 상기 피하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를 감산한 값과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정보를 이용하여 복부내장지방량을 산출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다중회귀공식을 이용하여 복부내장지방량을 산출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종단부에 홀더가 구비되어 상호 체결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은 상기 벨트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된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19. 벨트의 정렬선이 피측정자의 배꼽에 일치된 상태에서, 벨트가 탄성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특성을 이용하거나, 벨트 표면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허리둘레를 측정하는 허리둘레 측정 단계,
    상기 허리둘레 측정 단계 후, 신체정보를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는 신체정보 입력단계;
    신체정보 입력단계 후, 몸체의 양 옆구리에 위치된 제1 전극을 통해 정전류를 공급하고, 그곳과 가까운 곳에 위치된 제2 전극을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복부 전체 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전체 지방량 대응 체임피던스 측정 단계;
    전체 지방량 대응 체임피던스 측정 단계 후, 몸체의 배꼽을 경계로 좌우 양측에 위치된 제1 전극을 통해 정전류를 다시 공급하고, 그곳과 가까운 곳에 위치된 제2 전극을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검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피하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를 측정하는 피하지방량 대응 체임피던스 측정 단계;
    피하지방량 대응 체임피던스 측정 단계 후, 전체 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에서 피하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를 감산하여 최종적으로 복부내장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복부내장지방량 대응 체임피던스 산출단계;
    복부내장지방량 대응 체임피던스 산출단계 후, 복부내장지방량에 대응하는 체임피던스와 측정자(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이용하여 측정자의 복부내장지방량을 산출하는 측정자 복부내장지방량 산출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내장지방 측정방법.
KR1020090062576A 2009-07-09 2009-07-09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KR101063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576A KR101063594B1 (ko) 2009-07-09 2009-07-09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576A KR101063594B1 (ko) 2009-07-09 2009-07-09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061A true KR20110005061A (ko) 2011-01-17
KR101063594B1 KR101063594B1 (ko) 2011-09-07

Family

ID=4361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576A KR101063594B1 (ko) 2009-07-09 2009-07-09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5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1730A (zh) * 2011-12-15 2012-07-11 无锡市仁科医疗电子有限公司 一种摹拟腹壁表面动作的装置及其摹拟方法
CN103040464A (zh) * 2011-10-14 2013-04-1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身体组成测量装置
CN105559781A (zh) * 2016-02-01 2016-05-11 北京理工大学 基于zynq的可运动穿戴的便携式人体电阻抗实时成像装置
CN113116298A (zh) * 2019-12-30 2021-07-16 株式会社塞乐嘉 利用智能服装的减肥及健康管理装置及其体脂肪管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8461A (ko) * 2016-03-17 2017-09-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지방 측정장치 및 방법
KR102525396B1 (ko) * 2022-02-25 2023-04-27 주식회사 피맥스 의료 영상 분석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6677B2 (ja) * 2001-04-13 2003-04-14 花王株式会社 体脂肪測定装置
KR100598146B1 (ko) * 2004-04-28 2006-07-07 메디게이트(주) 체임피던스 측정용 벨트 전극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40464A (zh) * 2011-10-14 2013-04-1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身体组成测量装置
CN102551730A (zh) * 2011-12-15 2012-07-11 无锡市仁科医疗电子有限公司 一种摹拟腹壁表面动作的装置及其摹拟方法
CN105559781A (zh) * 2016-02-01 2016-05-11 北京理工大学 基于zynq的可运动穿戴的便携式人体电阻抗实时成像装置
CN113116298A (zh) * 2019-12-30 2021-07-16 株式会社塞乐嘉 利用智能服装的减肥及健康管理装置及其体脂肪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3594B1 (ko)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594B1 (ko) 복부내장지방 측정장치
JP4840952B2 (ja) 生体電気インピーダンス計測方法及び計測装置、並びに該計測装置を用いた健康指針管理アドバイス装置
JP4905197B2 (ja) 内臓脂肪測定装置
EP2180091B1 (en) Pressure-sensitive conductive yarn and biological information-measuring garment
AU2007327573B2 (en) Measurement apparatus
JP4461763B2 (ja) 内臓脂肪算出装置
US9408553B2 (en) Fat mass measurement apparatus
AU2016282079A1 (en) Impedance methods and apparatuses using arrays of bipolar electrodes
US20080218180A1 (en) Apparatus, a System and a Method for Enabling an Impedance Measurement
JP2016527943A (ja) 組織の湿潤度を決定する小型でウェアラブルな家庭用装置
CN102131459B (zh) 内脏脂肪测定装置
US201600299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the fluid content of a part of the body of a subject
CN103025235A (zh) 体脂肪测定装置
US8670822B2 (en) Body fat measurement device
JP2015093133A (ja) 生体測定装置
US9068810B2 (en) Trunk area dimension measurement device and body fat measurement device
JP5853132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
US202202875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issue parameters by use of capacitive tactile sensor
KR101603764B1 (ko) 인체 내 임피던스 측정장치
FI112845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lihassähköaktiviteetin mittaamisessa
CN208388609U (zh) 一种具有心率心电检测功能的体质秤
CN207855684U (zh) 一种通过生物阻抗传感测量人体心率的人体秤
JP6459837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
KR20150103947A (ko) 전자줄자 기능을 가진 체지방 측정기
CN117598681A (zh) 用于测量人体肌肉和肌量的装置及测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