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946A - 인테리어 장식구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장식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946A
KR20110003946A KR1020090061473A KR20090061473A KR20110003946A KR 20110003946 A KR20110003946 A KR 20110003946A KR 1020090061473 A KR1020090061473 A KR 1020090061473A KR 20090061473 A KR20090061473 A KR 20090061473A KR 20110003946 A KR20110003946 A KR 20110003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storage body
support
binding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주
Original Assignee
정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주 filed Critical 정명주
Priority to KR1020090061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946A/ko
Publication of KR20110003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쥬얼리수납본체에는 쥬얼리개별장전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쥬얼리를 장전하고, 쥬얼리수납본체의 하단에는 쥬얼리지지받침대를 결착수단에 의해 결착하여 쥬얼리수납본체에 개별적으로 장전된 쥬얼리를 받쳐 지지하고 억류시키도록 된 인테리어 장식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쥬얼리수납본체에 개별적으로 분리된 쥬얼리를 직접 장전하여 형성함으로써, 쥬얼리를 쥬얼리수납본체에 용이하게 장전할 수 있고,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제조원가도 줄일 수 있는 인테리어 장식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용 장식구는, 쥬얼리수납본체에는 쥬얼리개별장전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쥬얼리를 장전하고, 쥬얼리수납본체의 하단에는 쥬얼리지지받침대를 결착수단에 의해 결착하여 쥬얼리수납본체에 개별적으로 장전된 쥬얼리를 받쳐 지지하고 억류시키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쥬얼리수납본체에 개별적으로 분리된 쥬얼리를 직접 장전하여 형성함으로써, 쥬얼리를 쥬얼리수납본체에 용이하게 장전할 수 있고,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제조원가도 줄일 수 있는 인테리어 장식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은, 쥬얼리를 쥬얼리수납본체에 이격시켜 직접 설치하여 줌으로서 설치되는 쥬얼리의 종류에 따른 고유의 특성을 확연하게 부각시킬 수 있고, 쥬얼리 수납본체를 유광으로 도금하여 줌으로서 쥬얼리에서 발생하는 빛을 충분히 반사시켜 쥬얼리의 특성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보석의 가치와 장식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장식되는 쥬얼리의 특성에 따라 유광으로 도금되는 쥬얼리수납본체의 색상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장식되는 인테리어의 특성에 부합되도록 변화를 가미할(변화를 줄 수) 수 있으며, 보석의 사용 수를 줄여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다.
쥬얼리수납본체. 쥬얼리장전실. 쥬얼리장전공. 분할벽. 쥬얼리. 쥬얼리지지받침대. 쥬얼리장전홈. 쥬얼리장전블록. 장전요홈.

Description

인테리어 장식구{ORNAMENT FOR ACCESSORY}
본 발명은 각종 가구나 물품에 부착하여 장식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인테리어용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쥬얼리수납본체에는 쥬얼리개별장전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쥬얼리를 장전하고, 쥬얼리수납본체의 하단에는 쥬얼리지지받침대를 결착수단에 의해 결착하여 쥬얼리수납본체에 개별적으로 장전된 쥬얼리를 받쳐 지지하고 억류시키도록 된 인테리어 장식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보편적으로 일반가정(거실, 침실, 주방 등)이나 사무실 및 오피스텔 등에 비치되는 각종 가구들은 기능을 고려하여 편리하게 사용하고 장식을 겸하여 활용 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게 되고, 제조되는 재질과 색상에 따라 디자인도 다양해지게 된다.
특히, 근자에 각종 가구들은 단순한 수납 기능을 넘어, 가구의 기능과 특성을 가일층 향상시키고 고급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각종 인테리어가 보강되어 장식용으로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수납 기능과 더불어 장식 기능을 겸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종 장식물을 부착하여 가구의 특색을 가일층 부각시키게 되며, 더불어 가구와 같은 인테리어제품을 고급화시키기 위한 장식물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유사한 것으로는 국내의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9-431호 "보석장식블록"이 알려져 있다.
이는 보석을 지지하는 보석홀더의 하단에 형성된 끼움부의 양 측면에는 끼움홈을 형성하고, 끼움레일의 양측 지지면에는 레일돌기를 형성하여, 끼움레일에 보석홀더를 끼워 서로 연접되도록 결합시키되, 끼움부의 끼움홈에 끼움레일의 레일돌기를 삽입하여 결합시켜서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끼움레일에 보석홀더를 서로 인접하도록 연속적으로 조밀하게 연결시키므로 보석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효율적으로 살리지 못하게 된다.
즉, 끼움레일에 보석홀더를 연하여 조밀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석의 특성을 부각시키지 못하고, 끼움레일이 보석에서 발생하는 빛을 충분히 반사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보석의 가치와 장식효과를 오히려 떨어뜨리게 되고, 디자인이 항상 일정하므로 장식되는 인테리어의 특성에 부합되도록 레일에 변화를 가미할(변화를 줄 수) 수 없는 한계가 있으며, 많은 보석을 사용하여 일렬로 설치하므로 오히려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한 인테리어용 장식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쥬얼리수납본체에는 쥬얼리개별장전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쥬얼리를 장전하고, 쥬얼리수납본체의 하단에는 쥬얼리지지받침대를 결착수단에 의해 결착하여 쥬얼리수납본체에 개별적으로 장전된 쥬얼리를 받쳐 지지하고 억류시키도록 된 인테리어 장식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쥬얼리수납본체에 개별적으로 분리된 쥬얼리를 직접 장전하여 형성함으로써, 쥬얼리를 쥬얼리수납본체에 용이하게 장전할 수 있고,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제조원가도 줄일 수 있는 인테리어 장식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쥬얼리를 쥬얼리수납본체에 이격시켜 직접 설치하여 줌으로서, 설치되는 쥬얼리의 종류에 따른 고유의 특성을 확연하게 부각시킬 수 있고, 쥬얼리수납본체를 유광으로 도금하여 줌으로서 쥬얼리에서 발생하는 빛을 충분히 반사시켜 쥬얼리의 특성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보석의 가치와 장식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인테리어 장식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식되는 쥬얼리의 특성에 따라 유광으로 도금되는 쥬얼리수납본체의 색상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장식되는 인테리어의 특성에 부합되도록 변화를 가미할(변화를 줄 수) 수 있으며, 보석의 사용 수를 줄여 장식효과 를 높일 수 있도록 된 인테리어 장식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쥬얼리수납본체에 쥬얼리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개별적으로 결합 장전하고, 개별적으로 장전된 쥬얼리를 억류수단에 의해 일괄 억류 지지하도록 된 인테리어장식구(1-1 ~ 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구(1)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쥬얼리개별장전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쥬얼리가 개별적으로 이격 장전되는 쥬얼리수납본체와;
상기 쥬얼리수납본체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전되는 개별적인 쥬얼리와;
상기 쥬얼리수납본체의 하단부에 결착수단에 의해 결착(결합)되어 쥬얼리수납본체의 내부에 개별적으로 장전된 쥬얼리를 받쳐 지지하고 억류시키는 쥬얼리지지받침대;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장식구(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용 장식구는,
쥬얼리수납본체에는 쥬얼리개별장전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쥬얼리를 장전하고, 쥬얼리수납본체의 하단에는 쥬얼리지지받침대를 결착수단에 의해 결착하여 쥬얼리수납본체에 개별적으로 장전된 쥬얼리를 받쳐 지지하고 억류시키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쥬얼리수납본체에 개별적으로 분리된 쥬얼리를 직접 장전하여 형성함으로써, 쥬얼리를 쥬얼리수납본체에 용이하게 장전할 수 있고,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제조원가도 줄일 수 있는 인테리어 장식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은, 쥬얼리를 쥬얼리수납본체에 이격시켜 직접 설치하여 줌으로서 설치되는 쥬얼리의 종류에 따른 고유의 특성을 확연하게 부각시킬 수 있고, 쥬얼리수납본체를 유광으로 도금하여 줌으로서 쥬얼리에서 발생하는 빛을 충분히 반사시켜 쥬얼리의 특성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보석의 가치와 장식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장식되는 쥬얼리의 특성에 따라 유광으로 도금되는 쥬얼리수납본체의 색상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장식되는 인테리어의 특성에 부합되도록 변화를 가미할(변화를 줄 수) 수 있으며, 보석의 사용 수를 줄여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a 내지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장식구(1: 1-1. 1-2. 1-3. 1-4. 1-5. 1-6. 1-7)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도면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장식구(1-1)를 보인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와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장식구(1-2)(1-3)의 서로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 도 5a 및 도 5b, 도 6a 및 도 6b,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장식구(1-4)(1-5)(1-6)(1-7)의 다른 실시 예를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장식구(1: 1-1. 1-2. 1-3. 1-4. 1-5. 1-6. 1-7)는 쥬얼리(20)를 수납하여 지지하는 쥬얼리수납본체(10)와 쥬얼리지지받침대(30)로 크게 분할하여 형성한 것이 주지적인 특징이다.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장식구(1-1)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쥬얼리수납본체(10)는, 상판(11)의 양측에 수직측판(12)을 각각 나란하게 형성하여 이들 내측에 쥬얼리장전실(14)이 형성되도록 하였고, 상판(11)에는 쥬얼리장전공(15)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각 쥬얼리장전공(15)에는 통상의 쥬얼리(20)를 내측(하측)에서 외측(상측)으로 끼워 개별적으로 장전하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쥬얼리장전공(15)을 상협하광으로 형성하여 장전되는 쥬얼리(20) 의 상면이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쥬얼리수납본체(10)에서 각 수직측판(12)의 내면 하단에는 결착돌편(17)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쥬얼리장전실(14)에 차후에 설명되는 쥬얼리받침대(30)을 장착하였을 때에 결착돌편(17)이 쥬얼리받침대(30)를 억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각 수직측판(12)의 하단에 장착돌편(13)을 외측으로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장식구(1-1)를 인테리어(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장착할 때에 장착돌편(13)을 인테리어(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형성된 장착요홈(또는 장착레일)에 끼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쥬얼리수납본체(10)의 각 쥬얼리장전공(15)에 장전되어 있는 쥬얼리(20)를 억류지지하는 쥬얼리지지받침대(3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쥬얼리지지받침판(31)을 상기 쥬얼리수납본체(10)의 쥬얼리장전실(14) 즉, 수직측판(12)과 수직측판(12)과의 사이에 결합(장전)시킬 수 있는 폭으로 형성하였고, 쥬얼리지지받침판(31)의 상면에는 각 쥬얼리장전공(15)과의 동일 수직선상에는 쥬얼리장전홈(32)을 각각 형성하여 각 쥬얼리장전공(15)에 장전된 쥬얼리(20)의 하단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쥬얼리지지받침판(31)의 상면 양단에는 단부보호판(33)을 형성하여 쥬얼리받침대(30)를 쥬얼리수납본체(10)의 쥬얼리장전실(14)에 결합하였을 때에 단부보호판(33)이 쥬얼리장전실(14)의 양측 단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쥬얼리지지받침판(31)의 상면 양단에 형성되는 단부보호판(33)을 구체적으로 도시 하지 아니하였으나 쥬얼리장전실(14)의 양측 단부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장식구(1-2)는 쥬얼리수납본체(10)와 쥬얼리지지받침대(30)를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인테리어장식구(1-1)의 쥬얼리수납본체(10)와 쥬얼리지지받침대(30)와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다만 쥬얼리수납본체(10)는 쥬얼리장전실(14)에서 각 쥬얼리장전공(15)과 쥬얼리장전공(15)과의 사이에 분할벽(16)을 형성하여 각 쥬얼리장전공(15)의 내측으로 쥬얼리개별장전실(14-1)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분할벽(16)에 의해 각 쥬얼리장전공(15)의 내측으로 쥬얼리개별장전실(14-1)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각 쥬얼리개별장전실(14-1)에 쥬얼리(20)를 보다 용이하게 장전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쥬얼리(20)를 장전시키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장식구(1-3)는 쥬얼리수납본체(10)와 쥬얼리지지받침대(30)를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인테리어장식구(1-1)의 쥬얼리수납본체(10)와 쥬얼리지지받침대(30)와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다만 쥬얼리지지받침대(30)는 쥬얼리받침판(31)에 형성된 각 쥬얼리장전홈(32)과 쥬얼리장전홈(32)과의 사이에 분할벽(34)을 형성하여 각 쥬얼리장전홈(15)의 상측으로 쥬얼리개별장전실(34-1)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각 쥬얼리장전홈(15)의 상측으로 쥬얼리개별장전실(34-1)을 형 성함으로써, 각 쥬얼리개별장전실(34-1)에 쥬얼리(20)를 보다 용이하게 장전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쥬얼리(20)를 장전시키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장식구(1-4)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쥬얼리수납본체(10)는, 상판(11)의 양측에 수직측판(12)을 각각 나란하게 형성하여 이들 내측에 쥬얼리장전실(14)이 형성되도록 하였고, 상판(11)에는 쥬얼리장전공(15)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통상의 쥬얼리(20)를 내측(하측)에서 외측(상측)으로 끼워 개별적으로 장전하도록 하였으며, 각 수직측판(12)의 외면 하단에는 장착돌편(13)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도록 하였다.
쥬얼리지지받침대(3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상기 쥬얼리지지받침판(31)의 상면에는 일체로 된 쥬얼리장전블록(35)을 길게 형성하여 쥬얼리장전홈(32)을 일정한 간격(쥬얼리장전공(15)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쥬얼리지지받침판(31)의 상면에는 쥬얼리장전홈(32)이 형성된 각 쥬얼리장전블록(35)을 일정한 간격(쥬얼리장전공(15)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쥬얼리장전블록(35)은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일체로 형성되거나 개별적으로 단독 형성된 쥬얼리장전블록(35)의 밑면에는 공간부(35-1)를 길게 형성하거나 또는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쥬얼리수납본체(10)를 형성하는 양측 수직측판(12)의 내면과 쥬얼리지지받침대(30)를 형성하는 쥬얼리지지받침판(31) 및 쥬얼리장전블록(35)의 외면에는 복수 개씩의 결착돌편(17)(37)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쥬얼리수납본체(10)의 쥬얼리장전실(14)에 쥬얼리지지받침대(30)를 결합하였을 때에 결착돌편(17)(37)들이 대응되는 결착돌편(17)(37)들 사이의 결착요부(17-1)(37-1)에 각각 결합되어 장착되도록 하였다.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장식구(1-5)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쥬얼리수납본체(10)와 쥬얼리지지받침대(30)를 형성함에 있어서, 쥬얼리수납본체(10)는 양측 수직측판(12)의 높이를 다소 낮게 유지시키고, 쥬얼리지지받침대(30)는 쥬얼리지지받침판(31)의 양측으로 장착돌편(31-1)을 일체로 형성하여 양측 수직측판(12)의 밑면에 위치하거나(도 5b) 수직측판(1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도 5a) 하였다.
이외에는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장식구(1-4)의 쥬얼리수납본체(10)와 쥬얼리지지받침대(30)와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장식구(1-6)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쥬얼리수납본체(10)와 쥬얼리지지받침대(30)를 형성함에 있어서, 쥬얼리수납 본체(10)는 양측 수직측판(12)의 높이를 다소 낮게 유지시켜 형성하였고, 각 수직측판(12)의 외면 하단에는 결속요부(18)를 형성하였는데, 상기 결속요부(18)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각 수직측판(12)의 내면 하단에 형성할 수 있다.
쥬얼리지지받침대(30)는 쥬얼리지지받침판(31)의 양측으로 장착돌편(31-1)을 일체로 형성하여 양측 수직측판(12)의 밑면에 위치하거나(도 5b) 수직측판(1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도 5a) 형성하였고, 쥬얼리장전블록(35)의 양측에서 쥬얼리지지받침판(31)에 결속돌부(38)를 각각 형성하여 각 결속돌부(38)의 내측으로 장전요홈(39)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쥬얼리수납본체(10)와 쥬얼리지지받침대(30)를 서로 결합하였을 때에 상기 쥬얼리수납본체(10)를 형성하는 수깆측판(12)이 장전요홈(39)에 삽입되도록 하였다.
이외에는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장식구(1-4)의 쥬얼리수납본체(10)와 쥬얼리지지받침대(30)와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도 7a 및 도 7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장식구(1-7)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쥬얼리수납본체(10)와 쥬얼리지지받침대(30)를 형성함에 있어서, 쥬얼리수납본체(10)는 양측 수직측판(12)의 내면 하단에 결속요부(18)를 형성하였고, 수직측판(12)의 외면 하단에는 장착돌편(13)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쥬얼리지지받침대(30)는 쥬얼리지지받침판(31)의 폭을 다소 넓게 형성하되 대향하는 양측 수직측판(12)의 내면에 형성된 결속요부(18)에 안치되도록 하였고, 상기 결속요부(18)의 내면과 쥬얼리지지받침판(31)의 양측 면에 결속돌편(17)(37)을 각각 형성하여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외에는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장식구(1-4)의 쥬얼리수납본체(10)와 쥬얼리지지받침대(30)와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각각 형성된 쥬얼리수납본체(10)에 쥬얼리(20)와 쥬얼리지지받침판(30)을 결합(조립)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장식구(1-1)(1-2)(1-3)(1-4)(1-5)(1-6)(1-7)를 형성하게 되며, 조립을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상기 쥬얼리수납본체(10)의 각 쥬얼리장전공(15)에는 쥬얼리장전실(14)을 통하여 쥬얼리(20)를 장전하는데, 쥬얼리(42)가 상측을 향하도록 삽입하여 장전한다.
특히,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쥬얼리장전실(14)이 완전히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쥬얼리(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도 2a 내지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쥬얼리장전실(14)에 분할벽(16)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쥬어리받침대(30)에 분할벽(34)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분할벽(16)(34)의 사이 사이에 각 쥬얼리(20)가 위치하도록 장전(안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쥬얼리수납본체(10)의 각 쥬얼리장전공(15)에 쥬얼리(20)를 장전(안치)시킨 상태에서 쥬얼리수납본체(10)의 하단 즉, 수직지지판(12) 사이의 쥬얼리장전실(14)의 하단에 받침지지대(30)를 결합하거나 또는 수직지지판(12)의 밑 면 단부에 받침지지대(30)를 결합하여 쥬얼리(20)를 쥬얼리수납본체(10)의 내부에 억류시켜 준다.
쥬얼리수납본체(10)의 각 쥬얼리장전공(15)에 쥬얼리(20)를 장전(안치)시킨 상태에서 수직지지판(12) 사이의 내부 하단에 받침지지대(30)를 결합하고자 할 때에는 도 1a 내지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양측 수직지지판(12)의 내측으로 받침지지대(30)를 끼워 결합시키면 수직지지판(12)에 형성된 결착돌편(17)이 받침지지판(31)을 억류시켜 줌으로써 쥬얼리(20)을 쥬얼리수납본체(10)에 결합시켜 줄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쥬얼리수납본체(10)의 각 쥬얼리장전공(15)에 쥬얼리(20)를 장전(안치)시킨 상태에서 쥬얼리수납본체(10)의 하단 즉, 수직지지판(12) 사이의 쥬얼리장전실(14)의 하단에 받침지지대(30)를 결합하거나 또는 수직지지판(12)의 밑면 단부에 받침지지대(30)를 결합시킨다.
즉, 도 4a 내지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쥬얼리수납본체(10)의 쥬얼리장전실(14)에 쥬얼리지지받침대(30)를 결합하게 되면 대응되게 형성된 결착돌편(17)(37)들이 대응되는 결착돌편(17)(37)들 사이의 결착요부(17-1)(37-1)에 각각 결합되어 장착됨으로써 쥬얼리(20)을 쥬얼리수납본체(10)에 결합시켜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장식구(1-1)(1-2)(1-3)(1-4)(1-5)(1-6)(1-7)는 쥬얼리수납본체(10)에 쥬얼리(20) 과 쥬얼리지지받침대(30)를 결합(조립)하여 줌으로써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장식구(1-1)(1-2)(1-3)(1-4)(1-5)(1-6)(1-7)는, 쥬얼리(20)가 쥬얼리수납본체(10)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므로, 쥬얼리(20)의 종류에 따라 쥬얼리(20)의 고유한 특성을 확연하게 부각시킬 수 있다.
또, 쥬얼리장식구수납본체(10)를 유광으로 도금하여 줌으로서 쥬얼리(42)에서 발생하는 빛을 충분히 반사시켜 쥬얼리(42)의 특성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쥬얼리(42)의 가치와 인테리어의 장식효과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장식구(1-1)(1-2)(1-3)(1-4)(1-5)(1-6)(1-7)는, 장식되는 쥬얼리(42)의 특성에 따라 유광으로 도금되는 쥬얼리장식구수납본체(10)의 색상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장식되는 인테리어의 특성에 부합되도록 변화를 가미할(변화를 줄 수) 수 있으며, 쥬얼리(42)의 줄여 장식하므로 외려 장식효과를 높이면서도 제조원가는 낮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구를 보인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도 2a 및 도 2b와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구의 서로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도 4a 및 도 4b, 도 5a 및 도 5b, 도 6a 및 도 6b,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구의 서로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인테리어장식구 10: 쥬얼리수납본체 11: 상판
12: 수직측판 14: 쥬얼리장전실 15: 쥬얼리장전공
16. 34: 분할벽 17. 37: 결착돌편 20: 쥬얼리
30: 쥬얼리지지받침대 31: 쥬얼리지지받침판 32: 쥬얼리장전홈
33: 단부보호판 35: 쥬얼리장전블록 39: 장전요홈

Claims (14)

  1. 쥬얼리수납본체에 쥬얼리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개별적으로 결합 장전하고, 개별적으로 장전된 쥬얼리를 억류수단에 의해 억류 지지하도록 된 인테리어장식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장식구는;
    쥬얼리개별장전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쥬얼리가 개별적으로 이격 장전되는 쥬얼리수납본체와;
    상기 쥬얼리수납본체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전되는 개별적인 쥬얼리와;
    상기 쥬얼리수납본체의 하단부에 결착수단에 의해 결착되어 쥬얼리수납본체의 내부에 개별적으로 장전된 쥬얼리를 일괄적으로 받쳐 지지하고 억류시키는 쥬얼리지지받침대;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쥬얼리수납본체의 하단부에 결착수단에 의해 결착되는 쥬얼리지지받침대는;
    쥬얼리수납본체를 형성하는 대향하는 수직측판의 내부 하단에 장착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쥬얼리수납본체의 하단부에 결착수단에 의해 결착되는 쥬얼리지지받침대는;
    쥬얼리수납본체를 형성하는 대향하는 수직측판의 하단에 당접시켜 장착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쥬얼리수납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쥬얼리지지받침대는;
    쥬얼리수납본체의 내부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평판으로 되어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쥬얼리지지받침판과;
    상기 쥬얼리지지받침판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쥬얼리장전홈;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쥬얼리수납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쥬얼리지지받침대는;
    쥬얼리수납본체의 내부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평판으로 되어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쥬얼리지지받침판과;
    상기 쥬얼리지지받침판의 상면에 길게 형성되는 일체형 쥬얼리장전블록과;
    상기 일체형 쥬얼리장전불록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쥬얼리장전홈;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구.
  7. 청구항 2에 있어서, 쥬얼리수납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쥬얼리지지받침대는;
    쥬얼리수납본체의 내부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평판으로 되어 폭이 좁고 길이 가 긴 쥬얼리지지받침판과;
    상기 쥬얼리지지받침판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면서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개별형 쥬얼리장전블록과;
    상기 개별형 쥬얼리장전불록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쥬얼리장전홈;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구.
  8. 청구항 2에 있어서,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쥬얼리수납본체와 쥬얼리지지받침대는;
    쥬얼리수납본체를 형성하는 수직측판의 내면 또는 외면의 하단에 결속요부를 형성한 것과;
    쥬얼리지지받침대를 형성하는 쥬얼리지지받침판 및 쥬얼리장전블록이 결속요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결합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구.
  9. 청구항 2에 있어서,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쥬얼리수납본체와 쥬얼리지지받침대는;
    쥬얼리수납본체를 형성하는 수직측판의 내면 또는 외면의 하단에 결속요부를 형성한 것과;
    쥬얼리지지받침대를 형성하는 쥬얼리지지받침판에서 쥬얼리장전블록의 양측으로 결속돌부를 각각 형성하여 쥬얼리장전블록의 양측으로 장전요홈이 형성되도록 한 것과;
    쥬얼리수납본체의 결속요부를 쥬얼리지지받침대의 장전요홈이 삽입하여 결합시킨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구.
  10.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9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쥬얼리수납본체에 장전되는 쥬얼리지지받침대를 결착시키는 결착수단은;
    상기 쥬얼리수납본체를 형성하는 각 수직측의 내면 하단에 결착돌편을 동일선상에 형성한 것과;
    상기 쥬얼리수납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쥬얼리지지받침대가 결착돌편에 의해 억류되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구.
  11.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9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쥬얼리수납본체에 장전되는 쥬얼리지지받침대를 결착시키는 결착수단은;
    상기 쥬얼리수납본체를 형성하는 양측 수직측판의 내면과 쥬얼리지지받침대를 형성하는 쥬얼리지지받침판 및 쥬얼리장전블록의 외면에는 복수 개씩의 결착돌편을 대응되게 형성한 것과;
    상기 쥬얼리수납본체의 내부에 쥬얼리지지받침대를 결합시키면 대응되는 결착돌편들이 결합되어 대응되는 결착요부에 각각 결합되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구.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쥬얼리수납본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쥬얼리수납본체는;
    외면에 유광으로 도금하여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구.
  14.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쥬얼리지지받침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일체형 또는 개별형 쥬얼리장전블록의 밑면에는 공간부를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구.
KR1020090061473A 2009-07-07 2009-07-07 인테리어 장식구 KR201100039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473A KR20110003946A (ko) 2009-07-07 2009-07-07 인테리어 장식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473A KR20110003946A (ko) 2009-07-07 2009-07-07 인테리어 장식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946A true KR20110003946A (ko) 2011-01-13

Family

ID=4361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473A KR20110003946A (ko) 2009-07-07 2009-07-07 인테리어 장식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39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75587C2 (ru) * 2014-11-12 2018-12-19 Александер Вильзер Гмбх Элемент украше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75587C2 (ru) * 2014-11-12 2018-12-19 Александер Вильзер Гмбх Элемент украше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10765183B2 (en) 2014-11-12 2020-09-08 Alexander Wilser GmbH Jewelry element and produc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3946A (ko) 인테리어 장식구
CN207620194U (zh) 软膜天花安装结构
CN104501031A (zh) 一种墙面隐藏式灯具
CN201428225Y (zh) 一种墙板装饰挂件
KR20110003944A (ko) 인테리어 장식구
KR200396890Y1 (ko) 스팽글 샹들리에
CN201306655Y (zh) 一种具有装饰篮的吊灯
KR20100009833U (ko) 인테리어용 장식구
CN201835464U (zh) 功能实用型pvc槽板
CN203748945U (zh) 多功能灯柜结构
KR101351173B1 (ko) 장식물 부착 방법
KR20100108148A (ko) 인테리어 장식구
CN205637285U (zh) 吊顶层的组合型装饰凹槽结构及其应用的吊顶系统
KR200386309Y1 (ko) 수족관이 설치된 석재테이블
CN203249161U (zh) 一种环形灯罩
KR101274300B1 (ko) 장식물 부착 구조
CN205171883U (zh) 集成吊顶圆形造型模块的安装结构
KR200423421Y1 (ko) 원형의 철판 플레이트를 이용한 와인렉
CN214739489U (zh) 一种树脂吊顶板
KR200281689Y1 (ko) 조립식 장식장
CN213040498U (zh) 一种多功能太阳能吊篮灯
CN201460118U (zh) 一种吊顶用龙骨
KR200421524Y1 (ko) 금속장식판의 보석 설치구조
KR200364532Y1 (ko) 천정 등기구
KR200423422Y1 (ko) 철판 플레이트를 이용한 와인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