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532Y1 - 천정 등기구 - Google Patents

천정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532Y1
KR200364532Y1 KR20-2004-0021265U KR20040021265U KR200364532Y1 KR 200364532 Y1 KR200364532 Y1 KR 200364532Y1 KR 20040021265 U KR20040021265 U KR 20040021265U KR 200364532 Y1 KR200364532 Y1 KR 200364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lamp
cover
decorative plate
lumina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남
Original Assignee
시도라이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도라이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도라이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1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5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5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with a non-rigid pendant, i.e. a cable, wire or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 등기구에 있어서, 실내의 천정면에 부착되며, 소정길이를 갖고 함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와, 소켓과, 램프 및, 이들을 감싸는 커버로 이루어진 다수의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의 소켓과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케이블 및, 상기 각 조명등의 커버 외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조명등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다수의 삽입공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과 삽입공 사이에는 다양한 형태를 이루는 장식물을 설치하기 위한 안착부가 구비된 장식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조명등에 의한 조명효과는 물론, 다양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의 장식적인 요소를 한층 더 부각시켜 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주거문화의 고급화를 꾀할 수 있는 천정 등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정 등기구 {Ceiling light}
본 고안은 실내의 천정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조명하도록 된 천정 등기구에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등에 의한 조명효과는 물론, 조명등에 삽입 설치되는 장식판에 의해 다양한 형태를 갖는 장식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의 조명효과는 물론, 다양한 장식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천정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천정면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천정 등기구는 통상 백열등 조명램프의 빛을 여러가지로 제작된 전등커버를 통하여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실내를 조명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천정 등기구는 최근 들어 경제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른 주거문화의 다변화 및 고급화 추세에 따라, 조명이라는 실질적인 기능 이외에 실내의 장식적인 효과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보다 다양한 디자인이 소비자들에게 각광받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종래에 제공되고 있는 대부분의 천정 등기구들은 전등커버를 통해 단순히 실내를 조명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천정 등기구를 이용한 실내의 장식적인 조명효과를 얻기에는 다소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매우 보편적인 구조를 갖는 천정 등기구들은 소비자들로 하여금 금방 식상함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우려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로 설치되는 조명등에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을 안착시킬 수 있는 장식판을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의 조명효과는 물론, 외관의미려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천정 등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종 단면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A - 천정용 등기구 10 - 고정부
20 - 케이블 30 - 조명등
33 - 커버 33a - 몸체
33b - 돌출부 33c - 금속판
40 - 장식판 41 - 삽입공
42 - 안착부 43 - 화병
이러한 본 고안은 천정 등기구에 있어서, 실내의 천정면에 부착되며, 소정길이를 갖고 함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와, 소켓과, 램프 및, 이들을 감싸는 커버로 이루어진 다수의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의 소켓과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케이블 및, 상기 각 조명등의 커버 외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조명등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다수의 삽입공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과 삽입공 사이에는 다양한 형태를 이루는 장식물을 설치하기 위한 안착부가 구비된 장식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I - I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등기구(A)는 크게 실내에 천정면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와 케이블(20)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의 조명등(30) 및, 상기 조명등(30)에 삽입 설치되는 장식판(40)으로 구성된다.
고정부(10)는 본 고안인 등기구(A)를 실내의 천정면에 취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장방형의 함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천정면에 매입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 내에 수납되어 비스 등의 체결수단(13)에 의해 본체(11)의 내부 양측단에 결합되도록 양단이 절곡된 고정판(12)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11)가 외부로부터 가려질 수 있는 크기를 갖고 형성되는 마감판(14)이 부착될 수 있다. 즉, 본체(11)와 고정판(12)이 천정면과 부착되기 위한 체결수단(13) 또는 케이블(20)등의 각종 배선 등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외관미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11)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마감판(14)을 본체(11)의 하부에 부착함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마감판(14)을 테두리 부분이 구름 모양을 갖는 판체형으로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모양이 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고정부(10)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조명등(30)이 설치된다. 조명등(30)은 외부 전원과 연결된 소켓(31)과, 상기 소켓(31)에 장착되는 램프(32) 및, 이들을 감싸는 커버(3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33)는 소켓(31)과 나합되어 체결되는 체결구(34)에 의해 커버(33)의 상부에 위치된 홀더(35)와 결합되고, 다시 홀더(35)는 실내의 천정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0)와 케이블(20)에 의해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커버(33)는 하부가 개방된 원뿔형태를 가지는 몸체(33a)와, 상기몸체(33a)의 하단 둘레에 외부로 일정부분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33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33)는 표면에 샌딩처리를 하여 불투명하게 하거나, 커버(33)를 투명재질로 형성하여 내부 벽면에 다양한 색상이나, 무늬가 결합 표현된 금속판(33c)을 삽입함으로써, 한층 더 고급스러운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기 조명등(30)이 일정 거리를 두고 2개로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천정면에 부착되는 고정부(10)의 길이에 따라 조명등(30)의 갯수는 조절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조명등(30)에는 다양한 형태의 장식물을 안착시키기 위한 장식판(40)이 삽입 설치된다. 상기 장식판(40)은 본 고안의 특징 중 하나로 다양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고정부(10)의 하부에 배열된 다수의 조명등(30)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조명등(30)의 커버(33) 둘레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삽입공(41)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41)과 삽입공(41) 사이에는 장식물을 안착시키기 위한 홀 형태의 안착부(42)를 형성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때, 안착되는 장식물은 다양한 것들이 있겠지만, 예를 들자면 상기 커버(33)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화병(43)을 상기 커버(33)와 대칭형으로 장식판(40)에 삽입하여 화병(43)의 내부에 꽃이나, 난초 및, 선인장 등의 각종 식물을 식재 함으로써, 상기 조명등(30)에 의한 조명효과와 더불어 자연스러운 장식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42)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일정 깊이를 갖는 홈부 형태로 형성할 수 도 있다. 즉, 상기 안착부(42)가 홈부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화병(43)을 올려놓을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오일램프, 양초 등의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을 안정적으로 장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명등(30)과 조명등(30) 사이에 다양한 형태를 갖는 장식물을 안착 시킬 수 있게 되어 조명효과는 물론, 실내 분위기를 보다 우아하고 아름답게 연출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등기구에 의하면, 다수의 조명등에 결합되는 장식판에 의해 조명등과 조명등 사이에 화분, 오일램프, 양초 등의 다양한 장식물을 안착시켜 다양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의 장식적인 요소를 한층 더 부각시켜 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주거문화의 고급화를 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천정 등기구에 있어서,
    실내의 천정면에 부착되며, 소정길이를 갖고 함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와,
    소켓과, 램프 및, 이들을 감싸는 커버로 이루어진 다수의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의 소켓과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케이블 및,
    상기 각 조명등의 커버 외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조명등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다수의 삽입공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과 삽입공 사이에는 다양한 형태를 이루는 장식물을 설치하기 위한 안착부가 구비된 장식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등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하부가 개방된 원뿔형태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 둘레에 돌출 형성되어 삽입되는 장식판을 지지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등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에 구비된 안착부는 내부가 관통된 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등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조명등을 구성하는 커버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화병이 상기 조명등과 대칭형으로 삽입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등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에 구비된 안착부는 일정 깊이의 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등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에 부착 설치되는 고정부의 하부에는 다양한 형태를 이루며 형성되는 마감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등기구.
KR20-2004-0021265U 2004-07-26 2004-07-26 천정 등기구 KR200364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265U KR200364532Y1 (ko) 2004-07-26 2004-07-26 천정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265U KR200364532Y1 (ko) 2004-07-26 2004-07-26 천정 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532Y1 true KR200364532Y1 (ko) 2004-10-15

Family

ID=49350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265U KR200364532Y1 (ko) 2004-07-26 2004-07-26 천정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5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055B1 (ko) 개선된 조립구조를 갖는 천장 매다는 등
CA2484881A1 (en) Light fixture candle assembly
KR200413753Y1 (ko) 천정등
KR200411570Y1 (ko) 조명등용 전등커버
KR100973917B1 (ko) 천정용 조명등의 장식구
KR101777162B1 (ko) 분할 조립성과 장식성을 갖는 천정직착등
KR101260449B1 (ko) 돌출형 엘이디 광 장식부를 갖는 천장매입등
KR200364532Y1 (ko) 천정 등기구
KR200396890Y1 (ko) 스팽글 샹들리에
KR100715258B1 (ko) 천정등
KR101562231B1 (ko) 이중 장식광이 연출되게 한 천정등
KR20090034136A (ko) 탈부착형 장식구를 갖는 조명등
KR200351991Y1 (ko) 천정조명등용 꽃꽂이대
KR101553523B1 (ko) 장식성이 우수한 천정 인테리어 조명등
KR200236444Y1 (ko) 조명장식품
KR200236706Y1 (ko) 향기 발산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CN202432385U (zh) 一种吊灯
KR200345318Y1 (ko) 조명등기구
KR101136050B1 (ko) 장식성이 뛰어난 천장 매다는 등
KR101704713B1 (ko) 가변형 조립구조에 의해 장식성이 향상되게 한 조명커버
KR100908634B1 (ko) 엘이디와 크리스탈 반사체에 의한 부분 장식 조명부를 갖는천정 직착등
KR200238481Y1 (ko) 장식구가 부착된 조명기구
KR100660439B1 (ko) 장식용 조명기구의 전등커버
KR100798770B1 (ko) 장식 및 발광성이 뛰어난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
KR200353060Y1 (ko) 장식줄이 매달려 있는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