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907A -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이 부가된 비접촉식 생체인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이 부가된 비접촉식 생체인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907A
KR20110003907A KR1020090061406A KR20090061406A KR20110003907A KR 20110003907 A KR20110003907 A KR 20110003907A KR 1020090061406 A KR1020090061406 A KR 1020090061406A KR 20090061406 A KR20090061406 A KR 20090061406A KR 20110003907 A KR20110003907 A KR 20110003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mage
identification data
biometric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철 규 오
Original Assignee
철 규 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철 규 오 filed Critical 철 규 오
Priority to KR1020090061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907A/ko
Publication of KR2011000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Input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을 포함하는 비접촉식 생체인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종래의 생체인식장치에 상기 장치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100), 상기 장치의 전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이용자의 신장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센서(200), 상기 제 1 센서에서 감지된 주변의 조도 및 상기 제 2 센서에서 감지된 이용자의 신장을 계산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 캡처를 위한 이용자 최적위치를 계산하는 계산부(300) 및 상기 장치의 전방에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최적위치를 지시하는 레이저포인터 (400)를 포함하는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생체인식방법을 특징으로 하여 본 발명은 종래의 생체인식장치의 오작동 및 인증속도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생체인식장치, 생체인식방법, 레이저포인터

Description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이 부가된 비접촉식 생체인식 장치 및 방법{THE CONTACTLESS BIOMETR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LOCATIONING SETTING FUNCTION OF USER AND THEREBY CONTACTLESS BIOMETRIC METHOD}
본 발명은 레이저포인터를 포함한 비접촉식 생체인식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발명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레이저포인터가 비접촉식 생체인식 장치에 더 포함되어 이용자가 상기 장치를 이용시에 레이저포인터가 이용자의 위치를 자동으로 지시하는 기능이 더 포함된 비접촉식 생체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사람을 식별하기 위한 신분 확인 기술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컴퓨터를 이용한 개인의 정보 보호 및 신분 확인을 위해 인체 특징을 이용하는 생체 인식 기술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생체 인식 기술 중에서도 얼굴 기술은 지문인식, 홍채 인식 사용자의 특별한 동작이나 행위를 요구하는 인식 기술과 달리, 비접촉식으로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편리하고 경쟁력 있는 생체 인식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얼굴 인식 기술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베이스 검색 핵심 기술 중의 하나로 얼 굴 정보를 이용한 동영상의 요약, 신분 증명, HCI(Human Computer Interface)이미지 검색, 보안, 감시시스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생체인식 장치 및 방법의 한 형태인 얼굴인식 기술을 이용한 출입 통제장치에 관한 많은 시도가 있어왔다. 상기 얼굴인식 기술을 이용한 출입 통제장치는 얼굴인식 인증과정을 수행되어 보다 안전한 인증 처리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상기 카드 또는 열쇠 등과 기구의 휴대가 필요치 않으며, 상기 도구를 잃어버릴 염려가 없다.
그러나, 얼굴 인식은 동일성(identity), 나이, 인종, 표정, 장신구 등의 내적 환경 변화나, 포즈, 외부조명, 이미지 프레세스 등의 외적 환경 변화에 따라서 그 인식 결과가 민감하게 달라지는 특성이 있다. 특히, 외부 조명 변화 또는 이용자의 잘못된 사용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는 장애 요소이므로, 이러한 장애 요소를 극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얼굴인식 출입 통제 장치 및 방법은 이용자가 얼굴인식장치에 일정한 거리에서 떨어져서 이용자의 얼굴을 상기 장치에 비추면 상기 기기가 얼굴의 형상이나 특징부를 추출하여, 등록자에 한하여 인증을 주는 장치 및 방법이며, 종래에는 얼굴을 상기 장치가 인식하지 못하거나 오작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컸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가 생체인식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는 동안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상기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게 함으로써, 상기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는 시간 즉, 상기 장치 및 방법이 작동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이용자가 상기 장치를 이용할 때 상기 장치에서 허용하는 최적거리를 이용자가 잘못 판단하여 이용자 위치가 상기 장치의 최적거리 이하이거나 초과하였을 때 상기 생체인식 장치 및 방법의 오작동으로 인한 결함을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체인식 장치 내 레이저포인터를 부착하여 이용자의 위치를 자동으로 설정한다.
상기 생체인식 장치에는 주변조도를 감지하는 제 1센서를 부착하여 상기 생체인식 장치 주변의 조도에 영향을 미치는 태양광 또는 주변 조명장치의 조도를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생체인식 장치에는 이용자의 신장을 감지하는 제 2센서를 부착하여 이상기 생체인식 장치에 접근하는 이용자의 신장을 고려하여 생체인식 장치가 허용하는 최적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이 부가된 비접촉식 생체인식 장치 및 방법은 일반적인 생체인식 장치 및 방법의 가장 큰 문제점인 높은 오작동률 및 인증속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이용자의 위치는 생체인식 장치 주변의 조도 및 이용자의 신장이 계산하여 예정된 최적거리를 계산하여 상황별로 상기 레이저포인터가 상기 생체인식 장치에 일정하게 이격된 위치를 가리켜 상기 생체인식 장치가 허용하는 최적 거리에 이용자가 위치함으로써 오작동률을 현저히 줄이고 장치가 이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시간을 줄여 인증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을 포함하는 생체인식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식장치는 이용자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캡처하는 캡처부(10),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에서 개별 이용자의 식별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20),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한 개별 이용자의 식별 데이터가 최초 식별 데이터로서 저장되는 저장부(30) 및 상기 저장된 최초 식별 데이터와 이용자가 생체인식장치 이용시에 획득되고 추출된 이용자 의 식별 데이터 간에 데이터의 동일성을 판단하여 상기 장치에 예정된 동작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며, 생체인식장치는 상기 장치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100), 상기 장치의 전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이용자의 신장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센서(200), 상기 제 1 센서에서 감지된 주변의 조도 및 상기 제 2 센서에서 감지된 이용자의 신장을 계산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 캡처를 위한 이용자 최적위치를 계산하는 계산부(300) 및 상기 장치의 전방에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최적위치를 지시하는 레이저포인터(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이미지 또는 영상 캡처를 위한 이용자 최적위치"는 "이용자가 생체인식장치를 이용하기에 적합한, 즉, 상기 장치가 이용자의 상기 식별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캡처하기에 최적화된 거리"를 말한다. 따라서, 생체인식장치의 사양에 따라 최적거리는 다를 수 있고, 본 발명의 전제부에서 기술된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캡처,추출,저장한 최초 식별 데이터 이외에 기존의 사진, 영상, 이전 데이터와의 동일성을 판단할 때 이용자가 상기 장치를 이용하기 위해 적합한 최적화된 거리를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을 포함하는 생체인식장치가 작동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식장치는 상기 레이저포인터는 상기 최적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신체 일부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으로 상기 장치 전방 지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의 자동 위치설정 기능을 포함한다.
특히, 이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식장치를 이용할 때, 이용자의 식별데이터를 정확하게 캡처하기 위해 정확한 위치선정에 필요한 신체의 일부 부위와 같은 모양의 2D 영상이 상기 장치의 전면에 레이저 포인터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식장치는 레이저포인터는 상기 최적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장치 전방 공간에 입체적 형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을 포함한다.
특히, 얼굴인식 이외에 더욱 안전성이 요구되는 시설에서는 상기 생체인식장치에 이용자의 전신 이미지 또는 영상을 미리 캡처,추출,저장하여 최초 식별 데이터로 하거나 이용자의 기존 전신 사진, 영상, 이전 데이터를 입력하여 이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식장치를 이용할 때, 이용자의 식별데이터를 정확하게 캡처하기 위해 정확한 위치선정에 필요한 이용자의 외형과 같은 3D 영상이 상기 장치의 전면에 레이저 포인터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을 포함하는 생체인식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을 포함하는 생체인식방법은 이용자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캡처하는 단계(S10),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에서 개별 이용자의 식별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20),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한 개별 이용자의 식별 데이터가 최초 식별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단계(S30) 및 상기 저장된 최초 식별 데이터와 이용자가 생체인식장 치 이용시에 획득되고 추출된 이용자의 식별 데이터 간에 데이터의 동일성을 판단하여 상기 장치에 예정된 동작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된 최초 식별 데이터와 이용자가 생체인식장치 이용시에 획득되고 추출된 이용자의 식별 데이터 간에 데이터의 동일성을 판단하여 상기 장치에 예정된 동작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40)는 상기 제 1 센서에 의해 상기 장치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단계(S100), 상기 제 2 센서에 의해 이용자의 신장을 감지하는 단계(S200), 상기 주변의 조도 및 상기 이용자의 신장을 계산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 캡처를 위한 이용자 최적위치를 계산하는 단계(S300) 및 상기 장치의 전방에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최적위치를 지시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인식방법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식방법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미리 캡처,추출,저장하여 최초 식별 데이터로 하는 것 이외에 이용자의 기존 전신 사진, 영상, 이전 데이터를 입력하여 이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식방법을 이용할 때, 이용자의 식별데이터를 정확하게 캡처하기 위해 정확한 위치선정에 필요한 이용자의 외형과 같은 2D, 3D 영상이 상기 장치의 전면에 레이저 포인터에 의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이 부가된 비접촉식 생체인식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이 부가된 비접촉식 생체인식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이 부가된 비접촉식 생체인식 방법의 플로우 차트.

Claims (4)

  1. 이용자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캡처하는 캡처부(10),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에서 개별 이용자의 식별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20),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한 개별 이용자의 식별 데이터가 최초 식별 데이터로서 저장되는 저장부(30) 및 상기 저장된 최초 식별 데이터와 이용자가 생체인식장치 이용시에 획득되고 추출된 이용자의 식별 데이터 간에 데이터의 동일성을 판단하여 상기 장치에 예정된 동작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생체인식장치 (1)에 있어서,
    상기 생체인식장치(1)는 상기 장치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100);
    이용자의 신장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센서(200);
    상기 제 1 센서에서 감지된 주변의 조도 및 상기 제 2 센서에서 감지된 이용자의 신장을 계산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 캡처를 위한 이용자 최적위치를 계산하는 계산부(300);및
    상기 장치의 전방에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최적위치를 지시하는 레이저포인터(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을 포함하는 생체인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포인터는 상기 최적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상기 최적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장치 전방 지면에 신체 일부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 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을 포함하는 생체인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포인터는 상기 최적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상기 최적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장치 전방 공간에 입체적 형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을 포함하는 생체인식장치.
  4. 이용자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캡처하는 단계(S10),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에서 개별 이용자의 식별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20),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한 개별 이용자의 식별 데이터가 최초 식별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단계(S30) 및 상기 저장된 최초 식별 데이터와 이용자가 생체인식장치 이용시에 획득되고 추출된 이용자의 식별 데이터 간에 데이터의 동일성을 판단하여 상기 장치에 예정된 동작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생체인식방법(S1)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최초 식별 데이터와 이용자가 생체인식장치 이용시에 획득되고 추출된 이용자의 식별 데이터 간에 데이터의 동일성을 판단하여 상기 장치에 예정된 동작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40)는
    상기 제 1 센서에 의해 상기 장치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단계(S100);
    상기 제 2 센서에 의해 이용자의 신장을 감지하는 단계(S200);
    상기 주변의 조도 및 상기 이용자의 신장을 계산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 캡처를 위한 이용자 최적위치를 계산하는 단계(S300);및
    상기 장치의 전방에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최적위치를 지시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인식방법.
KR1020090061406A 2009-07-07 2009-07-07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이 부가된 비접촉식 생체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10003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406A KR20110003907A (ko) 2009-07-07 2009-07-07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이 부가된 비접촉식 생체인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406A KR20110003907A (ko) 2009-07-07 2009-07-07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이 부가된 비접촉식 생체인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907A true KR20110003907A (ko) 2011-01-13

Family

ID=4361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406A KR20110003907A (ko) 2009-07-07 2009-07-07 이용자의 자동위치설정 기능이 부가된 비접촉식 생체인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39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5532B1 (ko) 객체 인식 방법 및 장치
US9607138B1 (en) User authentication and verification through video analysis
US11383676B2 (en) Vehicles, vehicle door unlocking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es, and vehicle door unlocking systems
US10127439B2 (en) Object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EP3647129A1 (en) Vehicle, vehicle door unlock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vehicle door unlocking system
KR101696602B1 (ko) 제스처를 이용한 생체 인증
KR101700595B1 (ko) 얼굴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US8594374B1 (en) Secure device unlock with gaze calibration
US9921659B2 (en) Gesture recognition for device input
JP5809792B2 (ja) 生体認証装置および方法
Tian et al. KinWrite: Handwriting-Based Authentication Using Kinect.
KR20120139100A (ko) 얼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장치 및 방법
US20150016733A1 (en) Method and Device for Notification of Facial Recognition Environme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Method
JP2001331799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CN103514438A (zh) 人脸判断系统以及方法
EP3594835B1 (en) Contactless multiple body part recognition method and multiple body part recognition device, using multiple biometric data
CN102332093A (zh) 一种掌纹和人脸融合识别的身份认证方法及装置
JP2009009280A (ja) 3次元署名認証システム
KR101640014B1 (ko) 허위 안면 이미지 분류가 가능한 홍채 인식 장치
US20170308763A1 (en) Multi-modality biometric identification
WO2019114814A1 (zh) 非接触式掌纹获取装置及其方法
KR20190126773A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객체의 이벤트 감지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CN114220130A (zh) 非接触式手势与掌纹、掌静脉融合的身份识别系统及方法
KR101515214B1 (ko) 얼굴 인식을 통한 신원확인 방법과 얼굴인식을 이용한 출입관리 경보 시스템 및 출입관리 경보 제어방법
KR101596363B1 (ko) 얼굴 인식에 의한 출입관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